KR20150005182A -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182A
KR20150005182A KR1020130078658A KR20130078658A KR20150005182A KR 20150005182 A KR20150005182 A KR 20150005182A KR 1020130078658 A KR1020130078658 A KR 1020130078658A KR 20130078658 A KR20130078658 A KR 20130078658A KR 20150005182 A KR20150005182 A KR 2015000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ilver
sauce
func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자
Original Assignee
고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자 filed Critical 고인자
Priority to KR102013007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182A/ko
Publication of KR201500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7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은 나노 입자(또는 은이온)를 이용하여 김치의 숙성을 지연시켜서 김치의 유통 기간을 늘리며 또한 항균 효과가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김치 원재료 세척 및 절임하는 과정, 은수 제조 과정, 김치 양념 제조 과정, 상기 제조된 은수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제조된 김치 양념 소스와 김치 원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은수의 은이온 농도가 4~20pp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김치 양념 1,000 중량부에 은수를 1~2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한 김치 양념 소스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김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a functional kimchi making method and the kimch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은 나노 입자(또는 은이온)를 이용하여 김치의 숙성을 지연시켜서 김치의 유통 기간을 늘리며 또한 항균 효과가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에 관한 발명이다.
한국인의 식생활 패턴은 이미 서구화로 전환되었으며,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이 향상되어서 먹거리 자체부터가 고열량, 저영양화 혹은 과도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루를 바쁘게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이 간편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미 서구화된 페스트푸드들이 식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비만과 각종 성인병, 대장암 등 서구인적인 경향으로 질환들의 특징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웰빙의 순풍을 타고 다시금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의 우수성이 부각되면서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우리나라의 전통 먹거리인 슬로우 푸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은 진정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음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에 서도 가장 쉽게 떠올리는 것이 바로 김치이다.
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김치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지게 되었고,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8단계의 논의를 거쳐 한국의 배추 김치에 근거하여 2001년 7월 Codex규격이 채택됨으로써 명실공히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음식으로 공인받게 된 것이다.
더욱이 반가운 사실은 미국의 권위 있는 건강 전문지'Health(2006년 3월)'에서 한국의 김치, 일본의 낫토, 스페인의 올리브오일, 그리스의 요구르트, 인도의 렌틸콩을 세계 최고의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세계인이 주목하는 발효식품인 한국의 전통 김치에는 비타민 A, B, C 등 인체의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핵심 비타민들이 풍부하고 유산균과 식이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김치가 암세포의 성장을 막아주고 과도한 체중의 증가를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는 사실도 헬스지에서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능성 김치의 개발이 식품연구자에 의하여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070425호(이하 선행기술)는 녹차잎을 이용한 김치를 제공하여 녹차잎의 기능성을 최대화하면서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김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김치 제조방법 및 선행기술은 김치의 최대의 단점인 발효 숙성 속도가 너무 빨라 쉽게 김치가 쉬게 된다는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다.
특히 김치는 유통 과정에서 쉬게 되면 식재료로서 가치가 반감되고 그에 따라 식감이 현저히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즉, 김치의 발효 숙성 속도를 제어하는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김치 제조방법 및 선행기술은 김치의 발효과정에서 기타 잡균이 번성하여 발효 숙성된 고유의 김치맛을 버리는 상태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김치의 발효과정에서 기타 잡균의 번성을 제어하는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 원재료 세척 및 절임하는 과정,
은수 제조 과정,
김치 양념 제조 과정,
상기 제조된 은수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제조된 김치 양념 소스와 김치 원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은수의 은이온 농도가 4~20pp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김치 양념 1,000 중량부에 은수를 1~2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한 김치 양념 소스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김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김치는 김치의 최대의 단점인 발효 숙성 속도가 너무 빨라 쉽게 김치가 쉬게 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김치의 발효과정에서 기타 잡균을 제거함에 따라 발효 숙성된 고유의 김치맛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은수의 은이온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숙성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나타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은수제조장치의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은수제조장치에 은이온 농도측정장치가 부가되고 연동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김치 제조 방법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김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의 제조방법은 김치의 양념 소스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의 제조방법에서의 원재료는 무우, 배추, 파 등과 같은 김치를 만드는 통상의 재료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은 설명을 상세히 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배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김치 제조방법에서 씻어서 준비한 배추 등과 같은 김치의 원재료를 버무리기 위한 김치의 양념 소스에 제조방법에 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김치 양념 소소는 배추를 버무리기 위한 통상의 김치 양념에 은이온 성분이 포함된 은수를 혼합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통상의 김치 양념은 고추가루, 무채, 액젖, 마늘, 양파, 생강, 새우젖, 파 등이 포함된 양념을 의미한다. 다만 여기에 열거된 것은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김치 양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김치 양념에 은이온 성분이 포함된 은수를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김치 양념 1,000 중량부에 은이온 성분이 포함된 은수를 1~2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한 김치 양념 소스를 이용하여 기능성 김치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은수(銀水)는 바람직하게는 은이온 성분이 4~20ppm(part per million)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발효를 증진시키고 잡균의 생성의 억제에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은이온 성분이 포함된 은수를 김치 양념에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김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은수를 제조하는 공정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은수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1a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은수를 제조하는 공정은 은수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은수제조장치는 반응조(100), 은봉(110), 전원부(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원부의 음극 단자(-,121)과 양극 단자(+,122)가 은봉(11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반응조(100)에는 증류수를 포함하고 두 개의 은봉(110)은 증류수에 침지되어 있어 전원부에서 전달하는 직류전원을 은봉이 인가받아 은봉으로부터 은이온이 증류수 속에 용해됨으로써 은수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은수제조장치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 있는바 전원부(120)에 제어부(130)가 구비되어 있어 전원부의 전압 및 전류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제어부에는 전원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전압이 20~30볼트(voltage)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압을 유지하는 이유는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은수의 은이온의 적정 농도를 맞추기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다.
전압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장착되어 있는 통상적인 전압제어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에는 전원부의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전류제어장치에서는 3~5mA(mili Ampere)를 흐르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은수제조장치가 가동되고 난 후 증류수에 은이온이 용해되기 시작하면서 저항이 점점 줄어들게 됨에 따라 전압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전류가 상승하게 된다.
이럴 경우 은수의 적정한 은이온 농도를 맞추기 어려워지는데 상기한 3~5mA의 전류를 유지하는 경우 적정한 은이온 농도를 맞추는데 적합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은수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은수의 은이온 농도는 4~20ppm으로 하여 김치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전류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장착되어 있는 통상적인 전류제어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적정 농도의 은이온 농도일 경우 발효를 증진시키고 잡균의 생성의 억제에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은수제조장치에 은이온 농도측정장치가 부가되어 있어 은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정한 농도의 은이온을 제조할 수 있는 기능과 효과를 가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은이온 농도측정장치는 측정센서(210)과 측정장치본체(200) 및 측정센서와 측정장치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2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측정센서는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측정함으로써 은이온의 농도를 측정한다.
전기전도도의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두 의 금속 전극을 정확하게 1cm 떨어져 있게 위치시키고 이온성분이 있는 수중에 넣어 일정 전압을 걸어주고 생성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각의 은이온 농도에 대한 전기전도도에 따른 검량선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되며 은이온 농도에 대한 전기전도도의 검량선은 실험으로 또는 학술적으로 기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은이온 농도에 대한 전기전도도와 은수제조장치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를 대조 비교하여 은이온 농도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측정장치본체는 은이온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대조 비교 측정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chip, 전자회로 또는 반도체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측정장치본체는 제어부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은수제조장치의제어부와 연동되어 있어서 적정한 은이온 농도가 되었을 경우 상기한 은수제조장치의 제어부에 명령을 하여 은수제조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기능과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은이온 농도측정장치가 은수제조장치에 부가되고 연동됨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적정의 은이온 농도를 갖는 은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김치 양념 소스에 녹차 추출액, 녹차 분말, 파슬리 분말, 닥나무 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첨가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녹차 추출액, 녹차 분말, 파슬리 분말, 닥나무 분말이 모두 포함된 것이 하기할 기능적인 측면에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한 첨가물은 녹차 추출액 100중량부에 녹차 분말 20~60중량부, 파슬리 가루 10~50 중량부, 닥나무 가루 5~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첨가물은 김치 양념 소스 100중량부에 2~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녹차 추출액, 녹차 분말, 파슬리 분말, 닥나무 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첨가물은 김치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김치에 포함된 마늘, 파 등의 양념의 냄새 제거에 친환경적으로 탁월한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김치의 세계적인 보편화 즉 서양인들의 입맛에도 거슬리지 않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상기한 녹차 추출액은 녹차잎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녹차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1,500 중량부 혼합하여 80~100도씨의 온도로 10분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녹차 추출액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최적의 효과를 보인다.
또한 상기한 녹차 분말은 녹차잎을 세정하여 말린 것을 분쇄기로 분말한 것을 의미한다.
녹차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10~200μm로 곱게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녹차 추출액 및 녹차 분말의 효능을 좀 더 살펴보면,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 성분은 대뇌피질의 감각중추를 흥분시켜 정신을 맑게 하며, 적당량의 카페인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 되고, 체내의 알코올, 니코틴같은 유독성분을 배출시
키며, 함유되어 있는 탄닌 성분은 알칼로이드(Alkaloid)와 결합해 이것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시키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파슬리 분말은 파슬리를 세정하여 말린 것을 분쇄기로 분말한 것을 의미한다.
파슬리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10~200μm로 곱게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파슬리 분말의 효능을 좀 더 살펴보면, 카로틴, 비타민 B, B2, C, 칼슘, 인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함유되어 있는 바타민류와 엽록소를 함께 섭취하면 과산화 지질을 억제하며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함유되어 있는 피넨(pinene), 아피올(apiol) 성분은 장에서 생기는 부패물을 제거하고 유해한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닥나무 분말은 닥나무 잎을 건조시켜 만든 분말을 의미하며 닥나무 잎을 세정하여 말린 것을 분쇄기로 분말한 것을 의미한다.
닥나무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10~200μm로 곱게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닥나무 분말은 항암효과 및 아토피 피부질환에 좋으며 피부미백에도 효과가 있고 여드름 치료 및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김치 양념 소스에 포도당 및 과당을 포함하는 당류, 염류, 아미노산, 및 pH 조절제를 넣어 제조한 감미 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감미 소스는 김치 양념 소스 100중량부에 0.5~1.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감미 소스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당류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염류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아미노산 0.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 pH 조절제 0.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혼합된 것이다.
상기한 염류는 NaCl, NaNO2, CaCl, KCl 등, 아미노산으로는 알라닌, 글리신, 아르기닌, 글루타민산, 아스팍틱산 등, pH 조절제로는 NaHPO4, K2HPO4, Na2HPO4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감미 소스가 김치 양념 소스에 포함되는 경우 김치의 식감을 좋게 하며 특히 PH조절제는 김치의 발효 속도를 늦춰주는 작용을 하여 보존의 효과를 증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김치 양념 소스에 오미자 또는/및 오가피의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소스를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성 소스는 오미자 발효액 또는/및 오가피 발효액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오미자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미자 발효액은 채취한 오미자를 잘 세척하여 이당류인 설탕, 황설탕 또는 흑설탕을 혼합하여 발효조에 투입한다.
발효조는 통기성 구조를 갖는 발효조를 선택하고 오미자 100중량부에 이당류 50~150중량부 혼합하여 5~40℃의 온도로 3~4개월 정도로 1차 발효를 수행한다.
상기의 1차 발효를 거친 것을 추출하여 오미자 발효원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발효를 거친 오미자 발효원액을 다시 2차 발효조에 투입하여 동일한 발효환경에서 1~2개월 더 발효를 지속 유지시킨다. 그리고 발효된 오미자를 추출수단에 의하여 오미자 발효원액을 추출하여 준비한다.
또한 오가피 발효액은 채취한 오가피를 잘 세척하여 이당류인 설탕, 황설탕 또는 흑설탕을 혼합하여 발효조에 투입한다.
오가피는 잎, 줄기, 뿌리 등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잘게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효조는 상기한 바처럼 통기성 구조를 갖는 발효조를 선택하고 오가피 100중량부에 이당류 50~150중량부 혼합하여 5~40℃의 온도로 3~4개월 정도로 1차 발효를 수행한다.
상기의 1차 발효를 거친 것을 추출하여 오가피 발효원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발효를 거친 오미자 발효원액을 다시 2차 발효조에 투입하여 동일한 발효조건 및 환경에서 1~2개월 더 발효를 지속 유지시킨다. 그리고 발효된 오미자를 추출수단에 의하여 오미자 발효원액을 추출하여 준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오미자 발효액 또는 오가피 발효액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소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능성 소스는 김치 양념 소스 100중량부에 2~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은수를 포함한 김치 양념 소스를 준비한다.
또한 상기한 김치 양념 소스에 첨가물, 감미 소스 또는 기능성 소스가 포함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배추를 세척하여 소금과 물이 1 : 2~4의 배율로 혼합된 소금물에 2~5시간 절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절인 배추는 맑은 물에다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가 자연스럽게 빠져 나갈 수 있게 용기에 올려 놓아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물기가 빠진 상기의 절여진 배추 100중량부에 상기한 은수를 포함한 김치 양념 소스를 20~40중량부 혼합하여 무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은수가 포함된 기능성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와 같은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한다.
<실시예>
배추를 5kg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소금과 물이 1 : 2~4의 배율로 혼합된 소금물에 2~5시간 절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은수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은이온이 10~12ppm 함유된 은수를 100g 제조하여 준비한다.
고추가루, 무채, 액젖, 마늘, 양파, 생강, 새우젖, 파 등이 포함된 김치 양념을 1kg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김치양념 1kg에 상기 준비된 은수를 1~2g을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절인 배추 5kg을 상기한 김치 양념 소스를 혼합하여 버무리는 공정으로 김치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김치를 상온 또는 저온에서 숙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제조된 김치의 발효 정도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대조군으로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조된 김치 즉 은수가 함유되지 않은 동일한 종류의 김치 양념을 버무려서 제조된 김치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와 대조군인 통상의 김치의 산도(lactic acid)와 PH의 변화를 아래와 같이 관찰할 수 있었다.
날짜 실험군 대조군
제조일 0.3 0.3
10일 후 0.4 0.5
20일 후 0.6 0.75
30일 후 0.8 1.1
40일 후 0.9 1.35
[산도의 변화, 단위 %]
날짜 실험군 대조군
제조일 0.65 0.65
10일 후 0.6 0.55
20일 후 0.55 0.45
30일 후 0.5 0.42
40일 후 0.45 0.4
[PH의 변화]
상기한 [표 1] 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산도의 증가 속도가 느려지고 있어서 잡균의 활성을 억제하고 발효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김치의 신선도를 더 잘 유지해 주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2]에서 보는 것처럼 PH의 변화에 있어서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늦게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바 발효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김치의 신선도를 더 잘 유지해 주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제조방법은 은수를 사용한 김치 양념 소스의 효과로 인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잡균의 억제가 잘 이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신선한 김치를 유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김치를 생산, 제조, 판매, 가공 유통하는 사업에 획기적인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의 보관 및 저장 기술을 이용한 식품 기자재를 생산, 제조, 연구,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 반응조 110 : 은봉
120 : 전원부 121 : 전원부의 음극단자
122 : 전원부의 양극단자 130 : 제어부
200 : 이이온농도 측정장치 본체 210 : 측정센서
220 : 케이블

Claims (4)

  1. 김치 원재료 세척 및 절임하는 과정,
    은수 제조 과정,
    김치 양념 제조 과정,
    상기 제조된 은수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제조된 김치 양념 소스와 김치 원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은수의 은이온 농도가 4~20pp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김치 양념 1,000 중량부에 은수를 1~2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한 김치 양념 소스인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김치.
KR1020130078658A 2013-07-05 2013-07-05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20150005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58A KR20150005182A (ko) 2013-07-05 2013-07-05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58A KR20150005182A (ko) 2013-07-05 2013-07-05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182A true KR20150005182A (ko) 2015-01-14

Family

ID=5247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658A KR20150005182A (ko) 2013-07-05 2013-07-05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1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03A (ko) * 2016-12-16 2018-06-26 고인자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CN108450846A (zh) * 2017-02-17 2018-08-28 成都古蜀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开味泡菜生产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03A (ko) * 2016-12-16 2018-06-26 고인자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CN108450846A (zh) * 2017-02-17 2018-08-28 成都古蜀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开味泡菜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4059A (zh) 三文鱼降血脂雪菜肉丝及其制备方法
KR20170044984A (ko) 패류를 이용한 조미건포의 제조방법
KR101975496B1 (ko) 해양심층수를 사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시지
KR101353500B1 (ko) 짬뽕 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299B1 (ko) 들기름을 함유한 김치양념,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김치양념으로 제조되는 김치
KR20160026798A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KR100851913B1 (ko) 해물 및 생선용 양념장
KR101955770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101222332B1 (ko) 고추냉이 조미 김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973B1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417800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두부의 제조방법
KR20150005182A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101805800B1 (ko) 파프리카를 포함한 항암 및 항산화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KR101606113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205B1 (ko) 전복 내장을 이용한 식품 첨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KR20160109003A (ko) 육포 제조방법 및 그 육포
KR101914515B1 (ko) 저염도 기능성 된장의 제조방법
KR100630477B1 (ko)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0314A (ko) 인삼장아찌 제조방법
KR101776079B1 (ko) 나트륨-칼륨 비율이 조절된 김치의 제조방법
KR100725015B1 (ko) 새우육수를 함유한 배추김치 제조방법
JP6086417B2 (ja) 低カリウム食品、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キット
KR20190030049A (ko) 버섯추출물을 함유한 즉석구이용 육포의 제조방법
KR101757360B1 (ko) 전복 스테이크 제조방법
KR101611813B1 (ko) 오징어 젓갈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26

Effective date: 201512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13

Effective date: 201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