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146A - 시트트랙 풋 레버 - Google Patents

시트트랙 풋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146A
KR20150005146A KR20130078536A KR20130078536A KR20150005146A KR 20150005146 A KR20150005146 A KR 20150005146A KR 20130078536 A KR20130078536 A KR 20130078536A KR 20130078536 A KR20130078536 A KR 20130078536A KR 20150005146 A KR20150005146 A KR 2015000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ever
seat
lever ba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조주행
정희용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13007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146A/ko
Publication of KR2015000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Safety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동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가 이동레일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가 시트트랙에 구비된 로크기구에 위치되는 레버 바; 및 상기 레버 바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는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 하측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 바;를 포함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트랙 풋 레버 {SEAT TRACK FOOT LEVER}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동조작하기 위한 레버에 관한 것으로, 레버의 조작방향을 전환하여 하향으로 조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로 레버를 간편히 조작할 수 있는 시트트랙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사용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백과 시트쿠션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는 시트트랙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 즉 상기 시트트랙은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과 결합되는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상기 이동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로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로크기구의 해제시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시트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가 시트트랙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크기구를 작동시켜주기 위한 부품이 필요한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도 1에 도시된 타울 바(1)이다.
상기 타울 바(1)는 로크기구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수동식 작동기구로 시트쿠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이동레일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타울 바(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중간의 작동부(1a)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양단부(1b)는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바, 사용자가 작동부(1a)를 잡고 도시된 화살표 R1과 같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주면 양단부(1b)는 화살표 R2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양단부(1b)의 아랫방향 회전에 의해 시트트랙의 로크기구가 작동해서 시트크랙의 로크상태를 해제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타울 바(1)의 구성 및 작동설명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29111호에 상세하게 기재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울 바(1)는 전방을 향하도록 길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후방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의해 작동부(1a)가 들어 올려주게 되어 로크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타울 바(1)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몸을 굽혀 손으로 작동부(1a)를 상향조작해야 로크기구의 잠금 상태가 해제기 때문에 레버를 조작하는데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타울 바(1)를 발로 간편하게 동작함으로써 시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조작시 몸을 수그릴 필요가 없고, 후방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타울바(1)의 작동부(1a)가 걸리어 로크기구가 풀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시트트랙 레버가 필요하였다.
10-2008-0029111 (2008.04.0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레버의 조작방향을 전환하여 하향으로 조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로 레버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레버 조작시 사용자가 몸을 숙이는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되며,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의해 로크기구가 풀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시트트랙 풋 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트랙 풋 레버는 이동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가 이동레일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가 시트트랙에 구비된 로크기구에 위치되는 레버 바; 및 상기 타울 바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는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울 바의 일단부 하측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 바;를 포함한다.
상기 전환 바는 일단부가 하방으로 조작시 타단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 바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레버 바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로크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와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부재는 레버 바와 전환 바에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는 상기 레버 바의 힌지구조가 설치된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바는 일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와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트랙 풋 레버는 기존의 손으로 레버를 상향조작하여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것이 아닌, 레버 바와 전환 바를 통해 레버의 하향조작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로 레버를 밟는 동작을 통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몸을 숙이는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의해 로크기구가 풀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트랙 레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트랙 풋 레버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트랙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트랙 레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트랙 풋 레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트랙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시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서는 고정레일, 이동레일, 로크기구의 장치가 사용되고, 이는 당업자로 하여금 자명한 기술이기에 구체적인 기술구성과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면에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시 주목적인 시트트랙 레버의 조작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핵심으로 레버 바와 전환 바의 구성에 대해석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동레일(10)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구조(120)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140)가 이동레일(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160)가 시트트랙에 구비된 로크기구(30)에 위치되는 레버 바(100); 및 상기 레버 바(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레일(10)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220)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240)는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260)는 상기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 하측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 바(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레버 바(100)는 이동레일(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160)에는 시트가 설치된 이동레일(10)이 고정레일(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구성된 로크기구(30)와 연결된다.
즉, 레버 바(100)는 일단부(140)가 상방으로 회전될 경우 타단부(160)가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로크기구(30)를 눌러주게 되고, 고정레일(20)에 대한 이동레일(10)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이동레일(10)은 고정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시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 바(100)는 종래기술인 타울 바와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가지지만, 레버 바(100)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는 것이 아닌, 전환 바(200)에 의해 조작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 전환 바(200)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레버 바(100)의 하측으로는 전환 바(200)가 마련되어 레버 바(10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는 차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는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발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바(200)는 레버 바(100)를 회전조작하되 회전방향이 상호 상반되도록 구성되는바,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상기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환 바(200)는 이동레일(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220)를 통해 설치되며,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가 하향조작되면 타단부(260)가 상향회전됨에 따라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렇게,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가 상향회전됨에 따라 타단부(160)가 하향회전되고 로크기구(30)가 눌리어 이동레일(10)과 고정레일(20) 간의 물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환 바(200)는 일단부(240)가 하방으로 조작시 타단부(260)가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레버 바(100)의 타단부(16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로크기구(30)의 잠금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전환 바(200)를 하방으로 조작하여 로크기구(3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를 발로 밟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시트의 슬리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와 상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는 연결부재(300)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부재(300)는 레버 바(100)와 전환 바(200)에 각각 힌지구조(320)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 하측으로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배치되어 전환 바(200)의 회전시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전환 바(200)의 회전시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밀어주는 동작시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가 접촉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전환 바(200)의 회전조작을 끝내고 원위치로 복귀시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도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전환 바(200)와 레버 바(100)가 부딪혀 소음 발생 및 올바른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와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를 연결부재(300)를 통해 힌지구조(320)로 연결함으로써 전환 바(200)의 조작시 레버 바(100)가 상호 동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레버 바(100)와 전환 바(200)가 같이 상하 회전됨에 따라 부드러운 회전동작을 구현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작동상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와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를 힌지구조(320)로 연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각각 힌지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는 상기 레버 바(100)의 힌지구조(120)가 설치된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레버 바(100)는 전환 바(200)가 회전조작시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전환 바(200)의 타단부(240)는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 하측에 배치되고, 전환 바(2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전환바(200)의 타단부(260)가 회전되어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상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레버 바(100)는 힌지구조(12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단부(140)에 회전력이 전달되는바,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에 걸치는 정도만 연장되어도 전환 바(200)의 회전동작시 레버 바(100)가 충분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레버바(100)의 힌지구조(120)가 설치된 부분까지 연장된다면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힌지구조(120)에 걸리어 회전되지 못할 수 있으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레버바(100)의 힌지구조(120)에 너무 근접하게 설치되면 전환 바(200)가 약간만 회전되어도 레버 바(100)는 크게 회전되어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는 상기 레버 바(100)의 힌지구조(120)가 설치된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작동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바(200)의 회전시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밀어주어 올바른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환 바(200)는 일단부(240)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 바(200)는 사용자가 발로 밟는 동작을 통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이 되도록 하는 것인바, 사용자가 발로 간편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가 차체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뒤로 이동시켜 간편히 조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전환 바(200)가 걸리어 안전사고가 로크기구의 잠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와 상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 사이에는 댐퍼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 하측으로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배치되어 전환 바(200)의 회전시 타단부(260)가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를 밀어주도록 구성되는바, 전환 바(200)의 회전시 레버 바(100)와의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와 상기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 사이에 댐퍼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레버 바(100)와 전환 바(200)의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레버 바(100)와 전환 바(200)의 부드러운 회전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시트트랙 풋 레버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환 바(200)의 일단부(240)를 사용자가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전환 바(240)가 힌지점(2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부(260)가 상방으로 회전되고, 전환 바(200)의 타단부(260)가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가 상승된다.
이렇게 레버 바(100)의 일단부(140)가 상승됨에 따라 힌지점(1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레버 바(100)의 타단부(160)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로크기구(30)를 눌러주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로크기구(30)가 눌리어 이동레일(10)과 고정레일(20) 간의 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이동레일(10)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어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트랙 풋 레버는 기존의 손으로 레버를 상향조작하여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것이 아닌, 레버 바와 전환 바를 통해 레버의 하향조작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로 레버를 간단히 밟는 동작을 통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몸을 숙이는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발에 의해 로크기구가 풀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레버 바 200:전환 바
300:연결부재 400:댐퍼부재

Claims (6)

  1. 이동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가 이동레일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가 시트트랙에 구비된 로크기구에 위치되는 레버 바; 및
    상기 레버 바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레일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되며, 일단부는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 하측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환 바;를 포함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는 일단부가 하방으로 조작시 타단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 바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레버 바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로크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와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부재는 레버 바와 전환 바에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는 상기 레버 바의 힌지구조가 설치된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바는 일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바의 일단부와 상기 전환 바의 타단부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풋 레버.



KR20130078536A 2013-07-04 2013-07-04 시트트랙 풋 레버 KR20150005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536A KR20150005146A (ko) 2013-07-04 2013-07-04 시트트랙 풋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536A KR20150005146A (ko) 2013-07-04 2013-07-04 시트트랙 풋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146A true KR20150005146A (ko) 2015-01-14

Family

ID=5247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536A KR20150005146A (ko) 2013-07-04 2013-07-04 시트트랙 풋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14B1 (ko) * 2014-10-22 2016-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14B1 (ko) * 2014-10-22 2016-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124B2 (ja) 折畳み式車両用シート
KR101583952B1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JP2833840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機構
WO2009004904A1 (ja) 車両用シート
US8974001B2 (en) Motor vehicle sea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seatback from the use position to a stowed position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JP20170477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JP6834509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20150005146A (ko) 시트트랙 풋 레버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JP5186850B2 (ja) 車両用シート
JP6642275B2 (ja) 乗物用シート
WO2008032808A1 (fr) Siège de véhicule
JP6311545B2 (ja) 回転チルトシート
KR101601509B1 (ko) 시트 폴딩 장치
JP2014513009A (ja) メモリ装置を備えた長手方向に調整可能な車両シート
JP6834510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20100130000A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JP200801790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641567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100525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KR20170056744A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JP6641568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