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97U -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 Google Patents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497U
KR20150004497U KR2020140004304U KR20140004304U KR20150004497U KR 20150004497 U KR20150004497 U KR 20150004497U KR 2020140004304 U KR2020140004304 U KR 2020140004304U KR 20140004304 U KR20140004304 U KR 20140004304U KR 20150004497 U KR20150004497 U KR 201500044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surface
table board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2020140004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497U/ko
Publication of KR20150004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6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with legs for supporting the table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벽면(1)의 일정높이에 일측면이 힌지부(14)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는 탁자판(11)과, 상기 탁자판(11)이 회동하여 상기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탁자판(11)을 상기 벽면(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8)과,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부 배면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1)에 설치된 상기 탁자판(11)의 설치 높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액자틀 형상의 레그(12)와, 상기 레그(12)가 회동되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접철되면 상기 레그(12)의 액자틀 형상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구비되는 미적 소품(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간의 편리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Folding type table with frame}
본 고안은 탁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접힌 탁자를 펼쳐 탁자의 기능을 이용하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벽면에 접어 고정한 탁자의 배면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미적 소품을 구비하여 접히는 탁자의 레그와 조화를 이루어 액자의 형상을 갖도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이다.
소형 면적의 주택이나 캠핑용 방갈로 등은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빈도에 비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탁자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자 접이식의 형태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접이식 탁자를 접게 되면 접히는 방향에 따라 탁자의 평면 또는 배면 중 어느 일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는데, 그 노출 면적이 넓어서 별도의 미적 소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탁자의 노출면으로 인해 내부 공간의 미관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접이식 탁자의 일측에 접이식으로 구비되는 탁자 레그는 탁자를 접었을 경우에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내부공간의 미관을 저해하게 됨으로, 탁자가 접힌 상태에서 탁자 레그가 노출되지 않도록 접힌 탁자와 접힌 탁자가 위치하게 되는 벽면 등의 사이에 탁자 레그가 수납될수 있도록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접이식 탁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접은 상태에서의 문제점, 즉 접은 탁자 레그의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고, 접은 탁자의 노출면으로 인한 미관의 저해를 막기 위해 액자 등 별도의 미적 소품을 탁자의 노출면에 배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탁자 레그를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접힌 탁자의 노출면에 탁자 레그를 접철하여 노출시켜도 미관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접이식 탁자의 편리한 이용과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벽면의 일정높이에 일측면이 힌지부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는 탁자판과, 상기 탁자판이 회동하여 상기 벽면에 접철되면 상기 탁자판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탁자판의 타측 말단부 배면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에 설치된 상기 탁자판의 설치 높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액자틀 형상의 레그와, 상기 레그가 회동되어 상기 탁자판의 배면에 접철되면 상기 레그의 액자틀 형상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탁자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미적 소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탁자판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ㄷ'자 형태의 결합판이 구비된 경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경첩이 설치되는 상기 벽면에 체결력과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형태의 지지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탁자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장치와, 상기 탁자판이 회동되어 상기 벽면에 접철되면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고정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탁자판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연접하여 구비되는 체결장치와, 상기 탁자판이 회동되어 상기 벽면에 접철되면 상기 체결홈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고정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장치는 테이퍼진 면을 갖는 판재형태의 래치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사각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걸이는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는 상기 탁자판에 록킹스토퍼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상기 록킹스토퍼는 상기 탁자판에 일측이 고정되되, 90°의 회동각을 갖으며 양 끝단에 큰지름의 핀홀이 형성된 가이드홀이 구비된 암조정편과, 상기 레그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암조정편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돌출되는 단차진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홀(16b)에 삽입되어 90°흰지 회동되게 안내되는 숫조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접힌 탁자의 노출면에 탁자 레그를 접철하여 노출된 상태로 배치시킴으로써 별도의 탁자레그를 위한 수납 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탁자와 탁자레그를 접거나 펼치기 용이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탁자를 접고 탁자의 노출면에 탁자레그를 접철된 상태로 노출시켜 배치하여도 아름다운 미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의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를 펼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의 체결수단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의 레그 고정장치 확대도
도 6와과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벽면(1)의 일정높이에 일측면이 힌지부(14)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는 판재모양의 탁자판(11)과,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부에 회동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홈(17)과, 상기 체결홈(17)에 연접하여 상기 탁자판(11)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17)을 가로질러 돌출되도록 작동되는 랫칫(15b)이 구비된 사각래치인 체결장치(를 구비한 체결장치(15)과, 상기 체결홈(17)과 상기 체결장치(15)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부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벽면(1)에 설치된 상기 탁자판(11)의 설치 높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액자틀 형상의 레그(12)와, 상기 레그(12)가 회동되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마주하게 위치되면 상기 레그(12)의 액자틀 형상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구비되는 그림 등의 미적 소품(13)과, 상기 탁자판(11)이 회동하여 상기 벽면(1)과 마주하면 상기 체결홈(17)의 형성위치에 부합하는 상기 벽면(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7)에 안착되는 고정걸이(20)가 구비되어서, 상기 탁자판(11)과 상기 레그(12)를 회동시켜 펼치면 탁자나 의자로 사용하고 상기 탁자판(11)과 상기 레그(12)의 회동시켜서 접어 고정시키면 액자가 형성되어 미려한 실내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고안이다.
상기 탁자판(11)은 목재로 된 사각판재가 바람직하나, 재질과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벽면(1)에 힌지부(14)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일측면은 직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되는 높이는 사용용도에 따라 의자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50㎝, 식탁 등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80~90㎝가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4)는 도 6와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탁자판(11)의 두께와 유사한 폭의 개구부를 갖춘 'ㄷ'자 형태의 결합판(14-3)이 경첩(14-2)의 일측 회동판의 접철되지 않는 일면에 개구부가 직각으로 개방되도록 용접이나 볼트체결되어 구성되며, 더불어 상기 경첩(14-2)의 타측 회동판이 상기 벽면(1)에 고정될 때 체결력과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탁자판(11)의 평면의 폭과 유사한 길이의 판재형태의 지지판(14-1)을 상기 탁자판(11)이 설치될 위치의 상기 벽면(1)에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판(14-1)에 상기 경첩(14-2)을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미련한 외관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힌지부(14)의 결합판(14-3) 개구부에 상기 탁자판(11)의 일측면을 삽입하여 상기 결합판(14-3)과 상기 탁자판(11)에 이미 마련한 체결홀을 통해 볼트체결하고, 상기 지지판(14-1)에 상기 경첩(14-2)의 타측 회동판을 나사고정 등의 체결방법으로 체결하면 상기 탁자판(11)은 벽면(1)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 상태가 되어, 상기 탁자판(11)이 수평상태로 회동한 경우 상기 결합판(14-3)에 의해 상기 탁자판(11)의 무게에 의한 처짐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용이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같이, 상기 탁자판(11)은 사용자가 들어올려 회동시켜서 벽면(1)에 접철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탁자판(11)이 접철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18)이 마련되는데, 상기 체결수단(18)은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었을 때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끝단의 바로 위에 배치되게 상기 벽면(1)에 구비되는 고정걸이(20)와,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탁자판(11)이 회동하여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고정걸이(20)를 체결하는 체결장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장치(15)는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어 벽면(1)에 밀착된 상태 즉, 접철된 상태가 되면, 회동축에 대응하는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 위에 배치되도록 벽면(1)에 마련되는 고정걸이(20)를 체결하도록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배면부에 설치되며, 미관을 고려하면 사각래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고정걸이(20)를 걸리게 하고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이면 가능하고 사각래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8)에는 상기 탁자판(11)을 용이하게 들어올려 회동시킬 수 있도록 체결홈(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체결홈(17)은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부에 상기 탁자판(11)의 두께방향 즉, 회동방향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인 장홈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17)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체결홈(17)에 연접하여 상기 체결장치(15)를 설치하여 후술할 래치(15b)가 상기 체결홈(17)내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어 벽면(1)에 접철된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걸이(20)가 상기 체결홈(17)에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홈(17)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벽면(1)에 상기 고정걸이(20)를 구비하여 상기 탁자판(11)이 회동하여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고정걸이(20)가 상기 체결홈(17)에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장치(15)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탁자판(11)을 고정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체결장치(15)의 실시예인 사각래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탁자판(11)을 들어올려 회동시켜서 벽면(1)에 접철시키게 되면 상기 탁자판(1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인 테이퍼진 면을 갖는 판재형태의 래치(15b)와 'ㄷ'자 고리형태의 상기 고정걸이(20)가 상기 레치(15b)의 테이퍼진면에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래치(15b)를 밀어내리면서 통과하게 되고 이때 래치(15b)가 원상태인 돌출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고정걸이(20)가 상기 래치(15b)에 걸리게 되어 상기 탁자판(11)이 벽면(1)에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탁자판(11)을 내려서 용도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장치(15)의 실시예인 사각래치의 손잡이(15a)를 들어올려서 사각래치 몸체내로 상기 래치(15b)를 들어가게 한 후 상기 탁자판(11)를 펼치면 된다.
상기 고정걸이(20)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ㄷ'자 고리형태로 상기 벽면(1)에 설치되는데, 상기 탁자판(11)에 설치되는 상기 체결장치(15)에 부합되도록 상기 벽면(1)에 설치되어야 하며, 적어도 상기 래치(15b)에 걸릴 정도의 돌출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걸이(20)의 돌출길이는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어 벽면(1)에 접철되었을 때 벽면(1)과 상기 탁자판(11)의 틈의 거리와 상기 탁자판(11)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장치(15)의 실시예인 사각래치의 래치(15b)의 돌출위치를 고려하여야 상기 래치(15b)에 상기 고정걸이(20)가 걸려 체결되도록 정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레그(12)는 수개의 프레임이 종과 횡으로 연결되어 액자틀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벽면(1)에 흰지결합되는 상기 탁자판(11)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배면에 상기 레그(12)의 상부에 배치되는 횡축 프레임이 상기 체결홈(17)과 상기 체결장치(15)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레그(12)의 횡축의 길이 즉 횡축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탁자판(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레그(12)의 종축의 길이 즉 종축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탁자판(11)의 상기 벽면(1)의 설치 높이와 같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그(12)의 종축 길이는 고무발(12a)을 상기 레그(12)의 종축의 말단에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무발(12a)의 길이만큼을 짧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레그(12)는 사각의 액자틀 형상으로 구성되나 액자틀 형상이 사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그(12)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단면은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나 단면형상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그(12)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횡축 프레임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힌지결합되어 90°내에서 자유 회동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레그(12)는 중력에 의해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되도록 자유 회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탁자판(11)이 펼쳐지는 동안 상기 레그(12)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서히 펼쳐지면서 상기 탁자판(11)이 수평한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힌지 결합된 상기 레그(12)의 횡축 프레임의 일측면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탁자판(11)에는 90°각도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바닥면(2)과는 수직을 이루게 되어 상기 탁자판(11)을 안정적으로 받치게 된다.
또한, 상기 탁자판(11)을 들어올려서 회동시켜 상기 체결장치(15)를 상기 벽면(1)의 고정걸이(20)에 걸어 벽면(1)에 고정시키면, 상기 레그(12)는 상기 탁자판(11)에 힌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중력에 의해 자유회동하면서 수직의 상태가 되어 벽면(1)에 고정된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레그(12)가 접철되는 위치의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그림 등의 미적 소품(13)을 구비하면 상기 레그(12)가 수직상태로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밀착되면 마치 벽면에 넓은 판재를 바탕에 두고 액자를 설치한 형태의 외관을 갖게 되는 것이며, 특히 상기 그림 등의 미적 소품(13)은 상기 레그(12)의 내측 형상과 크기와 같게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서는 90°의 회동각을 갖는 록킹스토퍼(16)를 구비하여 상기 레그(12)와 상기 탁자판(11)을 회동되게 연결하였는데, 상기 록킹스토퍼(60)는 90°의 원호를 이루면서 양 끝단에 큰지름의 핀홀이 마련된 가이드홀(16b)이 구비된 암조정편(16-1)이 상기 탁자판(11)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홀(16b)에 삽입되는 단차진 가이드핀(16a)이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암조정편(16-1)의 내측에 회동되게 리벳고정 되는 숫조정편(16-2)이 상기 레그(12)에 고정되어 상기 레그(12)를 회동시키면 상기 가이드핀(16a)이 상기 가이드홀(16b)를 따라 안내되다가 상기 가이드홀(16b)의 끝단에 도달하면 외경이 큰 단차부위가 돌출되어 상기 레그(12)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정된 상기 레그(12)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핀(16a)에 압력을 가해 큰 단차부위를 상기 가이드홀(16b)의 핀홀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회동시켜야 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상의 용도에 따라 여러 크기와 형태의 레그(12)와 탁자판(11)을 조합하여 구성하면 더욱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과 향상된 미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벽면 2. 바닥면
10. 탁자 11. 탁자판
12. 레그 13. 미적 소품
14. 힌지부 16. 록킹스토퍼
18. 체결수단 20. 고정걸이

Claims (9)

  1. 벽면(1)의 일정높이에 일측면이 힌지부(14)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는 탁자판(11)과;
    상기 탁자판(11)이 회동하여 상기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탁자판(11)을 상기 벽면(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8)과;
    상기 탁자판(11)의 타측 말단부 배면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1)에 설치된 상기 탁자판(11)의 설치 높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액자틀 형상의 레그(12)와;
    상기 레그(12)가 회동되어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접철되면 상기 레그(12)의 액자틀 형상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탁자판(11)의 배면에 구비되는 미적 소품(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4)는 상기 탁자판(1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ㄷ'자 형태의 결합판(14-3)이 구비된 경첩(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4)에는 상기 경첩(14-2)이 설치되는 상기 벽면(1)에 체결력과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형태의 지지판(14-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8)은 상기 탁자판(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장치(15)와, 상기 벽면(1)에 설치되어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어 상기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체결장치(15)에 체결되어지는 고정걸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8)은 상기 탁자판(1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홈(17)과, 상기 체결홈(17)에 연접하여 구비되는 체결장치(15)와, 상기 벽면(1)에 설치되어 상기 탁자판(11)이 회동되어 상기 벽면(1)에 접철되면 상기 체결홈(17)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장치(15)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고정걸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6. 제4항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15)는 테이퍼진 면을 갖는 판재형태의 래치(15b)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사각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7. 제4항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20)는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12)는 상기 탁자판(11)에 록킹스토퍼(16)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스토퍼(16)는 상기 탁자판(11)에 일측이 고정되되, 90°의 회동각을 갖으며 양 끝단에 큰지름의 핀홀이 형성된 가이드홀(16b)이 구비된 암조정편(16-1)과, 상기 레그(12)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암조정편(16-1)에 회동되게 결합되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돌출되는 단차진 가이드핀(16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16a)이 상기 가이드홀(16b)에 삽입되어 90°흰지 회동되게 안내되는 숫조정편(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KR2020140004304U 2014-06-09 2014-06-09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KR201500044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04U KR20150004497U (ko) 2014-06-09 2014-06-09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04U KR20150004497U (ko) 2014-06-09 2014-06-09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97U true KR20150004497U (ko) 2015-12-17

Family

ID=5517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304U KR20150004497U (ko) 2014-06-09 2014-06-09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4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148B2 (en) Artist's easel attachable to a door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20160024695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KR20150004497U (ko) 액자가 형성되는 접이식 탁자
EP3106063A1 (en) Hanging table comprising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KR200455787Y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US20070278363A1 (en) Collapsible door painting support stand
JP2010029297A (ja) 折畳み式テーブル
KR200432395Y1 (ko) 안전성을 확보한 이젤
TWI526075B (zh) A support device and a display having a support device
WO2016184382A1 (zh) 一种用于桌子翻转收折的支撑架
JP200307276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ケースの取付具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CA2892112C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200425221Y1 (ko) 강의용 책상
JP2003250637A (ja) 折畳脚柱のロック構造
CN212816039U (zh) 一种支架
JP3435395B2 (ja) 折り畳み式椅子・卓セット
KR20190120870A (ko) 노트북 지지대
JP2004261305A (ja) 補助天板装置
JP6292661B2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
KR200416836Y1 (ko) 접철식 테이블
KR102064735B1 (ko) 노트북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