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32U -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432U
KR20150004432U KR2020140004180U KR20140004180U KR20150004432U KR 20150004432 U KR20150004432 U KR 20150004432U KR 2020140004180 U KR2020140004180 U KR 2020140004180U KR 20140004180 U KR20140004180 U KR 20140004180U KR 20150004432 U KR20150004432 U KR 201500044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jig
horizontal
flang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202014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432U/ko
Publication of KR20150004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지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클램프부,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부에 결합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포스트,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된 수평지그 및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드릴바와, 상기 드릴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홀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을 구비하는 드릴머신부를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축계에 대응하여 적용이 용이하며,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드릴링-리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Drill apparatus of shaft working}
본 고안은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용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드릴링-리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시스템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기관과, 주기관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축계와, 축계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과 상호작용에 의해 선박을 추진하는 프로펠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축계의 경우에는 특성 상 여러 개의 축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우선 복수개의 축계들을 정렬하고, 이들을 서로 고정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축계정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4809호에 '선박 추진 축계정렬을 위한 베어링 해석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상기한 축계 작업 중 복수개의 축계들을 고정 결합하는 작업은 축계에 구비된 각각의 플랜지를 동시에 관통 체결되는 관통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플랜지들에 관통볼트가 체결되는 홀을 가공해야하는 드릴링(Drilling) 및 리밍(Reaming)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축계 작업은 모든 부품을 설치 완료 후 현장에서 바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완료된 축계에 대응하여 이에 맞는 장비를 사용해야하는데 이를 뒷받침해줄만한 시중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축계에도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드릴링-리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플랜지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클램프부;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부에 결합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포스트;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된 수평지그; 및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드릴바와, 상기 드릴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홀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을 구비하는 드릴머신부를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수평지그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는,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가 결합하고 'ㄷ'자 형상으로 상기 플렌지를 내측으로 삽입하여 클램핑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릴바가 상기 수평지그의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드릴바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그에 각각 대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된 상기 드릴바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다양한 축계에 대응하여 적용이 용이하다.
둘째, 운반이 용이하다.
셋째, 현장에서 드릴링-리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램프부와 지지포스트를 나나태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포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700;이하 '드릴장치'라 한다)는, 클램프부(100)와, 지지포스트(200)와, 수평지그(300)와, 드릴머신부(400)와, 서포터(5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100)는, 플랜지(10)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앞서, 상기 플랜지(10)는 축계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0)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축계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하게, 상기 클램프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101)를 통하여 일측으로 상기 플랜지(10)를 끼운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100)는 하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1)에 상기 플랜지(10)가 끼워지면 상기 관통홀에 고정볼트(110)를 체결하여 상기 클램프부(100)가 상기 플랜지(10)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한 쌍의 볼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포스트(200)는, 파이프형상으로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부(100)에 고정 결합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상기 수평지그(300)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20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드릴장치(700)는, 상기 수평지그(3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210)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포스트(200)에 상기 조임볼트(210)를 통한 수평지그(300)의 고정방법은 공지의 볼트를 이용한 고정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지그(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딩홀(31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홀로 상기 서포터(500)와, 상기 드릴머신부(400)가 끼워진다.
상기 드릴머신부(400)는,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드릴바(420)와, 상기 드릴바(4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10)에 홀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41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드릴머신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드릴머신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드릴장치(700)는, 상기 드릴바(420)가 상기 수평지그(300)의 슬라이딩홀(31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6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지그(600)는, 상기 드릴바(420)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그(300)에 각각 대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삽입된 상기 드릴바(42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610,6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포터(500)는, 상기 수평지그(3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그(3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서포터(500)는 지지바(510)와, 지지클램프(5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510)는,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삽입되어 세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클램프(520)는, 상기 지지바(510)의 하단부에 고정결합하고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521)을 통하여 상기 플렌지를 내측으로 삽입하여 클램핑한다.
한편, 상기 드릴장치(700)는, 전체적인 재질을 가볍고 강한 재질로 형성하여, 운반 시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중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AL707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장치(700)는, 다양한 축계에 대응하여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드릴링-리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클램프부 101... 끼움부
110... 고정볼트 200... 지지포스트
210... 조임볼트 300... 수평지그
310... 슬라이딩홀 400... 드릴머신부
410... 드릴 420... 드릴바
500... 서포터 510... 지지바
520... 지지클램프 521... 끼움홈
600... 고정지그 610,620... 고정플레이트
700... 드릴장치

Claims (4)

  1. 플랜지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클램프부;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부에 결합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포스트;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된 수평지그; 및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드릴바와, 상기 드릴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홀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을 구비하는 드릴머신부를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그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가 결합하고 'ㄷ'자 형상으로 상기 플렌지를 내측으로 삽입하여 클램핑하는 지지클램프를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가 상기 수평지그의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드릴바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그에 각각 대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된 상기 드릴바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KR2020140004180U 2014-06-02 2014-06-02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KR201500044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80U KR20150004432U (ko) 2014-06-02 2014-06-02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80U KR20150004432U (ko) 2014-06-02 2014-06-02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32U true KR20150004432U (ko) 2015-12-10

Family

ID=5502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80U KR20150004432U (ko) 2014-06-02 2014-06-02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4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60B1 (ko) * 2021-11-28 2023-01-12 박석용 전동드릴용 압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60B1 (ko) * 2021-11-28 2023-01-12 박석용 전동드릴용 압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687B1 (ko) 플랜지의 접합용 지그
CN203684398U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结构预埋件定位的装置
CN204470640U (zh) 一种抱箍打孔装置
DE602005003701D1 (de) Anordnung mit Bohrschablone für Rohre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CN203726056U (zh) 大型结构件侧立焊接用辅助支撑装置
CN205343331U (zh) 一种木杆自动钻孔机
CN103835374B (zh) 方钢管柱-h型钢梁拼接外套筒式连接方法
CN202185618U (zh) 机加工夹具
CN203484846U (zh) 可调心连接夹具
KR20150004432U (ko) 축계 작업용 드릴장치
CN206386124U (zh) 一种带限位功能的盾构管片衬砌接头构造
CN104589278B (zh) 管道法兰快速安装限位装置
KR20140145405A (ko) 수평기가 구비된 파이프 정렬 보조장치
CN102554540A (zh) 焊工考试操作架
US9458953B2 (en)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pipe based system, and a pipe based system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method
CN209780773U (zh) 一种用于岩壁梁爆破施工的钻孔辅助装置
CN105149649B (zh) 一种汽车排气歧管小头端钻孔方法
CN202831658U (zh) 空中吊装钢梁的对接定位装置
JP4697873B2 (ja) 連結具
CN209716857U (zh) 一种连接钢板定位装置
CN109531023A (zh) 一种连接钢板定位装置及施工方法
JP2011106126A (ja) 補充パネル付き作業足場
CN105773192A (zh) 斜楔式工件夹具
CN106181210B (zh) 一种建筑施工中管路焊接用固定装置
CN215635544U (zh) 一种方形卡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