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40U -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40U
KR20150003740U KR2020140002724U KR20140002724U KR20150003740U KR 20150003740 U KR20150003740 U KR 20150003740U KR 2020140002724 U KR2020140002724 U KR 2020140002724U KR 20140002724 U KR20140002724 U KR 20140002724U KR 20150003740 U KR20150003740 U KR 20150003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re
water pipe
core cooling
inj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복 filed Critical 이재복
Priority to KR2020140002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740U/ko
Publication of KR20150003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Abstract

본 고안은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분할된 좌측 몸체(310a)와 우측 몸체(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몸체(310a)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측 몸체(310b)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1)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향 플랜지(312-1)에서 소정 높이까지
Figure utm00004
형상의 돌출부(313)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13)로 에워싸여진 우측 몸체(310b) 하부에 코어 냉각수관(30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hole)(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Baffle pipe for core cooling of injection mold and core cool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금형은 고온으로 용융된 재료가 높은 압력에 의하여 각각의 금형 사이로 충진됨으로써 금형의 내부형상을 따라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크게 원재료 투입공정과, 건조공정, 사출기 원료 투입공정, 사출성형공정, 제품 취출공정, 그리고 후가공 및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사출성형의 공정은 금형 내의 용융된 수지를 충진시키는 사출공정 이후에 수지를 고화시키기 위한 냉각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사출금형의 냉각공정은 제품을 사출해 내기 위한 금형의 코어 내부에 냉각수관을 배관하고 이 냉각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하여 사출물이 냉각, 경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판(61)을 코어 냉각수관 내부에 설치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사출성형 시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51)로 공급된 냉각수는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61)을 따라 코어 냉각수관(60)을 상하로 순환하면서 하부코어(30)를 냉각시킨 다음 냉각수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는 냉각수의 유동거리가 길고,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효율이 떨어지므로 하부코어(30)의 일측과 타측에서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의 배플판(61)은 양측부가 코어 냉각수관(60)의 내주면에 단순 지지되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6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유동되기 쉽고 코어 냉각수관(60)과의 밀착면 사이로 냉각수가 새어나가면서 냉각수의 흐름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플판 대신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좌우로 분할된 몸체(210a, 2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된 몸체(210a, 210b)가 합체된 상태로 설치되어 배플관(210)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가 배플관(210) 내부를 흐를 때 배플관(210a, 210b)이 좌우로 미세하게 이격되면서 배플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방열돌기(211)가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플관(2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플관(210)을 발명(특허등록 제963191호 : 이하 '선등록특허'라고 한다)한 바 있다.
상기 배플관(210)은 오링캡(214)에 의해 코어 냉각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되며, 오링캡(214)과 코어 냉각수관(200) 사이에 설치된 오링(216), 오링캡(214)과 하부원판(20) 사이에 설치된 오링(217)을 통해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배플관(210)을 코어 냉각수관(200) 내에 설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10)의 각 분배관(111)을 통해 각 코어 냉각수관(200)의 배플관(210) 하부로 동시에 유입되고, 배플관(210) 내부를 따라 상승하다가 배플관(210)의 상단을 통해 각 코어 냉각수관(200) 내로 분출되며, 코어 냉각수관(200)의 아래로 낙하하면서 하부코어(30)와 열교환된 이후 냉각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흐름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발명은 각 코어 냉각수관(200)으로 냉각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흐름구조를 갖게 되므로 하부코어(30)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냉각되며, 종래보다 냉각수의 유동거리가 대단히 짧기 때문에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품 취출 싸이클이 매우 짧아지고, 종래와는 달리 배플관(210)을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시킨 상태로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플관(210)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의 각 분배관을 통해 각 코어 냉각수관의 배플관 하부로 동시에 유입되어 각 코어 냉각수관을 상, 하로 순환한 후 냉각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방식(이하 '병렬 방식'이라고 한다)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만 사용될 수 있고, 냉각수가 냉각수 유입구로부터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의 배플관의 하부로만 유입되어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과 그 후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들을 차례로 상, 하로 순환한 후 냉각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방식(이하 '직렬 방식'이라고 한다)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는 사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906569호 "금형의 냉각배플부재"(2009. 6. 30. 등록) 특허등록 제963191호 "배플관 및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2010. 6. 4. 등록)
본 고안은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분할된 좌측 몸체(310a)와 우측 몸체(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몸체(310a)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측 몸체(310b)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1)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향 플랜지(312-1)에서 소정 높이까지
Figure utm00001
형상의 돌출부(313)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13)로 에워싸여진 우측 몸체(310b) 하부에 코어 냉각수관(30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hole)(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3)는 외향 플랜지(312-1)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 및 상기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의 상단을 우측 몸체(310b)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코어 냉각수관(30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반원호형 돌출부(3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외향 플랜지(312, 312-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318) 및 돌기(3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는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상기 배플관(31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배플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의 배플관은 기존에 직렬 방식으로 제작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의 경우에도 배플판만 본 고안의 배플관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배플판을 사용하는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코어 냉각수관에 배플판을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은데 비해, 본 고안의 배플관을 이용하여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코어 냉각수관에 배플관을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을 따라 코어 냉각수관을 상하로 순환하기 때문에 냉각수의 온도 상승이 크게 이루어지는데 비해, 본 고안의 배플관을 이용하여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의 내부를 흐를 동안에는 냉각수의 온도 상승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지 않게 되어 사출성형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렬방식으로 제작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선등록특허에 개시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선등록특허에 개시된 배플관을 이용하여 병렬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a)는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상기 배플관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상기 배플관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고안의 배플관을 이용하여 직렬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가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의 배플관의 하부인 경우, b)는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가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의 배플관의 우측면 하단인 경우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배플관을 이용하여 직렬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원판(20)에 형성되어 냉각수 유입구(110) 및 냉각수 배출구(120)로 이루어지는 기초 냉각수관과, 상기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하부코어(30)의 내측을 순환하도록 배관된 코어 냉각수관(300)을 구비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로서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적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코어 냉각수관(300) 내에 배플관(310)이 결합되고,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110)는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의 배플관(310)의 하부 또는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의 우측면 하단으로 연결되며,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배출구(120)는 일측의 코어 냉각수관(3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연결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10)로부터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의 배플관(310)의 하부 또는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의 우측면 하단으로 유입되어 최초로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과 그 후 만나는 코어 냉각수관(300)들을 차례로 상, 하로 순환한 후 냉각수 배출구(120)로 배출된다.
상기 배플관(31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분할된 좌측 몸체(310a)와 우측 몸체(3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몸체(310a)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가 구비되고, 외향 플랜지(312) 상부의 외주면에는 방열돌기(311)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몸체(310a)의 외주면 중앙 하단에는 좌측 몸체(310a)를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지지하기 위한 형상의 지지부(31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17)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는 부분은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방열돌기(311)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는 부분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몸체(310b)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1)가 구비되고, 상기 외향 플랜지(312-1)에서 소정 높이까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Figure utm00002
형상의 돌출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13)로 에워싸여진 우측 몸체(310b) 하부에 코어 냉각수관(30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hole)(316)이 형성되고, 돌출부(313) 상부의 외주면에는 방열돌기(3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3)는 외향 플랜지(312-1)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코어 냉각수관(30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 상기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의 상단을 우측 몸체(310b)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코어 냉각수관(30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반원호형 돌출부(315)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방열돌기(311)는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외주면에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방열돌기(311)는 코어 냉각수관(300)을 흐르는 냉각수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외향 플랜지(312, 312-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318)를 형성하여 코어 냉각수관(300) 내부에 배플관(310)을 설치할 때 끼워맞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외향 플랜지(312, 312-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19)를 형성하여 코어 냉각수관(300) 내부에 설치되는 배플관(310)이 상기 돌기(319)에 막혀 더 이상 코어 냉각수관(300)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319)는 필요 시 그 상면을 갈아서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은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내측면 중 일측에는 결합돌기, 다른 일측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 몸체(310a, 310b)가 합체된 상태로 코어 냉각수관(300) 내에 설치되며, 외향 플랜지(312, 312-1) 하부에는 냉각수의 유출 방지를 위해 오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은 좌우측 몸체(310a, 310b)가 합체되어 속이 빈 원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며, 우측 몸체(310b)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313)는 냉각수가 우측 몸체(310b) 하부의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배플관(310)은 좌우측 몸체(310a, 310b)로 분할 형성되어 배플관(310)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가 배플관(310) 내부를 흐를 때 좌우 측 몸체(310a, 310b)가 좌우로 미세하게 이격되면서 배플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방열돌기(311)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배플관(310)이 코어 냉각수관(30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의 외향 플랜지(312, 312-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318)를 형성하여 코어 냉각수관(300) 내부에 배플관(310)을 설치할 때 끼워맞춤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플관(310)은 코어 냉각수관(300) 내에 밀어 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를 코어 냉각수관(3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은 2개 이상의 배플관(310)을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소정 길이로 길게 만들고 필요 시에는 외향 플랜지(312, 312-1)의 반대 측 단부를 절단하여 사용토록 한다. 본 고안의 배플관(31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이를 절단하는 데에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커터칼 등을 사용하여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선등록특허에 개시된 '병렬 방식'으로 제작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로부터 각각의 코어 냉각수관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분배관들을 통해 냉각수가 각 배플관에 동시에 유입되어 각 배플관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각 코어 냉각수관 하부로 흘러내려 냉각수 배출구로 배출된다.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310)의 우측 몸체(310b)의 외주면의 유입홀(316)로 유입된 냉각수는 좌측 몸체(310a)의 내주면에 막혀 배플관(310)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코어 냉각수관(300) 하부로 흘러내려 다음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310)의 우측 몸체(310b)의 유입홀(316)로 유입된다.
상기 배플관(310)의 우측 몸체(310b)의 외주면의 유입홀(316)로 유입된 냉각수는 먼저 좌측 몸체(310a)의 내주면에 부딪치게 되어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상당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지만, 좌측 몸체(310a)의 외주면 중앙 하단에는 형상의 지지부(317)가 형성되어 좌측 몸체(310a)를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는,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110)로부터 최초의 코어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310)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당해 배플관(310)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당해 코어 냉각수관(300)의 하부로 흘러내려 다음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3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배플관(31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가 당해 배플관(310)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당해 코어 냉각수관(300)의 하부로 흘러내려 그 다음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순환하여 냉각수 배출구(120)로 배출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판(61)을 코어 냉각수관 내부에 설치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사출성형 시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51)로 공급된 냉각수는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61)을 따라 코어 냉각수관(60)을 상하로 순환하면서 하부코어(30)를 냉각시킨 다음 냉각수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의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61)을 따라 코어 냉각수관을 상하로 순환하기 때문에 냉각수의 온도 상승이 크게 이루어지는데 비해, 본 고안의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300)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310)의 내부를 흐를 동안에는 냉각수의 온도 상승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지 않게 된다.
20 : 하부 원판 30 : 하부 코어
110 : 냉각수 유입구 120 : 냉각수 배출구
300 : 코어 냉각수관 310 : 배플관
310a : 좌측 몸체 310b : 우측 몸체
311 : 방열돌기 312, 312-1 : 외향 플랜지
313 : 돌출부 314 : 수직형 돌출부
315 : 반원호형 돌출부 316 : 유입홀(hole)
317 : 지지부 318 : 돌출리브(rib)
319 : 돌기

Claims (4)

  1.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으로서,
    상기 배플관(31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분할된 좌측 몸체(310a)와 우측 몸체(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몸체(310a)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측 몸체(310b)는 반원호가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312-1)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향 플랜지(312-1)에서 소정 높이까지
    Figure utm00003
    형상의 돌출부(313)가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13)로 에워싸여진 우측 몸체(310b) 하부에 코어 냉각수관(30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hole)(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3)는 외향 플랜지(312-1)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 및 상기 2개의 수직형 돌출부(314)의 상단을 우측 몸체(310b)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코어 냉각수관(30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반원호형 돌출부(3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몸체(310a, 310b)의 외향 플랜지(312, 312-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318) 및 돌기(3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4. 직렬 방식으로 제작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코어 냉각수관(300)의 내부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배플관(31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KR2020140002724U 2014-04-03 2014-04-03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KR20150003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4U KR20150003740U (ko) 2014-04-03 2014-04-03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4U KR20150003740U (ko) 2014-04-03 2014-04-03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40U true KR20150003740U (ko) 2015-10-14

Family

ID=5434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24U KR20150003740U (ko) 2014-04-03 2014-04-03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7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854A (zh) * 2016-08-31 2016-12-21 宁波方正汽车模具有限公司 注塑模立体循环水道结构
WO2020118414A1 (en) *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re coolant diverter and cooling tube for preform mol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854A (zh) * 2016-08-31 2016-12-21 宁波方正汽车模具有限公司 注塑模立体循环水道结构
WO2020118414A1 (en) *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re coolant diverter and cooling tube for preform mold
CN111300763A (zh) * 2018-12-11 2020-06-19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模具、模具组件和堆叠部件
CN111300763B (zh) * 2018-12-11 2022-05-03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模具、模具组件和堆叠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191B1 (ko) 배플관 및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US8052415B2 (en) Mold having a coaxial cooling and heating coil structure
CN104608331B (zh) 一种大型pvc塑料管件注塑模热流道碟式浇注装置
CN206106238U (zh) 汽车格栅加工模具
JP2013159049A (ja) タイヤ加硫装置
CN206277623U (zh) 塑胶模具装置
US20160263790A1 (en) Manufacturing System for Molding a Foaming Product
CN104890263A (zh) 一种汽车注塑零配件冷却装置
KR20150003740U (ko)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을 위한 배플관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CN210679580U (zh) 一种模温机降温冷却保护装置
CN102019652A (zh) 模具冷却装置
US10052799B2 (en) Internal cooling tower for film blowing lines
JP2017100434A (ja) 射出成形金型の空冷式スプルーブッシュ
CN210552909U (zh) 环形出片模具
KR20120064360A (ko)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CN205853287U (zh) 一种不等壁厚塑料制品模具的温控装置
CN206048731U (zh) 一种快速冷却的注塑模具
CN208263320U (zh) 具有冷却管道的注塑模具
CN211251165U (zh) 一种液态硅胶冷流道模具
CN211031105U (zh) 一种快速冷却脱模的警示三脚架注塑模具
CN214605437U (zh) 一种塑料容器加工水循环冷却装置
CN215969851U (zh) 一种具备辅助散热结构的注塑模具
KR20070000693A (ko) 타이어 가류 금형과 그 제조 방법
CN204820094U (zh) 可快速换模的鞋模装置
CN204701111U (zh) 一种塑料挤出机的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