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35A -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35A
KR20150003735A KR1020147028611A KR20147028611A KR20150003735A KR 20150003735 A KR20150003735 A KR 20150003735A KR 1020147028611 A KR1020147028611 A KR 1020147028611A KR 20147028611 A KR20147028611 A KR 20147028611A KR 20150003735 A KR20150003735 A KR 2015000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hand
pad
bas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스 장
Original Assignee
아이코어 헬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코어 헬쓰 filed Critical 아이코어 헬쓰
Publication of KR2015000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14Kneeling
    • A63B2208/0219Kneeling on hands and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이 설명된다. 시스템은 두 개의 무릎 슬라이더 및 두 개의 손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각 무릎 슬라이더는 무릎 패드 및 무릎 베이스를 포함한다. 무릎 패드는 사용자의 무릎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한다. 무릎 슬라이더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무릎 뼈를 지지하도록 무릎 뼈 지지부가 무릎 부분 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각 손 슬라이더는 손 패드 및 손 베이스를 포함한다. 손 패드는 엄지 수용부의 옆에 위치되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를 포함한다. 중요하게는, 무릎 베이스 및 손 베이스는 슬라이더를 지면을 횡단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강성이며 미끄러운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운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손 및 무릎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손 및 무릎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Extremity supporting and ground surface sliding exercise system}
본 발명은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지를 지지하여 사지(및 다른 신체 부분)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사지 지지 부품을 사용하는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동 장치는 기술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갖는다. 특히, 사용자가 복부 근육을 구분하여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부 운동 장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복부 운동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장치 내로 들어오며, 그 후방이 평탄하게 놓여지는 것이 요구된다. 기능적인 종래의 후방 기반(back-based) 복부 운동 장치는 부피가 크고, 등 운동(플랭크(plank)) 위치에서 수행할 때 가장 효과적임)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복부 운동은 사용자의 등이 평탄하게 놓여지는 것을 수반하는 한편, 다수의 가장 효과적인 등 운동은 플랭크 위치(즉, 복부가 지면에 대면하도록 위치됨)를 수반한다. 플랭크 위치(거미의 위치와 유사함)에서, 사람은 그의 손 및 무릎에 가해지는 몸통의 중량뿐만 아니라 완전한 척추 이동성(spine mobility)을 갖는다. 플랭크 위치 운동을 포착하려고 시도한 제품의 예는 AB Wheel Glider 및 AB Coaster이다. AB Wheel Glider는 캐나다의 8170 Winston St., Burnaby, BC V5A 2H5에 위치한 Zenzation Athletics에 의해 생산되는 한편, AB Coaster는 492 Route 46 East, Fairfield, NJ 07004에 위치한 Tristar Products, Inc.에 의해 생산된다. AB Wheel Glider 및 AB Coaster 모두는 플랭크 위치에서 하부 등 및 복부 근육에 작용한다. 그러나, 이 두 장치의 제한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이동의 범위 및 달성 가능한 운동의 범위가 매우 한정된다.
그러므로, 플랭크 위치에서 수행되는 동안 복부 및 등 운동 모두를 허용하고, 그리고, 상부 팔 이동 및 운동에 대하여 "나는(fly)" 작용뿐만 아니라 척추 및 하부 등에 대한 운동의 범위의 증가를 제공하도록 슬라이딩 부품을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개선되는 소형 운동 시스템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지를 지지하여 사지(및 다른 신체 부분)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사지 지지 부품을 사용하는 운동 시스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신체 부분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신체 부분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게 구성되는 두 쌍(예를 들면, 제1 쌍 및 제2 쌍)의 사지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쌍의 사지 슬라이더는 무릎 슬라이더이고, 제2 쌍의 사지 슬라이더는 손 슬라이더이다. 이 양태에서, 각 무릎 슬라이더는 무릎 패드 및 무릎 베이스를 가지며, 각 손 슬라이더는 손 패드 및 손 베이스를 갖는다. 그러므로, 운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손 및 무릎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손 및 무릎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무릎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무릎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릎 패드는 요홈부의 일부의 둘레를 감싸는 오름 리지를 갖는 요홈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며, 무릎 패드의 후방측은 다리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리 수용부는 무릎이 요홈부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도록 구성되는 오름 리지를 통하여 형성되는 요홈이다.
다른 양태에서, 무릎 뼈 지지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 포함된다. 무릎 뼈 지지부는 후방측을 향하여 상승되고 전방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도를 갖는 각이 진 지지부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릎 베이스는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을 포함한다. 별개 슬라이딩면은 평면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평면이다. 또한, 별개 슬라이딩면은 중앙 슬라이딩면의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주변 슬라이딩면을 갖는 중앙 슬라이딩면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무릎 베이스는 무릎 패드를 받치고 무릎 패드를 한 쌍의 측면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기 위해 무릎 베이스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손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손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손 패드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고, 전방부는 사용자가 손 패드를 파지하고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파지 특징부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엄지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파지 특징부는 두 개의 엄지 수용부와, 두 개의 엄지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손 패드는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손가락 압입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횡단한다. 또한, 엄지 수용부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손 베이스는 손 패드의 후방부에 근접한 후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손 베이스는 후방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레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손 패드는 경질 내부 코어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손 베이스는 손 패드를 넘어 돌출되는 전방 레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운동 시스템은 손 및 무릎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와 감합되게 결합하여 지면에 대하여 슬라이더를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도킹 스테이션(또는 한 세트의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운동 시스템을 형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 방법은, 무릎 패드 및 무릎 베이스를 갖는 무릎 슬라이더 각각에 무릎을 각각 위치시키는 행동; 손 패드 및 손 베이스를 갖는 손 슬라이더 각각에 손을 각각 위치시키는 행동; 및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손 슬라이더 및 무릎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행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과 함께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운동 시스템의 도면으로, 두 개의 손 슬라이더 및 두 개의 무릎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키트로서의 이러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왼 손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손 슬라이더의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오른 손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손 슬라이더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손 슬라이더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손 슬라이더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슬라이더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슬라이더의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7b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 각각과 함께 사용되는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슬라이더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슬라이더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릎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수축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도면이다.
도 12b는, 중간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도면이다.
도 12c는, 연신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도면이다.
도 13a는, 수축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 모두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중간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 모두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연신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 모두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동안의 사용자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동안의 사용자의 평면도이다.
도 14c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동안의 사용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가 모든 방향으로의 사지 연신 및 수축을 허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무릎 슬라이더 및 손 슬라이더 모두를 활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평면도이다.
도 16a는 손 도킹 스테이션 상에 위치된 손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b는 손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손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c는 손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손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a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 상에 위치된 무릎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무릎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c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무릎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한 세트의 저항 밴드의 도면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저항 밴드의 도면이다.
도 18c는 한 세트의 무릎 슬라이더에 맞는 저항 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지(extremity)를 지지하여 사지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별도 및 별개의 사지 지지 부품을 사용하는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후술하는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이루고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시되며, 특정 응용처의 맥락에서 이를 포함하도록 제시된다. 상이한 응용처에서의 여러 가지의 사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확해질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광범위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된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상세가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인 상세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는, 상세하게 도시되는 대신에,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독자는, 본 명세서와 동시에 출원되고 본 명세서와 함께 공중 심사를 위해 공개된 모든 논문 및 문헌의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임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에 기재된 모든 특징부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동일하거나, 균등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특징부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개시된 각 특징부는 일반적인 일련의 균등하거나 유사한 특징부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뿐만 아니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은 특허청구범위 내의 임의의 요소는 35 U.S.C. 112 제6항에 구체화된 바와 같은 "수단" 또는 "단계" 조항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단계" 또는 "작용"을 사용하는 것이 35 U.S.C. 112 제6항의 조항을 적용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정방향, 역방향,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이라는 표시는, 사용된다면, 단지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임의의 특정 고정된 방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것에 주의한다. 대신에, 이는 물체의 다양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또는 방향을 반영하는 데에 사용된다.
(1)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지를 지지하여 사지(및 다른 신체 부분)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하도록 하는 사지 지지 부품(슬라이더)을 사용하는 운동 시스템(또는 키트)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시스템은 제1 손 슬라이더(100), 제2 손 슬라이더(102), 제1 무릎 슬라이더(104) 및 제2 무릎 슬라이더(106)를 포함한다. 종합적으로, 슬라이더는 지면(단단한 바닥, 카펫 등)에 접촉할 수 있는 신체의 임의의 부분의 슬라이딩, 글라이딩(gliding) 또는 롤링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손, 팔꿈치, 어깨, 등, 가슴, 턱, 복부, 무릎, 발뒤꿈치, 발가락 및 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별 슬라이더는 단독으로, 짝을 지어, 또는 세트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손 슬라이더 및 무릎 슬라이더 모두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서 제시된다.
도 2 및 도 3은 손 슬라이더(300)의 후방 사시도 및 전방 사시도를 각각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왼 손으로 사용하기 위한 손 슬라이더(100)를 도시하는 한편, 도 3은 오른 손으로 사용하기 위한 손 슬라이더(102)를 도시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손 슬라이더(100, 102)는 손 베이스(203)와 부착된 손 패드(202)를 포함한다. 손 패드(202) 및 손 베이스(203)는 단일 일체형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소재로 이루어진 개별 물품이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손 패드(202)는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고 손 패드(202)의 편안함 및 사용을 돕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손 패드(202)는 고무 또는 폼(예를 들면, 중밀도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탄력적이고 완충성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손 패드(202)의 전방부(204)는 사용자가 손 패드(202)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파지 특징부는 임의의 적합한 마킹, 형상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가 손 패드(202)를 유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특징부이며, 이 비한정적인 예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206) 및 엄지 수용부(208)를 포함한다.
손 패드(202)는 임의의 개수의 손가락 압입부(206)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엄지 수용부(208) 이외에도)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206)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엄지 수용부(208)를 사용하는 대신, 엄지 수용부(208) 대신 손가락 압입부(206)를 사용하는 것이 일부 사용자 및 일부 운동에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손 패드(202)는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206) 및 두 개의 엄지 수용부(208)(일련의 손가락 압입부(206)의 각 단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양태에서는, 손 슬라이더가 어느 한 손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왼 손 또는 오른 손 장치가 없다.
파지 특징부는 편안함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손가락 압입부(206)가 손 패드(202)의 상부(210)로부터 그 하부(212)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횡단하는 한편, 엄지 수용부(208)는 장치를 파지하는 동안 엄지의 각도를 반영하도록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손가락 압입부(206) 및 엄지 수용부(208) 모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만곡되거나 각이 진 상부 에지(214)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각 파지 특징부는 손 베이스(203)의 일부를 덮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쿠션(21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손 베이스(203)는 사용 중 사용자의 손가락 선단이 바닥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 패드(202)를 넘어 돌출되는 전방 레지(ledge)(211)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하부 쿠션(216)은 전방 레지(211)의 일부를 덮도록 외측으로 연장된다.
손 슬라이더(300) 중 하나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동안, 사용자는 엄청난 양의 중량이 손 슬라이더(300)에 가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손 패드(202)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손 베이스(203)는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이고 강성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손가락 압입부(206)(또는 엄지 수용부(208)) 내에서 사용자의 손을 아래로 가압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 선단은 손 베이스(203)의 전방 레지(211)쪽으로 가압된다. 사용자의 손가락 선단의 편안함 및 쿠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쿠션(216)은 전방 레지(211)의 일부를 덮도록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패드(202)는 손 베이스(203)에 부착된다. 손 패드(202)는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에서, 손 패드(202)는 글루(glue)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손 베이스(203)에 고착된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에서, 손 패드(202)는 세척을 위해 또는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으로의 교체를 위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이 양태에서, 후크 및 고리 체결구, 흡입 컵, 볼 및 소켓 조인트, 자석 등을 사용하여 부착이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손 패드(202)는 내부 코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코어(400)는 손 패드(202)의 쿠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공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내부 코어(400)는 손 패드(202)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완충성 소재(402)와 상이하고 보다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내부 코어(400)는 운동에서 사용 중 손 패드(202)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경질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내부 코어(40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중수지절 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에 대해 보다 큰 지지를 제공하는 원통형의 물품(폼에 비하여 단단함)(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이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사용자가 손을 수축하기 위해 강하게 뺄 것(즉, 그리고, 손 슬라이더를 뒤로 당길 것)을 요구하는, 손이 사용자로부터 멀리 연신되는 운동 중 당기도록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손 패드(202)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때, 내부 코어(400)는, 손목 뼈 및 손가락이 (즉, 완충성 소재(402) 내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내부 코어(400)의 둘레를 파지하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손의 중심을 지지하기 위해 손바닥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 패드(202)는 사용자에 의한 편안함 및 실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손 패드(202)의 후방부(404)는 손목(또는 손목 뼈)에 최선의 각도, 지지 및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윤곽을 가지며 하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후방부(404)는 선택적으로 임의의 경질 내부 코어 물품이 전혀 없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양태에서, 폼과 같은 완충성 소재로 전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손 베이스(203)에 대하여, 손 베이스(203)는 사용자가 지면을 횡단하여 손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글라이드 또는 롤링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임의의 소재로 형성됨)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손 베이스(203)는 저 마찰 미끄러운 표면 또는 롤러/볼 표면 중 어느 하나를 가지며,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 베이스(203)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비한정적인 예는 나일론 및 고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올레핀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다른 양태에서, 손 베이스(203)는 천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소재로 덮일 수 있다.
그리고, 손 베이스(203)는 손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을 돕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베이스(203)는 평탄한 하부(405)의 주변 둘레를 감싸는 상측으로 만곡된 에지(406)를 갖는 평탄한 하부(405)를 포함한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손 베이스(203)는, 평탄하게 되지 않고, 하부 볼록면(미도시) 또는 복수의 별개 표면(무릎 슬라이더의 표면과 유사)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운동을 하면서 사지를 연신하는 도중, 사용자의 중량의 대부분은 손 패드(202)의 후방부(404)쪽을 향한다.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손 베이스(203)는 후방 베이스부(408)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레지(410)를 포함한다. 후방 레지(410)는 중량을 후방 레지(410)로부터 후방 베이스부(408)로 다시 분배하는 것을 돕는 일련의 브레이스(brace)(412)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 레지(410)는 여러 개의 고유의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후방 레지(410)은 사용 중 손바닥이 지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큰 손을 가진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후방 레지(410)는 사용자의 손의 뒤꿈치가 손 패드(202)의 후방부(404)로부터 미끄러질 때 손 슬라이더가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후방 레지(410)는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손 슬라이더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자전거 또는 자동차에서 발견될 수 있는 휠리 바(wheelie bar)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
작동 시, 사용자가 손을 쭉 뻗은 위치로 연신하면, 손(및 손 슬라이더)을 다시 수축 위치로 당기는 데에 거대한 양의 힘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손가락은, 완충성 소재(402) 내로 가압될 때, 의도하지 않게 완충성 소재를 지나치게 압축시키거나 붕괴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손을 연신 위치로부터 인출할 때 손 패드(202)에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방 벽(401)이 포함된다. 이 양태에서, 손 베이스(203)는 손 패드(202) 내로 상승하는 전방 벽(401)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손 베이스(203)는 손 패드(202)의 둥근 윤곽에 일치하도록 형상화되지만 손 패드(202)가 전방 벽(401)의 둘레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손 베이스(203)로부터 상승하는 전방 벽(401)을 포함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전방 벽(401)은 손 베이스(203)와 동일한 경질 소재로 손 베이스(203)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연질 손 패드(202)가 손 베이스(203)에 부착될 때, 손 베이스(203)는 전방 벽(401)을 감추고 사용자에게 연질의 외부를 제공하도록 전방 벽(401) 위로 미끄러진다. 사용자가 손을 수축할 때, 전방 벽(401)은 손 패드(202)에 내부 지지를 제공한다.
도 5는 손 베이스(203)를 도시하는, 손 슬라이더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베이스(203)는 후방 레지(410)를 지지하는 일련의 브레이스(412)를 포함한다. 또한, 평탄한 베이스부(405)의 둘레를 감싸는 만곡 에지(406)를 갖는 평탄한 베이스부(405)가 도시된다. 평탄한 베이스부(405)가 둥글게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하며, 이의 비한정적인 예는 타원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임의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는 한편, 베이스부(405)는 바람직하게는 원형과 같은 코너가 없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 시스템은 또한 한 세트의 무릎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무릎 슬라이더는 사용자의 무릎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무릎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그리고,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무릎 슬라이더(500)는 무릎 패드(502) 및 슬라이더 무릎 베이스(504)를 포함한다.
무릎 패드(502) 및 무릎 베이스(504)는 단일 일체형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소재로 이루어진 개별 물품일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각 무릎 패드(502)는 무릎을 수용하고 무릎 슬라이더(500)의 편안함 및 사용을 돕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무릎 패드(502)는 고무 또는 폼(예를 들면, 중밀도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탄력적이고 완충성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무릎 베이스(504)는 사용자가 지면을 횡단하여 무릎 슬라이더(500)를 슬라이드, 글라이드 또는 롤링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형성됨)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무릎 베이스(504)는 저 마찰 미끄러운 표면 또는 롤러/볼 표면 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무릎 베이스(504)는 경질 플라스틱(또는 임의의 다른 소재)으로 이루어지며, 그 비한정적인 예는 고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올레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경질 플라스틱은 카펫 및 다른 표면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른 양태에서,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표면(예를 들면, 목재 바닥)에서의 사용을 위해 커버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 위에서 사용될 때, 무릎 슬라이더(500)를 돕기 위해 각 무릎 슬라이더(500)의 둘레는 탄성 밴드(702)를 갖는 천(700)으로 감쌀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예를 들면, 탄성 밴드(702)를 갖는 천(700))가 각 손 슬라이더(300)의 하부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도 6 및 도 7a를 다시 참조하면, 손 패드에 대해 상술한 경우와 같이, 무릎 패드(502)는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에서, 무릎 패드(502)는 글루(glue)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무릎 베이스(504)에 고착된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에서, 무릎 패드(502)는 세척을 위해 또는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으로의 교체를 위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이 양태에서, 후크 및 고리 체결구, 흡입 컵, 볼 및 소켓 조인트, 자석 등을 사용하여 부착이 달성될 수 있다.
무릎 슬라이더(500)의 편안함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릎 패드(502)는 여러 가지의 고유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릎 패드(502)는 사용자의 무릎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506)를 포함한다. 오름 리지(raised ridge)(508)가 요홈부(506)의 둘레를 감싼다. 중요하게는, 오름 리지(508)는 무릎 패드(502)의 전방측(510)에서 전방 벽(509)을 제공한다. 작동 시, 사용자가 무릎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무릎은 무릎 슬라이더(5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 벽(509)을 가압한다. 횡방향 벽(512)이 횡방향 무릎 운동 중 무릎을 수용하도록 요홈부(506)의 측면에 놓여진다. 무릎 패드(502)의 후방측(514)은 다리(예를 들면, 경골 또는 정강이 뼈) 수용부(516)를 포함한다. 다리 수용부(516)는 무릎이 요홈부(506) 내에 놓여질 때 사용자의 다리(예를 들면, 경골)를 받치도록 오름 리지(508)를 통하여 형성되는 요홈이다. 무릎 패드(502)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것 이외에도, 다리 수용부(516)는 본래 횡방향 무릎 운동 중 무릎 슬라이더(500)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 수용부 벽(518)을 포함한다. 무릎 및 경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용어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른 용어로 호환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무릎 슬라이더(500)는 사용자의 팔꿈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팔꿈치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경골 대신에, 상완골이 다리 수용부(516)에 의해 지지되면서, 팔꿈치가 무릎 패드(5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릎" 및/또는 "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는 예시적 목적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 및 특허청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중요하게는, 안전 및 편안함을 위해, 무릎 뼈(또는 슬개골) 지지부(520)가 요홈부(506) 내에 포함된다. 무릎 뼈 지지부(520)는 무릎이 무릎 슬라이더(500)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무릎 뼈를 지지하기 위해 작동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무릎 뼈 지지부(520)는 후방측(514)쪽으로 상승되고 전방측(510)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도를 갖는, 각이 진 지지부이다. 그러므로, 작동 시, 사용자는 무릎을 요홈부(506) 내에 위치시키고, 경골이 다리 수용부(516)를 통과하면서 무릎 뼈가 무릎 뼈 지지부(520) 상에 받쳐지도록 한다. 그 이후, 사용자는 무릎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무릎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횡방향 운동 이동 중, 거대한 양의 횡방향 압력이 사용자의 무릎에 의하여 횡방향 벽(512)에 가해질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무릎이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로 무릎을 다시 당길 때, 큰 횡방향 및 하측 방향 힘이 횡방향 벽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은 의도하지 않게 횡방향 벽(512)을 부술 수 있고, 무릎 패드(502)로부터 빠질 수 있다. 횡방향 수축 중 무릎이 무릎 패드(502)로부터 자유롭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릎 패드(502)를 받치고 무릎 패드(502)를 측면 지지부(511) 사이에 개재하기 위해 무릎 베이스(504)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무릎 베이스(504)의 양측에 측면 지지부(511)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측면 지지부(511)는 사용자의 무릎이 무릎 패드(502)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이동 운동을 할 때 측면 쿠션(즉, 횡방향 벽(512))을 지지한다.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도 8은 무릎 슬라이더(500)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패드(502)는 무릎 베이스(504)에 부착된다. 또한, 요홈부(506) 및 다리 수용부(516)가 도시된다. 중요하게는, 이 단면 측면도에서, 무릎 뼈 지지부(520)의 형상은, 후방측(514)을 향하여 상승되고 전방측(510)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이 지게 보일 수 있다.
손 베이스에 대하여 상술한 경우와 같이, 무릎 베이스(504)는 무릎 슬라이더(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돕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무릎 베이스(504)는 평탄한 하부면 또는 볼록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그리고, 도 9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베이스(504)는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900)을 포함한다. 비한정적인 예에서, 별개 슬라이딩면(900)은 평면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각 평면이다.
이것이,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900)을 갖는 무릎 베이스(504)를 도시하는, 도 10에 더 도시된다. 이 도시에서, 각 슬라이딩면(900)이 다른 슬라이딩면(900)과 상이한 각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무릎 베이스(504)가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무릎 베이스(504)는 단일 유닛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별개 슬라이딩면(900)을 포함하도록 형상화된다. 그리고, 임의의 적합한 개수의 슬라이딩면(900)이 무릎 베이스(504)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무릎 베이스(504)는 중앙 슬라이딩면(902)의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주변 슬라이딩면(즉, 전방 슬라이딩면(904) 및 두 개의 후행 슬라이딩면(906))과 수평으로 배치되는(또는 지면에 대해 평탄한) 중앙 슬라이딩면(902)을 포함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무릎 베이스(504)는 전방측(908) 및 후방측(910)을 갖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비한정적인 예로서, 무릎 베이스(504)는 중앙 슬라이딩면(902)의 둘레를 감싸는 전방 슬라이딩면(904) 및 두 개의 후행 슬라이딩면(906)이 존재하도록 무릎 패드에 부착된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딩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삼각형의 상부 지점(즉, 전방 슬라이딩면(904))은 무릎 베이스(504)의 전방측(908), 이에 따라, 무릎 슬라이더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는 무릎 베이스(504)의 측면도를 제공하는 도 11에 더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슬라이딩면(904)(즉, 전방 표면 각도(1100))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은 중앙 슬라이딩면(902)(즉, 중앙 표면 각도(1102)) 및 후행 슬라이딩면(906)(후행 표면 각도(1104))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과 상이하다. 이 도면에서는 후행 슬라이딩면(906)만이 도시되었으나, 다른 후행 슬라이딩면이 또 다른 별개 평면(또는, 지면에 대한 각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및 별개 슬라이딩면의 사용은 무릎 슬라이더(500)를 사실상 임의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손 슬라이더와 결합될 때, 사용자는 플랭크(plank) 위치를 유지하면서 다수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운동을 하는 데에 무릎 슬라이더(500)를 활용하는 사용자(1200)의 도면을 제시한다. 이 비한정적인 예에서, 사용자(1200)는 그의 무릎을 무릎 슬라이더(500) 내에 위치시키고, 그의 무릎을 수축 위치(도 12a에 도시됨)로부터 중간 위치(도 12b에 도시됨)를 통하여 연신 위치(도 12c에 도시됨)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 이후, 사용자(1200)는 이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무릎을 다시 수축 위치(즉, 도 12a에 도시됨)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가 무릎 슬라이더(500)와 맞는 손 슬라이더를 사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한 세트의 무릎 슬라이더(500) 및 손 슬라이더(300)를 사용하는 사용자(1200)의 측면도를 제시한다. 이 비한정적인 예에서, 사용자(1200)는 무릎을 무릎 슬라이더(500) 내에 위치시키고, 그의 손을 이용하여 손 슬라이더(300)를 파지한다. 작동 시, 사용자가 무릎 및 손을 수축 위치(도 13a에 도시됨)로부터 중간 위치(도 13b에 도시됨)를 통하여 연신 위치(도 13c에 도시됨)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도시된다. 그 이후, 사용자(1200)는 이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무릎 및 손을 다시 수축 위치(즉, 도 13a에 도시됨)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평면도를 제시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및 무릎 슬라이더(300, 500)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이동 시 사지를 지지하여 지면을 횡단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일련의 슬라이딩 운동을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무릎 슬라이더(500) 및 손 슬라이더(300) 모두를 활용하는 사용자(1200)의 평면도인 도 15에 더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슬라이더(500) 및 손 슬라이더(300)는 모든 방향으로의 사지 연신 및 수축을 허용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120)가, 손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무릎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손 및 무릎 모두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임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영 영법(swimming stroke)을 모방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지를 지지하고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지면을 횡단하여 사지(및 다른 신체 부분)를 슬라이드 또는 글라이드 이동시키게 하는 운동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한 개선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다양한 운동을 위해 안정 바(stable ba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지면과 부착되거나 안정화되는 푸시 업 바(push up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에서, 사용자는 그의 무릎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안정적인 푸시 업 바를 파지할 수 있다. 푸시 업 바 대신에, 시스템은 슬라이더를 안정화시키고 슬라이더가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 장치는 슬라이더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슬라이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작동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안정 장치는 슬라이더를 유지해서 슬라이더가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도킹 스테이션이다. 예를 들면,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시스템은 손 도킹 스테이션(1600)(또는 (예를 들면, 각 손 슬라이더(300) 중 하나 대한) 여러 가지의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손 도킹 스테이션(1600) 상에 위치된 손 슬라이더(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인 한편, 도 16b는 손 도킹 스테이션(1600)에 도킹된 손 슬라이더(300)를 도시한다. 추가적인 도시를 위해, 도 16c는 손 도킹 스테이션(1600)에 도킹된 손 슬라이더(300)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손 도킹 스테이션(1600)은 손 슬라이더(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손 도킹 스테이션(1600)은 수용부(1602) 및 파지부(1604)를 포함한다. 수용부(1602)는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손 슬라이더(300)와 감합되게 결합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수용부(1602)는 손 베이스(203)를 감합되게 수용하도록 성형된 플라스틱이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수용부(1602)는 손 베이스(203)가 그 내부에 위치되거나 가압될 때 손 베이스(203)와 맞춤을 형성하도록 압축되는 압축 가능한 폼이다. 대안적으로, 파지부(1604)는 임의의 적합한 소재 및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파지부(1604)가 지면에 대하여 가압될 때 미끄러짐을 견디도록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파지부(1604)는 수용부(1602)에 고착되는 고무 패드이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릎 슬라이더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무릎 도킹 스테이션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고,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시스템은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또는 (예를 들면, 각 무릎 슬라이더(500) 중 하나 대한) 여러 가지의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a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 상에 위치된 무릎 슬라이더(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인 한편, 도 17b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에 도킹된 무릎 슬라이더(500)를 도시한다. 추가적인 도시를 위해, 도 17c는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에 도킹된 무릎 슬라이더(500)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은 무릎 슬라이더(5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은 수용부(1702) 및 파지부(1704)를 포함한다. 수용부(1702)는, 무릎 슬라이더(500)와 감합되게 결합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 및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수용부(1702)는 무릎 베이스(504)를 감합되게 수용하도록 성형된 플라스틱이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수용부(1702)는 무릎 베이스(504)가 그 내부에 위치되거나 가압될 때 무릎 베이스(504)와 맞춤을 형성하도록 압축되는 압축 가능한 폼이다. 대안적으로, 파지부(1704)는 임의의 적합한 소재 및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파지부(1704)가 지면에 대하여 가압될 때 미끄러짐을 견디도록 형성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파지부(1704)는 수용부(1702)에 고착되는 고무 패드이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고 원하는 슬라이더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원하는 슬라이더(예를 들면, 손 및/또는 무릎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푸시 업 바 대신에, 사용자는 지면에 대하여 손 슬라이더(300)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손 슬라이더(300) 중 하나에 대한) 손 도킹 스테이션(16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는 무릎을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무릎 슬라이더(500)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지면에 대하여 무릎 슬라이더(500)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무릎 슬라이더(500) 중 하나에 대한) 무릎 도킹 스테이션(1700)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는 전방으로의 연신 및 그런 다음의 수축과 같이, 손을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손 슬라이더(3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특정 예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비한정적인 예이며, 다른 실시예 및/또는 양태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스트랩이 설명되지 않았지만, 각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를 관련된 사지에 부착시키는 것을 돕는 스트랩을 포함하도록 선택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슬라이더는 (도시된)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임의의 적합한 묶음 장치(예를 들면, 로프, 코드 등)를 사용하여 함께 묶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그리고,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베이스(1804)(예를 들면, 중량 또는 다른 고정 지점)와 부착하기 위해, 그리고, 타단에서 사용자의 사지와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항 밴드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밴드는 밴드부(1800) 및 다리 부착부(1802)를 포함한다. 밴드부(1800)는 연신될 때 저항력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며, 저항력의 비한정적인 예는 탄성을 포함한다. 다리 부착부(1802)는 밴드를 다리와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작동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며, 이의 비한정적인 예는 커프(cuff)(예를 들면, 커프와 같이 작동하도록 다리의 둘레를 감싸는 후크 및 고리 체결구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저항 밴드는 개별적인 밴드(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개별적인 밴드)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밴드부(1800) 및 한 세트의 다리 부착부(1802)를 포함하는 단일 밴드(도 18b에 도시됨)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밴드부(1800)와 부착된 단일 밴드(도 18a에 도시됨)는 사용자가 밴드를 앵커(1804)와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도록 하는 부착 기구(1803)이다. 부착 기구(1803)는 사용자가 밴드부(1800)를 앵커(1804)와 선택적으로 부착/탈거하도록 작동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이며, 이의 비한정적인 예는 클립 또는 카라비너(carabiner)를 포함한다.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양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적합한 고정 기법(예를 들면, 부착 기구(1803)로 표면 또는 중량에 부착)을 사용하여 저항 밴드(180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부착부(1802)를 이용하여 밴드의 타단을 사용자의 다리(예를 들면, 예를 들면, 발)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1200)가 무릎 슬라이더(500)(또는 손 슬라이더 또는 임의의 다른 슬라이더) 내에 무릎을 위치시키고 무릎을 수축하면(비한정적인 예), 저항 밴드(1800)는 수축을 방지하는 저항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1200)가 무릎을 제1 방향(1806)으로 수축함에 따라, 밴드(1200)의 수축 특성으로 인하여 저항력이 제2 방향(1808)으로 적용된다. 저항 밴드는 하나의 세트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주위의 여러 가지의 저항 밴드 또는 요소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도록, 플레이펜(playpen) 또는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여러 가지의 추가적인 저항 운동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슬라이더가 손 및 무릎 슬라이더로서 설명되지만, 이러한 용어는 비한정적인 예로서 제시되며, 연신/수축 또는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준비된 임의의 원하는 사지를 위해 슬라이더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된다.

Claims (53)

  1. 제1 쌍의 사지 슬라이더;
    제2 쌍의 사지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신체 부분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신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의 사지 슬라이더는 무릎 슬라이더이고, 각 무릎 슬라이더는 무릎 패드 및 무릎 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2 쌍의 사지 슬라이더는 손 슬라이더이고, 각 손 슬라이더는 손 패드 및 손 베이스를 갖고, 상기 운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수행하도록 그의 손 및 무릎을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손 및 무릎을 지지할 수 있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릎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요홈부의 일부의 둘레를 감싸는 오름 리지를 갖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며, 상기 무릎 패드의 후방측은 다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수용부는 무릎이 상기 요홈부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도록 구성되는 상기 오름 리지를 통하여 형성되는 요홈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무릎 뼈 지지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 포함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뼈 지지부는 상기 후방측을 향하여 상승되고 상기 전방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도를 갖는 각이 진 지지부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베이스는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평면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평면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중앙 슬라이딩면의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주변 슬라이딩면을 갖는 중앙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베이스는 상기 무릎 패드를 받치고 상기 무릎 패드를 한 쌍의 측면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기 위해 상기 무릎 베이스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고, 상기 전방부는 사용자가 상기 손 패드를 파지하고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두 개의 엄지 수용부와, 상기 두 개의 엄지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상기 손가락 압입부는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횡단하며, 상기 엄지 수용부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손 패드의 후방부에 근접한 후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후방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레지를 더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경질 내부 코어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손 패드를 넘어 돌출되는 전방 레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릎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며, 상기 무릎 패드의 후방측은 다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요홈부의 일부의 둘레를 감싸는 오름 리지를 갖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고, 상기 무릎 패드의 상기 후방측은 다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수용부는 무릎이 상기 요홈부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도록 구성되는 상기 오름 리지를 통하여 형성되는 요홈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요홈부의 일부의 둘레를 감싸는 오름 리지를 갖는 요홈부를 포함하며, 무릎 뼈 지지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 포함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고, 상기 무릎 패드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무릎 뼈 지지부는 상기 요홈부 내에 포함되며, 상기 무릎 뼈 지지부는 상기 후방측을 향하여 상승되고 상기 전방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도를 갖는 각이 진 지지부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베이스는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평면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평면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중앙 슬라이딩면의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주변 슬라이딩면을 갖는 중앙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베이스는 상기 무릎 패드를 받치고 상기 무릎 패드를 한 쌍의 측면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기 위해 상기 무릎 베이스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 베이스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고, 상기 전방부는 사용자가 상기 손 패드를 파지하고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두 개의 엄지 수용부와, 상기 두 개의 엄지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엄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 패드는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상기 손가락 압입부는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횡단하며, 상기 엄지 수용부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손 패드의 후방부에 근접한 후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후방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레지를 더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경질 내부 코어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손 패드를 넘어 돌출되는 전방 레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3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 및 무릎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와 감합되게 결합하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0. 무릎 베이스에 부착되는 무릎 패드를 갖는 무릎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릎 베이스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릎 패드는 사용자의 무릎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패드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포함하며, 상기 무릎 패드의 후방측은 다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수용부는 무릎이 상기 요홈부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경골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상기 오름 리지를 통하여 형성되는 요홈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무릎 뼈 지지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 포함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뼈 지지부는 상기 후방측을 향하여 상승되고 상기 전방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각도를 갖는 각이 진 지지부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베이스는 복수의 별개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평면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평면인,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슬라이딩면은 중앙 슬라이딩면의 둘레에 배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주변 슬라이딩면을 갖는 중앙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8. 손 베이스에 부착되는 손 패드를 갖는 손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손 패드는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 베이스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 패드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고, 상기 전방부는 사용자가 상기 손 패드를 파지하고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일련의 손가락 압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특징부는 두 개의 엄지 수용부와, 상기 두 개의 엄지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다섯 개의 손가락 압입부를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손 패드는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상기 손가락 압입부는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횡단하며, 상기 엄지 수용부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손 패드의 후방부에 근접한 후방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 베이스는 상기 후방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레지를 더 포함하는,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
  53. 사지 지지 운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릎 패드 및 무릎 베이스를 갖는 무릎 슬라이더 각각에 무릎을 각각 위치시키는 행동;
    손 패드 및 손 베이스를 갖는 손 슬라이더 각각에 손을 각각 위치시키는 행동; 및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손 슬라이더 및 무릎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지면을 횡단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행동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28611A 2012-03-20 2013-03-18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 KR20150003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3387P 2012-03-20 2012-03-20
US61/613,387 2012-03-20
PCT/US2013/032826 WO2013142422A1 (en) 2012-03-20 2013-03-18 Extremity supporting and ground surface sliding exercis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35A true KR20150003735A (ko) 2015-01-09

Family

ID=4921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611A KR20150003735A (ko) 2012-03-20 2013-03-18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028382B2 (ko)
EP (1) EP2827958A4 (ko)
JP (1) JP2015511510A (ko)
KR (1) KR20150003735A (ko)
CN (1) CN104203353A (ko)
HK (1) HK1204464A1 (ko)
WO (1) WO2013142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2574B2 (en) * 2011-05-10 2018-05-08 Sperry Product Innovation, Inc. Exercise apparatus
US8827879B2 (en) 2011-07-19 2014-09-09 Paul James Nicholas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US9199117B1 (en) * 2011-07-19 2015-12-01 Paul James Nicholas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GB2503701B (en) * 2012-07-04 2015-08-26 Shameem Anthony Carl Sampath Limb exercise device
US9132316B2 (en) * 2012-10-10 2015-09-15 Energeia Fitness, LLC Weight-adjustable surface gli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urpose fitness
USD794808S1 (en) * 2012-12-20 2017-08-15 Shayna Sorbel Hand physical therapy device
US9339680B2 (en) * 2012-12-20 2016-05-17 Shayna Sorbel Portable physical therapy and exercising device
US20150190668A1 (en) * 2014-01-03 2015-07-09 II Dale W Ferdinandsen Weighted Exercise Sliding Device
US9579533B2 (en) * 2014-02-13 2017-02-28 Pro Performance Sports, L.L.C. Floor exercise slider
US9649521B2 (en) 2014-05-19 2017-05-16 Xystus, Llc Multipurpose fitness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USD827060S1 (en) 2014-07-28 2018-08-28 Pro Performance Sports, Llc Floor exercise slider
US9314662B1 (en) * 2014-12-12 2016-04-19 George R. Willison Cushioned exercise unit for hands and wrists
US9555275B1 (en) 2015-04-13 2017-01-31 Michael Leonard Izzolo, Jr. Resilient hand pad and block system for relieving hand and wrist stress, and related pain, during yoga and related floor-based poses and exercises
US10543394B2 (en) 2015-10-05 2020-01-28 Eleanor Leah May Mandell Doughnut shaped multifunction cushioning device
US9844696B2 (en) * 2015-10-13 2017-12-19 Engine Fitness Portable exercise device
US9623273B1 (en) * 2015-11-20 2017-04-18 Paul Chen Hand held sliding exercising device
US10130836B2 (en) * 2016-04-12 2018-11-20 Megan A. Madion Exercise wedge
US20170296864A1 (en) * 2016-04-18 2017-10-19 Elliott Allen Richter Hand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enhancing upper body exercise
US11318352B2 (en) * 2016-04-28 2022-05-03 Michael DeCesare Exercise device to promote, measure and analyze leg movements while seated
WO2018064201A1 (en) * 2016-09-27 2018-04-05 Xystus, Llc Multipurpose fitness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US10610727B1 (en) * 2018-05-22 2020-04-07 David Washington Exercise slidermat
US10773119B2 (en) * 2018-08-31 2020-09-15 Shanq Dih Co., Ltd. Exercise slider
US11285356B2 (en) * 2018-09-13 2022-03-29 Eduardo M Marti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US11317728B2 (en) * 2019-01-16 2022-05-03 Beth Rogers Knee pillow and method of use
US10933278B2 (en) * 2019-05-29 2021-03-02 Jute Inc. Slider
WO2020241359A1 (ja) * 2019-05-29 2020-12-03 株式会社ジュート ストレッチ用スライダー
US11110319B1 (en) * 2019-09-24 2021-09-07 Aaron Boyd Plank 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US11185733B2 (en) * 2019-10-04 2021-11-30 Heartly Strong LLC Exercise device
US11305148B2 (en) 2019-10-24 2022-04-19 C. John Cotto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11925834B2 (en) * 2020-04-15 2024-03-12 Tana Burke Mobile cycling apparatus
US11684817B2 (en) * 2020-08-16 2023-06-27 Rafiq Clanton Full body workout device
TWI759134B (zh) * 2021-03-11 2022-03-21 璟昌實業有限公司 健身用萬向滑動裝置
BR112023019856A2 (pt) * 2021-04-01 2023-11-14 Peter Hinton Shannon Plataforma de exercícios
US20220379161A1 (en) * 2021-05-28 2022-12-01 Manduka, LLC Yoga block with integrated mobile device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8514A1 (fr) * 1980-08-13 1982-02-19 Coulon Georges Appareil de gymnastique comportant un cadre a plateau fixe et mobiles
US4892305A (en) 1986-12-22 1990-01-09 Lynch Peter G Exercising device
US5870774A (en) 1997-08-29 1999-02-16 Legenstein; Mark P. Rolling knee pad
US6626807B1 (en) 2000-11-17 2003-09-30 Total Tiger, Inc. Exercise equipment
DE10058195C2 (de) * 2000-11-23 2003-08-14 Paul Chen Übungsgerät
US20040077468A1 (en) * 2002-03-11 2004-04-22 Myles Tyrone Andree AB crunch machine
US20040094915A1 (en) * 2002-11-20 2004-05-20 Warren Wesley H Rolling kneepad caster device
US6942605B1 (en) 2003-12-09 2005-09-13 Feliks Sukhovitsky Exercise equipment
US9011294B2 (en) 2004-05-03 2015-04-21 Savvier, Lp Method and apparatus for fitness exercise
US20060035771A1 (en) * 2004-08-06 2006-02-16 Ultimate Push-Up Push-up exercise apparatus
US7681248B2 (en) * 2005-05-26 2010-03-23 Knee Blades Llc Rolling knee support with detachable knee pad
KR100966598B1 (ko) 2008-06-25 2010-06-29 이현기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가변 저항기 제조방법
KR20100000660U (ko) * 2008-07-11 2010-01-22 박상채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US7909746B2 (en) * 2008-12-18 2011-03-22 Clifford Ernest Gant Push-up exercise apparatus
US8702574B2 (en) 2009-05-01 2014-04-22 Dama Claudy ABRANCHESS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linear and circular movement patterns
US20120083396A1 (en) * 2010-09-30 2012-04-05 Rojoeyl Aquino Portable multiple exercise apparatus sets
CN202020851U (zh) * 2011-03-24 2011-11-02 菲特克洛(上海)实业有限公司 爬行健身器
CN102179037B (zh) * 2011-03-24 2014-10-15 菲特克洛(上海)实业有限公司 爬行健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4464A1 (en) 2015-11-20
EP2827958A4 (en) 2015-12-02
CN104203353A (zh) 2014-12-10
JP2015511510A (ja) 2015-04-20
EP2827958A1 (en) 2015-01-28
US9028382B2 (en) 2015-05-12
US9370681B2 (en) 2016-06-21
WO2013142422A1 (en) 2013-09-26
US20150238796A1 (en) 2015-08-27
US20130252791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735A (ko) 사지 지지 및 지면 슬라이딩 운동 시스템
US9901502B2 (en) Combination massage table with one or more resistance bands
US7722301B2 (en) Device for assisting in neck exercises
US20140073496A1 (en) Exercise apparatus
TWI686189B (zh) 拐杖
US10729932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exercise and training
KR101300822B1 (ko) 복근운동 보조기구
US10183189B2 (en) Physical therapy devices and system for rehabilitation of limbs
WO2008103903A1 (en) Office and desk exercise chair system
US20170072259A1 (en) Sliding exercise apparatus
AU2012319027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220152441A1 (en) Friction-Spreader Grip Assembly for Resistance Band Exercise
CN211798607U (zh) 一种康复锻炼座椅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70274243A1 (en) Shoulder stabilizing exercise bench cover
US20160114208A1 (en) Sliding exercise apparatus
US20160114209A1 (en) Sliding exercise apparatus
EP3824959A1 (en) A multi-purpose transportabl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of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JP2010520013A (ja) 運動器具
US11110319B1 (en) Plank 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CN217961125U (zh) 一种踝关节外翻训练装置
CN211215229U (zh) 一种艺术舞蹈肢体训练装置
JP3173146U (ja) 身体鍛錬用運動器具
JP2000107323A (ja) トレーニング用具
CA2980185A1 (en) Combination massage table with one or more resistance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