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66U -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 Google Patents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66U
KR20150003566U KR2020140002216U KR20140002216U KR20150003566U KR 20150003566 U KR20150003566 U KR 20150003566U KR 2020140002216 U KR2020140002216 U KR 2020140002216U KR 20140002216 U KR20140002216 U KR 20140002216U KR 20150003566 U KR20150003566 U KR 20150003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unglass
frame
glasses
projec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기
Original Assignee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566U/ko
Publication of KR20150003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일반용 안경에 선글래스를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글래스 클립(10)과 일반용 안경(20)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합이 제공된다. 이 조합은, 선글래스 렌즈(11)가 결합된 클립테(12)를 가지는 선글래스 클립(10); 및, 렌즈(21)가 결합된 안경테(22)및 다리부(22)를 가지는 안경(20);을 결합하고, 선글래스 클립(10)은: 클립테(1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좌우돌출부(17),(17); 좌우돌출부(17),(17)에 각각 매립되고, 안경(20)에 대한 선글래스 클립(10)의 장착면측으로 노출되는 자석(15),(15);를 포함하고, 클립테(12)의 상부에는, 안경테(22)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가장자리부 덮개부(1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덮개부(16)의 중앙에는 안경테(10)의 연결부(23)와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부(14)가 형성되며, 안경(20)은: 안경테(2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며, 선글래스 클립(10)의 좌우돌출부(17),(17)에 대응하는 좌우돌출부(27),(27); 좌우돌출부(27),(27)에 각각 매립되고, 선글래스 클립(10)의 장착면측으로 노출되는 자석(25),(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Sunglass clip for eyeglasses}
본 고안은 안경에 부착하는 선글래스 클립(sunglass cli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용 안경에 선글래스를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용 안경과 선글래스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합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주로 하절기에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는 선글래스는 최근 들어 그의 사용이 하절기뿐 아니라 동절기 또는 실내에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근시용 또는 원시용 안경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별도의 도수를 가지는 렌즈를 선글래스로 만들어야 하며, 교환 착용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안경 착용자가 선글래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경다리부가 없고 선글래스 렌즈만이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클립타입의 선글래스(이하 "선글래스 클립"이라 함)을 기존에 착용하고 있는 안경에 부가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선글래스 클립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등록 실용신안 제 174204 호를 들 수 있다. 동 고안에 따르면, 렌즈 또는 보안경(무도수 유리)이 결합된 양측 안경테의 바깥측면에 일반안경의 안경다리부 연결편과 같은 형상으로 길이가 짧은 지지간을 각각 고정하고, 일반안경의 안경다리부 또는 안경다리부 연결편과 상기 지지간의 끝 부분에 영구자석을 고정시켜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일반안경과 선글래스 클립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동 고안에 따르면, 단순히 영구자석의 자력만으로 일반안경과 클립간의 결합이 불확실하며, 일반안경과 클립이 겹쳐진 형태가 확실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 제 316684 호는 안경과 클립에 각각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연자성체를 이용하여 안경과 클립을 결합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술도 안경테 또는 코걸이 등의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고 선글래스 클립의 코걸이에 마찬가지로 삽입된 자석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양자간의 자력이 불충분하고 2개의 안경의 외부적으로 겹쳐진 것으로 보여 외관상 나쁘다는 결점은 마찬가지로 가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안경에 클립을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며, 클립을 안경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외관상으로 2개의 안경이 겹쳐진 표시가 잘 구분되지 않는 안경과 선글래스 클립의 조합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선글래스 렌즈가 결합된 클립테를 가지는 선글래스 클립; 및,
렌즈가 결합된 안경테 및 다리부를 가지는 안경;
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테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좌우돌출부;
상기 좌우돌출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안경에 대한 클립의 장착면측으로 노출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테의 상부에는, 상기 안경테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가장자리부 덮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 덮개부의 중앙에는 안경테의 연결부와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경은:
상기 안경테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며, 상기 클립의 좌우돌출부에 대응하는 좌우돌출부;
상기 좌우돌출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클립의 장착면측으로 노출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안경과 선글래스 클립의 조합에 따르면, 클립테의 가장자리 덮개부의 중앙에 안경테의 연결부와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안경에 클립을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클립테의 가장자리 덮개부가 안경테의 상부를 덮어서 가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클립을 안경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외관상으로 클립과 안경이 겹쳐진 상태가 잘 나타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매립된 자석이 클립과 안경이 겹쳐진 곳에서만 노출되므로, 외관상으로 자석의 매립상태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미관상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과 안경의 조합에 사용되는 선글래스 클립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과 안경의 조합에 사용되는 안경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과 안경의 조합에 있어서, 선글래스 클립이 안경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에 있어서의 클립테의 갈고리부가 안경테의 연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과 안경의 조합에 있어서, 선글래스 클립이 안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이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 부분의 일부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보다 완전한 이해 및 그의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고려한 이하의 기술내용을 참조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으며, 유사한 구성부에 대하여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과 안경의 조합에 사용되는 선글래스 클립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래스 클립(10)은 선글래스 렌즈(11)가 클립테(12)에 결합되어 있다.
선글래스 클립(10)에는, 상기 클립테(1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좌우돌출부(17),(17)가 형성된다. 이 좌우 돌출부(17),(17)에는, 자석(15),(15)이 매립된다. 이 자석(15),(1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을 안경(20)에 대하여 장착하는 경우, 안경(20)쪽으로 밀착되는 측면 상으로만 노출되고, 정면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매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립테(12)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후술하는 안경(20)의 안경테(22)의 상부 가장자리를 위쪽에서 덮도록 구성되는 가장자리부 덮개부(1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 덮개부(16)의 중앙에는 클립테(12)의 연결부(13)에 대항하는 부위에, 후술하는 안경테(10)의 연결부(23)와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부(14)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10)과 안경(20)의 조합에 사용되는 안경(20)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10)과 안경(20)의 조합에 있어서,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경(20)은 렌즈(22)가 결합되어 있는 안경테(22)와, 상기 안경테(22)의 좌우측으로 결합되는 다리부(26)를 포함한다. 또한, 안경테(22)에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콧등부에 걸쳐지는 코다리부(24)가 형성된다.
안경테(2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 즉 상기 다리부(26)와 결합되는 부분의 근방에는,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며,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의 좌우돌출부(17),(17)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좌우돌출부(27),(27)가 형성된다. 이 좌우돌출부(27),(27)에는, 상기 선글래스 클립의 좌우돌출부(17),(17)에 매립된 자석(15),(15)과 대응하는 위치에 매립되며,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대하여 장착되는 면측으로만 노출되는 자석(25),(25)을 포함한다.
따라서,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되어 일체로 되었을 때에는, 선글래스 클립(10)의 자석(15),(15) 및 안경(20)의 자석(25),(25)의 어느 쪽도 외관상으로는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자석의 존재여부가 외관상으로는 전혀 식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당연히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의 자석(15),(15)와 안경(20)의 자석(25),(25)은 상호간에 극성이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되면 이들 자석(15),(15) 및 (25),(25)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선글래스 클립(10)과 안경(20)이 밀착되도록 조합이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글래스 클립(10)은 그의 이면(즉, 장착시에 제 3 자에게 보이지 않는 면)을 안경(20)의 정면쪽을 향하여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글래스 클립(10) 및 안경(10)의 장착상태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10)에 있어서의 클립테(12)의 갈고리부(14)가 안경테(22)의 연결부(23)에 걸어맞추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래스 클립(10)과 안경(20)의 조합에 있어서,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이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 부분의 일부확대도이다.
사용자는 선글래스 클립(10)을 손으로 잡고 안경(20)의 연결부(23)에 대하여선글래스 클립(10)의 갈고리부(14)를 상부방향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걸어맞춤함으로써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을 하게 되면, 안경(20)의 안경테(22)의 상부 가장자리를 선글래스 클립(10)의 가장자리 덮개부(16)가 위쪽에서 덮도록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되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장착되었다기 보다는, 처음부터 일체로 구성된 것과 같은 외관상의 느낌을 주게 된다.
즉, 선글래스 클립(10)과 안경(20)이 조합된 상태에서, 안경테(22)의 상부 가장자리가 선글래스 클립(20)의 가장자리 덮개부(16)에 의하여 가려져서 덮여져 있으며, 겹쳐진 상태는 측면 또는 하부방향에서만 표시가 나기 때문에, 적어도 정면에서 보는 사람이나 대화상대자 등에게는 양자의 조합이 거의 표시가 나지 않게끔 조합이 완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글래스 클립(10)의 갈고리부(14)의 구부러진 부분이 안경(20)의 연결부(23)의 단면부분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에 고정되어 매우 강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될 뿐 아니라, 선글래스 클립(10)의 자석(15),(15)이 그와 상이한 극성을 가지는 안경(20)의 자석(25),(25)과 인력에 의하여 선글래스 클립(10)이 안경(20)과 밀착한 상태로 상호간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서, 일반안경에 클립을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며, 클립을 안경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외관상으로 2개의 안경이 겹쳐진 표시가 잘 구분되지 않는 안경과 선글래스 클립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이들 기재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선글래스 클립 11 : 선글래스 렌즈
12 : 클립테 13 : 연결부
14 : 갈고리부 15 : 자석
16 : 가장자리 덮개부 17 : 좌우돌출부
20 : 안경 21 : 렌즈
22 : 안경테 23 : 연결부
24 : 코다리부 25 : 자석
26 : 다리부 27 : 좌우돌출부

Claims (1)

  1. 선글래스 렌즈(11)가 결합된 클립테(12)를 가지는 선글래스 클립(10); 및,
    렌즈(21)가 결합된 안경테(22)및 다리부(22)를 가지는 안경(20);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은:
    상기 클립테(1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좌우돌출부(17),(17); 및,
    상기 좌우돌출부(17),(17)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안경(20)에 대한 선글래스 클립(10)의 장착면쪽으로 노출되는 자석(15),(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테(12)의 상부에는, 상기 안경테(22)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가장자리부 덮개부(1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 덮개부(16)의 중앙에는 안경테(10)의 연결부(23)와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안경(20)은:
    상기 안경테(22)의 상부측 좌우끝단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며,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의 좌우돌출부(17),(17)에 대응하는 좌우돌출부(27); 및,
    상기 좌우돌출부(27),(27)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선글래스 클립(10)의 장착면측으로 노출되는 자석(25),(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과 선글래스 클립의 결합구조.
KR2020140002216U 2014-03-20 2014-03-20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KR201500035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16U KR20150003566U (ko) 2014-03-20 2014-03-20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16U KR20150003566U (ko) 2014-03-20 2014-03-20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66U true KR20150003566U (ko) 2015-10-02

Family

ID=5434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16U KR20150003566U (ko) 2014-03-20 2014-03-20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5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08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비아리코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08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비아리코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84427A (ja) 眼鏡,および補助眼鏡
US20180143457A1 (en) Magnetically Mounted Connector for Adhesion of a Pair of Auxiliary Eyeglasses
JP3150978U (ja) マグネット磁着式前掛け眼鏡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US8857979B1 (en)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frame adornments
KR200469060Y1 (ko) 고글 렌즈를 이용한 클립안경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KR20150003566U (ko) 안경부착용 선글래스 클립
KR20110002454A (ko) 목걸이용 안경테
KR20120000956U (ko) 선글라스 내측에 보조안경이 결합되도록 한 이중안경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US7178916B1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eyeglasses and attachment sunglasses
CN207037258U (zh) 一种组合式多功能眼镜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JP3103865U (ja) 眼鏡セット
JP2016118758A (ja) 前掛け式メガネ
KR200350239Y1 (ko) 렌즈 교체형 안경
JP3956374B2 (ja) 眼鏡
JP3161132U (ja) 前掛け式メガネ
CN208399836U (zh) 双层磁吸眼镜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KR20110049534A (ko) 보조안경테
KR20140124697A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
KR200383717Y1 (ko) 이중 돋보기 안경
US20050206835A1 (en) Spectac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