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19A -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19A
KR20150003519A KR20130076484A KR20130076484A KR20150003519A KR 20150003519 A KR20150003519 A KR 20150003519A KR 20130076484 A KR20130076484 A KR 20130076484A KR 20130076484 A KR20130076484 A KR 20130076484A KR 20150003519 A KR20150003519 A KR 20150003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attery
case
bare cell
batter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869B1 (ko
Inventor
전동근
신봉희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8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배터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베어셀이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블록;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이 서로 직결되는 형태로 내부에 직렬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배터리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사이에 베어셀을 수용하면서 베어셀의 양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됨에 따라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와 같은 개인이동수단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비포장길에서 장시간 동안 운행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과 그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장치{BATTERY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은 전기에너지로 구동하는 1인 또는 2인승 단거리 저속 이동수단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전기 자전거와 전기 오토바이가 있다.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의 프레임에는 전기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관련되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99979호에는 '방열효율 및 장착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배터리 팩(1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 케이스(100)와, 상기 홀더 케이스(100)에 수납되는 다수의 전지셀(200)들을 포함한다. 홀더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수납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어 배터리 팩(10)을 형성한다. 전지 셀(200)은 홀더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되어 하나의 배터리 팩(10)을 형성한다.
한편, 홀더 케이스(100)에는 제1 케이스(100a)의 외면으로부터 제2 케이스(100b)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장착 공(150)이 형성된다. 배터리 팩(10)은 전동어시스트 형의 전동 자전거에 장착되며, 배터리팩(10)은 장착 공(150)을 관통하여 자전거 차체에 체결되는 장착 프레임에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배터리 팩 조립체는 전지 셀(200)들이 서로 마주보는 제1 케이스(100a) 및 제2 케이스(100b) 내부에 수납되는데,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는 그 단부가 서로 밀착결합되게 형성됨에 따라 홀더 케이스(100) 내부의 상하 간격을 전지 셀(200)들의 양단부 길이에 맞게 정확한 치수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홀더 케이스(100)에 제작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오랜 기간의 사용에 따른 진동에 의한 리드 판(180)의 마찰손상에 의해 전지 셀(200)들의 양단부와 리드 판(180) 간에 유격이 발생하여 리드 판과 전지 셀(200)들 간의 전기적 접촉면이 이격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갈길이나 산악지형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길에서 전동 자전거가 운행되는 경우에는 전동 자전거의 바퀴가 노면의 돌출부 위를 반복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노면의 충격이 배터리 팩 조립체에 반복적으로 전해지게 되며, 이와 같은 조건에서 전기적 접촉불량이 가속화되어 매우 이른 기간 내에 전동 자전거가 작동 불능상태에 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99979호 (공개일: 2011.09.09)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와 같은 개인이동수단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비포장길에서 장시간 동안 운행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과 그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베어셀이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블록;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이 서로 직결되는 형태로 내부에 직렬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배터리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터리 블록은, 다수의 상기 베어셀의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 세퍼레이터; 및 다수의 상기 베어셀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셀이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의 테두리에는 상기 베어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2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등간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베어셀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관통형성된 탭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 내부에는 상기 베어셀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상기 탭노출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편이 구비되는 연결탭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배터리 블록의 상기 연결탭은 상기 연결편이 서로 인접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플레이트 형태의 절연체로 마련되어 상기 탭노출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스위치가 형성되는 상부캡; 상기 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하부캡; 및 상기 스위치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캡이 고정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충전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캡이 삽입되는 제2 장착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를 연결하고 개인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거치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사이에 베어셀을 수용하면서 베어셀의 양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됨에 따라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와 같은 개인이동수단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비포장길에서 장시간 동안 운행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과 그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와 같은 개인이동수단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비포장길에서 장시간 동안 운행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과 그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1)는 전기 자전거나 전기 오토바이와 같이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이동수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電源裝置)로서, 배터리 블록(100), 케이스(200), 인슐레이터(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블록(100)은 베어셀(110),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로 이루어진다.
베어셀(110)은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전해질 및 원통형의 케이스(200)로 구성된다. 베어셀(110)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외부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그 일 예로서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베어셀(110)이 병렬배치되도록 각각 다수의 삽입공(H)이 마련된다. 즉, 제1 세퍼레이터(130)는 다수의 베어셀(110)의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하측에 다수의 삽입공(H)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 세퍼레이터(150)는 다수의 베어셀(110)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측에 다수의 삽입공(H)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수의 삽입공(H)은 베어셀(110)의 열기가 서로 전도되지 않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삽입공(H)에는 베어셀(11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관통형성된 탭노출부(E)가 구비되고, 탭노출부(E)에는 베어셀(110)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연결탭(T)이 결합된다. 연결탭(T)은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의 내측에서 탭노출부(E)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탭(T)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2 이상의 탭노출부(E)를 서로 연결한다.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에 삽입된 베어셀(110)의 단부는 연결탭(T)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 사이에 결합된 다수의 베어셀(110)은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에 각각 결합된 하나 이상의 연결탭(T)에 의해 서로 직렬 및 병렬 연결되며, 배터리 블록(100)은 전선이 사용됨이 없이 하나의 전지조립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배터리 블록(100)은, 2 이상의 탭노출부(E)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탭(T)이 다양한 연결형태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130)와 제2 세퍼레이터(150) 사이에 동일한 베어셀(110)이 결합되더라도 다양한 전류와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1)는 동일한 베어셀(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탭(T)만을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전기 자전거나 전기 오토바이의 모터를 다른 규격으로 교환하더라도 배터리 장치(1)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결탭(T)은 탭노출부(E)를 통하여 제1 세퍼레이터(130) 또는 제2 세퍼레이터(150)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편(L)이 구비된다. 연결탭(T)은 배터리 블록(100)의 전원을 전기 자전거 또는 전기 오토바이의 모터 측 또는 다른 배터리 블록(100)의 연결탭(T)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서, 서로 인접한 배터리 블록(100)의 연결탭(T)은 연결편(L)이 서로 인접하게 마련된다. 연결탭(T)은 배터리 장치(1) 내부에서 전선(미도시) 등과 연결된다.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는 그 사이에 베어셀(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다. 즉,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의 내측 높이의 합은 베어셀(1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가 서로 이격되면 케이스(200) 내부에서 베어셀(110)과 연결탭(T)의 전기적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제1 세퍼레이터(130)와 제2 세퍼레이터(150)의 결합방향으로 스프링, 고무 또는 발포고무(foam)와 같은 탄성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베어셀(110)과 연결탭(T)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배터리 블록(100)은 케이스(200) 내부에 2 이상이 서로 직결되는 형태로 직렬배치되며,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배터리 블록(100)은 예비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비용도로 마련되는 배터리 블록(100)에는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 사이에 베어셀(110) 대신 절연폼(170)이 구비될 수 있다. 절연폼(170)은 가볍고 탄력이 있는 고무, 비닐,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제로 형성되어 배터리 장치(1)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베어셀(110)과 연결탭(T)의 전기적 접촉력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절연폼(170)은, 예비용도의 배터리 블록(100)이 베어셀(110)이 결합된 배터리 블록(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소 두껍도록 형성된다.
인슐레이터(300)는 배터리 장치(1) 내부에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서로 인접한 배터리 블록(100) 사이에서 합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터리 블록(100) 사이에 마련된다. 인슐레이터(300)는 플레이트 형태의 절연체로 마련되어 서로 인접한 연결편(L) 사이를 차폐한다.
제어부(400)는 다수의 배터리 블록(100)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게이지 모듈(410)이 연결되며, 사용자는 파워게이지 모듈(410)과 연결된 스위치(430)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450은 배터리 블록(100)의 과전압 및 저전압을 차단하고 베어셀(110)의 전체적인 밸런싱을 컨트롤하는 메인모듈(450)이다.
케이스(200)는 배터리 블록(100) 및 제어부(400) 등에 이물질과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배터리 블록(100) 및 제어부(400) 등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케이스(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배터리 블록(100)이 서로 직결되는 형태로 내부에 직렬배치된다. 케이스(200)는 배터리 블록(100) 및 제어부(40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00)의 상단에는 외측에 작동스위치(211)가 형성되는 상부캡(210)이 결합되고, 케이스(200)의 하단에는 외측에 충전단자(231)가 형성되는 하부캡(230)이 결합된다. 상부캡(210) 및 하부캡(230)은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각각 오링(O)과 함께 케이스(20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다.
상부캡(210)에는 휴대폰 등의 충전을 위한 USB소켓(213)이 더 마련될 수 있다. USB소켓(213)의 외측에는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소켓커버(215)가 마련된다. 하부캡(230)에는 베어셀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231)와, 배터리 장치(1)의 전원을 모터 측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커넥터(233), 과부하방지를 위한 퓨즈홀더(235)가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17은 파워게이지 모듈(41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파워게이지 커버(217)이다.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의 테두리에는 베어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가이드홈(151)이 구비되고, 케이스(200) 내주면에는 가이드홈(151)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2 이상의 가이드돌기(201)가 형성된다. 배터리 블록(100)의 가이드홈(151)이 케이스(200)의 가이드돌기(201)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 블록(100)은 케이스(20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일정한 결합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이드홈(151) 및 가이드돌기(201)는 케이스(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등간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0)에 배터리 블록(100)을 삽입할 때 배터리 블록(100)과 상부탭 및 하부캡(230)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며, 전기 자전거나 전기 오토바이가 울퉁불퉁한 노면 위를 주행하더라도 케이스(200) 내부에서 배터리 블록(100)이 유동하지 않고 전기적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2)는 거치브래킷(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치브래킷(500)을 통해 배터리 장치(2)는 전기 자전거 또는 전기 오토바이에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브래킷(500)은 제1 장착부(510), 제2 장착부(530) 및 연결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장착부(510)에는 작동스위치(211), USB소켓(213) 및 스위치(430)가 노출되는 형태로 상부캡(2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장착부(510)는 원통형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를 가지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부캡(210)이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부캡(210)이 제1 장착부(5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위치(430) 등이 노출된다. 제1 장착부(510)에는 상부캡(210)을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캠록(511)이 마련된다.
제2 장착부(530)는 충전단자(231), 전원커넥터(233) 및 퓨즈홀더(235)가 노출되는 형태로 하부캡(2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장착부(530)는 원통형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를 가지며 일측이 개구되어 하부캡(230)이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하부캡(230)이 제2 장착부(5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단자(231)가 노출되게 된다.
연결부(550)는 제1 장착부(510)와 제2 장착부(530)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아울러 개인이동장치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연결부(550)의 개인이동장치에의 결합은,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사이에 베어셀(110)을 수용하면서 베어셀(110)의 양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세퍼레이터(130) 및 제2 세퍼레이터(150)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됨에 따라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와 같은 개인이동수단이 노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비포장길에서 장시간 동안 운행되더라도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10)과 그 접촉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배터리 장치 100 : 배터리 블록
200 : 케이스 110 : 베어셀
210 : 상부캡 130 : 제1 세퍼레이터
230 : 하부캡 150 : 제2 세퍼레이터
201 : 가이드돌기 151 : 가이드홈
300 : 인슐레이터 170 : 절연폼
400 : 제어부 500 : 거치브래킷
410 : 파워게이지 모듈 510 : 제1 장착부
430 : 스위치 530 : 제2 장착부
550 : 연결부

Claims (5)

  1.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베어셀이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블록;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이 서로 직결되는 형태로 내부에 직렬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배터리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다수의 상기 배터리 블록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블록은,
    다수의 상기 베어셀의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 세퍼레이터; 및
    다수의 상기 베어셀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셀이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세퍼레이터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의 테두리에는 상기 베어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2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등간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베어셀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관통형성된 탭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 내부에는 상기 베어셀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상기 탭노출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및 제2 세퍼레이터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편이 구비되는 연결탭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배터리 블록의 상기 연결탭은 상기 연결편이 서로 인접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플레이트 형태의 절연체로 마련되어 상기 탭노출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스위치가 형성되는 상부캡;
    상기 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고, 외측에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하부캡; 및
    상기 스위치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캡이 고정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충전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캡이 삽입되는 제2 장착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를 연결하고 개인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거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20130076484A 2013-07-01 2013-07-01 배터리 장치 KR10148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84A KR101488869B1 (ko) 2013-07-01 2013-07-01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84A KR101488869B1 (ko) 2013-07-01 2013-07-01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19A true KR20150003519A (ko) 2015-01-09
KR101488869B1 KR101488869B1 (ko) 2015-02-04

Family

ID=5247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484A KR101488869B1 (ko) 2013-07-01 2013-07-01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81B1 (ko) * 2016-01-26 2016-10-14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용 다기능 배터리장치
JP2019502233A (ja) * 2016-06-16 2019-01-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40B1 (ko) * 2002-11-2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지 및 충전지의 충전방법과 전원공급방법
JP5241182B2 (ja) * 2007-09-11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KR101934399B1 (ko) * 2011-11-14 2019-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과 접속 단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전기 바이크
JP2013118160A (ja) * 2011-12-02 2013-06-13 ▲蘇▼州冠▲碩▼新能源有限公司 電池セル用ホルダ及び電池セル用ホルダを備えた組電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81B1 (ko) * 2016-01-26 2016-10-14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용 다기능 배터리장치
WO2017131428A1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전기 자전거용 다기능 배터리장치
JP2019502233A (ja) * 2016-06-16 2019-01-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自動車
EP3367463A4 (en) * 2016-06-16 2019-04-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10615383B2 (en) 2016-06-16 2020-04-0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869B1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582B1 (ko) 배터리 팩
KR102247392B1 (ko) 배터리 모듈
KR102140213B1 (ko) 배터리팩
KR101853397B1 (ko) 전지모듈
KR10237922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934399B1 (ko) 보호회로모듈과 접속 단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전기 바이크
WO2015190676A1 (ko)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KR20140015252A (ko) 연결 장치를 갖는 배터리 팩
US20180205058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ntaining battery pack
JP2007200712A (ja) 組電池
KR102449864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KR101443833B1 (ko)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275487B1 (ko) 끼움식 케이스로 구성되는 단위 전지셀 및 이를 이용한 전지모듈
KR101741029B1 (ko) 격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57231B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0974A (ko) 와이어 고정 리브들을 구비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488869B1 (ko) 배터리 장치
KR101636380B1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200080069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300878B1 (ko)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한 단위 전지셀을 이용한 전지모듈
KR102093942B1 (ko) 전지팩의 와이어 조립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JP2015191763A (ja) 蓄電装置
KR20130080211A (ko) 이차 전지
JP6676832B2 (ja) バッテリ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