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13B1 -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13B1
KR102140213B1 KR1020140020164A KR20140020164A KR102140213B1 KR 102140213 B1 KR102140213 B1 KR 102140213B1 KR 1020140020164 A KR1020140020164 A KR 1020140020164A KR 20140020164 A KR20140020164 A KR 20140020164A KR 102140213 B1 KR102140213 B1 KR 10214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831A (ko
Inventor
안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13B1/ko
Priority to US14/618,096 priority patent/US9825266B2/en
Priority to CN201510076001.9A priority patent/CN104868182B/zh
Priority to EP15155438.3A priority patent/EP2911219B1/en
Publication of KR2015009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모듈,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배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위치되는 격리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터리모듈이 수용되는 공간과 제어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격리부로 나눔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배터리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팩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출력 배터리팩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모듈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대용량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팩을 채용하는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배터리팩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기들의 외관이 다양해지면서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팩의 형태도 다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배터리팩은 기본적으로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바, 이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배터리팩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를 채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모듈,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배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위치되는 격리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제1 삽입부 및 타측에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의 터미널부는 상기 연결부의 제1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연결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버스바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제2 삽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부에는 제1 오프닝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오프닝에는 제2 오프닝이 형성된 실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어부가 위치된 공간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어부가 위치된 상기 격리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배터리모듈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격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단면은 원이고 상기 제2 영역의 단면은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BCU(Battery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BDU(Battery Disconnect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팩에 따르면, 배터리모듈이 수용된 공간과 제어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격리부로 나누는바 배터리팩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배터리팩의 격리부와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의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배터리팩의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a)은 배터리모듈(110), 하우징(120), 제어부(130),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가 수용된 공간을 나누어주는 격리부(140), 및 격리부(140)를 관통하여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0a;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배터리모듈(110)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본체부(121) 및 커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21)에는 배터리모듈(110)을 수용하는 수용부(1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122)는 본체부(121)를 커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1)에는 측벽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된 제1 플랜지부(123), 및 제1 플랜지부(123)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1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부(122)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24)와 제2 연장부(125)가 결합되어 본체부(121)와 커버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24)는 제1 플랜지부(123)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플랜지부(123)의 상부에 제1 연장부(124)의 내측에 들어맞도록 이후에 설명될 격리부(140)의 제2 플랜지부(141)를 위치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100a)의 배터리모듈(11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10)은 다수의 배터리셀(111), 다수의 배터리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모듈버스바(117), 및 배터리셀(111)을 정렬하는 정렬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셀(111)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배터리셀(111)은 일면이 개구된 전지케이스와 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111)의 일면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1)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터미널부(112), 즉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셀(111)의 안전수단으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로 작용하는 벤트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배터리셀(111)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직렬 연결시에는 인접한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정렬되고, 병렬 연결시에는 인접한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의 극성이 서로 같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1)의 정렬은 정렬부재(1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렬부재(114)는 예를 들어 배터리셀(111) 중 최외곽에 배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15)와 엔드플레이트(115) 간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16)를 포함하여 배터리셀(111)을 일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버스바(117)는 복수의 배터리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모듈버스바(117)는 일 예로서 홀을 구비하여 홀에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를 관통시킨 후 터미널부(112)에 너트부재(119)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버스바(117)를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복수의 배터리셀(111) 중 최외곽 배터리셀(111)의 터미널부(112)에는 복수의 배터리셀(111)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생산한 대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이러한 대전류는 이후에 설명될 연결부(150a) 및 버스바(160)를 통하여 제어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a)은 이러한 배터리모듈(1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배터리팩(100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배터리팩(100a)의 격리부(140)와 연결부(150a)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 및 격리부(14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격리부(14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격리부(140)와 커버부(122) 사이에서 측면이 하우징(120)의 본체부(121)에 둘러싸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터리모듈(110)을 제어하고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BCU(Battery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BDU(Battery Disconnect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110)의 전압, SOC, 온도 등을 계측하고 과전류, 과전압 상태 등 배터리팩(100a)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전원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전자부품,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수분에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와 배터리모듈(110)을 같은 공간에 배치하게 되면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110)의 온도가 갑자기 변하여 발생되는 응축수가 제어부(130)에 영향을 미쳐 제어부(130)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10)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공기가 제어부(130)에 영향을 미쳐 제어부(130)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10)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0)와 배터리모듈(110)을 격리부(140)로써 구분하여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수분이나 냉각 공기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팩(100a)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격리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를 서로 다른 독립된 공간에 위치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격리부(140)는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 사이에 위치되어 하우징(120)의 커버부(1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부(140)에는 측벽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플랜지부(141)가 하우징(120)의 본체부(121)의 제1 플랜지부(123) 상에 중첩될 수 있고, 이때 제1 플랜지부(123)와 제2 플랜지부(141)를 관통하는 볼트 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 하우징(120)의 본체부(121)와 격리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격리부(140)의 제2 플랜지부(141)는 본체부(121)의 제1 연장부(124) 사이에서 제1 플랜지부(123)에 중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플랜지부(123)와 제1 연장부(124) 사이에는 단차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 플랜지부(141)가 용이하게 제1 플랜지부(123)의 상면에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21)와 격리부(140)의 결합 상태에서 커버부(122)가 위치되고, 커버부(122)의 제2 연장부(125)와 본체부(121)의 제1 연장부(124)가 예를 들어 볼팅 체결되어 본체부(121), 격리부(140), 및 커버부(122)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격리부(140)는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 사이에 위치되어 배터리모듈(110)이 위치되는 공간과 제어부(130)가 위치되는 공간을 서로 나누고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모듈(110)이 위치된 공간으로부터 발생된 수분과 냉각공기는 제어부(130)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이동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격리부(140)는 절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배터리모듈(110) 및 제어부(130)와 단락될 염려가 없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리부(140)에는 이후에 설명될 연결부(150a)가 관통되는 제1 오프닝(1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오프닝(14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50a)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오프닝(142)과 연결부(150a) 사이에는 실링부(143)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오프닝(142)에는 실링부(143)가 위치되되 실링부(143)에 제2 오프닝(144)이 형성되어 제2 오프닝(144)을 통해 연결부(150a)가 격리부(14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43)는 제1 오프닝(142)을 통해 배터리모듈(110)이 수용된 공간과 제어부(130)가 위치하는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 공간을 서로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배터리팩(100a)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100a)의 연결부(150a)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a)는 적어도 일부가 격리부(140)를 관통하여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a)는 격리부(140)의 제1 오프닝(142)을 관통하거나, 또는 실링부(143)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실링부(143)에 형성된 제2 오프닝(144)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프닝(144)의 크기는 연결부(150a)의 크기에 비하여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150a)가 제2 오프닝(144)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프닝(144)이 형성된 실링부(143)의 내벽과 연결부(150a)가 밀착되기 때문에 배터리모듈(110)이 수용된 공간과 제어부(130)가 위치된 공간이 서로에 대하여 밀폐될 수 있다. 이때,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링부(143)를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50a)는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으로 연결한다'의 의미는 두 부재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되더라도 전기적으로 통하는 상태라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즉, 연결부(150a)가 직접 제어부(130)와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버스바(160)를 통하여 연결된 경우에도, 연결부(150a)와 제어부(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결부(150a)가 버스바(160)를 통하여 제어부(130)에 연결된 경우로 설명하도록 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연결부(150a)를 통해 배터리모듈(110)의 전원이나 상태가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30)가 연결부(150a)를 통하여 배터리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50a)는 배터리모듈(110)과 제어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또는 니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a)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실링부(143)에 연결부(150a)가 억지끼움되었을 때 각 영역에 걸리는 응력이 일정할 수 있어 실링부(143)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부(150a)는 내부에 삽입부(151a)를 포함하는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50a)의 일측에는 제1 삽입부(152a)가 형성되고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는 제2 삽입부(15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삽입부(152a)는 배터리모듈(110)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고 제2 삽입부(153a)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52a) 및 제2 삽입부(153a)를 포함하는 삽입부(151a)가 형성된 연결부(150a)의 내벽에는 나사산(15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52a)에는 배터리모듈(110)의 터미널부(112)가 삽입되어 나사산(154)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터미널부(112)와 연결부(150a)가 나사결합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50a)에 나사결합된 터미널부(112)는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110)의 대전류가 흐르는 터미널부(112)일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부(153a)에는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7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50a)의 타측에 인접하게 위치된 버스바(160)에는 제2 삽입부(153a)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6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결합부재(170)는 관통홀(161)을 관통하여 제2 삽입부(153a)로 삽입되어 연결부(150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연결부(150a)와 버스바(16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모듈(110)의 상태에 대한 신호 및 전원은 연결부(150a)와 버스바(160)를 통하여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50a)에 삽입부(151a)를 형성하여 연결부(150a)와 터미널부(112), 결합부재(170) 또는 버스바(160)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배터리팩(100a)의 제조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b)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b)은 연결부(150b)의 제1 삽입부(152b)와 제2 삽입부(153b)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부(152b)와 제2 삽입부(153b)가 연통되어 연결부(150b)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때, 제1 삽입부(152b)에는 배터리모듈(110)의 터미널부(112)가 삽입되고 제2 삽입부(153b)에는 버스바(160)의 관통홀(161)을 관통한 결합부재(17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70)는 삽입부(151b) 내에서 배터리모듈(110)의 터미널부(112)와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c)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배터리팩(100c)의 연결부(150c)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c)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0c)은 연결부(150c)의 형상이 이전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50c)는 배터리모듈(110)을 향하는 제1 영역(155)과 배터리모듈(110)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 영역(15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155)과 제2 영역(156)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55)은 격리부(140)를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실링부(143)의 제2 오프닝(144)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바 실링부(143)의 밀폐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단면 형상이 원형(제1 영역(155)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제2 영역(156)은 격리부(140)를 관통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단면 형상이 다각형일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156)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육각형일 수 있고 제2 영역(156)은 육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영역(156)을 파지한 후 돌림으로써 배터리모듈(110)의 터미널부(112)에 연결부(150c)를 나사결합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배터리모듈 120 : 하우징
121 : 본체부 122 : 커버부
130 : 제어부 140 : 격리부
143 : 실링부 150a, 150b, 150c : 연결부
151a, 151b : 삽입부 152a, 152b : 제1 삽입부
153a, 153b : 제2 삽입부 155 : 제1 영역
156 : 제2 영역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모듈;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배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위치되는 격리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제1 삽입부 및 타측에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터미널부는 상기 연결부의 제1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연결부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버스바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제2 삽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에는 제1 오프닝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오프닝에는 제2 오프닝이 형성된 실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어부가 위치된 공간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어부가 위치된 상기 격리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배터리모듈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격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단면은 원이고 상기 제2 영역의 단면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BCU(Battery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BDU(Battery Disconnect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KR1020140020164A 2014-02-21 2014-02-21 배터리팩 KR10214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64A KR102140213B1 (ko) 2014-02-21 2014-02-21 배터리팩
US14/618,096 US9825266B2 (en) 2014-02-21 2015-02-10 Battery pack
CN201510076001.9A CN104868182B (zh) 2014-02-21 2015-02-12 电池组
EP15155438.3A EP2911219B1 (en) 2014-02-21 2015-02-17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64A KR102140213B1 (ko) 2014-02-21 2014-02-21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31A KR20150098831A (ko) 2015-08-31
KR102140213B1 true KR102140213B1 (ko) 2020-07-31

Family

ID=5259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64A KR102140213B1 (ko) 2014-02-21 2014-02-21 배터리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5266B2 (ko)
EP (1) EP2911219B1 (ko)
KR (1) KR102140213B1 (ko)
CN (1) CN1048681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01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63B1 (ko) * 2015-02-13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 배터리 어셈블리 및 충전대
US10249916B2 (en) 2015-04-13 2019-04-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nector barrel for a battery module
USD920251S1 (en) 2015-09-10 2021-05-25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JP2017069486A (ja) * 2015-10-01 2017-04-06 太陽誘電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ユニット
JP6756955B2 (ja) * 2015-12-16 2020-09-16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蓄電装置
WO2017179650A1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装置
US10543795B2 (en) 2016-09-02 2020-01-28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D867993S1 (en) 2016-09-02 2019-11-2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CN107887536B (zh) * 2016-09-30 2021-08-20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包
US10971777B2 (en) * 2017-04-11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support assembly and method
KR102168211B1 (ko) * 2017-06-27 2020-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971714B2 (en) * 2019-03-15 2021-04-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pack and a pre-assembled electrical connection unit for the battery pack
CN110098363A (zh) * 2019-05-15 2019-08-06 苏州蓝石新动力有限公司 电池控制模块、电池包结构及运载工具
KR20210017275A (ko)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부 냉각 방식 배터리 팩
KR20210092409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Hv 터미널에 대한 기밀성이 확보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WO2023032562A1 (ko) * 2021-09-01 2023-03-09
KR20230057891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배터리 케이스 제조 방법
WO2024040568A1 (zh) * 2022-08-26 2024-0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壳体、供电装置和车辆
DE102022129456A1 (de) * 2022-11-08 2024-05-08 Man Truck & Bus Se Abdeckung für ein Zellkontaktiersystem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5970A1 (en) 2009-12-03 2011-06-09 Samsung Sdi Co., Ltd. Circuit substrate module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2013175442A (ja) 2012-01-24 2013-09-05 Lithium Energy Japan:Kk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293B2 (ja) 1995-04-18 2000-02-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
KR200147533Y1 (ko) 1995-11-15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극단자 체결구조
JP2003257389A (ja) 2002-03-06 2003-09-12 Sony Corp 電池装置
JP5284053B2 (ja) 2008-11-17 2013-09-11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パック
JP5232840B2 (ja) * 2010-09-03 2013-07-10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01057B1 (ko) * 2010-11-17 2012-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수 배터리 팩
US20120214053A1 (en) 2011-02-18 2012-08-23 Dukjung Ki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2797B2 (en) * 2011-05-25 2016-10-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5970A1 (en) 2009-12-03 2011-06-09 Samsung Sdi Co., Ltd. Circuit substrate module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2013175442A (ja) 2012-01-24 2013-09-05 Lithium Energy Japan:Kk 蓄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01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1219B1 (en) 2018-08-08
US9825266B2 (en) 2017-11-21
CN104868182A (zh) 2015-08-26
EP2911219A1 (en) 2015-08-26
KR20150098831A (ko) 2015-08-31
US20150243946A1 (en) 2015-08-27
CN104868182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213B1 (ko) 배터리팩
EP2495785B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econdary battery
US8535820B2 (en) Battery module
US9530999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2012026399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145093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KR102433361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50066077A (ko) 배터리 모듈
US20170040585A1 (en) Battery pack
US20160211499A1 (en) Battery module
JP2013118160A (ja) 電池セル用ホルダ及び電池セル用ホルダを備えた組電池
US9419261B2 (en) Battery pack
US20120308875A1 (en) Battery module
KR20160049895A (ko) 배터리 팩
US20140308552A1 (en) Battery pack
US20110287289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8679671B2 (en) Integrated sense lead module frame
KR20150107108A (ko) 배터리팩
US9831486B2 (en) Battery module
KR20150070625A (ko) 이차전지 모듈간 가변형 접속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KR101817238B1 (ko) 배터리 팩
EP3404737A1 (en) Battery pack
US20160149198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