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92A -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 Google Patents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92A
KR20150003392A KR20147033720A KR20147033720A KR20150003392A KR 20150003392 A KR20150003392 A KR 20150003392A KR 20147033720 A KR20147033720 A KR 20147033720A KR 20147033720 A KR20147033720 A KR 20147033720A KR 20150003392 A KR20150003392 A KR 20150003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surface tension
thermoplastic material
fibers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471B1 (ko
Inventor
요켄 엔드트너
볼프람 리테크
마티아스 빈뮐러
볼프강 밤바하
Original Assignee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0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1F6/1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from polyvinyl chloride or polyvinylidene chlorid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물질을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지방족 알콜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제조된 공중합체와 혼합하는,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들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로부터 용융-방사 공정에 따라 제조된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THERMOPLASTIC FIBRES WITH REDUCED SURFACE TENSION}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물질을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지방족 알콜,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올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와 혼합하는,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의 제조 방법 및 또한 이들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로부터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수득가능한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생성물은, 섬유상 부직 웹, 부직물, 제직물, 스레드, 얀, 로프, 펠트, 드로운-루프(drawn-loop) 니트, 비-크림프(non-crimp) 패브릭 또는 폼드-루프(formed-loop) 니트이다. 섬유상 부직 웹 또는 부직물이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바람직한 생성물이다. 섬유상 부직 웹은 아직 함께 접합되어야 하는 느슨하게 응집된 섬유로 이루어진다. 섬유상 부직 웹의 강도는 단지 섬유 본래의 부착성에 기초한다. 그러나, 후자는 후처리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섬유상 부직 웹이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기 위해, 이는 콘솔리데이션(consolidation)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단지 콘솔리데이션된 섬유상 부직 웹이 부직물로서 언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별은 구어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직물은 근본적으로 제직물, 드로운-루프 니트, 비-크림프 패브릭 및 폼드-루프 니트와 상이하고, 이는 개개의 섬유 또는 스레드가 제조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으로 레잉(laying)됨으로써 특성화된다. 반면, 부직물은, 위치조절이 단지 통계적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부직물 중의 섬유는 서로 랜덤 배치된다. 부직물은 특히 섬유 물질 (예를 들어 제조 섬유의 경우 중합체), 접합 방법, 섬유 유형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필라멘트 섬유), 섬유 섬도 및 섬유 배향에 따라 분류된다. 섬유는 하나의 우선적 방향으로 소정의 방식으로 퇴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랜덤-레이드(random-laid) 부직물의 경우에서와 같이 완전히 확률적 배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섬유가 그들의 정렬 (배향)에서 우선적 방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등방성 부직물이 고려된다. 섬유가 다른 방향에 비해 한쪽 방향으로 더욱 빈번히 배치되는 경우, 이는 비등방성이라 불린다.
따라서, 부직물은 텍스타일 패브릭이고, 여기서 패브릭 형성이 제직, 폼드-루프 니팅, 드로운-루프 니팅 또는 소정의 레잉에 의해 수행되지 않고, 섬유의 퇴적과 후속 고착에 의해 수행된다. 부직물은, 제직 및 루프-드로잉 니팅 패브릭에 비해, 이들의 용도의 다양성 및 이들의 비교적 낮은 제조 비용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연간 성장률을 갖는다.
부직물의 이점은 높은 비표면적에 있고, 제조 방법은 밀도, 섬유 크기, 기공 크기 또는 두께에 있어 막대한 범위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단편에서 상당한 정도의 등방성을 제공한다. 이들 유리한 특성은 위생 제품, 특히 수술용 드레이프, 시트, 상처 커버링, 거즈 등의 의료용으로, 가정용으로 임의의 종류의 와이프로서, 또한 장식용 천, 특히 테이블보, 냅킨으로서, 의류 산업에서 인터라이닝으로서, 기술적 용도, 특히 절연 매트, 커버링 매트 또는 엔진/자동차 부문에서 필터 매체 (예를 들어, 오일 필터)로서 또는 배터리에서 세퍼레이터로서 수많은 가능한 용도를 허용한다 (WO 2009/103537 A1).
감소된 표면 장력은, 예를 들어, 점점 더 큰 발수 거동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 용도 대부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이는 의류 산업에서 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문에서의 필터 매체에서의 응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펀본디드(spunbonded) 부직물의 제조는 방사 공정 및 웹 형성 방법 사이의 직접적 조합을 구성한다. 용융-방사 및 건조-방사 공정 뿐만 아니라 습윤-방사 공정이 연속-필라멘트 섬유를 기재로 하는 웹 형성에 적합하다. 다수의 섬유-형성 중합체가 부직물에 대한 출발 물질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속-기재 부직물은, 예를 들어 용융-방사에 의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소위 멜트블로운 부직물과 같이). 용융 방사 공정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EP 0 880 988 A1 또는 EP 1 473 070 A1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부직물은 EP 2 090 682 A1 또는 EP 2 092 921 A1에 기재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부직물의 필터 매체로서의 용도가 EP 0 466 381 B1의 청구대상의 부분을 형성한다.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로부터 형성된 열가소성 섬유는, 보조제없이도 폴리올레핀의 본래의 소수성 특징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표면 장력을 갖지만, 비교적 더 극성인 열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에서는 보다 높은 표면 장력이 고려된다. 낮은 표면 장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비교적 고가치의 중합체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의 부분에서의 불충분한 내열성 또는 내약품성으로 인해), 이것이 문제를 일으키는 수많은 응용이 있다. 이는 흔히, 예를 들어 내열성, 기계적 강건성 및 오일 및 자동차 연료에 대한 내약품성과 같은 친숙한 이점을 유지하면서 보다 낮은 표면 장력을 달성한다는 취지로, 심지어 비교적 더 극성인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개질할 수 있는 요망으로 구체화된다.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에 대한 첨가에 의해 방사되는 열가소성 섬유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례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파괴 강도에 대해 DE 19 937 729 A1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첨가제는 단량체 단위로서 특히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코폴리에스테르이다. WO 2005/040257 A1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테이프 및 용융-방사 섬유에서 예를 들어 인장 강도와 같은 이들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함에 있어 유사한 목적이 추구된다. 여기서는 5% 초과의 공중합체 첨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FR-OS 239 746 및 US 3,378,609에는, 제조 완료된 제직물에 플루오린화 중합체의 수성 에멀젼을 적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제직물을 소유성화 및 소수성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EP 0 196 759 A1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폴리에스테르와 실질적인 반응성을 갖지 않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플루오린 기재의 발수 및 발유제를 제공함으로써 개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소수성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WO 2009/152349 A1에는, 특히 기피 첨가제로서 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린화 알킬 기를 기재로 하는 플루오로 화합물을 사용하여 마무리처리된 위생용 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퍼플루오린화 물질과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공중합체가 예로 언급되어 있다. JP 2003 193331 A에는 특히 에틸렌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마무리처리된 고무 강화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가 기재되어 있다.
WO 2005/087868 A1에는,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얻어지고, E/X/Y 공중합체 (여기서, E는 에틸렌을 나타내고, X는 특히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Y는 특히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비닐 에테르를 나타냄)를 사용하여 마무리처리된 섬유일 수 있는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된 폴리아미드 생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끝으로 WO 2008/083820 A1에는, 보다 연성의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사용하여 마무리처리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소프트 얀이 개시되어 있다.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선행 기술 해결책은 모두, 발유 및 발수 거동을 제공하는 표면 장력 변화가 단지 각 경우에 제직물에 보조제를 적용하는 추가의 공정 단계에서 후속적으로 실현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표면에 대한 후속 적용은 상승된 공정 복잡도 뿐만 아니라 상승된 보조제 탈착 또는 세척제거의 위험을 수반하고, 이는 목적한 표면 효과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문제가 되는 환경의 오염, 예를 들어 후처리된 필터 매체의 경우에 여액의 오염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흔히, 매우 고가인 것에 추가로 또한 예를 들어 소각에 의한 회수와 관련하여 가능한 독성에 대해 특별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 플루오린화 화학물질에 의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문제는, 문제의 열가소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생성물의 후처리 없이도 표면 장력 감소가 가능하고 이것이 매우 적은 물질 사용에 의해 달성되도록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를 미리 개질하는 것이다. 또한 개질은 플루오린화 화학물질을 피해야 하고, 색이 중성이어야 하고, 섬유 형성 자체가 허용 불가능하게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표면 장력 감소를 위한 개질은 또한, 첨가되는 보조제가, 존재하는 경우 용융-방사 공정에 대한 결정적인 효과가 없는 사용 수준으로 이들의 유효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얻어진 섬유는 이 상태에서,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생성물로, 특히 섬유상 부직 웹, 부직물, 제직물, 드로운-루프 니트, 비-크림프 패브릭 또는 폼드-루프 니트로 다양하게 추가로 가공가능하여야 한다.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열가소성 물질에 α-올레핀 및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올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E/X 공중합체를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놀랍게도,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E/X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은, 상응하는 열가소성 섬유 및 이들의 파생 생성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고, 따라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들의 파생 생성물에 대한 발수 마무리처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표면 장력의 상당한 감소가 달성되고, 따라서 존재하는 경우 용융 방사에 대한 결정적인 효과가 없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방법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에
99.9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40 중량부,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내지 55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 및
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6 중량부, 특히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wt%의 상기에 정의된 E/X 공중합체
를 기재로 하는 혼합물을 사용한다.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재로 한 섬유가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아미드 기재의 섬유가 폴리아미드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섬유가 폴리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방사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고, 매우 다양한 빌딩 블록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구체적 응용 시나리오에서,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가공 보조제, 안정화제, 중합체 합금 파트너, 특히 엘라스토머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일부 다른 중합체와의 블렌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ABS와의 블렌드가 또한 적합하고, 이 경우 임의로 하나 이상의 상용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의 특성은, 예를 들어 파괴 강도에 대하여, 예를 들어, 특히 저점도 폴리아미드의 파괴 강도에 대하여,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다수의 가능한 조합이 매우 폭넓게 다양한 특성을 갖는 매우 많은 수의 생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아미드는, 목적한 최종 생성물에 따라, 다양한 단량체 빌딩 블록, 표적 분자량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슬 전달제 또는 의도된 후속 후처리를 위한 반응성 기를 갖는 다른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존 절차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산업적 관련 방법은 통상적으로 용융물 중에서의 중축합에 의해 진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축합은 또한 락탐의 가수분해 중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PA)는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5개 이상의 고리원을 갖는 락탐 또는 상응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수득가능한 부분 결정질 폴리아미드이다.
가능한 출발 물질은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디프산, 2,2,4-트리메틸아디프산, 2,4,4-트리메틸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아민, 예컨대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9-노난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이성질체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페닐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아미노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미노카프로산, 및 상응하는 락탐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언급된 단량체의 코폴리아미드도 포함된다.
카프로락탐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고, ε-카프로락탐의 사용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합한 것은, 나일론-6, 나일론-6,6 및 다른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코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고, 폴리아미드 기 당 3 내지 11개의 메틸렌 기를 중합체 사슬 내에 갖는 대부분의 성형 화합물로 더욱 확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는 다른 폴리아미드 및/또는 추가의 중합체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이형제, 안정화제 및/또는 유동 보조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방사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사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방사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모이어티 뿐만 아니라 방향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반응성 유도체의 반응 생성물, 특히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지방족 디올 및 이들 반응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문헌 [Kunststoff-Handbuch, vol. VIII, p. 695 FF, Karl-Hanser-Verlag, Munich 1973]).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을 기준으로 하여, 80 mol%,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의 테레프탈산 라디칼 및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80 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3-프로판디올 및/또는 1,4-부탄디올 라디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라디칼 이외에, 20 mol% 이하의 8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또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특히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1,3-프로판디올/1,4-부탄디올 글리콜 라디칼 이외에, 20 mol% 이하의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메틸-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2,4-트리메틸-1,6-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1,4-디(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3-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함유한다 (DE-A 25 07 674 (= US 4 086 212), DE-A 25 07 776, DE-A 27 15 932 (=US 4 176 224)).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19 00 270 (= US-A 3 692 7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적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콜 또는 3가 또는 4가 카르복실산의 혼입에 의해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다.
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1 mol% 초과의 분지화제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단지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특히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3-프로판디올 및/또는 1,4-부탄디올로부터 형성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2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산 성분으로부터 및/또는 2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알콜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1,4-부탄디올) 테레프탈레이트이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약 0.3 dl/g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4 dl/g 내지 1.3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dl/g 내지 1.0 dl/g의 고유 점도 (모두 25℃에서 1:1 (w/w) 페놀/o-디클로로벤젠 중에서 측정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방사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다른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추가의 중합체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후- 또는 전-소비 재순환물로부터의 재순환 폴리에스테르가 또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보틀(bottle)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재순환물, 소위 PET 코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일례는 독일 베셀리히-오버티펜바흐 소재의 PET 쿤스트스토프리사이클링 게엠베하(PET Kunststoffrecycling GmbH)로부터의 PET 플러스(PET Plus)80®로 나타난다.
15 mol% 이하의 다른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디올, 특히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다른 어떠한 C2-4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폴리(C2-4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용융 방사에서 폴리에스테르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0.5 내지 1.4 dl/g 범위의 고유 점도 (I.V.)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7 내지 1.6 dl/g의 I.V.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0.5 내지 1.8 dl/g의 I.V.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며, 0.6 내지 1.0 dl/g 범위의 고유 점도 (I.V.)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0.6 내지 0.9 dl/g의 I.V.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방사되는 열가소성 물질은, 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E과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의 E/X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공중합체의 구성요소 E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텐, 프로펜,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3-메틸-1-펜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텐 및 프로펜이고, 에텐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된 α-올레핀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E/X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은 50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wt%이다.
E/X 공중합체는 또한, α-올레핀에 추가로 제2 구성요소에 의해 정의된다. 알킬 또는 아릴알킬 기가 5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로부터 형성되고, 존재하더라도 단지 최소 농도의 에폭시드, 옥세탄, 무수물, 이미드, 아지리딘, 푸란, 산, 아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가 제2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알킬 또는 아릴알킬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또한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 관능기로 치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적합한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또한, 단지 1개의 히드록실 기 및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또는 올리고프로필렌 글리콜 기재의 알콜 성분으로부터 합성된 것들을 포함한다.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1-헥실, 2-헥실, 3-헥실, 1-헵틸, 3-헵틸, 1-옥틸, 1-(2-에틸)헥실, 1-노닐, 1-데실, 1-도데실, 1-라우릴 또는 1-옥타데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알킬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분지화된 알킬 기가 바람직하며, 이는 동일한 탄소 원자수를 갖는 선형 알킬 기에 비해 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 TG를 제공한다.
α-올레핀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된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목적상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한 적합하다.
공중합체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함량은 10 내지 50 wt%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wt%의 범위이다.
특히 적합한 공중합체는 아르케마(Arkema)로부터 상표명 로트릴(Lotryl)® EH로 입수가능한 물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의 일부는 또한 고온-용융 접착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에틸렌 및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X의 E/X 공중합체를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기재의 섬유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에틸렌 및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X의 E/X 공중합체를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섬유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에틸렌 및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X의 E/X 공중합체를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기재의 섬유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방사에 의해 가공되는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혼합물에 첨가되는 공중합체 양은, 예를 들어, 상기에서 특정되었고, 이것이 ≤ 6 wt%이면 대부분의 경우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난다. 공중합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복굴절이 < 3.5·10-3이 되도록 목적한 테이크-오프(take-off) 속도 (> 700-1500 m/min)에 따라 0.75 내지 6.0 wt%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유형의 섬유 복굴절은 5:1의 연신비를 가능하게 하고, 1500 m/min 이하의 방사 테이크-오프 속도에 관계없이 3800 m/min 훨씬 초과의 권취 속도에서 목적한 높은 스레드 인성을 보장한다.
통상의 첨가 물질, 바람직하게는 염료, 추가의 소수성화제, 소광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분지화제를 0.001 내지 5.0 wt%의 양으로 본 발명의 열가소성 물질-공중합체 혼합물에 안전하게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염료는 분산 염료, 특히 아조 염료 기재의 것들 또는 매우 미분된 카본 블랙 기재의 것들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광제는, 또한 유기 또는 무기 표면 처리를 가질 수 있는, 0.25 내지 0.35 ㎛의 평균 입자 크기 [d50]를 갖는 미세결정 아나타제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예컨대 독일 만하임 소재의 라인케미(Rheinchemie)로부터의 스타박솔(Stabaxol) P, 뿐만 아니라 유기 포스파이트 유도체 기재의 열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대전방지제는, 특히, 미분된 전도성-등급 카본 블랙 또는 카본 나노튜브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는, 특히, 장쇄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이들의 염,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스테아르산아연, 및 또한 이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또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몬탄 왁스는 28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직쇄 포화 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의 군으로부터의, 및 또한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2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포화 아민 또는 알콜의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PETS)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PETS)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지화제는 용융가능한 개질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예컨대 벨기에 에버베르크 소재의 훈츠만(Huntsman)으로부터의 아랄다이트(Araldite) GY764CH 또는 아랄다이트 GT7071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를, 배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서의 성분 혼합에 의해, 정적 혼합기를 사용하여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서로 혼합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해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중합체와 혼합한다. 용융물을 또한 임의로 스트랜드 압출하고, 냉각시키고, 펠릿화할 수 있다.
마스터배치 기술이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공중합체를 농축물로서 또는 순수 물질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과 혼합한다.
그러나, 개개의 성분들을 방사 또는 용융블로잉 설비에서 직접 혼합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성분들을 물리적 예비혼합물로서 하나의 공급 포트를 통해 또는 별도로 2개 이상의 공급 포트를 통해 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행가능한 가능성은, 이들을 매트릭스 중합체의 서브스트림에 첨가하고, 이어서 이를 매트릭스 중합체의 주 스트림에 혼합시키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용융 혼합물이 생성물 분포 라인을 통해 개개의 방사 스테이션 및 방사 다이로 전달되기 전에, 특정 혼합기의 선택 및 혼합 작업의 지속기간에 의해 여기서 소정의 분포가 확립된다. 16 내지 128 sec-1의 전단 속도를 갖는 혼합기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다. 사실상, 전단 속도 (sec-1)와 체류 시간 (sec)의 0.8 제곱의 곱은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1250의 범위여야 한다. 배관 라인에서의 압력 강하를 제한하기 위해 2500 초과의 값은 일반적으로 피한다. 물론, 본원에서 열가소성 물질은 용어 중합체의 사용을 나타냄을 인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전단 속도는 겉보기 전단 속도 (sec-1)에 혼합기 인자를 곱한 것으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혼합기 인자는 혼합기 유형에 대한 특징적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슐저(Sulzer) SMX 유형의 경우, 이 인자는 약 7 내지 8이다. 겉보기 전단 속도 γ은 하기 식:
Figure pct00001
에 따라 산출되고, 체류 시간은 하기 식:
Figure pct00002
에 따라 산출된다.
상기 식에서,
F = 중합체 펌프 속도 (g/min)
V2 = 비어있는 튜브의 내부 부피 (㎤)
R = 비어있는 튜브 직경 (mm)
ε = 비어있는 부피 분율 (슐저 SMX 유형의 경우 0.84 내지 0.88)
δ = 용융물 중의 중합체 혼합물의 공칭 밀도 (약 1.2 g/㎤)이다.
중합체의 혼합 뿐만 아니라 중합체 혼합물의 후속 방사도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각각 매트릭스 중합체의 용융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한 온도 셋팅은 PET에 대해서는 265 내지 340℃이고, 나일론-6 및 PBT에 대해서는 225 내지 300℃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섬유상 부직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플랜트에서 제조된다. 여기서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성분들을 가열하고, 이들에 고압을 적용한다. 적합한 필터 어셈블리에 의한 임의의 예비여과 후, 이어서 용융물을 방사 펌프에 의해 정확히 계량된 속도로 방사구를 통해 가압한다. 중합체는 여전히 용융 형태로 미세 섬유 (이는 또한 텍스타일 용어로는 필라멘트라 불림)로서 다이 플레이트로부터 배출된다. 공기 스트림은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고, 이를 여전히 용융물 상태로 신장시킨다. 공기 스트림은 필라멘트를, 예를 들어 체(sieve)로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또는 다공성 드럼 상으로 또는 예를 들어 종이와 같은 도입 기재 상으로 이송한다. 체 벨트 하부의 통풍은 스레드가 고착되게 한다. 이러한 섬유의 랜덤-레이드 시트는 콘솔리데이션을 필요로 하는 섬유상 부직 웹이다. 콘솔리데이션은, 예를 들어, 2개의 가열 롤 (캘린더)에 의해 또는 진공 스트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캘린더를 사용하여 콘솔리데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2개의 롤 중 하나는 통상적으로 도트, 짧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도트로 이루어진 조각(engraved) 패턴을 갖는다. 필라멘트는 접촉점에서 융합되어 부직 패브릭을 형성한다. 단지 이 기술 (열접합)에 의해서는 비교적 경량인 부직 패브릭이 수득가능하지만, 소위 고착 오븐을 통과하는 동안 고온-용융 접착제를 용융시킴으로써 제2 혼입 저융점 중합체에 의해서는 비교적 중량인 부직 패브릭이 생성되고, 매트릭스 섬유는 통상적으로 이들의 교차점에서 함께 접합되어 부직물에 대해 목적한 인성을 보장한다. 콘솔리데이션은 또한, 400 bar 이하의 수압에서 아직 콘솔리데이션되지 않은 웹 상에 물을 분사 충돌시키는 하이드로엔탱클링(hydroentangling)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멜트블로운 방법은 전형적으로 하기 파라미터로 작업된다:
섬유 직경: 0.1 ㎛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웹 폭: 최대 5000 내지 6000 mm
공기 온도: 23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90℃ 내지 370℃
공기 속도: 음속의 0.5 내지 0.8배
기본 중량: 8 내지 350 g/㎡, 전형적으로 20 내지 200 g/㎡
방사구 내 홀 Ø: 100 내지 500 ㎛ (1 내지 6개의 홀/mm).
고-인성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 700 m/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1000 m/min 범위의 테이크-오프 속도에서의 방사, 및 상응하는 속도에서의 연신, 열-경화 및 권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생성된다. 이는 자체 공지된 방사 수단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고-인성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전형적으로, 용융물을 가열 생성물 라인을 통해 개개의 방사라인으로, 또한 방사라인 내의 개개의 방사 시스템으로 분포시키는 대형 직접-용융 방사 설비에서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방사라인은 일련의 방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열이며, 방사 시스템은, 방사 다이 플래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사 다이 팩을 함유하는 방사헤드를 갖는 최소 방사 유닛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용융물을 높은 수준의 열 응력으로 최대 35 min의 체류 시간으로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 장력 감소에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유효성은, 공중합체의 높은 열 안정성으로 인해 유의하게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목적한 표면 장력 감소에 따라, 심지어 소량, 예를 들어 ≤ 2.0%, 또한 많은 경우에 심지어 ≤ 1.5%의 첨가제이면 충분하다 (높은 열 응력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다이 팩은 바람직하게는, 다이 직경 1 미터 당 20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500개, 또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개의 다이 홀을 갖는다. 0.05 내지 1 mm, 또한 특히 0.3 내지 0.5 mm의 다이 홀 직경이 바람직하다.
다이 배출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m/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min의 범위이다. 열기의 블로잉 스트림은 압출 스레드가 바람직하게는 그의 다이 배출 후 길이의 50 내지 800배로 연신되게 하고, 이는 10,000 m/min 이하의 방사 속도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또는 폴리아미드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지방족 알콜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가 첨가된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용융 방사함으로써 수득가능한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하나 이상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가 첨가된, 본 발명의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각각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또는 폴리아미드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수득가능한 생성물, 바람직하게는 섬유상 부직 웹, 부직물, 제직물, 드로운-루프 니트, 비-크림프 패브릭 또는 폼드-루프 니트, 특히 섬유상 부직 웹 또는 부직물에 관한 것이다.
명확성을 위해, 일반적 용어로 또는 바람직한 조합으로 상기에 언급된 모든 정의 및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의의 목적한 조합으로 포함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표면 장력은 극성이 상이한 액체에 의한 이들의 습윤성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섬유 생성물에 대한 표면 장력 측정을 위한 추가의 가능한 방식은, 적합한 장력계를 사용하여 섬유 생성물에 의해 흡수된 액체 매질 (예를 들어, 물 또는 시클로헥산)의 흡수 동력학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물질의 표면 장력 감소는, 정확한 표면 장력 측정에 대한 모델 시스템으로서 제공되는 사출-성형 플레이트에서 정량적으로, 또한 멜트블로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상 부직 웹에서 정성적으로 입증된다.
사출-성형 플레이트에서의 감소된 표면 장력의 측정:
본 발명에 기재된 표면 장력 감소를 예시하기 위해, 상응하는 성형 화합물을 먼저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개개의 성분들을 250 내지 285℃의 온도에서 2축 압출기 (코페리온 베르너 & 플라이더러(Coperion Werner & Pfleiderer, 독일 스투트가르트 소재)로부터의 ZSK 26 메가 컴파운더(ZSK 26 Mega Compounder))에서 혼합하고, 스트랜드 압출하고, 펠릿화가능 시점까지 냉각시켜, 펠릿화하였다. 건조 (일반적으로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80℃에서 2 내지 6 h) 후, 펠릿을 시편으로 가공하였다.
표 1 및 2에 기록된 시험을 위한 시편 (60*40*4 mm 또는 150*105*1.0 mm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을 약 260℃의 용융 온도 및 약 80℃의 성형 온도에서 아르버르그(Arburg) 320-210-500 유형의 사출-성형 기계에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물질로부터 얻어진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표면 장력을 단순 및 재현가능 방식으로 시험 잉크를 사용하여 DIN ISO 8296에 따라 측정하였다.
DIN ISO 8296에 따른 표면 장력은 일반적으로 ASTM D 2587-84에 따라 얻어진 값과 유사하지 않다. 표면 장력 값은 nN/m (= dyn/cm)로 기록된다.
시험 방법은, 시편의 중합체 표면이 다양한 표면 장력을 갖는 잉크에 의해 습윤화되는 정도의 평가에 기초한다. 보틀 경계에 부착된 어플리케이터를 시험 잉크 내에 침지시키고, 보틀 림에 대해 브러싱하고, 이를 사용하여 잉크를 시험 중인 표면에 지연없이 적용한다. 스트로크 길이는 100 mm 이상이어야 한다. 스트로크 연부의 거동을 90%의 길이에 걸쳐 평가하여, 최소의 불균일성이 고려되지 않게 한다. 잉크 스트로크가 2초 미만 내에 수축되면, 연부가 2초 동안 지속될 때까지 보다 낮은 표면 장력의 잉크로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 잉크 스트로크가 2초 초과 동안 변하지 않고 유지되면, 2초에 도달할 때까지 보다 높은 표면 장력의 잉크로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 이어서, 보틀 상에 나타난 값은 시험 플레이트의 표면 에너지에 상응한다. 시험을 23/50 표준 조건, 즉 23℃ +/- 2℃의 공기 온도 및 50% +/- 10%의 상대 습도 하에 수행하여야 한다.
본 시험을, 독일 함부르크 소재의 소프탈 일렉트로닉 게엠베하(Softal Electronic GmbH)로부터의 시험 잉크 (소프탈 리포트(Softal Report) 번호 108 참조)로 수행하였다.
섬유상 부직 웹에서의 표면 장력 측정:
본 발명의 방식으로 열가소성 섬유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멜트블로운 장치를 사용하여 약 55 g/㎡의 기본 중량을 갖는 섬유상 부직 웹을 제조하였다. 시험을 약 275℃의 용융 온도 및 약 360℃의 열기 스트림에서 수행하였다. 300 ㎛의 다이 직경으로부터 약 1 ㎛의 평균 섬유 두께가 얻어지도록 용융물 처리량과 공기 부피 유량 사이의 비율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기재된 섬유상 부직 웹은 단지 사용된 특정 중합체 조성이 상이하였고, 모든 다른 파라미터 및 그에 따라 부직물 파라미터, 예컨대 기본 중량, 기공 크기, 섬유 배향 및 섬유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각각의 쌍에서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표면 장력의 정성 평가를 위해, 수액적을 섬유상 부직 웹에 적용하였다. 수액적으로의 웹의 빠른 습윤화는 높은 수준의 표면 장력 (친수성 거동)을 나타내며, 표면 상에서의 액적 형상 유지는 낮은 수준의 표면 장력을 시사한다. 추가의 구별을 달성하기 위해, 공기 스트림을 액적에 적용하였다. 액적이 수막 형태로 자취를 남기는 경우, 표면 장력이 비교적 높다고 정성적으로 요약될 수 있고; 액적이 가시적인 물의 자취를 남기지 않고 섬유상 부직 웹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경우, 비교적 낮은 수준의 표면 장력을 갖는다고 요약될 수 있다 (표 3 참조).
하기 성분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성분 A1: 약 69 ㎤/g의 고유 점도 (25℃에서 1:1 페놀:1,2-디클로로벤젠 중에서 측정됨)를 갖는 선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Lanxess Deutschland GmbH)로부터의 포칸(Pocan)® B600)
성분 A2: 약 94 ㎤/g의 고유 점도 (25℃에서 1:1 페놀:1,2-디클로로벤젠 중에서 측정됨)를 갖는 선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로부터의 포칸® B1300)
성분 A3: 약 80 ㎤/g의 고유 점도를 갖는 PET 공중합체 (독일 베셀리히-오버티펜바흐 소재의 PET 쿤스트스토프리사이클링 게엠베하로부터의 PET 플러스 80)
성분 A4: 나일론-6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로부터의 두레탄(Durethan)® B40F)
성분 B1: 63 wt%의 에텐 분율 및 550의 MFI를 갖는 에텐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프랑스 쀼또 소재의 아르케마로부터의 로트릴® 37 EH 550) [CAS 번호 26984-27-0]
성분 B2: 65 wt%의 에텐 분율 및 320의 MFI를 갖는 에텐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프랑스 쀼또 소재의 아르케마로부터의 로트릴® 35 BA 320) [CAS 번호 25750-84-9]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높은 값은 높은 수준의 표면 장력을 나타내고, 따라서 친수성 거동을 나타내며, 물질은 표면 장력 값이 감소함에 따라 점점 더 소수성이 된다. 실시예는, 표면 장력이 30 mN/m의 한계까지만 감소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여기서 30 mN/m의 값은 포화점을 나타낸다. 선행 기술 (비교 실시예 5에서의 성분 B2)에서는, 이 한계가 단지 6 wt%의 에틸렌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서 달성된다. 단지 3 wt%가 사용되는 경우, 표면 장력은 단지 34 mN/m로 감소될 수 있다. 성분 B1과 성분 B2의 표면 장력 비교는, 성분 B1, 즉 에틸렌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예를 들어 3 wt%의 매우 낮은 적용량 수준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단지 30 mN/m의 매우 낮은 표면 장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성분 B1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액적의 부착이 크게 감소된다는 사실은, 물에 의한 웹의 습윤성이 크게 감소함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는 웹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의 표면 장력 감소를 나타낸다. 단지 1 wt%의 성분 B1이면 이것이 결정적인 소수성 증가를 달성하기에 충분하다.

Claims (10)

  1. 열가소성 물질에 α-올레핀 및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E/X 공중합체를 첨가하고, 용융-방사 공정에 의해 방사하며, 여기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특히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가 지방족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에서 99.9 내지 10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 및 0.1 내지 20 중량부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에텐, 프로펜,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3-메틸-1-펜텐, 바람직하게는 에텐 및 프로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텐,및 또한 이들 α-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이 50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공중합체 혼합물에 통상의 첨가 물질, 바람직하게는 염료, 추가의 소수성화제, 소광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분지화제를 0.001 내지 5.0 wt%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에, 에틸렌 및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지방족 알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E/X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의 E/X 공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X의 E/X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의 열가소성 물질 기재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α-올레핀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E/X 공중합체의 용도.
KR1020147033720A 2012-05-04 2013-05-03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KR101965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66834.7 2012-05-04
EP12166834.7A EP2660372A1 (de) 2012-05-04 2012-05-04 Thermoplastfasern mit reduzierter Oberflächenspannung
PCT/EP2013/059259 WO2013164452A1 (de) 2012-05-04 2013-05-03 Thermoplastfasern mit reduzierter oberflächenspan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92A true KR20150003392A (ko) 2015-01-08
KR101965471B1 KR101965471B1 (ko) 2019-04-03

Family

ID=4840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20A KR101965471B1 (ko) 2012-05-04 2013-05-03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84231A1 (ko)
EP (2) EP2660372A1 (ko)
JP (1) JP6290183B2 (ko)
KR (1) KR101965471B1 (ko)
CN (1) CN104350188A (ko)
HU (1) HUE057122T2 (ko)
WO (1) WO2013164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7905B (zh) * 2019-08-21 2020-10-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未包含金屬成分的深色紅外線反射纖維、其製造方法、及深色紅外線反射纖維紡織品
CN113789004B (zh) * 2021-07-28 2023-07-07 广东金发科技有限公司 一种热塑性合金材料及其在塑料模具制备中的应用和制备的手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336A (en) * 1977-08-02 1982-03-23 Bayer Aktiengesellschaft High impact polyamide blends
JP2002020931A (ja) * 2000-07-07 2002-01-23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
JP2004183196A (ja) * 2002-11-19 2004-07-02 Toray Ind Inc 軽量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2004277932A (ja) * 2003-03-17 2004-10-07 Toray Ind Inc 軽量性に優れた複合繊維の製造方法
WO2005087868A1 (en) * 2004-03-05 2005-09-22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copolymer-modified polyamide product
WO2008073101A1 (en) *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s for use in forming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5437A (ko) 1961-05-03
US3700751A (en) * 1967-06-19 1972-10-24 Gerhard Mueller Molding material from polyamide and acrylic ester of a t-aliphatic alcohol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US4035958A (en) 1973-03-30 1977-07-19 Tokyo Kosei Kaken Co. Ltd. Mobile floor cleaning and polishing device
JPS5039599B2 (ko) 1973-03-30 1975-12-18
DE2407776A1 (de) 1974-02-19 1975-09-04 Licentia Gmbh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DE2715932A1 (de) 1977-04-09 1978-10-19 Bayer Ag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FR2539746B1 (fr) 1983-01-21 1986-01-10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de polymeres acryliques ignifug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JPS61194275A (ja) 1985-02-25 1986-08-28 帝人株式会社 撥水性を有する制電ポリエステル織編物
JP2581994B2 (ja) 1990-07-02 1997-02-19 チッソ株式会社 高精密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5022579A1 (en) * 1994-02-16 1995-08-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toughened polyamides
KR100452179B1 (ko) 1996-09-25 2005-06-02 칫소가부시키가이샤 정밀도가높은실린더형필터
DE19937729A1 (de) 1999-08-10 2001-02-15 Lurgi Zimmer Ag Hochfeste Polyesterfäd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3193331A (ja) * 2001-12-19 2003-07-09 Unitica Fibers Ltd 耐アミン性を有するゴム補強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WO2003066193A1 (fr) 2002-02-07 2003-08-14 Bridgestone Corporation Filtre de nettoyage de fluide et dispositif de filtre
WO2005040257A1 (en) * 2003-10-21 2005-05-06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copolymer modified oriented polyester films, tapes, fibers and nonwoven textiles
CN1898306A (zh) * 2003-10-21 2007-01-17 纳幕尔杜邦公司 乙烯共聚物改性的取向聚酯薄膜、带、纤维以及非织造纺织品
DE502005006539D1 (de) * 2004-06-08 2009-03-12 Lanxess Deutschland Gmbh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ssfähigkeit
MY145424A (en) * 2005-02-07 2012-02-15 Ciba Holding Inc Functionalized esters, amides or urethanes of perfluorinated alcohols or amines as surface modifiers
DE102005050958A1 (de) * 2005-10-25 2007-04-26 Lanxess Deutschland Gmbh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ßfähigkeit
JP5112678B2 (ja) 2006-11-27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JP5080074B2 (ja) 2006-12-12 2012-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8083820A1 (en) * 2007-01-10 2008-07-17 Balta Industries Nv Production of soft yarns
KR101239310B1 (ko) * 2008-01-18 2013-03-05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산소 흡수성 용기
RU2485634C2 (ru) 2008-02-20 2013-06-20 Карл Фройденберг Кг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сшивающий материал
US20110189463A1 (en) * 2008-06-12 2011-08-04 Moore Eric M Melt blown fine fi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DE102008032205A1 (de) * 2008-07-09 2010-01-14 Lanxess Deutschland Gmbh Fließverbesserte Thermoplasten
CN102597107B (zh) * 2009-08-27 2015-09-16 梅塔玻利克斯公司 增韧的聚羟基烷酸酯组合物
BR112012014963A2 (pt) * 2009-12-17 2018-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não tecidas dimensionalmente estáveis e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as mesma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336A (en) * 1977-08-02 1982-03-23 Bayer Aktiengesellschaft High impact polyamide blends
JP2002020931A (ja) * 2000-07-07 2002-01-23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
JP2004183196A (ja) * 2002-11-19 2004-07-02 Toray Ind Inc 軽量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2004277932A (ja) * 2003-03-17 2004-10-07 Toray Ind Inc 軽量性に優れた複合繊維の製造方法
WO2005087868A1 (en) * 2004-03-05 2005-09-22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copolymer-modified polyamide product
WO2008073101A1 (en) *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s for use in forming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0183B2 (ja) 2018-03-07
KR101965471B1 (ko) 2019-04-03
EP2844788A1 (de) 2015-03-11
HUE057122T2 (hu) 2022-04-28
CN104350188A (zh) 2015-02-11
JP2015520806A (ja) 2015-07-23
EP2660372A1 (de) 2013-11-06
WO2013164452A1 (de) 2013-11-07
US20150084231A1 (en) 2015-03-26
EP2844788B1 (de)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12239B2 (en) Fine fibers made from polymer crosslinked with resinous aldehyde composition
TWI414649B (zh) 具有提昇之可逆熱性質之多成分纖維及其織物
US20110262683A1 (en) Polymer alloy fiber and fiber structure
US20060093819A1 (en) Polyester monofilaments
CN1411520A (zh) 熔纺聚酯非织造薄片
EP2844791B1 (en) Process for making non-woven fabrics using polylactide resin blends
WO2013044014A1 (en) Fibers made from soluble polymers
KR101965471B1 (ko) 감소된 표면 장력을 갖는 열가소성 섬유
KR20140119351A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EP2893063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polypropylene-based fibres
JP2007303012A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基布およびこの基布を用いた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KR20150113327A (ko) 파일사 파지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JP3728499B2 (ja) 芯鞘型複合繊維
JP2005248390A (ja) ポリ乳酸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4240255A (ja) ニードルパンチング加工性に優れた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