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982U - 식물 보호 용기 - Google Patents
식물 보호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982U KR20150001982U KR2020130009448U KR20130009448U KR20150001982U KR 20150001982 U KR20150001982 U KR 20150001982U KR 2020130009448 U KR2020130009448 U KR 2020130009448U KR 20130009448 U KR20130009448 U KR 20130009448U KR 20150001982 U KR20150001982 U KR 201500019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sh water
- plant protection
- communication hole
- water groov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 보호 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는 저부 둘레가 토양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통 모양으로 마련된 몸통; 상기 몸통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되,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기 몸통 내부와 외부 사이를 소통시키는 소통구멍을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몸통의 하단 내측에 상부로 개방되되도록 마련된 담수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물 보호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된 종자나 밭으로 옮겨지도록 정식된 유묘는 조류나 곤충에 의해 멸실되는 경우가 많으며, 바람이 심하고 기온이 낮거나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제대로 성장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파종된 종자나 정식된 유묘를 주변의 다른 생물이나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식물 보호 용기가 등장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9299호는 이와 같은 종래 식물 보호 용기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식물 보호 용기는 하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어 종자나 유묘를 덮은 상태로 토양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식물 보호 용기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햇빛을 차단하지 않게 되며, 전체적으로 다수의 미세 구멍을 구비하여 수분이나 공기가 내부로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식물 보호 용기는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이 저부의 토양이나 다수의 미세구멍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수시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한 하므로, 비가 오지 않는 시기나 물을 자주 공급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종자나 유묘가 간편하게 관리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파종된 종자나 정식된 유묘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관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종자나 유묘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식물 보호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부 둘레가 토양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통 모양으로 마련된 몸통; 상기 몸통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되,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기 몸통 내부와 외부 사이를 소통시키는 소통구멍을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몸통의 하단 내측에 상부로 개방되되도록 마련된 담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담수홈은 상기 몸통의 하단 내주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식물 보호 용기는 상기 담수홈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 상단은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복수의 배수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통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리브는 하단이 상기 담수홈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담수홈 상부에는 망이 설치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담수홈 상부에는 망이 설치되되, 상기 식물 보호 용기는 상기 담수홈의 외측 둘레를 구성하는 외측벽과, 상기 담수홈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과, 담수홈의 저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외측벽과 내측벽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담수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수체는 상기 망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 하단 내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소통구멍은 상기 덮개 외주 쪽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소통구멍의 위치는 상기 담수홈 직상부일 수 있다.
상기 덮개 저면에는 상기 소통구멍과 상기 몸통 내부 사이의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소통구멍을 가리되, 상기 소통구멍을 통해 상기 몸통 내부로 안내된 유체를 상기 몸통의 내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용 용기는 몸통의 하단 내주에 물의 저장을 위한 담수홈이 마련되어 몸통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 중 일부가 토양으로 바로 배수되지 않고 몸통 내부에 보다 장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관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 보호 용기에 의해 보호되는 종자나 유묘의 관리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로 담수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로 담수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A)는 토양(a)에 파종된 종자나 정식된 유묘 등의 어린 식물(p)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저부 둘레가 토양(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통 모양으로 마련된 몸통(100)과, 몸통(10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덮개(200)를 구비한다.
몸통(100)과 덮개(200)는 금속이나 자기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으나, 대량 생산이 적합하고 소재비 절감에 유리하도록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식물 보호 용기(a)를 설치할 때는 파종된 종자나 정식된 유묘가 몸통(100)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몸통(100) 저부를 종자나 유묘 둘레의 토양(a)에 삽입되도록 박아 고정시키게 되며, 덮개(100)는 토양(a)에 고정된 몸통(100) 상부를 덮게 된다. 토양(a)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통(100)은 저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식물 보호 용기(a) 내부의 종자나 유묘 등의 식물(p)은 몸통(100)과 덮개(200)에 의해 주변이 전체적으로 가려지게 되므로, 조류나 곤충에 의해 멸실될 우려가 거의 없게 되고, 바람이나 외부 기온변화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받을 수 있게 된다.
식물 보호 용기(A) 내부의 식물로 햇빛이 전달될 수 있게 덮개(200)는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에에서 덮개(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출물로 마련되어 광투과를 허용하게 된다.
또 식물 보호 용기(A) 내부의 식물(p)로 공기나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덮개(200)에는 몸통(100) 내부와 외부 사이를 소통시키기 위한 소통구멍(210)이 마련된다. 이때 수분은 작업자가 공급하는 물이나 빗물이 될 수 있다. 물론 덮개(200)가 개방된 몸통(100) 내부에 바로 물을 붓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소통구멍(210)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몸통(100) 내부 식물(p)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소통구멍(210)은 직경크기가 2~4mm 범위 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소통구멍(210)의 크기는 유체의 통과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파종된 종자나 유묘를 자주 손실시키는 조류나 곤충의 크기를 감안하여 이들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소통구멍(210) 둘레로는 이물 등이 덮개(200) 표면을 따라 소통구멍(210)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장리브(21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A)에 있어서, 몸통(100)의 하단 내주에는 물의 저장을 위한 담수홈(30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담수홈(300)은 몸통(100)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 중 일부가 토양(a)으로 바로 배수되지 않고 몸통(100) 내부에 보다 장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수분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관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 보호 용기(A)를 통해 보호되는 식물(p)의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담수홈(300)은 몸통(100)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 중 일부가 몸통(100)의 하단 둘레에 저장되도록 몸통(100)의 하단 내주 둘레를 따라 상부로 개방되게 마련되어 내부에 저장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비가 자주 오지 않거나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몸통(100) 내부 식물(p)이나 식물(p) 주변 토양(a)의 습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몸통(100) 하단 내주에는 담수홈(300)의 저부를 구성하는 바닥판(410)이 수평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며, 바닥판(410)의 끝단으로부터는 담수홈(300)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420)이 상부로 소정길이 수직 연장된다. 따라서 담수홈(30)은 몸통(100)의 내벽 하단과, 바닥판(410) 및 내측벽(4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도록 몸통(100)과 일체로 마련된다.
담수홈(300)에 가득 차게 되어 몸통(100) 내부로 흘러넘치게 되는 물이 몸통(100) 내부 식물(p) 주변의 토양(a)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내측벽(420) 상단은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복수의 배수부(421)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421)는 내측벽(420) 상단 일부가 오려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몸통(100)의 내면에는 얇은 사출로 마련되는 몸통(100)의 강성을 보강하여 토양(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몸통(10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리브(110)가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리브(110)는 몸통(100)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돌출리브(110)는 몸통(100)이 토양(a)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벽(420)을 지지할 수 있게 하단이 담수홈(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돌출리브(110)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몸통(100) 저부를 토양(a)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내측벽(420)이 토양(a)에 의해 몸통(100) 내면 쪽으로 가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몸통(100)을 토양(a)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담수홈(300)의 부피가 정해진 사이즈보다 작아지는 것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돌출리브(110)는 몸통(1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하단이 내측벽(420)과 완전히 붙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통(100)이 토양(a)에 삽입된 상태에서 담수홈(300) 주변의 토양(a)이 담수홈(300) 내부로 유입되면, 담수홈(300) 내부에 저장된 수분이 외부로 유실되면서 담수홈(300)의 수분저장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B)가 도시된 도 5와 같이, 개방된 담수홈(300)의 상부에는 담수홈(300) 상부로 유동될 수 있는 토양(a)이 담수홈(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망(500)을 설치할 수 있다. 망은 내주가 내측벽(420)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주가 몸통(100) 내면에 지지된 상태로 몸통(100) 내부 담수홈(300)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재질의 원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C)와 같이, 담수홈(300)은 몸통(100′)과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몸통(100′) 하단 내주에 결합되는 담수체(400)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망(500′)은 천 재질의 그물로 구성되어 몸통(100′)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담수체(4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담수체(400)는 담수홈(300)의 외측 둘레를 구성하는 외측벽(430)과, 담수홈(300)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420)과, 담수홈(300)의 저부를 구성하도록 외측벽(430)과 내측벽(420)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판(410)을 구비여 전체적으로 링모양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물 형태의 망(500′)은 접착제 등을 통해 담수홈(300)의 개구를 덮은 상태로 담수체(400)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다. 망(500′)이 고정된 담수체(400)는 외측벽(430) 외면을 통해 몸통(100′)의 하단 내면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측벽(430)과 외면과 몸통(100′)의 하단 내면에는 각각 수나사(431)와 암나사(120)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보호 용기(D)에 관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구멍(210′)은 담수홈(300)의 직상부 또는 담수홈(300)의 바깥쪽 위치에 대응하는 덮개(200′)의 외주 쪽에 배치된 복수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는 적은 량의 비가 내리게 되는 경우에도, 소통구멍(210′)을 통해 몸통(10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대부분 담수홈(300)으로 바로 들어가거나, 몸통(100) 내면을 따라 담수홈(300)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됨에 따라 강우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담수홈(300)에 적절한 량의 수분을 수집하여 확보하기가 용이해 진다.
또 도 9 내지 도 10을 통해 도시한 제5실시 예와 같이, 소통구멍(210)을 덮개(200″) 중앙에 마련하는 경우에라도 덮개(200″) 저면으로 소통구멍(210)과 몸통(100) 내부 사이의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소통구멍(210)을 가리면서 소통구멍(210)으로 안내된 유체를 몸통(100)의 내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600)을 설치할 경우, 덮개(200″) 중앙의 소통구멍(210)을 통해 몸통(100) 내부로 유입되는 소량의 물은 안내판(600)을 따라 몸통(100) 내면으로 안내되어 고스란히 담수홈(300)으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내판(600)은 덮개(200″) 저면으로 덮개(2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610)를 통해 덮개(200″)와 일체로 연결되며, 연결부(6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되어 소통구멍(210)을 통해 안내판(600) 상면으로 전달된 물이 연결부(610) 사이를 통해 안내판(6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물 보호 용기(E)의 구조에서는 덮개(200″) 저면과 안내판(600) 외곽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함에 따라 보다 작은 크기의 조류나 곤충이 식물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 식물 보호 용기
100: 몸통
110: 돌출리브 200: 덮개
210: 소통구멍 300: 담수홈
110: 돌출리브 200: 덮개
210: 소통구멍 300: 담수홈
Claims (8)
- 저부 둘레가 토양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통 모양으로 마련된 몸통;
상기 몸통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되,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을 통해 상기 몸통 내부와 외부 사이를 소통시키는 소통구멍을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몸통의 하단 내측에 상부로 개방되되도록 마련된 담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홈은 상기 몸통의 하단 내주 둘레를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홈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 상단은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복수의 배수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리브는 하단이 상기 담수홈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담수홈 상부에는 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담수홈 상부에는 망이 설치되되,
상기 담수홈의 외측 둘레를 구성하는 외측벽과, 상기 담수홈의 내측 둘레를 구성하는 내측벽과, 담수홈의 저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외측벽과 내측벽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바닥판을 구비하는 담수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수체는 상기 망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몸통 하단 내주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부호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구멍은 상기 덮개 외주 쪽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소통구멍의 위치는 상기 담수홈 직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저면에는 상기 소통구멍과 상기 몸통 내부 사이의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소통구멍을 가리되, 상기 소통구멍을 통해 상기 몸통 내부로 안내된 유체를 상기 몸통의 내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보호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448U KR200479440Y1 (ko) | 2013-11-18 | 2013-11-18 | 식물 보호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448U KR200479440Y1 (ko) | 2013-11-18 | 2013-11-18 | 식물 보호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982U true KR20150001982U (ko) | 2015-05-28 |
KR200479440Y1 KR200479440Y1 (ko) | 2016-02-18 |
Family
ID=5351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448U KR200479440Y1 (ko) | 2013-11-18 | 2013-11-18 | 식물 보호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44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56116A (zh) * | 2020-09-30 | 2020-12-11 | 贵州省农业科技信息研究所(贵州省农业科技信息中心) | 一种拼接式农作物栽培的装置及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3977A (ja) * | 2005-08-11 | 2007-02-22 | Besgrow Japan:Kk | 植物覆い具 |
KR101177676B1 (ko) | 2012-03-29 | 2012-08-27 | 이슬 | 식물 재배기 |
-
2013
- 2013-11-18 KR KR2020130009448U patent/KR200479440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56116A (zh) * | 2020-09-30 | 2020-12-11 | 贵州省农业科技信息研究所(贵州省农业科技信息中心) | 一种拼接式农作物栽培的装置及其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440Y1 (ko) | 2016-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07260A1 (en) |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 |
JP6675388B2 (ja) | モジュール式容器及びモジュール式注水システム | |
CN105792634A (zh) | 用于在干旱环境中种植的方法和装置 | |
US10342188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hanging plant container | |
US20190261586A1 (en) |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 |
CN109475093A (zh) | 改进花盆 | |
US20190177046A1 (en) |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 |
KR200479440Y1 (ko) | 식물 보호 용기 | |
KR200490422Y1 (ko) | 수경어항화분 | |
JP2010136662A (ja) | 浮体ビオトープ | |
JP2015077128A (ja) |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 |
KR102377902B1 (ko) | 자동 관수 화분 | |
KR20110005110U (ko) | 화분용 수조 | |
JP3128680U (ja) | イチゴ育苗用ポット | |
KR101653557B1 (ko) |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 |
JP3118116U (ja) | 楽して節水できる植木鉢とプランター | |
KR100994675B1 (ko) | 하천바닥 물고기 서식을 위한 수초식생집 | |
KR102303717B1 (ko) |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 |
NL2010813C2 (en) | Storage-type device for plant watering (embodiments). | |
KR101358390B1 (ko) | 그물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경 구조물 | |
KR20120007207A (ko) | 조경용 화분 | |
KR200159549Y1 (ko) |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 |
US20160235016A1 (en) | Soft plant pot | |
RU177568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JP3112987U (ja) | 植物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