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967A -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 Google Patents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967A
KR20150001967A KR20130075122A KR20130075122A KR20150001967A KR 20150001967 A KR20150001967 A KR 20150001967A KR 20130075122 A KR20130075122 A KR 20130075122A KR 20130075122 A KR20130075122 A KR 20130075122A KR 20150001967 A KR20150001967 A KR 2015000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henyl
thieno
compound
pyrim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386B1 (ko
Inventor
심태보
김환
윤호종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키나아제의 Bcr-Abl 유전자에서 발생하는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가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글리벡 내성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Inhibitory activity of thieno[3,2-d]pyrimidine derivatives on T315I-Bcr-Abl point mutation}
본 발명은 단백질 키나아제의 Bcr-Abl 유전자에서 발생하는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가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글리벡 내성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만성골수성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 CML)은 골수 내에 존재하는 조혈모세포의 염색체 이상으로 발현되는 일종의 혈액암이다. 즉, 22번 염색체에 있는 Bcr (breakpoint cluster region) 유전자와 9번 염색체에 있는 Abl (V-abl Abelson murine leukemia viral oncogene homolog) 유전자가 교차를 일으켜 자리바꿈을 하면서 Bcr-Abl이라는 티로신 융합 종양유전자의 형성한다. Bcr-Abl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타이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는 계속 활성을 가지면서 세포내 세포분열과 관련된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시켜 백혈구의 과도 증식을 초래하고, 세포자살 유도작용(appotosis)과 관련된 신호전달을 억제하여 백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210-Bcr-Abl은 만성골수성백혈병 (CML)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종양인자로 알려져 있다.
글리벡 (Gleevec™, imatinib mesylate)은 Bcr-Abl 타이로신 키나제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제로 개발된 최초의 표적 항암제이다. 글리벡은 탁월한 치료효능과 우수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의 1차 표준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글리벡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다수가 내성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성을 일으키는 변이종이 확인되고 있다. 글리벡의 내성은 Bcr-Abl 타이로신 키나제의 활성부위에서 발생되는 점돌연변이종에 의해 유발되는데, 예를 들면 315번째 쓰레오닌이 이소루이신으로 변하는 돌연변이(T315I)와 253번째 티로신이 히스티딘으로 변하는 돌연변이(T253H)가 가장 빈번하다. 글리벡 내성 점돌연변이종 중에서도 T315I-Bcr-Abl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점돌연변이를 가진 세포는 글리벡에 의해 더 이상 세포증식이 조절되지 않으며, 글리벡의 용량을 증가시켜도 치료효과가 전혀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글리벡의 내성을 치료할 수 있는 2세대 항암제가 개발되어 있다. 2세대 항암제로서 닐로티닙(nilotinib, Tasigna)과 다사티닙(dasatinib, Sprycel)은 T315I-Bcr-Abl 돌연변이종을 저해하는 능력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나마 포나티닙(ponatinib)이 T315I-Bcr-Abl 돌연변이종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현재 이의 약물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글리벡의 내성을 방지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차세대 항암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활성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단백질 키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가지는 항암제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47550호]
본 발명에서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중의 일부 화합물이 단백질 키나제에 대한 저해활성과 단백질 키나제의 Bcr-Abl 유전자에서 발생되는 점돌연변이 세포에 대한 저해활성을 동시에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글리벡 내성을 치료할 수 있는 2세대 항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를 T315I-Bcr-Abl 점돌연변이 세포의 활성 저해제로 이용하는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페닐기; 또는 질소 및 황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4개 포함된 5 내지 6각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a는 수소원자; 할로젠 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C1-C6 알콕시기; -C(O)OR1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또는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C1-C6 알킬기 를 나타내고,
Rb는 수소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CH2)nR2; -C(O)OR2; -C(O)NR4R5; -NR3C(O)R5; -NR3C(O)NR4R5; -S(O)2NR4R5; 또는 -NR3S(O)2R5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메테인설포닐기; 할로 및 C1-C6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또는 R3, R4 및 R5는 서로 이웃하는 치환기가 연결되어 5 내지 7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치환기 A가 페닐기인 신규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종양치료용 약물은 대부분이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된 내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항암제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이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과 더불어 Bcr-Abl 키나아제 도메인에서 발생하는 점돌연변이종에 대한 저해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므로, 이상적인 항암제로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항암제는 글리벡 내성 만성골수성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치료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 치환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할로젠 원자'라 함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원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알킬기'라 함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싸이클로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싸이클로부틸, 싸이클로프로필메틸, n-펜틸, i-펜틸, 네오펜틸, t-펜틸, 싸이클로펜틸, 싸이클로부틸메틸, n-헥실, i-헥실, 싸이클로헥실, 싸이클로펜틸메틸 등을 포함하는 1개에서 6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할로알킬기'라 함은 트라이플루오르메틸기와 같이 한개 이상의 할로젠 원자에 의해 수소원자가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알콕시기'라 함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i-프로폭시, n-부톡시, i-부톡시, t-부톡시를 포함하는, C1-C6의 알킬기에서 선택된 치환체에 의해 수소원자가 치환된 하이드록시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아릴기'라 함은 피롤릴, 퓨라닐, 싸이오페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아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아이소타이아졸릴, 트라이아졸릴, 옥사다이아졸릴, 싸이아다이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트라이아졸릴, 인돌릴, 아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벤조퓨라자닐, 다이벤조퓨라닐, 아이소벤조퓨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아이스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다이벤조싸이오페닐, 나프티리딜, 벤즈아이소티아졸릴, 퀴놀리닐, 아이소퀴놀리닐, 퀴녹살리닐, 프탈라지닐, 퀴놀리닐, 퀴나졸리닐 등을 포함하여, 헤테로원자가 1개 이상 포함된 단일고리, 두고리, 또는 세고리 방향족 헤테로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고리기'라 함은 몰포리노,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보호된 피페라지닐 등을 포함하여, 헤테로원자가 1개 이상 포함된 헤테로탄화수소 고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A는 페닐기; 피리디닐기; 테트라졸릴기; 또는 티아졸릴기를 나타내고,
상기 B는 페닐기; 또는 퀴놀리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a는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다이(C1-C6 알킬)아미노-C1-C6 알콕시기; 페닐기; 몰포리노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닐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닐)-C1-C6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b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CH2)nR2; -C(O)NR4R5; -NR3C(O)R5; -NR3C(O)NR4R5; -S(O)2NR4R5; 또는 -NR3S(O)2R5를 나타내고,
상기 n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상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3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할로 및 C1-C6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R3, R4 및 R5는 서로 이웃하는 치환기가 연결되어 5 내지 7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A는 페닐기; 피리딘-3-일기; 테트라졸-5-일기; 또는 티아졸-2-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B는 페닐기; 또는 퀴놀린-3-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Ra는 수소원자; 메톡시기; 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기; 페닐기; 몰포리노기;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기; 4-에틸-피페라진-1-일기; 4-에틸-피페라진-1-일메틸기; (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Rb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메톡시기; 피페리딘-1-일메틸기; -C(O)NHCH3; -NHC(O)-사이클로프로필기; -NHC(O)NH-(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S(O)2NHCH3; -NHS(O)2CH3; 또는 1,1-다이옥시도아이소티아졸리딘-2-일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활성 화합물 화학구조 화합물명 MS(m/z)
화합물 1
Figure pat00002
N-(3-(2-(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510.60 [M+1]
화합물 2
Figure pat00003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509.17[M+1]
화합물 3
Figure pat00004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513.13[M+1]
화합물 4
Figure pat00005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540.18[M+1]
화합물 5
Figure pat00006
N-(3-(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487.1[M+1]
화합물 6
Figure pat00007
N-(3-(2-((2-메톡시-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512.13[M+1]
화합물 7
Figure pat00008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523.19[M+1]
화합물 8
Figure pat00009
N-(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512.17[M+1]
화합물 9
Figure pat00010
N-(3-(2-(1H-테트라졸-5-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389.48[M+1]
화합물 10
Figure pat00011
N-(3-(2-((4-페닐티아졸-2-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480.46[M+1]
화합물 11
Figure pat00012
N-(2-(2-((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510.60 [M+1]
화합물 12
Figure pat00013
N-(2-(2-((6-(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MS m/z : 579.2 [M+1]
화합물 13
Figure pat00014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MS m/z : 509.2 [M+1]
화합물 14
Figure pat00015
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512.17 [M+1]
화합물 15
Figure pat00016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499.23 [M+1]
화합물 16
Figure pat00017
N-(3-(2-((4-(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아복사미드 486.19[M+1]
화합물 17
Figure pat00018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513.24[M+1]
화합물 18
Figure pat00019
N-(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499.22[M+1]
화합물 19
Figure pat00020
N-(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7-(4-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446.1 [M+1]
화합물 20
Figure pat00021
7-(4-메톡시페닐)-N-(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424.2 [M+1]
화합물 21
Figure pat00022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자미드
화합물 22
Figure pat00023
2-(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이소티아졸리딘 1,1-다이옥시드 535.19 [M+1]
화합물 23
Figure pat00024
N-(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7-(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485.12 [M+1]
화합물 24
Figure pat00025
N-(6-몰폴리노피리딘-3-일)-7-(퀴놀린-3-일)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441.2 [M+1]
화합물 25
Figure pat00026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2-((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유레아 626.09[M+1]
화합물 26
Figure pat00027
N-(6-몰폴리노피리딘-3-일)-7-(4-(피페리딘-1-일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487.2 [M+1]
화합물 27
Figure pat00028
3-(2-((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405.2 [M+1]
본 발명의 항암제에 활성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 A가 헤테로아릴기인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한국등록특허 제1147550호에 개시된 공지 화합물이다.
반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 A가 페닐기인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문헌에 개시된 바 없는 신규 화합물이다. 따라서, 신규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가 페닐기인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통상의 유기합성 방법에 의해 쉽게 합성할 수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147550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참조 및 응용하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쉽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약학적으로 허용된 염은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리산과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산부가염, 그리고 알칼리 금속염 (나트륨염 등) 과 알칼리 토금속염 (칼슘염 등), 그리고 유기염과 화학식 1의 카르복실산의 유기염기부가염, 그리고 아미노산부가염으로 구성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된 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무기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은 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린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숙신산, 젖산, 구연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염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염기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다이시클로헥실아민 등이다. 아미노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산은 알라닌, 글라이신 등의 천연 아미노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는 상기한 약학적으로 허용된 염과 더불어 모든 수화물 그리고 용매화물도 포함한다.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2,4,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1,4-다이옥산과 같은 물과 섞일 수 있는 용매에 녹인 다음에 유리산 또는 유리염기를 가한 후에 결정화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용매화물 (특히 수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서 동결건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다양한 양의 물 함유 화합물 이외에 수화물을 비롯한 화학양론적 용매화물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암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통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1 ∼ 1,000 mg/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탁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녹말,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알지닌산, 소디움 알진산염, 메틸셀룰로오스, 소디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가,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은 바, 본 발명이 하기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제제예 1 :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에 대한 구체적인 약효 실험결과를 예시하겠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실험예 1. T315I-Bcr-Abl-Ba/F3에 대한 저해활성 측정
T315I-Bcr-Abl-Ba/F3 세포는 RPMI 배지 (Welgene, Daegu, Korea)에 10% FBS (Welgene),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Welgene)을 넣은 후 5% CO2/37℃에서 배양하였다. T315I-Bcr-Abl-Ba/F3 세포를 웰 (well)당 5 ㅧ 103개로 96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실험화합물을 처리하기 전에 5% CO2/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농도로 실험화합물을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활성 검색법 (CellTiter 96 Assay, Promega)을 사용하였다. 한 개의 웰 (well) 당 15 ㎕ 염료를 넣고, 2시간 배양한 다음, 스톱 용액 (stop solution) 100 ㎕를 넣고 24시간 뒤에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 처리 시에는 10 mM의 원료용액을 준비하였으며, 다이메틸설폭사이드 (DMSO)에 3분의 1로 멸균 희석하고 12 포인트로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실험용 화합물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0.5 ㎕를 첨가하였다 (최종농도 DMSO 0.5%). EnVision2103을 사용해 590 nm 파장에서 판독하였으며, IC50값은 GraphPad Prism 4.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 실험화합물에 대하여 T315I-Bcr-Abl-Ba/F3 저해활성을 능력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화합물 IC50 (uM) 실험화합물 IC50 (uM)
화합물 1 <10 화합물 15 <10
화합물 2 0.11 화합물 16 <10
화합물 3 <10 화합물 17 <10
화합물 4 <10 화합물 18 <10
화합물 5 <10 화합물 19 <10
화합물 6 <10 화합물 20 <10
화합물 7 <10 화합물 21 <10
화합물 8 <10 화합물 22 <10
화합물 9 <10 화합물 23 <10
화합물 10 <10 화합물 24 <10
화합물 11 <10 화합물 25 <10
화합물 12 <10 화합물 26 <10
화합물 13 0.040 화합물 27 <10
화합물 14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점돌연변이 세포에 대한 활성 저해능이 우수하므로 글리벡 내성 항암제로 유용하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
    [화학식 1]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페닐기; 또는 질소 및 황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4개 포함된 5 내지 6각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a는 수소원자; 할로젠 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C1-C6 알콕시기; -C(O)OR1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또는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C1-C6 알킬기 를 나타내고,
    Rb는 수소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CH2)nR2; -C(O)OR2; -C(O)NR4R5; -NR3C(O)R5; -NR3C(O)NR4R5; -S(O)2NR4R5; 또는 -NR3S(O)2R5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메테인설포닐기; 할로 및 C1-C6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또는 R3, R4 및 R5는 서로 이웃하는 치환기가 연결되어 5 내지 7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는 페닐기; 피리디닐기; 테트라졸릴기; 또는 티아졸릴기를 나타내고,
    상기 B는 페닐기; 또는 퀴놀리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a는 수소원자; C1-C6 알콕시기; 다이(C1-C6 알킬)아미노-C1-C6 알콕시기; 페닐기; 몰포리노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닐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닐)-C1-C6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b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CH2)nR2; -C(O)NR4R5; -NR3C(O)R5; -NR3C(O)NR4R5; -S(O)2NR4R5; 또는 -NR3S(O)2R5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피페리디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할로 및 C1-C6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또는 R3, R4 및 R5는 서로 이웃하는 치환기가 연결되어 5 내지 7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는 페닐기; 피리딘-3-일기; 테트라졸-5-일기; 또는 티아졸-2-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B는 페닐기; 또는 퀴놀린-3-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Ra는 수소원자; 메톡시기; 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기; 페닐기; 몰포리노기;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기; 4-에틸-피페라진-1-일기; 4-에틸-피페라진-1-일메틸기; (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Rb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메톡시기; 피페리딘-1-일메틸기; -C(O)NHCH3; -NHC(O)-사이클로프로필기; -NHC(O)NH-(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S(O)2NHCH3; -NHS(O)2CH3; 또는 1,1-다이옥시도아이소티아졸리딘-2-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N-(3-(2-((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화합물 1);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2);
    N-(3-2-((2-메톡시-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화합물 3);
    N-(3-(2-((6-(4-에틸피페라진-1-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마이드 (화합물 4);
    N-(3-(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5);
    N-(3-(2-((2-메톡시-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6);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7);
    N-(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8);
    N-(3-(2-(1H-테트라졸-5-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9);
    N-(3-(2-((4-페닐티아졸-2-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10);
    N-(2-(2-((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11);
    N-(2-(2-((6-(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12);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13);
    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14);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5);
    N-(3-(2-((4-(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아복사미드 (화합물 16);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7);
    N-(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8);
    N-(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7-(4-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9);
    7-(4-메톡시페닐)-N-(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0);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자미드 (화합물 21);
    2-(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이소티아졸리딘 1,1-다이옥시드 (화합물 22);
    N-(6-(4-에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일)-7-(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3);
    N-(6-몰폴리노피리딘-3-일)-7-(퀴놀린-3-일)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4);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2-((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유레아 (화합물 25);
    N-(6-몰폴리노피리딘-3-일)-7-(4-(피페리딘-1-일메틸)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6); 및
    3-(2-((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화합물 27);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에 저해 활성을 가지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6. 청구항 1 내지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성골수성백혈병 (CML) 치료에 사용되는 글리벡 내성 항암제.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B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페닐기; 또는 질소 및 황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4개 포함된 5 내지 6각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a는 수소원자; 할로젠 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NR4R5-C1-C6 알콕시기; -C(O)OR1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또는 (C1-C6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C1-C6 알킬기 를 나타내고,
    Rb는 수소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CH2)nR2; -C(O)OR2; -C(O)NR4R5; -NR3C(O)R5; -NR3C(O)NR4R5; -S(O)2NR4R5; 또는 -NR3S(O)2R5를 나타내고,
    n은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메테인설포닐기; 할로 및 C1-C6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또는 R3, R4 및 R5는 서로 이웃하는 치환기가 연결되어 5 내지 7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8. 청구항 7에 있어서,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2);
    N-(3-(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5);
    N-(3-(2-((2-메톡시-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6);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7);
    N-(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설폰아미드 (화합물 8);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13);
    3-(2-((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 14);
    N-(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5);
    N-(3-(2-((4-(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아복사미드 (화합물 16);
    N-(3-(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7);
    N-(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시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화합물 18);
    N-(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7-(4-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9);
    7-(4-메톡시페닐)-N-(3,4,5-트리메톡시페닐)티에노[3,2-d]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0);
    3-(2-((4-(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N-메틸벤자미드 (화합물 21);
    2-(3-(2-((3-(4-에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닐)이소티아졸리딘 1,1-다이옥시드 (화합물 22); 및
    3-(2-((4-몰폴리노페닐)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화합물 27);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20130075122A 2013-06-28 2013-06-28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KR10170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22A KR101704386B1 (ko) 2013-06-28 2013-06-28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22A KR101704386B1 (ko) 2013-06-28 2013-06-28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67A true KR20150001967A (ko) 2015-01-07
KR101704386B1 KR101704386B1 (ko) 2017-02-08

Family

ID=5247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22A KR101704386B1 (ko) 2013-06-28 2013-06-28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3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21A1 (ko) * 2014-07-07 2016-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JP2018513219A (ja) * 2015-04-24 2018-05-24 グアンジョウ マキシノベ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縮合環ピリミジンアミノ誘導体、その製造方法、中間体、薬学的組成物及び応用
WO2018139883A1 (ko) * 2017-01-26 2018-08-02 부광약품 주식회사 다중 표적 키나아제 저해제로서 융합피리미딘 유도체
JP2019536820A (ja) * 2016-12-01 2019-12-19 アプトセ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rad4およびjak2の二重阻害剤としての縮合環式ピリミジン化合物、ならびにその使用に関す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53A (ko) * 2009-10-22 2011-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KR20110055202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4,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WO2011079231A1 (en) * 2009-12-23 2011-06-30 Gatekeeper Pharmaceutical, Inc. Compounds that modulate egfr activity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nditions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53A (ko) * 2009-10-22 2011-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KR20110055202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2,4,7-치환된 티에노[3,2-d]피리미딘 화합물
WO2011062372A2 (en) * 2009-11-19 2011-05-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 4, 7 -substituted thieno [3, 2 -d] pyrimidine compound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11079231A1 (en) * 2009-12-23 2011-06-30 Gatekeeper Pharmaceutical, Inc. Compounds that modulate egfr activity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nditions therewit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21A1 (ko) * 2014-07-07 2016-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JP2018513219A (ja) * 2015-04-24 2018-05-24 グアンジョウ マキシノベ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縮合環ピリミジンアミノ誘導体、その製造方法、中間体、薬学的組成物及び応用
US10259816B2 (en) * 2015-04-24 2019-04-16 Guangzhou Maxinovel Pharmaceuticals Co., Ltd. Condensed-ring pyrimidylamino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US10611770B2 (en) 2015-04-24 2020-04-07 Guangzhou Maxinovel Pharmaceuticals Co., Ltd. Condensed-ring pyrimidylamino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19536820A (ja) * 2016-12-01 2019-12-19 アプトセ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rad4およびjak2の二重阻害剤としての縮合環式ピリミジン化合物、ならびにその使用に関する方法
WO2018139883A1 (ko) * 2017-01-26 2018-08-02 부광약품 주식회사 다중 표적 키나아제 저해제로서 융합피리미딘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86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187B1 (ko) 신규 축합 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 염
EP2493313B1 (en) Kinase inhibitors
EP2828259B1 (en) Substituted pyridopyrim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lt3 inhibitors
CN109790166A (zh) 咪唑并吡啶化合物用于治疗癌症
JP2006516250A (ja) カスパーゼ活性化剤およびアポトーシス誘導物質としての3,5−二置換−[1,2,4]−オキサジアゾールおよびそれらの誘導体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CN102014914A (zh) 3h-[1,2,3]三唑并[4,5-d]嘧啶化合物、其作为mtor激酶和pi3激酶抑制剂的用途、以及它们的合成
JP2012211178A (ja) 癌疾患の治療のためのジヒドロプテリジノン
EP2799437A1 (en) Quinoline and cinnoline compounds and use thereof
JP2022191259A (ja) キナーゼネットワークの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
KR101132378B1 (ko) 신경발생을 자극 및 신경 퇴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조성물
KR101704386B1 (ko) 티에노[3,2-d]피리미딘 유도체의 T315I-Bcr-Abl 점돌연변이종의 저해 활성
JPWO2008001885A1 (ja) Ablキナーゼ阻害剤
CN116406357A (zh) Mas相关g蛋白受体x2的调节剂及相关产物和方法
US10308654B2 (en) Preparation and use of kinase inhibitor
KR101854117B1 (ko) 1,6-이치환된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물 내성 및 부작용이 저감된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CN108473504B (zh) 新型二氢吡喃并嘧啶酮衍生物及其用途
KR20160005664A (ko) 약물 부작용이 감소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US9932327B2 (en) Rohitukine analogs as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818130B1 (ko) 1,3,7-삼치환된 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도[4,5-d]피리미딘-2(1H)-온 유도체가 포함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KR102409595B1 (ko) 단백질 카이네이즈 csf-1r 억제제로서의 신규 퓨리논 유도체
KR101995533B1 (ko) [1,2,4]트리아졸로[4,3-a]퀴노잘린 아미노 페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10313240B2 (en) Kinase inhibitors
WO2021039961A1 (ja) 縮環ピラゾール誘導体
JP2014214138A (ja) ヒドロキシル基を有するピペラジン誘導体及びその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