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65U - 에어 릴리즈 밸브 - Google Patents

에어 릴리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65U
KR20150001765U KR2020130008932U KR20130008932U KR20150001765U KR 20150001765 U KR20150001765 U KR 20150001765U KR 2020130008932 U KR2020130008932 U KR 2020130008932U KR 20130008932 U KR20130008932 U KR 20130008932U KR 20150001765 U KR20150001765 U KR 201500017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hole
air vent
piping
releas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765U/ko
Publication of KR20150001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릴리즈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제공함으로써 에어 배출량 분석에 의한 밸브 몸체 제작에 대한 제작 비용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릴리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관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에 발생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릴리즈 밸브에 있어서, 배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 관로와 통하는 하부관;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관의 내부와 통하며, 외부로 통하는 에어 벤트공이 형성된 상부관;상기 하부관에 배치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부관과 통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볼 플로터; 상기 상부관의 에어 벤트공 주변에 탈부착 되면서 에어 벤트공에 대응되며, 상기 에어 벤트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을 형성하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릴리즈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릴리즈 밸브{A air release valve}
본 고안은 에어 릴리즈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공의 직경 사이즈를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릴리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는 선박의 운항, 거주 구역의 위생 및 환경을 위하여 다양한 배관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유체의 이송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배관으로는 추진용 기관, 발전기 등의 운전에 필요한 연료, 윤활유, 냉각수, 소방수 및 증기를 공급하는 배관이 설치되고, 주거를 위한 배관으로서는 거주 구역의 세면용, 조리용 등의 청수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세척 및 오수처리를 위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된다.
상기한 배관은 복수로 제공되며 복수의 배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배관라인을 구축하여 선박에 설치된다.
이때, 화재 발생시 소방수가 분사되는 델루지(deluge) 시스템의 배관라인에는 배관 내에 발생한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릴리즈 밸브가 설치된다.
에어 릴리즈 밸브는 배관 내에 차 있는 소방수가 배출되는 과정 중 또는 자연적으로 소방수가 줄어들어 배관 내에 발생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즉, 배관 내에 발생된 에어는 워터 슬래밍(water slamming)에 의해 배관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배관을 손상시키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에 발생한 에어를 에어 릴리즈 밸브로 하여금 배관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에어 릴리즈 밸브의 일측에는 에어 벤트공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벤트공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관 내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통공으로서, 그의 직경은 에어 릴리즈 밸브 제작시 결정된다.
즉, 엔지니어의 배관 라인 분석을 통해 배관 내의 에어가 배출되는 배출량이 결정되는데 이와 같이 엔지니어의 분석을 통해 에어 벤트공의 직경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엔지니어의 분석을 통해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에어 릴리즈 밸브를 제작할 경우 제작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에어 릴리즈 밸브를 구성하는 각 관들은 주물 작업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지는데, 엔지니어의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진 에어 배출량에 따라 에어 벤트공의 직경이 다른 형태의 에어 릴리즈 밸브를 각각 제작해야하므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엔지니어의 분석을 토대로 에어 벤트공의 직경이 정해졌더라도, 현장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따라 변수가 발생할 수 있어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달리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에어 릴리즈 밸브로 교체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81106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 릴리즈 밸브의 교체 없이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플랜지가 설치된 에어 릴리즈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관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에 발생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릴리즈 밸브에 있어서, 배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 관로와 통하는 하부관;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관의 내부와 통하며, 외부로 통하는 에어 벤트공이 형성된 상부관;상기 하부관에 배치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부관과 통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볼 플로터; 상기 상부관의 에어 벤트공 주변에 탈부착 되면서 에어 벤트공에 대응되며, 상기 에어 벤트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을 형성하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릴리즈 밸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에어 벤트공은 상부관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의 단부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 플랜지는 상기 결합편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편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 플랜지와 에어 벤트공 사이에는 가스킷이 더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에어 벤트공의 직경이 다른 에어 릴리즈 밸브를 각각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에어 벤트공의 크기를 획일화하여 주물 제작을 통해 동일한 에어 릴리즈 밸브를 제작하고, 엔지니어의 분석이나 외부 환경을 토대로 에어 벤트공의 직경 크기를 산출하여 그에 맞는 크기의 배출공을 갖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결합함으로써,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물 제작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의 제작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미 에어 릴리즈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 벤트공의 직경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 에어 릴리즈 밸브를 교체할 필요 없이 오리피스 플랜지만 설치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수정작업의 공수를 줄일 수 있어 추가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가 배관 라인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공기가 배출되기 전,후를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에어 릴리즈 밸브는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워터 슬래밍(water slamming)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배관 라인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배관 라인은 일직선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단 절곡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릴리즈 밸브는 다단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배관라인의 최고점에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 릴리즈 밸브는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벤트공을 형성하되, 에어 벤트공의 직경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에어 릴리즈 밸브는 하부관(100)과, 상부관(200)과, 볼 플로터(300)와,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관(100)은 배관 라인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에어 릴리즈 밸브의 하부를 구성한다.
하부관(100)은 배관 라인에 플랜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된다.
즉, 하부관(100)의 개구된 상부는 상부관(200)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를 제공하며, 하부관(100)의 개구된 하부는 배관 내부와 통하는 관로를 제공한다.
이때, 하부관(100)의 내측면에는 단턱(110)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10)은 볼 플로터(300)가 안착되는 부위이며, 상기 단턱(110)에 볼 플로터(300)가 안착되었을 때 하부관(100)의 개구된 하부를 폐쇄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부관(200)은 하부관(100)을 통해 상승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한 구성이며, 하부관(100)의 상부에 플랜지 결합된다.
이때, 상부관(200)의 하부는 개구되며, 개구된 부위를 통해 하부관(100)의 내부와 통하게 된다.
이때, 상부관(200)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관(210)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관(210)은 상부관(200)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를 형성하며, 배관 라인으로부터 상승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돌출관(210)의 관로는 즉, 에어 벤트공(211)인 것이다.
상기 돌출관(210)의 에어 벤트공(211) 직경은 에어 릴리즈 밸브의 상부관(200) 주물 제작시 획일적인 크기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에어 릴리즈 밸브 제작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관(210)의 단부에는 결합편(220)이 형성된다.
결합편(220)은 후술하는 오리피스 플랜지(400)가 결합되는 부위이며, 볼트 체결을 위한 결합공(22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오리피스 플랜지(400)는 돌출관(210)에 형성된 에어 벤트공(211)의 직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돌출관(210)의 결합편(220)에 결합된다.
오리피스 플랜지(400)는 결합편(220)에 볼팅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돌출관(210)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리피스 플랜지(40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편(220)의 결합공(221)에 대응되는 체결공(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오리피스 플랜지(400)의 중앙에는 배출공(420)이 형성된다.
배출공(420)은 돌출관(210)의 에어 벤트공(211)을 통해 배출된 에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통공이며, 그의 직경이 특정한 크기로 한정되어 형성되지는 않는다.
상기 배출공(420)의 직경은 에어 벤트공(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다양한 직경 크기의 배출공(420)을 갖는 오리피스 플랜지(400)는 복수로 마련된다.
한편, 가스킷(500)은 오리피스 플랜지(400)와 돌출관(210)의 결합편(220)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스킷(500)은 결합공(221)과 체결공(410)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그의 가운데에도 오리피스 플랜지(400)의 배출공(420)과 동일한 직경의 통공(H)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에어 릴리즈 밸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라인(P)이 설치되고, 배관라인(P)의 일측에는 에어 릴리즈 밸브가 설치된다.
이때, 델루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라인(P)의 내부에는 소방수가 차 있으며, 에어 릴리즈 밸브의 볼 플로터(300)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하부관(10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키고 있다.
한편, 돌출관(210)에는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엔지니어의 에어 배출량 분석을 통해 정해진 직경의 배출공(420)이 형성된 오리피스 플랜지(400)가 결합된다.
만약, 돌출관(210)에 형성된 에어 벤트공(211)의 직경의 크기가 엔지니어의 분석결과 가변될 필요가 없다면 굳이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결합할 필요는 없게 된다.
즉, 에어 배출량 분석 결과, 에어 벤트공(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에어 배출 통로가 필요할 경우 상기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돌출관(2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가스킷(500)을 결합편에 밀착시킨 후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가스킷(500)에 밀착시킨다.
이때, 오리피스 플랜지(400)의 체결공(410)은 결합편(220)의 결합공(221)에 대응된다.
이후, 체결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결합편(220)에 오리피스 플랜지(400)를 결합시킨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는 평상시 상태로서, 배관라인(P) 내부에 차 있는 소방수로 인해 배관라인(P) 내부 및 하부관(100) 내부는 기밀이 유지된 상태이다.
이후, 화재발생시 소방수가 분사되어 배관 라인(P)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거나, 자연적으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배관 라인(P) 내부에 에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플로터(300)는 하강되어 단턱(110)에 안착되며, 하부관(100)의 개구된 상부는 개방이 된다.
이후, 배관 라인 내부에 발생한 에어는 하부관(100)을 통해 상부관(200)으로 상승되며, 상기 에어는 에어 벤트공(211)을 거쳐 오리피스 플랜지(400)의 배출공(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와 같이 배관 라인(P)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워터 슬래밍에 의한 배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릴리즈 밸브는 다양한 사이즈의 직경을 갖도록 여러 종류의 오리피스 플랜지가 에어 릴리즈 밸브에 탈착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에어 벤트공의 사이즈 가변을 위해 밸브 몸체를 각각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의 효율성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에어 벤트공의 가변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하부관 110 : 단턱
200 : 상부관 210 : 돌출관
211 : 에어벤트공 220 : 결합편
221 : 결합공 300 : 볼 플로터
400 : 오리피스 플랜지 410 : 체결공
420 : 배출공 500 : 가스킷
H : 통공 P : 배관라인

Claims (3)

  1. 배관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에 발생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릴리즈 밸브에 있어서,
    배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 관로와 통하는 하부관;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관의 내부와 통하며, 외부로 통하는 에어 벤트공이 형성된 상부관;
    상기 하부관에 배치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부관과 통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볼 플로터;
    상기 상부관의 에어 벤트공 주변에 탈부착 되면서 에어 벤트공에 대응되며, 상기 에어 벤트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을 형성하는 오리피스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릴리즈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공은 상부관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의 단부에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 플랜지는 상기 결합편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릴리즈 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플랜지와 에어 벤트공 사이에는 가스킷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릴리즈 밸브.




KR2020130008932U 2013-10-31 2013-10-31 에어 릴리즈 밸브 KR201500017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32U KR20150001765U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릴리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32U KR20150001765U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릴리즈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65U true KR20150001765U (ko) 2015-05-08

Family

ID=5343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32U KR20150001765U (ko) 2013-10-31 2013-10-31 에어 릴리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7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182B1 (ko) * 2016-06-10 2017-03-10 김원주 교량 배수관용 에어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182B1 (ko) * 2016-06-10 2017-03-10 김원주 교량 배수관용 에어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965B2 (en) Air valve seat
JP2017202804A5 (ko)
CN104373742A (zh) 限压式防液柱分离空气阀
KR20150001765U (ko) 에어 릴리즈 밸브
CN107700451B (zh) 一种圆柱桩腿
KR20180002051U (ko) 볼플로트식 스커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145284B2 (ja) 副弁付き空気弁とその連結機構
KR101346697B1 (ko) 침수방지밸브
US2024579A (en) Joint for standpipes and the like
CN101788069B (zh) 一种背压式水力水位控制阀
KR200351420Y1 (ko) 동파방지용 잔여수 배출장치
US1015453A (en) Valve.
JP2015203437A (ja) 空気弁
CN113638798B (zh) 一种防海水倒灌排气口装置
KR101792784B1 (ko) 특장차용 물 저장 및 공급장치
RU137206U1 (ru) Гидрант пожарный подземный
CN106931309B (zh) 一种高温、高压蒸汽管道冷凝水排泄装置
JP2011163547A (ja) 排気弁
KR200400797Y1 (ko) 방수밸브
JP2008202621A (ja) フリ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2017013570A (ja) フロート弁
US20120193355A1 (en) Water Knock Out Bottl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EP2107287A2 (en) Silencer for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flush tank fill valve or a similar device
CN116989153A (zh) 一种保护锥形阀门阀芯的自然掺气方法和装置
RU152915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напол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с боковой подвод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