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315A -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315A
KR20150001315A KR20130074334A KR20130074334A KR20150001315A KR 20150001315 A KR20150001315 A KR 20150001315A KR 20130074334 A KR20130074334 A KR 20130074334A KR 20130074334 A KR20130074334 A KR 20130074334A KR 20150001315 A KR20150001315 A KR 2015000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gricultural
unit
temperatur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옥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안경옥
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옥, 정경호 filed Critical 안경옥
Priority to KR2013007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315A/ko
Publication of KR2015000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의 열전도유체로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제품의 품질 또한 담보할 수 있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건조대상물질로서 동결된 상태의 농수산물 부산물이 내부로 투입되는 밀폐형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진공형성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부와; 상기 진공형성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이 발열되도록 상기 열판으로 가열된 열전도유체를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열전도유체는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제어부는, 상기 열판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며 80℃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VACUUM FREEZE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MARINE BY-PRODUCTS AND PROCESSED FERTILIZ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의 열전도유체로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제품의 품질 또한 담보할 수 있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에 관한 것이다.
진공동결건조는 식품가공분야, 제약분야, 생물학분야 등에서 식품, 액상의 약품, 혈액, 세포 등의 건조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진공동결건조는 건조대상물질을 동결시키고 낮은 압력하에서 얼음을 직접 증기로 승화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일컫는 것으로, 동결된 물질이 적재되어 있는 챔버 내부 압력을 물, 얼음 및 수증기가 공존하는 물의 삼중점 이하로 저하시키고, 서서히 열을 가하면 얼음이 직접 수증기로 변화되는 승화현상을 이용한다.
즉, 6 밀리바(mbar) 또는 4.6토르(Torr)이하의 낮은 압력 하에서 얼음의 형태를 가지는 수분은 열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액체로 변하지 않고 수증기로 직접 승화되며, 승화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물질에는 무수히 많은 공간이 남으며 건조되는 것이다.
진공동결건조 방법으로 가공된 식품의 장점으로는 식품의 온도를 결빙점 이하로 동결하여 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고 기발성 성분의 손실이 적으며, 동결고체 상태에서 건조됨으로 모양이 불변이고 포립, 분리, 표면강화 조직의 변화 등이 있어 분쇄, 재용해(복원)가 용이하고, 밀폐 진공하에서 처리됨으로 산화나 균의 오염이 없으며, 잔존 수분이 적음으로 보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진공동결건조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796호(공개일자: 2010.01.26)에는 "동결 진공 건조 장치, 동결 진공 건조 방법"이 개시된 바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9908호(공개일자: 2010.08.13)에는 "동결 진공 건조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560호(공개일자: 2012.08.03)에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로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560호(공개일자: 2012.08.03)에 개시되어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투입구(10') 및 토출구(20')가 구비되고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부(100); 동결된 유기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원통형 가열건조부(200); 지지부재(310)와 날개부재(320)로 구성된 교반부(300)와;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형성부(미도시)와;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습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식용으로 활용할 있는 식품을 진공동결건조시켜 상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품의 상품화를 위해 가열건조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전도유체가 통상 60℃~80℃를 유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열전도유체로 통상 끊는점이 100℃인 물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식품 등과 같은 상품이 아닌 양파 부산물 등과 같이 식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농수산물 부산물을 비료 등으로 가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건조부의 열온으로 100℃이상의 온도를 갖는 열전도유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으로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의 경우는 케이스(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 유봉식진공펌프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여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농수산물 부산물을 가공하는 경우(일예로, 양파 부산물의 경우 수분이 90.2% 함유되어 있음) 과도한 수분에 의하여 유봉식진공펌프가 마모 또는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의 열전도유체로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제품의 품질 또한 담보할 수 있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건조대상물질로서 동결된 상태의 농수산물 부산물이 내부로 투입되는 밀폐형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진공형성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부와; 상기 진공형성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이 발열되도록 상기 열판으로 가열된 열전도유체를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열전도유체는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제어부는, 상기 열판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며 80℃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가 설정된 값 이하의 습도가 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 건조 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진공형성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챔버에 연결된 부스터펌프 및 상기 부스터펌프에 직렬로 연결된 수봉식진공펌프와, 상기 수봉식진공펌프 냉각시키는 냉각수순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수분을 포집하는 콜드트랩과, 상기 콜드트랩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와, 상기 콜드트랩에 포집된 성에 상태의 수분을 제상시키는 제상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는, 상기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의 열전도유체로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센서부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건조 완료를 판단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건조제어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제품의 품질 또한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진공형성부로 수봉식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양파 등과 같이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농수산물 부산물의 경우에도 원활하게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는 상기와 같은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는 챔버(10)와, 진공형성부(20)와, 가열부(30)와, 제습부(40)와, 센서부(50)와, 건조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건조대상물질로서 비료로 가공되기 위한 동결된 상태의 농수산물 부산물이 내부로 투입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밀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외형은 고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단부에는 건조대상물질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출입구(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형성부(20)는 상기 건조제어부(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챔버(10)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서는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부스터펌프(21) 및 수봉식진공펌프(22)와, 상기 수봉식진공펌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순환펌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스터펌프(21)는 상기 챔버(10)와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에 앞서 초기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가 상기 부스터펌프(21)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부스터펌프(21)와 함께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구성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33185호(공고일자: 2004.05.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가 리어 케이싱에 의해 후면이 커버된 실린더내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흡입실과 배출실이 구획된 프론트 케이싱과 실린더 사이에 격판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임펠러가 실린더와 편심되어 회전 되는 경우 실린더 안의 액체(Liquid)는 임펠러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 받아 회전을 하게 되고, 여기서 오는 원심력으로 액체가 실린더 벽면에 달라붙어 원형의 고리(Liquid Ring) 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펠러와 액체고리 사이에는 임펠러의 편심 차이에서 오는 초생달 모양의 공간(Cell)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로타리 베인 펌프에서와 같은 원리로 공기를 뽑아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는 실린더 내에 액체가 차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에서와 같이 양파 부산물과 같은 흡입되는 공기에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농수산물 부산물의 진공동결건조 장치에 적합한 펌프라고 할 것이다.
상기 냉각수순환펌프(23)는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가 작동되는 경우 고열이 발생되므로 상기 냉각수순환펌프(23)를 이용하여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수봉식진공펌프(22)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30)는 상기 건조제어부(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챔버(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열판(31)과 보일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판(31)은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32)로부터 열전도유체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구성이다.
상기 보일러(32)는 상기 열판(31)이 발열되도록 상기 열판(31)으로 가열된 열전도유체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도유체가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열전도유체의 예로는 (주)승국케미칼로부터 공급되는 끊는점이 351℃@1.013hPa인 "THERMINOL 55 HEAT TRANSFER FLUID"를 이용할 수 있다할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동결건조 장치의 경우 끊는점이 100℃인 물을 열전도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열전도유체의 초기온도 15~20℃에서 95℃까지 상승시키는데에 3시간 정도 소요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유체를 이용하는 경우 초기온도 15~20℃에서 150℃까지 상승시키는데에 1시간 50분 정도가 소요됨이 확인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열전도유체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온도제어는 상기 건조제어부(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습부(40)는 상기 건조제어부(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챔버(10) 내부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콜드트랩(41)과, 냉각기(42)와, 제상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콜드트랩(41)은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기(42)에 의해 냉매를 공급받아 건조대상물질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냉각시켜 성에 상태로 포집하는 구성이고, 상기 냉각기(42)는 상기 콜드트랩(41)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상기(43)는 상기 콜드트랩(41)에 포집된 성에 상태의 수분을 제상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습부(40)의 구성으로 콜드트랩(41)과, 냉각기(42)와, 제상기(43)를 구비하는 기술은 진공동결건조 장치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양파 부산물 등과 같은 농수산물 부산물의 가공을 위한 진공동결건조 장치이므로, 다량의 수분을 단시간에 제습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 가공을 위해 사용되던 진공동결건조 장치용 콜드트랩의 용량보다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건조제어부(6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챔버(10)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챔버압력계(51), 상기 챔버(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챔버온도계(52), 상기 챔버(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챔버습도계(53) 및 건조대상물질에 직접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질의 온도 즉, 품온을 감지하는 제품온도계(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제어부(60)는 상기 진공형성부(20), 가열부(30) 및 제습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열판(31)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며 80℃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일러(3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제어부(60)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판(31)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5시간 경과 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100℃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50)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가 설정된 값 이하의 습도(예를 들면, 10% 이하의 습도)가 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상기 챔버 (10)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예를 들면, 55℃ 이상의 온도)가 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 건조 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진공형성부(20), 가열부(30) 및 제습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제어부(60)의 제어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판(31)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5시간 경과 후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100℃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2시간 경과 후 건조가 종료되도록 경험칙에 따른 타이머로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농수산물 부산물의 경우 사람이 섭취하기 위한 식품으로는 활용할 수 없는 관계로 대부분 폐기물로 버려지는 실정인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로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의 경우는 토지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비료로 이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챔버
11 출입구
20 진공형성부
21 부스터펌프
22 수봉식진공펌프
23 냉각수순환펌프
30 가열부
31 열판
32 보일러
40 제습부
41 콜드트랩
42 냉각기
43 제상기
50 센서부
51 챔버압력계
52 챔버온도계
53 챔버습도계
54 제품온도계
60 건조제어부

Claims (4)

  1. 건조대상물질로서 동결된 상태의 농수산물 부산물이 내부로 투입되는 밀폐형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진공형성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부와; 상기 진공형성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이 발열되도록 상기 열판으로 가열된 열전도유체를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열전도유체는 끊는점이 150℃를 초과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제어부는, 상기 열판으로 공급되는 상기 열전도유체의 온도가 초기에 150℃를 유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며 80℃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가 설정된 값 이하의 습도가 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건조대상물질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 건조 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진공형성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챔버에 연결된 부스터펌프 및 상기 부스터펌프에 직렬로 연결된 수봉식진공펌프와, 상기 수봉식진공펌프 냉각시키는 냉각수순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수분을 포집하는 콜드트랩과, 상기 콜드트랩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와, 상기 콜드트랩에 포집된 성에 상태의 수분을 제상시키는 제상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진공동결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부산물 비료.
KR20130074334A 2013-06-27 2013-06-27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KR20150001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334A KR20150001315A (ko) 2013-06-27 2013-06-27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334A KR20150001315A (ko) 2013-06-27 2013-06-27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15A true KR20150001315A (ko) 2015-01-06

Family

ID=5247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334A KR20150001315A (ko) 2013-06-27 2013-06-27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3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5098A (zh) * 2018-08-16 2018-12-07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集成恒温、冷却及真空冻干的低温系统
KR20200013868A (ko) 2018-07-31 2020-02-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장을 이용하는 진공동결건조시스템
CN111828321A (zh) * 2020-06-16 2020-10-27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有效提高真空泵工作效率的工作液冷却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868A (ko) 2018-07-31 2020-02-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장을 이용하는 진공동결건조시스템
CN108955098A (zh) * 2018-08-16 2018-12-07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集成恒温、冷却及真空冻干的低温系统
CN108955098B (zh) * 2018-08-16 2023-09-15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集成恒温、冷却及真空冻干的低温系统
CN111828321A (zh) * 2020-06-16 2020-10-27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有效提高真空泵工作效率的工作液冷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8738B (zh) 真空乾燥裝置及真空乾燥方法
CN109312981A (zh) 干燥器和干燥方法
US20180130676A1 (en) Groove-type drying structure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20150001315A (ko) 농수산물 부산물 진공동결건조 장치
JP3621072B2 (ja) 凍結乾燥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60433A (ko) 식품 건조기
CN109323536A (zh) 一种真空冷冻干燥机
CN209042959U (zh) 一种高耐用真空冷冻干燥机
RU23571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куумной сушки термолаб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16694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овакуумно-импульсной сушки пищевых материалов
Stapley Freeze drying
KR20160097510A (ko) 과일이나 채소의 원형이 보존되는 동결 건조기 및 그 건조방법
CN210663607U (zh) 一种用于肉苁蓉的冻干设备
KR101944157B1 (ko) 크라이오 트랩
RU2375654C1 (ru) Установка вакуумной сублимационной сушки
KR101283501B1 (ko) 진공동결건조기용 제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습방법
RU199951U1 (ru) Вакуумная камер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ушки
RU2776402C1 (ru) Установка вакуумной сублимационной сушки
CN210220406U (zh) 一种制备氧化石墨烯粉体的冷冻干燥机
KR101767251B1 (ko) 멀티직렬콜드트랩을 가지는 진공동결건조장치
RU2556811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получения капсулированных ферментных препаратов
CN205784245U (zh) 可自动排水的冻干机
RU196195U1 (ru) Импульсный вакуумный дезинтегратор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CN204923694U (zh) 控温式冷冻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