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289A -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289A
KR20150001289A KR1020130074250A KR20130074250A KR20150001289A KR 20150001289 A KR20150001289 A KR 20150001289A KR 1020130074250 A KR1020130074250 A KR 1020130074250A KR 20130074250 A KR20130074250 A KR 20130074250A KR 20150001289 A KR20150001289 A KR 20150001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olenoid valve
housing
core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624B1 (ko
Inventor
강훈철
박상훈
소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2013007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6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진공 액추에이터를 가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가 상기 진공 액추에이터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어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코어의 돌출된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FILTER FOR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터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의 헤드측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로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및 연료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기 매니폴드는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이 공기 유입구 상에는 스로틀 바디가 장착되어 이를 통해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흡기 매니폴드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가 체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플레늄 챔버가 마련되고, 이 플레늄 챔버의 일측으로는 다수의 실린더로 공기를 적절히 분배하여 안내하기 위한 분기된 유로 즉, 다수의 런너가 연통 형성된다.
이러한, 흡기 매니폴드는 엔진의 체적 효율과 출력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므로 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흡기 매니폴드를 경유하는 혼합기는 정상적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사이클마다 간헐적으로 흐르므로 체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맥동이나 간섭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기의 양은 엔진의 운전조건과 관련이 있으므로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 저부하인 경우에는 적은량의 혼합기의 유동이 필요하고,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 고부하인 경우에는 흡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단시간에 다량의 혼합기의 유동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근에는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가변 조절되는 가변흡기 매니폴드가 개발되었다.
즉, 근래 들어서는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런너의 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가변흡기 시스템(VIS; Variable Intake System)이 적용된 가변흡기 매니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변흡기 매니폴드는 엔진의 운전조건에 따라 그 체적이 적절히 가변 조절되는 것에 의해 엔진 토크의 증대 및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변흡기 시스템은 흡기 매니폴드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와 밸브를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이때, 액추에이터는 전자식 액추에이터 또는 진공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게 된다. 진공 액추에이터가 사용되는 가변흡기 시스템은 진공 액추에이터를 가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필터가 결합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2-0046049호 및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759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100)는 하우징(111)과, 러버(112)와, 필터부재(113) 및 커버(114)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0)는 흡기 매니폴드(미도시)에 연결되는 배기 포트(11a)와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되는 흡기 포트(11b)가 형성되는 유로부(11)를 포함하고, 유로부(11)의 반대측에 필터부(110)가 결합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중공형태의 코어(12)가 삽입되어 유로부(11)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코어(12)의 돌출된 부분이 필터부(110)로 감싸진다.
하우징(111)은 솔레노이드 밸브(10)에서 돌출된 코어(12)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이때, 하우징(111)은 솔레노이드 밸브(10)측 내주면이 반대측 내주면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한다.
러버(112)는 솔레노이드 밸브(10)에서 돌출된 코어(12)의 일단측에 끼워진다. 즉, 러버(112)는 코어(12)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동시에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러버(112)는 하우징(111)이 코어(12)에서 빠지지 않도록 코어(12)와 하우징(111) 사이에 밀착된다.
필터부재(113)는 러버(112)의 외측에서 이격되게 하우징(111)에 삽입된다. 필터부재(113)는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생성되는 부압을 조절하기 위해 필터부(110)를 개방할 때 대기중의 이물질이 솔레노이드 밸브(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114)는 하우징(111)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반대쪽 내측에 결합하여 필터부재(113)와, 러버(112) 및 코어(12)를 폐쇄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100)는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코어(1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므로 고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100)는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측에 필터부의 고정 및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 액추에이터를 가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가 상기 진공 액추에이터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어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코어의 돌출된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는 외측면에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내측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향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면이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된 상기 코어에 밀착되도록 발포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필터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홈에 결합 돌기가 후크 체결 방식으로 끼워짐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측에 필터부의 고정 및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조립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필터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6은 도 3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B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진공 액추에이터(40)를 가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필터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진공 액추에이터(40)는 차량의 흡기 매니폴드(미도시)의 러너에서 공기 흡입 경로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러너 내부에 배치된 밸브(미도시)를 회동시키는 장치이다.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솔레노이드 밸브(50)에 의해 진동 액추에이터에 형성된 부압을 감소시켜야 할 경우 코어(51)측을 개방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의 부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코어(51)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부(420)가 배치된다.
하우징(410)은 솔레노이드 밸브(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50)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가 진공 액추에이터(40)와 연통된다. 이때, 하우징(410)은 유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0)의 코어(5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410)은 솔레노이드 밸브(5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10)은 코어(51)의 돌출된 외측에 필터부(420)가 결합되고, 필터부(420)가 결합되는 코어(51)측의 외부에 결합홈(411)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410)은 코어(51)가 돌출된 부분에서 외측면에 필터부(420)가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결합홈(411)이 형성된다.
필터부(420) 하우징(410)에서 코어(51)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필터부(420)는 하우징(410)에 결합되는 커버(421)와 커버(421)의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422)를 포함한다. 필터부(420)는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의 부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우징(4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커버(421)는 내측면에 결합홈(411)에 대향하는 결합 돌기(421a)가 형성된다. 커버(421)는 결합 돌기(421a)가 결합홈(411)에 끼워지도록 후크 체결 방식으로 하우징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 돌기(421a)는 하우징(410)을 향하는 면이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421a)는 하우징(410)을 향하는 면이 커버(421)의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하우징(410)의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421a)는 결합홈(411)에 끼워지기 용이한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420)는 하우징(410)에서 돌출되는 코어(51)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우징(410)에 결합된다. 이때, 필터(422)는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에 밀착되도록 발포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422)는 커버(421)가 하우징(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를 밀폐할 수 있다. 다만, 필터(422)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에 부압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터부(420)를 분리할 때 필터(422)가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3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50)는 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흡기 매니폴드의 부압에 의해 부압이 생성되고, 진공 액추에이터(40)로 부압을 전달하여 진공 액추에이터(40)를 가동시킨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50)는 일측이 흡기 매니폴드에 연통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배치된 아마추어(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흡기 매니폴드와의 연통이 개폐됨으로써 내부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액추에이터(40)는 솔레노이드 밸브(50)를 통해 가동됨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의 러너에서 공기 흡입 경로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러너 내부에 배치된 밸브(미도시)를 회동시킨다.
여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에 부압을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를 개폐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를 개방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5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의 외측에 결합홈(411)이 형성되고, 필터부(420)에 결합홈(411)에 대향하는 결합 돌기(421a)가 형성된다. 필터부(420)는 하우징(410)에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필터부(420)는 결합 돌기(421a)가 하우징(410)의 결합홈(411)에 끼워지도록 후크 체결 된다. 이때, 필터부(420)는 커버(421)의 내부에 삽입된 필터(422)가 하우징(410)에서 돌출된 코어(51)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통하도록 발포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결합홈(411)에 결합 돌기(421a)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421a)에서 하우징(410) 방향의 면이 라운드 지거나 경사지지도록 형성되어 필터부(420)가 하우징(410)에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결합홈(411)에 결합 돌기(421a)가 후크 체결 방식으로 끼워짐으로써 필터부(420)가 하우징(4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400)는 필터부(420)를 하우징(410)에 후크 체결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필터부(420)를 종래의 비해 커버(421)와 필터(422)의 간단한 구조로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00 :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410 : 하우징
411 : 결함홈 420 : 필터부
421 : 커버 421a : 결합 돌기
422 : 필터

Claims (7)

  1. 진공 액추에이터를 가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가 상기 진공 액추에이터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어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코어의 돌출된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는 외측면에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측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향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면이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된 상기 코어에 밀착되도록 발포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
KR20130074250A 2013-06-27 2013-06-27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80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250A KR101480624B1 (ko) 2013-06-27 2013-06-27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250A KR101480624B1 (ko) 2013-06-27 2013-06-27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89A true KR20150001289A (ko) 2015-01-06
KR101480624B1 KR101480624B1 (ko) 2015-01-09

Family

ID=5247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250A KR101480624B1 (ko) 2013-06-27 2013-06-27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3334A1 (en) 2015-01-06 2016-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6186461A1 (ko) * 2015-05-20 2016-11-24 김현철 밸브 내장형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7477U (ko) * 1984-10-26 1986-05-24
KR20080086037A (ko) *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47907B1 (ko) * 2008-08-19 2011-07-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식 엑츄에이터
KR101196890B1 (ko) * 2010-09-17 2012-11-0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3334A1 (en) 2015-01-06 2016-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6186461A1 (ko) * 2015-05-20 2016-11-24 김현철 밸브 내장형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624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EP3379051B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014150216A (ru) Клапан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для турбокомпрессоров
JPH09228901A (ja) Egr制御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気ガス再循環装置
KR101480624B1 (ko)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65348B1 (ko) 흡기 매니폴드용 액추에이터
KR101163786B1 (ko) 포지티브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 밸브
KR10148062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02349396A (ja) バイパス吸気量制御装置
JP2007218100A (ja) ブローバイガス制御装置
JP6033331B2 (ja) 内燃機関用の排ガス制御装置
JP200404456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071272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9216066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9162071A (ja)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装置
KR101476704B1 (ko)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476694B1 (ko)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060485B2 (en) Control valve assembly
WO2006123818A1 (ja) 多気筒エンジン用吸気装置
JP2007332898A (ja) アイドル空気量制御装置
JPH0244023Y2 (ko)
KR101735238B1 (ko) 흡기 매니폴드
JPH1054250A (ja) 内燃機関用の吸気系
KR101769233B1 (ko) 흡기 매니폴드
KR101748339B1 (ko) 자동차의 가변 흡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