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04B1 -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04B1
KR101476704B1 KR20130092825A KR20130092825A KR101476704B1 KR 101476704 B1 KR101476704 B1 KR 101476704B1 KR 20130092825 A KR20130092825 A KR 20130092825A KR 20130092825 A KR20130092825 A KR 20130092825A KR 101476704 B1 KR101476704 B1 KR 10147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valve shaft
groove
valve
engin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찬가람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2013009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니폴드본체에 설치되는 부싱의 밸브축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부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Engine Intake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변흡기시스템을 사용하는 엔진에서, 매니폴드본체에 설치되는 부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실린더 헤드커버와 실린더 블록이 형성하는 연소실 내에 적정 비율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차량 구동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은 그 성능이 체적 효율, 즉 얼마나 많은 공기를 연소실로 흡입할 수 있는가에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저속과 중속 영역에서는 엔진 흡기장치에 구비된 포트의 길이가 길고 직경이 작을 때 체적 효율 증대에 유리하지만, 반대로 고속 영역에서는 포트의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크면 체적 효율이 커지는 상반된 특성이 있다.
이러한 엔진의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엔진의 전 부하 영역에서 엔진 성능을 향상시길 수 있도록, 엔진 흡기장치의 포트를 지나는 기체의 유동경로를 저속과 중속의 영역에서는 길게 하고, 고속의 영역에서는 짧게 변화시키는 가변흡기시스템(VIS: Variable Induction System)을 사용하게 된다.
가변흡기시스템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7946270호에 개시된 Valve apparatus가 있다.
일반적인 가변흡기시스템을 사용하는 엔진 흡기장치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된 매니폴드본체를 가진다. 매니폴드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포트를 통해 기체의 유동이 발생하고 각 포트에서 유동경로의 길이는 개폐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개폐밸브는 각각의 포트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매니폴드본체에 설치되고, 밸브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함으로써 포트를 개폐한다. 포트의 개방시 또는 폐쇄시 포트에서 기체의 유동경로는 길어지거나 짧아지므로 엔진의 전 부하 영역에서 높은 체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부싱은 매니폴드 본체에 설치되고, 밸브축에 끼워져 밸브축의 회전을 안정화하고 원활하게 한다.
일반적인 엔진 흡기장치에 설치되는 부싱은 밸브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싱의 축방향 움직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부싱의 마모가 일어난다. 특히, 엔진의 내구성 시험의 경우 또는 엔진을 설치한 차량 등이 가혹한 환경에서 주행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진다.
이러한 부싱의 움직임으로 인한 소음발생은 엔진의 정숙 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싱의 움직임으로 인한 부싱의 마모는 엔진 흡기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니폴드본체에 설치되는 부싱의 밸브축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부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엔진 흡기장치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포트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벽은 밸브축삽입부와 부싱삽입홈을 구비한 삽입홀과, 부싱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본체; 상기 밸브축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포트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상기 부싱삽입홈에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는, 상기 부싱과 상기 밸브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공간을 제공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부싱을 향하여 연장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부싱의 상기 밸브축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의 돌출부는, 진동융착시 변형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본체는, 상기 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접합면을 가지며, 상기 제1접합면에 축홈과 부싱홈이 형성된 제1쉘; 및 상기 제1접합면과 접합하여 상기 포트벽을 형성하는 제2접합면을 가지며, 상기 제2접합면에는 상기 축홈에 삽입되어 상기 축홈과 함께 상기 밸브축삽입부를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 축홈삽입부와, 상기 부싱홈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홈과 함께 상기 부싱삽입홈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 부싱홈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싱홈삽입부의 상기 밸브축의 중심방향 길이는 상기 축홈삽입부의 상기 밸브축의 중심방향 길이보다 긴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의 밸브축 방향의 단부와 상기 밸브축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어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엔진 흡기장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포트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벽은 밸브축삽입부와 부싱삽입홈을 구비한 삽입홀과, 밸브축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부싱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부싱삽입홈과 상기 밸브축삽입부에 부싱과 상기 밸브축을 설치하며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부싱을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융착에 의해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은, 부싱의 밸브축 방향 움직임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줄여 엔진의 정숙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싱의 마모와 파손을 줄여 엔진 흡기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제1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제2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에 구비되는 부싱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는, 매니폴드본체(10), 개폐밸브(20) 및 부싱(30)을 포함한다.
매니폴드본체(10)는 복수의 포트(100)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개폐밸브(20)가 설치되어어 개폐밸브(20)가 포트(100)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때, 매니폴드본체(10)는 포트(100) 및 포트벽(110)을 구비한다.
포트(100)는 기체의 유동경로를 제공하고, 유동경로의 길이는 개폐밸브(20)의 포트(100) 개폐에 의해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이때, 포트(100)에서 유동하는 기체는, 공기가 실린더 내부로 직접 분사되는 형태의 엔진인 경우 공기가 되고, 혼합기가 실린더 내부로 분사되는 형태의 엔진인 경우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된다.
포트벽(11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포트벽(110)은 각각의 포트(100)를 구분하는 경계가 되며, 각각의 포트벽(11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매니폴드본체(10)에 개폐밸브(20)가 설치된다. 이때, 포트벽(110)은 삽입홀(120) 및 부싱 이탈방지부(150)를 포함한다.
삽입홀(120)은 포트벽(110)에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밸브축(21), 부싱(30) 등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또한, 삽입홀(120)은 밸브축삽입부(130) 및 부싱삽입홈(140)을 구비한다.
밸브축삽입부(130)는 포트벽(110)에 형성되지만, 밸브축(21) 만이 설치되고 부싱(30)은 설치되지 않는 공간이다. 부싱삽입홈(140)은 포트벽(110)에 형성되고, 부싱(30)이 설치됨과 동시에 부싱(3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밸브축(21)도 설치되는 공간이다.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로 인해, 부싱(30)은 부싱삽입홈(140)에 위치하며 부싱삽입홈(140)을 이탈하여 밸브축삽입부(130)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부싱 이탈방지부(150)는 부싱(30)을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부싱(30)의 밸브축(21)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부싱 이탈방지부(150)는 제1면(151)과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제1면(151)은 부싱(30)과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부싱(30)의 일측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면(151)은 부싱(30)과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이격됨으로 인해 부싱(30)과 제1면(151) 사이에는 제1공간(S)이 형성되고, 제1공간(S)에는 돌출부(152)가 형성된다.
돌출부(152)는 제1면(151)으로부터 부싱(30)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고, 돌출부(152)는 부싱(30)을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부싱(30)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면(151)에 형성되는 돌출부(152)의 구체적 형상, 개수, 위치는 돌출부(152) 가공의 용이성, 매니폴드본체(10)의 조립의 용이성, 돌출부(152)에 요구되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매니폴드본체(10)는 후술하는 제1쉘(200)과 제2쉘(300)이 진동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진동융착시 돌출부(152)는 부싱(30)의 일측면 상에서 진동을 하게 되고, 돌출부(152)의 일부는 진동에 의해 변형되어 제1공간(S)으로 수용됨으로써 돌출부(152)와 부싱(30) 간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부싱(30)의 일측은 부싱 이탈방지부(150)에 형성된 돌출부(152)가 가압하여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부싱(30)의 타측은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부싱의 밸브축(21)의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부싱(30)은 부싱삽입홈(140)의 특정위치에서 밸브축(21)의 축방향 움직임이 극히 작아진다.
부싱 이탈방지부(150)가 매니폴드본체(10)에 구비됨으로 인해, 부싱(30)의 밸브축(21) 방향 움직임으로 인한 소음을 발생을 줄여 엔진의 정숙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싱(30)의 움직임으로 인한 마찰을 줄임으로써 부싱(30)의 마모와 파손을 줄여 엔진 흡기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한편, 부싱 이탈방지부(150)의 밸브축(21) 방향의 단부와 밸브축(21)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부싱 이탈방지부(150)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부싱 이탈방지부(150)와 밸브축(21)이 접촉할 경우, 부싱 이탈방지부(150) 및 밸브축(21)의 마모를 초래할 수 있고 개폐밸브(20)의 회전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 흡기장치의 성능 및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개폐밸브(20)는 매니폴드본체(10)에서 각각의 포트(10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포트(1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폐밸브(20)는 밸브축(21) 및 포트개폐부(22)를 포함한다.
밸브축(21)이 회전함에 따라 포트개폐부(22)도 밸브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포트개폐부(22)가 포트(1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포트(100)에서 기체의 유동경로 및 유동경로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부싱(30)은 밸브축(21)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밸브축(21)의 회전을 안정화하고 원활하게 하며, 일측은 부싱 이탈방지부(150)에 의해, 그리고 타측은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축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부싱(30)은 구조와 기능상 마모에 강한 재질, 예를 들어 황동 등을 사용하여 형성함이 적절하다.
한편, 매니폴드본체(10)는 제1쉘(200)과 제2쉘(300)이 조립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제1쉘(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쉘(200)은 제2쉘(300)과 진동융착에 의해 결합하여 밸브축(21), 부싱(30) 등이 포함된 매니폴드본체(10)를 형성하고, 제1접합면(210)을 가진다. 제1접합면(210)은 제2쉘(300)에 형성된 제2접합면(310)과 진동융착에 의해 결합하는 부위이고, 제2접합면(310)과 결합하여 포트벽(110)을 만들며, 축홈(211) 및 부싱홈(212)이 형성된다.
축홈(211)은 제1접합면(210)에 형성되고, 축홈삽입부(311)와 함께 밸브축(21)이 매니폴드본체(10)에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부싱홈(212)은 제1접합면(210)에서 축홈(211)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부싱홈삽입부(312)와 함께 부싱(30) 및 부싱(3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밸브축(21)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제2쉘(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에 구비되는 부싱 이탈방지부(1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쉘(300)은 제1쉘(200)과 진동융착하여 매니폴드본체(10)를 형성하고, 제2접합면(310)을 가진다. 제2접합면(310)은 제1쉘(200)에 형성된 제1접합면(210)과 진동융착하여 포트벽(110)을 만들며, 축홈삽입부(311) 및 부싱홈삽입부(312)가 형성된다.
축홈삽입부(311)는 제2접합면(310)에 형성되고, 축홈(211)에 삽입되어 축홈(211)과 함께 밸브축삽입부(130)를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다. 부싱홈삽입부(312)는 제2접합면(310)에서 축홈삽입부(311)와 결합한 상태로 형성되고, 부싱홈(212)에 삽입되어 부싱홈(212)과 함께 부싱삽입홈(140)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이때, 부싱 이탈방지부(150)는, 부싱홈(212)과의 관계에서는 부싱홈(212)과 함께 부싱삽입홈(140)을 형성하는 부싱홈삽입부(312)가 된다.
한편, 부싱홈삽입부(312)의 밸브축(21)의 중심방향 길이(h2)는 축홈삽입부(311)의 밸브축(21)의 중심방향 길이(h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h1과 h2는 각각 부싱홈삽입부(312)와 축홈삽입부(311)의 굴곡형상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어느 지점에서도 h2가 h1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구조는 부싱홈삽입부(312)에 돌출부(152), 돌출부(152)가 형성되는 제1면(151), 제1면(151)과 부싱(30)이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공간(S)을 구비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축홈(211)과 축홈삽입부(311)는 함께 밸브축삽입부(130)를 형성하고, 부심홈과 부싱홈삽입부(312)는 함께 부싱삽입홈(140)을 형성하며,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은 삽입홀(120)을 형성한다.
제1쉘(200)과 제2쉘(300)이 진동융착으로 결합하여 삽입홀(120)을 형성하고, 삽입홀(120)은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을 구비하며, 밸브축삽입부(130)에는 밸브축(21)이 설치되고 부싱삽입홈(140)에는 부싱(30)과 부싱(3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밸브축(21)이 설치된다. 또한, 제2쉘(300)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와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 사이에 형성된 단차는, 부싱(30)의 밸브축(21) 방향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흡기장치의 조립방법은, 매니폴드본체(10)를 마련하는 단계(S100), 개폐밸브(20)를 설치하는 단계(S200) 및 돌출부(152)를 진동융착에 의해 변형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매니폴드본체(10)를 마련하는 단계(S100)에서는, 복수의 포트벽(110)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포트(100)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포트벽(110)은 밸브축삽입부(130)와 부싱삽입홈(140)을 구비한 삽입홀(120)과, 밸브축(21)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2)를 가지는 부싱 이탈방지부(150)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본체(10)를 마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니폴드본체(10)는 제1쉘(200)과 제2쉘(300)이 진동융착으로 결합하여 조립되고, 부싱 이탈방지부(150)는 제2쉘(300)에 형성된다.
개폐밸브(20)를 설치하는 단계(S200)에서는, 부싱삽입홈(140)과 밸브축삽입부(130)의 삽입홀(120)에 부싱(30)과 밸브축(21)을 설치하며 개폐밸브(20)를 설치한다.
이때, 부싱(30)은 밸브축(21)에 먼저 끼운 후, 밸브개폐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밸브축(21)에 결합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52)를 진동융착에 의해 변형시키는 단계(S300)에서는, 부싱 이탈방지부(150)의 돌출부(152)를 부싱(30)을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융착에 의해 변형시킨다.
제1쉘(200)과 제2쉘(300)은 진동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쉘(200)과 제2쉘(300)의 진동융착시 돌출부(152)는 부싱(30)의 일측면 상에서 진동을 하게 되고, 돌출부(152)의 일부는 진동에 의해 변형되어 제1공간(S)으로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매니폴드본체 20: 개폐밸브
21: 밸브축 22: 포트개폐부
30: 부싱 100: 포트
110: 포트벽 120: 삽입홀
130: 밸브축삽입부 140: 부싱삽입홈
150: 부싱 이탈방지부 151: 제1면
152: 돌출부 200: 제1쉘
210: 제1접합면 211: 축홈
212: 부싱홈 300: 제2쉘
310: 제2접합면 311: 축홈삽입부
312: 부싱홈삽입부 S: 제1공간

Claims (6)

  1. 복수의 포트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벽은 밸브축삽입부와 부싱삽입홈을 구비한 삽입홀과, 부싱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본체;
    상기 밸브축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포트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매니폴드본체의 상기 부싱삽입홈에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는, 상기 부싱과 상기 밸브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공간을 제공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부싱을 향하여 연장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부싱의 상기 밸브축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상기 돌출부는,
    진동융착시 변형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흡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본체는,
    상기 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접합면을 가지며, 상기 제1접합면에 축홈과 부싱홈이 형성된 제1쉘; 및
    상기 제1접합면과 접합하여 상기 포트벽을 형성하는 제2접합면을 가지며, 상기 제2접합면에는 상기 축홈에 삽입되어 상기 축홈과 함께 상기 밸브축삽입부를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 축홈삽입부와, 상기 부싱홈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홈과 함께 상기 부싱삽입홈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된 부싱홈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흡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홈삽입부의 상기 밸브축의 중심방향 길이는 상기 축홈삽입부의 상기 밸브축의 중심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흡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의 밸브축 방향의 단부와 상기 밸브축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어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흡기장치.
  6. 복수의 포트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벽은 밸브축삽입부와 부싱삽입홈을 구비한 삽입홀과, 밸브축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부싱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부싱삽입홈과 상기 밸브축삽입부에 부싱과 상기 밸브축을 설치하며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싱 이탈방지부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부싱을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융착에 의해 변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엔진 흡기장치 조립방법.
KR20130092825A 2013-08-05 2013-08-05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47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825A KR101476704B1 (ko) 2013-08-05 2013-08-05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825A KR101476704B1 (ko) 2013-08-05 2013-08-05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704B1 true KR101476704B1 (ko) 2014-12-29

Family

ID=5267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2825A KR101476704B1 (ko) 2013-08-05 2013-08-05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977A (ja) * 1998-11-10 2000-05-26 Kubota Corp 高温用バタフライ弁
KR20050061041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장착 구조
JP2008045432A (ja) * 2006-08-11 2008-02-28 Denso Corp 多連一体型バルブ開閉装置
KR20100007538A (ko) * 2008-07-14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의 밸브 샤프트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977A (ja) * 1998-11-10 2000-05-26 Kubota Corp 高温用バタフライ弁
KR20050061041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장착 구조
JP2008045432A (ja) * 2006-08-11 2008-02-28 Denso Corp 多連一体型バルブ開閉装置
KR20100007538A (ko) * 2008-07-14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매니폴드의 밸브 샤프트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622B2 (en) Intake control device
WO2017150026A1 (ja) バルブ装置
JP2007056794A (ja) 内燃機関の吸気ポート構造
JP5710081B2 (ja) バルブ
JP2008075513A (ja) レゾネータを備える多気筒内燃機関
EP3379051B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29014B2 (ja) 直接噴射式内燃機関用のフランジ形中間系
KR101476704B1 (ko)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05061231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WO2018074205A1 (ja) 断熱インサート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エンジン
JP6207801B2 (ja) 電磁弁
CN108060973B (zh) 进气装置及阀体的制造方法
KR101480624B1 (ko) 진공 액추에이터 일체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1296961B1 (ko) 텀블형 vcm 밸브 구조
JP4628271B2 (ja) 可変吸気装置のシール構造
KR101503789B1 (ko) 블로바이가스 통로가 통합된 쉘을 갖는 흡기매니폴드
CN107975440A (zh) 用于内燃机的阀的垫片
KR101476694B1 (ko)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888B1 (ko) 내연기관용 유체흐름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JP2020037918A (ja) 吸気マニホールド
KR101114085B1 (ko) 가변 흡기 매니폴드의 밸브 샤프트 지지구조
JP2007285171A (ja) 吸気管の取付構造
JP5633488B2 (ja) 流体制御弁
JP2015218810A (ja) 電磁弁
JP5983848B2 (ja) 吸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