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135U - 주스기 - Google Patents

주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35U
KR20150001135U KR2020130007519U KR20130007519U KR20150001135U KR 20150001135 U KR20150001135 U KR 20150001135U KR 2020130007519 U KR2020130007519 U KR 2020130007519U KR 20130007519 U KR20130007519 U KR 20130007519U KR 20150001135 U KR20150001135 U KR 201500011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crew
housing
ju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611Y1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2020130007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11Y1/ko
Priority to CN201711250875.7A priority patent/CN107822477B/zh
Priority to CN201480058373.2A priority patent/CN105658117B/zh
Priority to PCT/KR2014/008408 priority patent/WO2015034319A1/ko
Publication of KR20150001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11Y1/ko
Priority to HK18110215.8A priority patent/HK1250615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8Vertical or inclined screw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4Other sealings for rotating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의 둘레에 구동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구동축을 타고 흘러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스크류의 중심축 하부에 스크류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스크류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주스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스기는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 및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스기{JUICER}
본 고안은 회전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우징 내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한 후 즙과 찌꺼기를 각각 분리 배출시키는 주스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주스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주스기는 본체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우징 내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야채나 과일 등)을 착즙한 후 망드럼을 통해 즙과 찌꺼기를 각각 분리 배출시킨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101848호, 10-2012-0029640호 및 특허등록공보 제10-0755440호는 위와 같은 주스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100)는 구동축(115a)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115)가 장착되는 본체(110)와, 본체(110)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부에 즙배출구(121)와 찌꺼기배출구(123)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축(115a)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하우징(120)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130)와, 하우징(120) 내에서 스크류(1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배출되도록 하는 망드럼(140)과, 하우징(1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투입구(15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망드럼(14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0)는 상부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의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하우징(120)의 안착부(113a)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13b)이 형성되고 관통공(113b)의 하부에 패킹지지링(113c, 113d)이 구비되는 커버(113)와, 베이스(111) 내에 구비되고 구동축(115a)이 관통공(113b)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모터(115)와, 커버(113)의 패킹지지링(113c, 113d)과 구동축(115a)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115a)을 타고 흘러내린 즙이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117a, 117b)을 포함한다. 도면부호 119는 베이스(111)와 커버(113)를 체결하는 체결구를 덮어 가리는 체결구마감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100)의 본체(110)의 경우, 즙이 구동축(115a)을 타고 흘러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117a, 117b)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구동축패킹(117a, 117b)은 즙이 구동축(115a)을 타고 흘러 관통공(113b)과 구동축(115a)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사후적 패킹수단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100)의 본체(110)의 경우, 구동축패킹(117a, 117b)이 구동축(115a)의 회전시 접촉면적이 넓어 마모나 열변형의 위험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관통공(113b)과 구동축(115a) 사이의 틈으로 유출된 즙이 구동축패킹(117a, 117b)을 지나 본체(1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100)의 경우, 하우징(120)의 하부면과 스크류(130)의 중심축(131) 사이에 스크류축패킹(133)이 구비되기는 하지만, 스크류축패킹(133)에 스크류(130)의 중심축(1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므로 즙이 스크류(130)의 중심축(131)을 타고 하우징(120)의 외부로 유출되어 최종적으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의 상측 둘레에 구동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구동축을 타고 흘러 본체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류의 중심축 하부에 스크류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스크류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및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갖는 주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패킹은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경사진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이 상기 구동축패킹과 본체의 접촉면적 보다 크며, 상기 구동축패킹은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패킹의 상측은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면접촉되고 상기 구동축패킹의 하측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향경사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는 즙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가 상기 하향경사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및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갖는 주스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축패킹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경사진 종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접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축패킹과 스크류의 중심축의 접촉면적이 상기 스크류축패킹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의 접촉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스크류축패킹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축패킹의 상측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고, 상기 스크류축패킹의 하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면접촉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 중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는 즙이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및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갖는 주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과,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의 상측 둘레에 구동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구동축을 타고 흘러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둘째, 구동축패킹이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만 본체의 상부면에 접함에 따라 즙이 구동축을 타고 흘러 본체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구동축패킹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며, 특히 구동축의 회전시에는 구동축패킹도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즙이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패킹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셋째, 본체의 상부면 중 구동축의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향경사부가 형성되고 하향경사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링형 돌출단턱부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축패킹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구동축패킹의 하단과 본체의 상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즙이 하향경사부를 타고 흘러내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자연배수될 뿐만 아니라 즙이 하향경사부를 타고 올라온다 하더라도 링형 돌출단턱부에 의해 본체 내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넷째, 구동축패킹의 하측 단부만 본체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구동축패킹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되더라도 본체의 상부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축패킹의 내구성이 크게 높아지고, 구동축패킹 하측 단부 주변에 즙 등이 고이더라도 구동축패킹과 본체 상부면 사이의 틈을 타고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크류의 중심축 하부에 스크류축패킹이 설치됨에 따라 즙이 스크류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축패킹이 스크류의 중심축의 하부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종(bell)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접함에 따라 즙이 스크류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의 하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스크류축패킹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셋째,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 중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는 링형 돌출단턱부가 형성됨에 따라 스크류축패킹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스크류축패킹의 하단과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즙이 스크류의 중심축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스크류축패킹의 상측이 스크류의 중심축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스크류축패킹이 스크류의 중심축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더라도 스크류의 중심축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크류축패킹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주스기의 효과를 모두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는,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13)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11)가 내장되는 본체(10)와, 본체(10)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부에는 즙배출구(21)와 찌꺼기배출구(23)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13)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30)와, 하우징(20) 내에서 스크류(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40)과, 하우징(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투입구(5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망드럼(4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50)과,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 상측이 결합되고 본체(10)의 상부면에 하단이 접함에 따라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스크류(30)의 회전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하우징(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베이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구동축(13)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11)가 내장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에는 구동모터(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고, 구동모터(11)의 작동여부 및 작동모드 등을 선택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구동모터(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탑재된다.
전술한 본체(10) 상에는 하우징(20)이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데, 이 하우징(20)은 스크류(30) 및 망드럼(40)의 조합에 의해 착즙대상물의 착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즙이 배출되는 즙배출구(21)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배출구(23)가 각각 분리형성된다.
전술한 하우징(20) 내에는 스크류(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스크류(30)는 구동축(13)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하부로 천천히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시켜가며 망드럼(40)과의 조합을 통해 착즙하고, 착즙 후 남은 찌꺼기가 찌꺼기배출구(23)로 강제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선형그루브(33)가 형성된 수직스크류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3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나선(3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하단은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에 결합되어 구동축(13)과 일체로 회전되고,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상단은 후술되는 뚜껑(50)의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하우징(20) 내에는 망드럼(40)이 스크류(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데, 이 망드럼(40)은 즙만 외부로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즙은 즙배출구(21)를 통해, 그리고 찌꺼기는 찌꺼기배출구(23)를 통해 각각 분리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측벽에 망공이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망드럼(40)의 상단은 후술되는 뚜껑(50)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망드럼(40)의 하단은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돌출된 링형 안착돌기에 결합된다.
전술한 하우징(20)의 상단에는 뚜껑(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50)의 상부에는 투입구(51)가 돌출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망드럼(4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본체(10), 하우징(20), 스크류(30), 망드럼(40) 및 뚜껑(50)은 주스기(1)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아래에서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구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는 구동축패킹(60)이 결합되는데, 이 구동축패킹(60)은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동축(13)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축패킹(6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 패킹결합홈(13a)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의 경우,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13)의 상측 둘레에 구동축패킹(60)이 설치됨과 동시에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함에 따라, 만약 즙이 유출될 경우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구동축패킹(60)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접촉면적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축패킹(60)과 구동축(13)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구동축패킹(60)과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하는 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구동축패킹(60)의 상측은 구동축(13)의 둘레에 면접촉되고 구동축패킹(60)의 하측 단부는 본체(10)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13)의 회전시에 구동축패킹(60)도 구동축(13)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즙이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패킹(60)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구동축패킹(60)의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과 함께 회전되더라도 본체(10)의 상부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축패킹(60)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패킹(60)의 하측 단부 주변으로 즙 등이 고여있는 경우에도 구동축패킹(60)과 본체(10) 상부면 사이의 틈을 타고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중 구동축(13)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향경사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패킹(6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구동축패킹(60)의 하단과 본체(10)의 상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즙이 하향경사부(15)를 타고 흘러내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자연배수됨에 따라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중 구동축(13)의 둘레에는 즙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17)가 하향경사부(1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즙이 구동축패킹(6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구동축패킹(60)의 하단과 본체(10)의 상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도, 하향경사부(15)를 타고 흘러내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자연배수될 뿐만 아니라 즙이 하향경사부(15)를 타고 올라온다 하더라도 링형 돌출단턱부(17)에 의해 즙의 유입을 최종적으로 한번 더 방지해준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는,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타고 흘러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13)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11)가 내장되는 본체(10)와, 본체(10)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부에는 즙배출구(21)와 찌꺼기배출구(23)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13)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30)와, 하우징(20) 내에서 스크류(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배출되도록 하는 망드럼(40)과, 하우징(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투입구(5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망드럼(4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50)과,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하부 둘레에 결합되고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하단이 접함에 따라 즙이 하우징(20) 내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본체(10), 하우징(20), 스크류(30), 망드럼(40) 및 뚜껑(50)은 주스기(1')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아래에서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구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스크류(30)의 중심축(31)에는 스크류축패킹(70)이 결합되는데, 이 스크류축패킹(70)은 즙이 하우징(20)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하부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종(bell)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스크류축패킹(70)의 결합을 위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둘레에는 패킹결합홈(31a)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의 경우, 스크류(30)의 중심축(31)에 스크류축패킹(70)이 설치됨과 동시에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종(bell)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함에 따라,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20)의 하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스크류축패킹(70)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접촉면적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도록, 스크류축패킹(70)과 스크류(30)의 중심축(31)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스크류축패킹(70)과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은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고, 스크류축패킹(70)의 하측은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 특히 패킹결합홈(31a) 내에 결합되는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E"자 형상을 가짐에 따라 총 3개소에서 링 형상으로 선접촉된다.
이 경우에는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더라도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크류축패킹(70)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된다.
또한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 중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둘레에는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타고 흘러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스크류축패킹(7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스크류축패킹(70)의 하단과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링형 돌출단턱부(25)에 의해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최종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즙이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는,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타고 흘러 하우징(20)의 하부로 유출되어 최종적으로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13)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11)가 내장되는 본체(10)와, 본체(10)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부에는 즙배출구(21)와 찌꺼기배출구(23)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13)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30)와, 하우징(20) 내에서 스크류(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배출되도록 하는 망드럼(40)과, 하우징(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투입구(5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망드럼(4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50)과,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 상측이 결합되고 본체(10)의 상부면에 하단이 접함에 따라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60)과,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하부 둘레에 결합되고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하단이 접함에 따라 즙이 하우징(20) 내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본체(10), 하우징(20), 스크류(30), 망드럼(40) 및 뚜껑(50)은 주스기(1")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아래에서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구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는 구동축패킹(60)이 결합되는데, 이 구동축패킹(60)은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동축(13)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축패킹(6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13)의 둘레에는 패킹결합홈(13a)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의 경우,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13)의 상측 둘레에 구동축패킹(60)이 설치됨과 동시에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함에 따라, 만약 즙이 유출될 경우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구동축패킹(60)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접촉면적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축패킹(60)과 구동축(13)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구동축패킹(60)과 본체(10)의 상부면에 접하는 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구동축패킹(60)의 상측은 구동축(13)의 둘레에 면접촉되고 구동축패킹(60)의 하측 단부는 본체(10)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13)의 회전시에 구동축패킹(60)도 구동축(13)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즙이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패킹(60)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즙이 구동축(13)을 타고 흘러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구동축패킹(60)의 하측 단부만 본체(10)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구동축패킹(60)이 구동축(13)과 일체로 회전되더라도 본체(10)의 상부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축패킹(60)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중 구동축(13)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향경사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패킹(6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구동축패킹(60)의 하단과 본체(10)의 상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즙이 하향경사부(15)를 타고 흘러내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자연배수됨에 따라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중 구동축(13)의 둘레에는 즙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17)가 하향경사부(1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즙이 구동축패킹(6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구동축패킹(60)의 하단과 본체(10)의 상부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도, 하향경사부(15)를 타고 흘러내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자연배수될 뿐만 아니라 즙이 하향경사부(15)를 타고 올라온다 하더라도 링형 돌출단턱부(17)에 의해 즙의 유입을 최종적으로 한번 더 방지해준다.
전술한 스크류(30)의 중심축(31)에는 스크류축패킹(70)이 결합되는데, 이 스크류축패킹(70)은 즙이 하우징(20)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하부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종(bell)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스크류축패킹(70)의 결합을 위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둘레에는 패킹결합홈(31a)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스기(1")의 경우, 스크류(30)의 중심축(31)에 스크류축패킹(70)이 설치됨과 동시에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종(bell)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함에 따라,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을 타고 흘러 하우징(20)의 하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스크류축패킹(70)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접촉면적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도록, 스크류축패킹(70)과 스크류(30)의 중심축(31)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스크류축패킹(70)과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은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고, 스크류축패킹(70)의 하측은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 특히 패킹결합홈(31a) 내에 결합되는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E"자 형상을 가짐에 따라 총 5개소에서 링 형상으로 선접촉된다.
이 경우에는 스크류축패킹(70)의 상측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됨에 따라, 스크류축패킹(70)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더라도 스크류(30)의 중심축(31)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마모나 변형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크류축패킹(70)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된다.
또한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 중 스크류(30)의 중심축(31)의 둘레에는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타고 흘러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스크류축패킹(70)의 마모나 변형에 의해 즙이 스크류축패킹(70)의 하단과 하우징(20)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링형 돌출단턱부(25)에 의해 즙이 스크류(30)의 중심축(31)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최종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즙이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1, 1', 1" : 주스기 10 : 본체
11 : 구동모터 13 : 구동축
15 : 하향경사부 17, 25 : 링형 돌출단턱부
20 : 하우징 21 : 즙배출구
23 : 찌꺼기배출구 30 : 스크류
31 : 중심축 40 : 망드럼
50 : 뚜껑 60 : 중심축패킹
70 : 스크류축패킹

Claims (12)

  1.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을 포함하는 주스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패킹은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경사진 우산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패킹과 구동축의 접촉면적이 상기 구동축패킹과 본체의 접촉면적 보다 크며, 상기 구동축패킹은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패킹의 상측은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면접촉되고, 상기 구동축패킹의 하측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향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는 즙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가 상기 하향경사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7.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및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을 포함하는 주스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패킹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된 상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부를 향해 경사진 종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패킹과 스크류의 중심축의 접촉면적이 상기 스크류축패킹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의 접촉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스크류축패킹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패킹의 상측은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 둘레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되고, 상기 스크류축패킹의 하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 중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는 즙이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형 돌출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기.
  12. 구동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일측에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분리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망드럼;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축패킹; 및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의 둘레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류축패킹;을 포함하는 주스기.
KR2020130007519U 2013-09-06 2013-09-06 주스기 KR200480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19U KR200480611Y1 (ko) 2013-09-06 2013-09-06 주스기
CN201711250875.7A CN107822477B (zh) 2013-09-06 2014-09-05 榨汁机
CN201480058373.2A CN105658117B (zh) 2013-09-06 2014-09-05 榨汁机
PCT/KR2014/008408 WO2015034319A1 (ko) 2013-09-06 2014-09-05 주스기
HK18110215.8A HK1250615A1 (zh) 2013-09-06 2018-08-09 榨汁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19U KR200480611Y1 (ko) 2013-09-06 2013-09-06 주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35U true KR20150001135U (ko) 2015-03-16
KR200480611Y1 KR200480611Y1 (ko) 2016-06-15

Family

ID=5262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519U KR200480611Y1 (ko) 2013-09-06 2013-09-06 주스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480611Y1 (ko)
CN (2) CN105658117B (ko)
HK (1) HK1250615A1 (ko)
WO (1) WO20150343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0A1 (ko) * 2017-08-18 2019-02-21 김재원 착즙 드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542B (zh) * 2017-09-28 2021-07-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挤压螺杆及食物处理机
CN209528838U (zh) * 2017-10-31 2019-10-25 株式会社惠人 可拆分螺杆、使用该可拆分螺杆的榨汁桶以及榨汁机
KR102417129B1 (ko) * 2020-03-05 2022-07-06 주식회사 엔젤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6803A3 (fr) * 1978-06-28 1980-01-23 Lohr S.A. Procédé pour le fractionnement et le conditionnement de plantes vert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2600395B2 (ja) * 1989-09-28 1997-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調理器
CN2124640U (zh) * 1992-03-23 1992-12-16 林少华 柑橙类水果榨汁杯
KR100793852B1 (ko) *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0460851Y1 (ko) * 2009-03-02 2012-06-11 김영기 원액기
CN201379461Y (zh) * 2009-03-20 2010-01-13 高洽伸 一种食品加工机的杯体
FR2954072B1 (fr) * 2009-12-23 2012-02-10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et un dispositif de predecoupe
CN201767733U (zh) * 2010-06-13 2011-03-23 杨碧连 一种螺杆挤压式新型榨汁机
KR101154858B1 (ko) * 2010-09-03 2012-06-18 박창규 원액 추출기
KR101102902B1 (ko) 2010-09-17 2012-01-09 김영기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CN104274059A (zh) * 2010-09-17 2015-01-14 金煐麒 具有稠状果汁制造功能的果汁机
CN202269879U (zh) * 2011-10-11 2012-06-13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榨汁机
CN202604504U (zh) * 2012-05-24 2012-12-19 王晓东 带组合式抽气装置的榨汁机
CN202858792U (zh) * 2012-09-13 2013-04-10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一种低速挤压榨汁机的密封结构
KR101257443B1 (ko) * 2012-09-18 2013-04-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CN202874936U (zh) * 2012-10-16 2013-04-17 孙立峰 挤压榨汁机
CN203028930U (zh) * 2012-12-14 2013-07-03 湖南鑫隆模塑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便携式果汁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0A1 (ko) * 2017-08-18 2019-02-21 김재원 착즙 드럼
KR20200022500A (ko) * 2017-08-18 2020-03-03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8117B (zh) 2018-03-30
HK1250615A1 (zh) 2019-01-11
CN107822477A (zh) 2018-03-23
CN107822477B (zh) 2021-01-29
WO2015034319A1 (ko) 2015-03-12
CN105658117A (zh) 2016-06-08
KR200480611Y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611Y1 (ko) 주스기
KR102127034B1 (ko) 식품 가공 장치
CN102912593B (zh) 洗衣机
KR101130121B1 (ko)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US9662659B2 (en) Food waste disposal
US9756983B2 (en) Salad spinner
TW201545688A (zh)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KR101543090B1 (ko) 식기 세척기
CN1656986A (zh) 带有安全联锁的厨房电器
KR101343601B1 (ko) 착즙 주서기
US10245619B2 (en) Foodstuff sieve station
JP2015029546A (ja) 洗濯機
EP3689204B1 (en) Grinding device
KR200441481Y1 (ko) 마늘박피용 커터를 구비하는 전기믹서기
KR20150066949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200037046A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JP2008207148A (ja) 家庭用精米機
RU2597530C2 (ru) Жидкос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KR102369159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20130003335U (ko) 싱크대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10194079A (ja) 炊飯器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0923916B1 (ko) 탈수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AU2010101343A4 (en) Free-of-bearing rotational positioning device for a dewatering basket of a non-treading type wringer bucket
KR102408753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