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84A -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84A
KR20150000784A KR20130073336A KR20130073336A KR20150000784A KR 20150000784 A KR20150000784 A KR 20150000784A KR 20130073336 A KR20130073336 A KR 20130073336A KR 20130073336 A KR20130073336 A KR 20130073336A KR 20150000784 A KR20150000784 A KR 2015000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en
signal
security
asset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097B1 (ko
Inventor
구민수
오철호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구민수
김동주
오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수, 김동주, 오철호 filed Critical 구민수
Priority to KR102013007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97B1/ko
Priority to PCT/KR2014/005635 priority patent/WO2014209014A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 ― 상기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상기 고객의 계약성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및 담보권을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성 자산은 선물 계약 및 옵션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모듈;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ENCUMBRANCE FOR CONTRACT-BASED ASSE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선물 계약, 옵션 계약 등과 같은 계약성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고 이를 관리하여 담보권의 안정성과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에 금융자산을 보관 중이거나 금융기관과의 정산을 통해 금전을 지급받을 지위에 있는 금융고객은 보관 중인 금융자산 또는 예정 정산금액을 담보로 금융기관 또는 개인 등으로부터 대출을 받거나, 금융자산 또는 예정 정산금액 전부 또는 일부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정기적/부정기적으로 지급 또는 양도하는 합의를 하거나 기타 여러 사유에 따라 지급 또는 양도할 의무를 부담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출금을 담보하기 위해 또는 금융자산의 지급 또는 양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금융자산에 대해 대출자 또는 금융자산을 지급받거나 양도받을 자를 위하여 담보권(예를 들어, 질권)이 설정될 수 있다.
금융기관이 보관 중인 금융자산에 대해 담보권이 설정되면, 금융자산의 소유자에 의한 이체, 사용, 출고, 출금, 매도 등의 처분행위가 제한되고, 상기 자산을 보관 중인 금융기관도 소유자에 대하여 지급, 출고, 출금 등의 처분행위가 금지된다. 입법례에 따라서 보관 금융기관이 상기 금융자산을 처분이 제한된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담보권자가 직접 이를 점유 또는 교부받은 것으로 간주하기도 하며, 입법례에 의한 간주규정이 없더라도 상기 금융자산의 이해관계자에게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리거나 또는 금융자산에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표시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금융자산에 대한 담보권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여러 금융자산 중 유가증권, 예수금 등에 대해서 담보권이 설정되고 있으나, 선물/옵션 계약에 대해서는 담보권을 설정하여 고객의 처분을 제한하며 담보권자의 지위를 보장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이는 선물/옵션 계약 자체의 금융담보로서 가치는 극히 낮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선물/옵션 계약은 재산적 가치를 가지는 사권(私權)을 표시하는 증권 즉 유가증권이 아니며, 따라서 권리와 증권과의 결합을 기초로 하여, 권리의 이전·행사를 원활·안전하게 한다는 점에서 증권의 유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유가증권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계약체결 상대방 또는 청산소(Clearing House)를 통한 계약의 청산이나 정산 이외에 계약 자체의 양도가 어렵기 때문에 계약 자체의 유동성 확보가 어려웠다.
또한, 선물/옵션 계약 차제의 평가가치는 계약의 기초가 되는 기초자산의 가격의 등락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어 특징을 지니고 있어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반환하여야 할 금액이 확정되었거나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예금과는 크게 차이가 있다.
또한, 선물/옵션 계약에 담보권이 설정될 경우, 소유자에 의한 매도, 청산, 대체, 출고 등의 처분이 제한되고, 보관 금융기관도 소유자에 대하여 매도허락, 지급, 출고 등의 행위 허용할 수 없으므로 선물/옵션 계약의 유동성은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물/옵션 계약을 이용하는 담보 제공이 불가능하였고, 따라서 금융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선물/옵션 계약에 담보권을 설정하여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게 하고, 대출기관 등의 담보권자는 담보권자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담보가 설정된 선물/옵션 계약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약성 자산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함과 동시에, 담보로 제공된 계약성 자산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아 대항력을 획득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계약성 자산을 기초로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하게 하되, 담보로 제공된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담보권자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 ― 상기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상기 고객의 계약성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및 담보권을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성 자산은 선물 계약 및 옵션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모듈;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상기 고객의 계약성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및 담보권을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성 자산은 선물 계약 및 옵션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상기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계약성 자산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함과 동시에, 담보로 제공된 계약성 자산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아 대항력을 획득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계약성 자산을 기초로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하게 하되, 담보로 제공된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담보권자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담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담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110), 공증기관 서버(120), 담보권자 서버(130) 및 담보 관리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terminal)은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 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서버(server)는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온라인상의 고객 단말(110), 공증기관 서버(120), 담보권자 서버(130) 및 담보 관리 서버(140) 간의 담보권의 관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오프라인상의 담보 관리 시스템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의 담보 관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단말, 서버 등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증기관 서버가 아니라 공증기관 단말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도 1에서 도시되는 고객 단말(110), 공증기관 서버(120), 담보권자 서버(130) 및 담보 관리 서버(140)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및 사상을 설명한다.
고객 단말(110)은 자신의 계좌(예를 들어, 증권 계좌, 은행 계좌 등)에 예치된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면서 대출을 신청하는 고객의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담보로 제공되는 자산은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일체의 자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산은 유가증권(예를 들어, 주식, 채권, 수익증권, ELS 등), 예수금, 파생 상품(예를 들어, 선물 옵션 등), 적금, 예금성 자산, ELF 등 각종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산은 별도의 등기절차 또는 등록절차로 직접 관리되는 자산으로서, 등기/등록된 순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권리로서 계좌로 관리할 수 있는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산은 계약성 자산과 비계약성 자산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계약성 자산은 당사자 간의 계약(예를 들어, 소비대차계약 등)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산으로서 일정한 조건, 기간 등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정산의무가 존재한다. 계약성 자산에는 예를 들어, 선물 계약, 옵션 계약, 예금, 적금, 예수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계약성 자산은 계약성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자산으로서, 당사자 간의 정산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 비계약성 자산에는 예를 들어, 주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약성 자산 중 선물 계약은 미래의 특정시점(결제일)에 수량, 규격이 표준화된 상품이나 금융 자산(예를 들어, 외환, CD, 국채 등) 등 일정량의 특정상품을 미리 정한 가격(선물가격)에 인수 혹은 인도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의미한다. 또한, 선물 계약의 결제일 이전에 계약 자체를 매도(반대매매 또는 청산거래) 또는 선물 계약의 결제일에 현물에 대한 인,수도를 행함으로써 계약을 이행하게 되는 거래 형태를 선물 거래(futures trading)라고 한다. 이러한 선물 계약은 인,수도 조건이 표준화된 계약이며, 계약의 이행이 결제기관에 의해 보증되므로 거래에 따른 위험이 없다. 선물 거래는 공인된 거래소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제 선물 계약의 이행이 이루어지기 전 시점에 선물 계약의 약 97% 가량이 매도거래(반대매매 또는 청산거래)에 의해 거래가 결제된다. 현재 우리나라 선물 거래소에서는 국채, 옵션, CD, 증권, 금리, 주가지수, 달러, 금 등이 거래되고 있다.
계약성 자산 중 옵션 계약은 임의의 상품을 소정의 유효 기간 내에 소정의 가격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은 권리를 거래하기 위한 계약으로, 소정의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이라 하고, 소정의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 한다. 옵션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프리미엄(premium)이라는 옵션의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게 되는데, 프리미엄을 지급하고 옵션을 매수함으로써 권리를 취득하는 사람을 옵션 매수자라고 하고, 권리를 매도하여 프리미엄을 받고 권리 이행의 의무를 갖는 사람을 옵션 매도자라고 한다.
공증기관 서버(120)는 공증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직,간접적으로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공증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은 예를 들어, 법무법인, 법무법인(유한), 법무조합, 공증인가 받은 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보권자 서버(130)는 고객이 제공한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보권자가 직, 간접적으로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담보권자는 대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이나 기관, 예를 들어, 증권사, 은행, 저축은행, 파이낸셜, 보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서버(140)는 고객의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을 관리하기 위해 자산관리자가 직,간접적으로 운용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자산관리자는 고객의 자산을 직,간접적으로 점유하며, 고객의 자산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갖는 개인이나 기관, 예를 들어, 증권사, 은행, 저축은행, 파이낸셜, 보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담보권자 서버(130)와 담보 관리 서버(140)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은 자신의 계좌에 예치된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고객의 대출 신청에 응답하여, 담보권자는 담보로 제공된 자산을 평가한 후, 고객에게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출원리금은 고객이 담보권자로부터 대출받은 대출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대출원금 및 대출이자를 포함하며, 대출원리금 중 일부가 변제된 경우에는 잔존 대출원리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무불이행, 이행지체, 불법행위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금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손해배상금 또한 대출원리금에 포함될 수 있다. 대출이 이루어지면, 고객이 담보로 제공한 자산에는 담보권이 설정될 수 있다.
담보권이 설정되면, 자산관리자는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이 설정되는 고객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자산관리자는 고객으로부터 일정한 자산을 보관하고 반환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하는 자산 반환 채무를 기재한 증권 계좌 등의 고객 계좌부에 권리 현황을 기재함으로써 담보권의 대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고객 계좌부의 기재에 의한 대항력의 발생은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한 적법한 것으로서, 특히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권리현황을 전산-기록함으로써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담보권이 설정되는 고객의 자산이 계약성 자산인 경우, 담보권의 설정에 의해 권리 제한을 받는 자가 담보권 설정 사실을 담보권자 또는 이해관계인에게 통지하거나, 이해관계인이 이를 승낙하는 경우에 담보권의 대항력, 즉, 담보로 제공된 자산에 대한 모든 후순위권리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에 대하여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자산관리자는 고객의 자산을 점유 및/또는 관리하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자산에 대한 담보권 설정을 용인하거나 적극적으로 담보권 설정에 대해 승낙하게 될 당사자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승낙권한을 갖는 이해관계인으로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받아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산관리자의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담보권 설정 승낙 및/또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하고, 확정일자가 등록된 상기 내용을 자산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담보권 설정 승낙의 경우, 공증기관이 확정일자를 등록하면, 등록된 확정일자에 의한 법적 효력, 담보권이 대항력이 발생하며, 담보권 설정 통지의 경우, 공증기관이 확정일자를 등록하고, 이를 자산관리자가 수신하면, 상기 수신과 동시에 등록된 확정일자에 의한 법적 효력, 즉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하기, 본 발명에 따라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및 사상을 설명하지만, 담보권이 아닌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다른 권리 또는 당사자 간의 약정에 의해 처분제한이 설정된 자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담보권자가 고객에게 제공한 대출서비스, 즉 대출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고객의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의 피담보채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자산을 양도 또는 지급하는 채무를 부담하는 이행계약을 피담보채무로 하여 고객의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200)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자산관리자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서버, 단말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200)는 인터페이스 모듈(210); 유효성 판단 모듈(220); 담보 관리 모듈(230); 거래 수행 모듈(240), 담보 실행 모듈(250); 대출 모듈(260);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고객, 담보권자,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고객의 자산에 대한 담보권 설정 신호, 담보권 실행 신호, 고객의 자산의 매도신호, 고객의 자산을 이용한 매수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은 고객 단말, 담보권자 서버로부터 이루어지거나, 유선 또는 영업점 방문 등을 통해 고객의 관리행위에 관한 의사를 접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은 담보 관리 장치의 관리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 담보권 실행 질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자에게 매수주문 또는 매도신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자로부터 매수주문 또는 매도신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고,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대출원리금의 합이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하이면,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상기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 및 고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유지담보비율의 하락을 통지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각종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를 참조하여 유효성의 판단 기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유효성의 판단 기준은 당사자 간의 약정 또는 협약에 의해 임의로 결정되거나, 법률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담보권의 관리행위의 성격이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판단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의하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매수주문 또는 매도신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자로부터 매수주문 또는 매도신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의 자산에 대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담보권의 설정된 자산에 대해 설정된 처분제한과는 별도로, 자산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의 등록, 변경 철회는 담보권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러한 담보권자의 의사는 담보권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입력될 수 있다.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를 참조하여, 매수제한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를 고객 또는 담보권자 등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 또는 매도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담보권의 설정으로 인해 권리제한을 받는 다른 담보권자가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기존의 담보권자와 신규 담보권의 담보권자가 동일 순위에서 지분을 나누게 되는 경우 등),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다른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설정 신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해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게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를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고객 또는 담보권자로부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정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설정 신호를 고객 또는 담보권자 등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 또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실행 신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해 담보권자 또는 고객에게 담보권 실행 질의 신호를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자 또는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실행 신호를 고객 또는 담보권자 등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 모듈(220)의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효성 판단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담보 관리 모듈(230)은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고객의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고객의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반영할 수 있다. 담보 관리 모듈(230)은 담보권의 설정 또는 해지를 반영하지 않더라도, 고객의 자산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 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고객의 자산으로부터 청산, 매도, 매수 및 배당 등에 의해 신규 자산이 발생하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신규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신규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면,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에 대해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담보 관리 모듈(230)은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대출원리금의 합이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상이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 중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설정된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거래 수행 모듈(240)은 고객의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자산의 매도, 자산을 이용한 매수, 자산의 청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는 증권 거래소, 청산소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문 유효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여기서 주문 유효 시간은 거래소에 요청한 매수주문, 매도주문 등이 효력을 가지는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러한 주문 유효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일 수 있다.
담보 실행 모듈(250)은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담보권 실행의 법률적 효과를 반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고,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담보권의 실행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담보 실행 모듈(250)에 의한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담보 실행 모듈(250)은 담보물을 담보권자에게 직접 분배하거나, 청산, 매도 등을 통해 담보물을 현금화한 후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를 통해 고객의 채무를 이행할 수 있다.
대출 모듈(260)은 고객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대출은 고객이 담보로 제공한 자산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하면서, 고객의 계좌로 대출원리금을 이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대출 모듈(260)에 의한 대출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보 관리 장치(200)에서 고객에게 직접 대출을 제공하거나, 다른 대출권자가 제공하는 대출을 고객에게 중계하여 대출을 제공할 수 있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자산은 고객이 소유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자산을 의미하며, 자산에 관한 정보는 자산의 종목, 수량, 가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 담보물에 설정된 처분제한의 설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하는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특히, 담보권이 설정되는 고객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자산에 대한 담보권 등의 권리현황을 전산-기록함으로써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담보권이 설정된 고객의 자산이 계약성 자산인 경우,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을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의 이러한 동작은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있으며, 예를 들어, 담보권이 설정되거나, 담보권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수행되거나, 소정의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의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의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담보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보 관리 장치(2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인터페이스 모듈(210); 유효성 판단 모듈(220); 담보 관리 모듈(230); 거래 수행 모듈(240), 담보 실행 모듈(250); 대출 모듈(260),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210); 유효성 판단 모듈(220); 담보 관리 모듈(230); 거래 수행 모듈(240), 담보 실행 모듈(250); 대출 모듈(260),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의 예시를 도시한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고객의 계좌 내에 포함된 자산에 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담보 관리 장치(200) 또는 담보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생성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담보 관리 장치(200)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자산은 고객이 소유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자산을 의미하며, 자산에 관한 정보는 자산의 종목, 수량, 가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 담보물에 설정된 처분제한의 설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자산에 설정된 각종 처분제한은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된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일 수 있다. 상기 담보권은 예를 들어, 질권, 양도담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의 설정 및 해지와 같은 법률적 효력은 관련 법률 또는 당사자 간의 계약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이러한 법률적 효력을 데이터 처리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하는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특히, 담보권이 설정되는 고객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자산에 대한 담보권 등의 권리현황을 전산-기록함으로써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의 종래 자산으로부터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발생은 종래 자산에 부가적인 신규 자산의 발생 및 종래 자산에 대안적인 신규 자산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종래의 유가증권이 감자, 증자 및 주식의 분할, 병합, 소각 등으로 인해 소멸하고, 신규 유가증권 또는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하거나, 유가증권을 매도함으로써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종래의 유가증권으로부터 주식배당에 의해 배당주식(즉, 신규 유가증권) 또는 현금배당에 의해 배당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종래의 예수금으로부터 이자수익이 발생하거나, 종래 예수금을 이용하여 다른 자산을 매수함으로써,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계약성 자산을 매도하거나, 계약성 자산을 청산함으로써,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규 자산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며, 종래의 자산의 속성 정보를 상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계약성 자산에 처분제한이 설정되어 있었다면, 종래의 계약성 자산으로부터 발생한 신규 예수금에 대해서도 처분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통해 신규 자산에 대해 종래와 동일한 처분제한의 효력이 미치게 하여, 담보권의 효력이 상속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신규 자산의 발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의 종래 자산으로부터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장치(200)는 관리자, 고객, 공증기관, 담보권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등록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등록된 자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물 계약에 대해 담보권이 설정 또는 해지된 경우, 관리자, 고객, 공증기관, 담보권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담보권 설정 또는 해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선물 계약에 처분제한을 설정하거나, 선물 계약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담보권의 설정 또는 해지를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반영할 수 있다.
제 1 테이블(310)을 참조하면, 유가증권과 관련하여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유가증권에 대한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처분제한 관리협약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가증권 A는 일반적인 유가증권으로서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유가증권 A에 대한 매도, 출고 및 대체가 모두 허용될 수 있다. 유가증권 B는 담보권이 설정된 유가증권으로서, 처분제한, 출고제한 및 대체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유가증권 B에 대한 어떠한 처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매도체결금액에 대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도체결금액은 유가증권의 매도 체결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현금화되기 전의 금액을 의미한다. 현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매도체결금액에 대해서는 출금 및 이체가 허용되지 않으며, 다만 상기 매도체결금액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만이 허용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도체결금액 A는 일반적인 매도체결금액으로서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매도체결금액 A를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가 허용될 수 있다. 매도체결금액 B는 담보권이 설정된 유가증권이 매도됨으로써 발생한 매도체결금액으로서, 유가증권 매수제한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도체결금액 B를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는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예수금에 대한 출금제한, 이체제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수금은 고객의 계좌에 포함된 현금으로서, 고객에 의해 입금 또는 이체된 현금뿐만 아니라 매도체결금액이 현금화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수금에 대해서는 출금, 이체, 상기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가 원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수금 A는 일반적인 예수금으로써,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예수금의 출금 및 이체,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가 허용될 수 있다. 예수금 B는 담보권이 설정된 예수금으로서, 예수금의 출금제한, 이체제한 및 예수금을 이용한 매수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예수금 B에 대한 어떠한 처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예수금은 매도체결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선물 계약에 대한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청산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물 계약은 장래의 결제일에 수량, 규격이 표준화된 상품이나 금융 자산 등 일정량의 특정상품을 미리 정한 가격에 인수 혹은 인도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으로서, 계약성 자산에 해당한다. 따라서 선물 계약은 매도, 출고, 대체 및 계약의 청산이 원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물 계약A는 일반적인 선물 계약으로써,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선물 계약의 매도, 출고, 대체 및 계약의 청산이 허용될 수 있다. 선물 계약 B는 담보권이 설정된 선물 계약으로서, 선물 계약의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및 청산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선물 계약 B에 대한 어떠한 처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옵션 계약에 대한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청산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션 계약은 임의의 상품을 소정의 유효 기간 내에 소정의 가격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은 권리를 거래하기 위한 계약으로, 소정의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인 콜 옵션 및 소정의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인 풋옵션으로 이루어지며, 계약성 자산에 해당한다. 따라서 옵션 계약은 매도, 출고, 대체 및 계약의 청산이 원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옵션 계약A는 일반적인 옵션 계약으로써,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옵션 계약의 매도, 출고, 대체 및 계약의 청산이 허용될 수 있다. 옵션 계약 B는 담보권이 설정된 옵션 계약으로서, 옵션 계약의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및 청산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옵션 계약 B에 대한 어떠한 처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증거금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거금은 고객의 계약을 보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주식거래에서 고객이 주식을 매매할 경우 또는 선물/옵션 계약의 거래에서 선물/옵션 계약을 매매하는 경우, 계약 당사자의 이행보증을 담보하여 결제불이행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약정대금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예탁해야 하는 보증금을 의미하며, 약정대금에 대한 보증금의 비율이 증거금율에 해당한다. 증거금율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거금A는 매수제한, 출금제한, 이제제한이 설정되어 있어, 어떠한 처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증거금A에 설정된 처분제한은 담보권 또는 약정의 반영일 수 있으며, 증거금A와 관련해서는 미수대금을 제공하는 미수대금의 제공자(예를 들어, 증권사 등)가 최우선변제권을 가지게 된다.
제 2 테이블(320)을 참조하면, 제 1 테이블(310)의 선물 계약A, 선물 계약B, 옵션 계약A, 옵션 계약B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도시된다.
선물 계약A는 주가지수선물 계약으로 만기일이 12월 00일이고 매입가격이 5,000,000원인 계약자산이다. 계약자산의 현재 거래되는 가격인 현재가격은 5,100,000원으로 이와 같은 계약자산이 거래되는 선물거래소에서 상기 계약자산을 처분하여 1계약당 100,000의 차익을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계약자산은 질권이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른 처분제한이 걸려 있으므로, 질권해제를 통해 처분제한을 해지하기 전에는 처분이 불가한 상태이다. 선물 계약 B는 선물 계약 A와 마찬가지로 주가지수선물 계약으로서, 만기일이 상이하며, 또한, 질권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어떠한 처분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자유로운 처분이 가능하다.
옵션 계약 A는 갑을전자에 대한 만기일이 6월 00일인 주식옵션 계약으로 매입가격인 프리미엄이 100,000원인 콜옵션이다. 상기 옵션을 콜옵션으로 행사가격인 1,200,000으로 만기일인 6월 00일에 갑을전자 주식을 1주 살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갑을전자의 현재가격은 1,500,000원으로 만기일까지 현재가격이 유지될 경우, 콜 옵션 행사에 따라 300,000원의 차익을 거둘 수 있고, 콜 옵션 매입에 따라 지불한 프리미엄인 100,000원을 제하면 총 200,000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옵션 계약 A에 대해서는 질권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처분제한이 걸려 있으므로, 질권해제를 통해 처분제한을 해지하기 전에는 처분이 불가한 상태이다. 또한, 옵션 계약 A에 설정된 질권에 대해서는 2011.05.20자로 확정일자로 등록되어 있는바, 질권의 대항력을 가질 수 있다. 옵션 계약 B는 옵션 계약 A와 마찬가지로 주식옵션 계약으로서, 만기일이 상이하며, 또한, 질권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어떠한 처분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자유로운 처분이 가능하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처분제한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매수제한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분제한이 설정된 자산은 상기 자산에 대한 일체의 처분행위가 허용되지 않으나, 담보권자 등의 동의를 얻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매도 또는 자산을 이용한 매수가 허용될 수 있다. 담보권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매도 또는 매수가 이루어진다면, 담보권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담보물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담보권자의 의사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매수제한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매도하는 매도신호 또는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이용하여 매수하는 매수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의 매수제한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매도신호 또는 매수신호의 유효성이 판단될 수 있다.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 또는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의 등록, 변경 철회는 담보권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러한 담보권자의 의사는 담보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 또는 담보권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의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금, 예금성 자산, ELF 등 계좌에 의해 관리 또는 거래 가능한 일체의 자산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가 두 개의 테이블(310, 320)로 분할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400)을 도시한다.
S4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신호는 고객의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 및 다른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신규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담보권의 순위관계 및 담보권 간의 지분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가 고객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고객은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담보권 설정 신호가 다른 담보권자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다른 담보권자는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는 담보권 설정의 사유 또는 근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420 단계는 당사자 간의 협약 등에 의해 결정된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규 담보권의 설정으로 인해 권리제한을 받는 다른 담보권자가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기존의 담보권자와 신규 담보권의 담보권자가 동일 순위에서 지분을 나누게 되는 경우 등),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다른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설정 신호를 고객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S420 단계),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 설정의 반영은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물로 제공된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특히, 담보권이 설정되는 고객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담보 관리 모듈(230)이 담보권의 설정을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반영함으로써 담보권의 설정에 기초한 새로운 권리관계에 대해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가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하는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S440 단계에서,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S420 단계),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설정 신호를 유효하게 위해 동의 또는 요청을 제공할 수 있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게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S440 단계의 설정 질의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S410 단계),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할 수 있다(S420 단계). 도 4에서는 S420 단계 및 S440 단계 모두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S420 단계 및 S440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는 담보권의 설정이 발생할 때마다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450 단계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승낙권한을 갖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450 단계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고객은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게 되며, 자산관리자는 이해관계인으로서,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의 사실을 통지받는 것이 원칙이나, 단계(410)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되는 담보권 설정 신호는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받는바,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담보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보 관리 장치(2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고객의 채무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상기 채무와 관련하여 담보권이 설정되었던 고객의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채무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는, 고객의 채무의 일부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 중 일부 이행된 채무에 해당하는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채무의 일부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고,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대출원리금의 합이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하이면,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 및 고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유지담보비율의 하락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면,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에 대해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대출원리금의 합이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상이면,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 중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설정된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S420 단계, S440 단계 및 S450 단계 모두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S420 단계, S440 단계 및 S4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500)을 도시한다.
S5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실행 신호는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물을 담보권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채무를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행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담보권의 순위관계 및 담보권 간의 지분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실행 신호가 임의의 담보권자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담보권자는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실행 신호는 담보권 실행의 사유 또는 근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520 단계는 당사자 간의 협약 등에 의해 결정된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권 실행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 또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 또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S520 단계),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권 실행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담보 실행 모듈(250)은 담보물을 담보권자에게 분배하여 고객의 채무를 이행할 수 있다. S540 단계는 담보물 즉, 담보권의 대상인 고객의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분배하여 담보권의 실행의 효과(즉, 채무의 이행)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담보물을 담보권자에게 직접 분배하거나, 담보물을 (예를 들어, 매도 등을 통해) 현금화한 후 분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물이 계약성 자산에 해당하는 경우, S540 단계는 계약성 자산의 청산 또는 매도를 통해 청산금 또는 매도대금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청산금 또는 매도대금을 담보권자에게 이체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담보물이 계약성 자산에 해당하는 경우, S540 단계는 계약성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대체하여 고객의 이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S520 단계),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담보물 실행을 요청하거나 동의하지 않은 담보권자 또는 고객 중 담보권 실행 신호를 유효하게 위해 동의 또는 요청을 제공할 수 있는 담보권자 또는 고객에게 담보권 실행 질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550 단계의 신호 전송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 실행 질의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는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S510 단계),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할 수 있다(S520 단계).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물에 대한 담보권의 실행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 관리 모듈(230)은 S540 단계에서 수행되는 분배에 의해 담보물이 모두 소진되면,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물 및 담보물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S540 단계에서 수행되는 분배에 의해 담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잔존하면,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물의 수량을 잔존 수량으로 변경하고, 담보물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S520 단계 및 S550 단계 모두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S520 단계 및 S5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600)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고객의 대출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고객의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 도 7의 방법(700)에서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기 위해, 방법(600)의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이 이용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대출 모듈(260)은 고객의 자산(특히, 예수금)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대출은 고객의 계좌로 대출원리금을 이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대출 모듈(260)에 의한 대출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보 관리 장치(200)에서 고객에게 직접 대출을 제공하거나, 다른 대출권자가 제공하는 대출을 고객에게 중계함으로써 대출을 제공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담보 관리 모듈(230)은 S610 단계에서 발생한 대출을 담보하기 위해 담보물로 제공된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상기 반영은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담보물로 제공된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담보물로 제공되는 고객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담보 관리 모듈(230)이 담보권의 설정을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반영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가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하는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S630 단계에서,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은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는 담보권의 설정이 발생할 때마다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630 단계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승낙권한을 갖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630 단계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고객은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게 되며, 자산관리자는 이해관계인으로서,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의 사실을 통지받는 것이 원칙이나, 단계(610)에서 대출의 발생 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받는바,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담보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보 관리 장치(2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S630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S630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700)을 도시한다. 방법(700)은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서 도시되는 방법(400)은 방법(700)의 매수거래에 의해 매수된 계약성 자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매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매수신호는 고객의 자산 중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기 위한 신호로서, 매수의 대상이 되는 권리의 종류, 종목, 수량, 매수가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수신호는 확정일자의 등록을 통해 대항력을 획득한 담보권이 설정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는 신호일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S7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720 단계는,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매수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의하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720 단계는,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자로부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720 단계는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포함된 자산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담보권의 설정된 자산에 대해 설정된 처분제한과는 별도로, 자산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이를 참조하여, 매수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는 담보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 또는 담보권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담보권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매수제한의 허용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담보권자에게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담보권자로부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아니하고도 신속하게 매수신호의 유효성에 관한 담보권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수신호를 고객 또는 담보권자 등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수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수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사자 간의 협약 등에 의해 결정된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S73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S720 단계), 담보 관리 모듈(203)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매수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자산에 설정된 매수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730 단계는 담보 관리 모듈(230)이 자산에 설정된 매수제한에 부가하여 처분행위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이제 제한 등)에 대한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거래 수행 모듈(240)은 매수신호에 따라, 매수제한이 해제된 자산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에 대한 매수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증권 거래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문 유효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여기서 주문 유효 시간은 거래소에 요청한 매수주문, 매도주문 등이 효력을 가지는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러한 주문 유효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720 단계는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증거금율에 기초하여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를 참조하여, 담보권이 설정되지 않은(즉, 처분제한이 설정되지 않은) 고객의 예수금 중 증거금율에 의해 결정되는 증거금에 해당하는 예수금이 존재하는 경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증거금율에 기초하여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방법(700)은 담보 관리 모듈(230)이 증거금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거금에 대해 설정되는 처분제한은 증거금에 대해 설정되는 담보권의 반영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800)을 도시한다. 방법(800)은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매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법(800)은 도 4에서 도시되는 방법(400)에 의해 담보권이 설정되고 확정일자가 등록된 자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매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매도신호는 고객의 자산 중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을 매도하기 위한 신호로서, 매도의 대상이 되는 권리의 종류, 종목, 수량, 매도가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도신호는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매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도신호는 확정일자의 등록을 통해 대항력을 획득한 담보권이 설정된 계약성 자산을 매도하는 신호일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S8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820 단계는, 매도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의하는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고객 또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820 단계는,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담보권자로부터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S820 단계는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포함된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담보권의 설정된 자산에 대해 설정된 처분제한과는 별도로,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이를 참조하여, 매도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는 담보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 또는 담보권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담보권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매도제한의 허용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담보권자에게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담보권자로부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아니하고도 신속하게 매도신호의 유효성에 관한 담보권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도신호를 고객 또는 담보권자 등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도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매도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소정의 기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면, 유효성 판단 모듈(220)은 매도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사자 간의 협약 등에 의해 결정된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유효성 판단 모듈(220)이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S820 단계),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매도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830 단계는 담보 관리 모듈(230)이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에 부가하여 처분행위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대체 제한 등)에 대한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840 단계에서, 거래 수행 모듈(240)은 매도신호에 따라, 매도제한이 해제된 자산을 매도하는 매도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증권 거래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문 유효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여기서 주문 유효 시간은 거래소에 요청한 매수주문, 매도주문 등이 효력을 가지는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러한 주문 유효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일 수 있다.
S850 단계에서, 담보 관리 모듈(230)은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자산의 매도에 의해 발생하는 매도대금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매도대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매도대금은 매도체결금액 및 예수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S860 단계에서,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매도대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는 담보권의 설정이 발생할 때마다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860 단계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280)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승낙권한을 갖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860 단계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고객은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게 되며, 자산관리자는 이해관계인으로서,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의 사실을 통지받는 것이 원칙이나, 단계(810)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에 의해 수신되는 매도신호는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산관리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받는바,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담보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보 관리 장치(2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800)은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고객의 자산 중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증거금율에 따라 고객의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증거금으로 하여 처분제한을 설정한 경우, 상기 자산을 매도함으로써 증거금을 유지할 필요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S810 단계에서 수신되는 매도신호는 매수대금의 결제불이행으로 인한 미수대금(또는 미수금)의 발생, 마진콜 등에 의한 반대매매를 원인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매도신호는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매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방법(800)에서 S820 단계는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방법(800)은 미수대금을 상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 관리 모듈(230)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담보 실행 모듈(250)이 처분제한이 해제된 증거금 및 매도대금 중 미수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수대금의 제공자(예를 들어, 증권사 등)로 이체함으로써 미수대금을 상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방법(800)에서 S850 단계는 매도대금 중 이체 후 남은 잔액에 대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수행되지 않는 경우, 담보권자의 의사에 따라 잔액이 담보권자에게 바로 이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400, 500, 600, 700, 800)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담보 관리 시스템 110 고객 단말
120 공증기관 서버 130 담보권자 서버
140 담보 관리 서버 200 담보 관리 장치
210 인터페이스 모듈 220 유효성 판단 모듈
230 담보 관리 모듈 240 거래 수행 모듈
250 담보 실행 모듈 260 대출 모듈
270 계좌정보 인터페이스 280 확정일자 등록 모듈

Claims (51)

  1.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로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 ― 상기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상기 고객의 계약성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및 담보권을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성 자산은 선물 계약 및 옵션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모듈;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
    을 포함하는, 담보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공증기관에 의해 상기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상기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는,
    담보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담보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에 의해 상기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는,
    담보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상기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객에게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담보권 실정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 수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고객의 자산 중 담보권이 설정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는 매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거래 수행 모듈은 상기 매수신호에 따라, 상기 매수제한이 해제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에 대한 매수거래를 수행하는,
    담보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상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담보권자로부터 상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처분제한이 설정되지 않은 예수금 중 상기 매수를 위한 증거금에 해당하는 예수금이 존재하면,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증거금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담보 관리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자산 중 예수금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발생시키는 대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수금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예수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고,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담보 관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 수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매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거래 수행 모듈은 상기 매도신호에 따라, 상기 매도제한이 해제된 계약성 자산의 매도거래를 수행하고,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의 매도에 의해 발생하는 매도대금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매도대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며,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매도대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담보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상기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담보권자로부터 상기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담보 관리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성 자산이 매도되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을 보증하기 위한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담보 관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수신하는 매도신호가 매수대금의 결제불이행으로 인한 매수대금의 발생 또는 마진콜에 의한 반대매매를 원인으로 하면,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지 않으며,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을 보증하기 위한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실행 모듈은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증거금 및 상기 매도대금 중 미수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미수대금의 제공자에게 이체함으로써 상기 미수대금을 상환하며,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매도대금 중 상기 이체 후 남은 잔액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잔액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며,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잔액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담보 관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약성 자산으로부터 청산, 매도 및 배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신규 자산이 발생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신규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신규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며,
    상기 확정일자 등록 모듈은 상기 신규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담보 관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담보권이 설정된 고객의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분배하는 담보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은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 모듈이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실행 모듈은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계약성 자산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며,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는 실행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담보 관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실행 모듈은,
    상기 계약성 자산의 청산 또는 매도를 통해 청산금 또는 매도대금을 생성하고,
    상기 청산금 또는 상기 매도대금을 상기 담보권자에게 이체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담보 관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실행 모듈은 상기 계약성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대체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담보 관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고객의 채무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채무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담보 관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고객의 채무의 일부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계약성 자산 중 상기 일부 이행된 채무에 해당하는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채무의 일부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담보 관리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는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고,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상기 대출원리금의 합이 상기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하이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 및 상기 고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유지담보비율의 하락을 통지하는,
    담보 관리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상기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에 대해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설정하는,
    담보 관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상기 대출원리금의 합이 상기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상이면, 상기 담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 중 상기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설정된 상기 이체제한 및 상기 출금제한을 해제하는,
    담보 관리 장치.
  26.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고객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상기 고객의 계약성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설정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및 담보권을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성 자산은 선물 계약 및 옵션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상기 고객의 자산 및 상기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는,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상기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는,
    동작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는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는,
    상기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에 의해 상기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하는,
    동작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에 포함된 상기 담보권 설정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설정에 동의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유효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객에게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담보권 설정 질의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고객으로부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담보권 실정 신호의 유효성을 재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자산 중 담보권이 설정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을 매수하는 매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신호에 따라, 상기 매수제한이 해제된 예수금을 이용하여 계약성 자산에 대한 매수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권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내지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는 상기 거래의 수행을 통해 매수된 계약성 자산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상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담보권자로부터 상기 매수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매수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수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처분제한이 설정되지 않은 예수금 중 상기 매수를 위한 증거금에 해당하는 예수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매수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증거금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자산 중 예수금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수금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예수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예수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매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매도신호에 따라, 상기 매도제한이 해제된 계약성 자산의 매도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의 매도에 의해 발생하는 매도대금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매도대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매도대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에게 상기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담보권자로부터 상기 매도주문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매수제한의 해제 허용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매도제한의 해제가 허용되면, 상기 매도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성 자산이 매도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을 보증하기 위한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신호가 매수대금의 결제불이행으로 인한 미수대금의 발생 또는 마진콜에 의한 반대매매를 원인으로 하면, 상기 매도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수행되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을 보증하기 위한 증거금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증거금 및 상기 매도대금 중 미수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미수대금의 제공자에게 이체함으로써 상기 미수대금을 상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도대금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매도대금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는 상기 매도대금 중 상기 이체 후 남은 잔액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
  4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으로부터 청산, 매도 및 배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신규 자산이 발생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신규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신규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43. 제 26 항에 있어서,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이며,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는 실행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계약성 자산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성 자산의 청산 또는 매도를 통해 청산금 또는 매도대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청산금 또는 상기 매도대금을 상기 담보권자에게 이체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성 자산을 담보권자에게 대체하여 상기 고객의 채무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채무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채무의 일부 이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담보권이 설정된 계약성 자산 중 상기 일부 이행된 채무에 해당하는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채무의 일부 이행에 의한 담보권 설정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는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고,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상기 대출원리금의 합이 상기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하이면, 상기 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담보권자 및 상기 고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유지담보비율의 하락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 방법.
  4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채무가 대출원리금을 발생시키는 대출채무이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상기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에 대해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성 자산에 대한 평가금액과 상기 대출원리금의 합이 상기 대출원리금 대비 소정의 비율 이상이면, 상기 계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대출원리금을 포함하는 고객의 자산 중 상기 소정 비율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설정된 상기 이체제한 및 출금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51. 제 26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73336A 2013-06-25 2013-06-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51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36A KR101519097B1 (ko) 2013-06-25 2013-06-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CT/KR2014/005635 WO2014209014A1 (ko) 2013-06-25 2014-06-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336A KR101519097B1 (ko) 2013-06-25 2013-06-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572A Division KR101563589B1 (ko) 2014-09-25 2014-09-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84A true KR20150000784A (ko) 2015-01-05
KR101519097B1 KR101519097B1 (ko) 2015-05-11

Family

ID=5214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336A KR101519097B1 (ko) 2013-06-25 2013-06-25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9097B1 (ko)
WO (1) WO20142090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067A (ko) * 2018-02-28 2018-09-27 (주)투게더앱스 온라인 대출 중개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135015B1 (ko) * 2019-03-15 2020-07-16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투자 자산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92A (ja) * 1997-04-23 1998-11-13 Hoomuzu:Kk 不動産担保一括処理システム
KR20070007414A (ko) * 2005-07-11 2007-01-16 주식회사 신한은행 부동산 담보 대출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부동산 담보 대출정보 운용서버,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24015A (ko) * 2007-09-03 2009-03-06 주식회사 국민은행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담보물의 매매중개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4611A (ko) * 2008-12-05 2010-06-15 전달용 부동산 거래의 공증과 확정을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067A (ko) * 2018-02-28 2018-09-27 (주)투게더앱스 온라인 대출 중개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102135015B1 (ko) * 2019-03-15 2020-07-16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투자 자산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9014A1 (ko) 2014-12-31
KR101519097B1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9368B2 (ja) デジタル暗号化された証券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RU2449369C2 (ru) Система сделок с недвижимостью, использующая ценные бумаги под недвижимость, и ее способ
CA27502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primary securities in a trading market
KR101556540B1 (ko)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9097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50109313A (ko)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50022948A (ko)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563589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6434627B2 (ja) 資産管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759607B1 (ko)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Rosidi et al. Online Transactions (E-Commerce) In The Covid-19 Pandemic Period Viewed From Positive Laws In Indonesia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US20180122007A1 (en) In-cash foreign currency trading system
JP7179254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7064B1 (ko)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977743B1 (ko)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419192B2 (ja) 貸借取引き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70100114A (ko) 담보물 가치 상승에 따른 수익 배분 조건부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2990A (ko)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85898A (ko) 지식재산권 관련 신탁 수익권 거래를 통한 온라인 소액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Ngo Higgins Auditing disclosure risks of on‐line broker‐dealers
KR20120112298A (ko) 은행 대출 및 신용 카드를 통한 자동차 금융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00144807A (ko) 기업의 운용자금 조달방법 및 이를 위한 자금조달시스템
WO2010120064A9 (ko) 개인간의 금융거래 지원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