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990A -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990A
KR20230102990A KR1020210193511A KR20210193511A KR20230102990A KR 20230102990 A KR20230102990 A KR 20230102990A KR 1020210193511 A KR1020210193511 A KR 1020210193511A KR 20210193511 A KR20210193511 A KR 20210193511A KR 20230102990 A KR20230102990 A KR 2023010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beneficiary
blockchain
transact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주)블록체인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록체인글로벌 filed Critical (주)블록체인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19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990A/ko
Publication of KR2023010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은, 특정 부동산에 대한 청약 공모에 따라 청약자를 모집하고, 청약자의 청약이 체결됨에 따라 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전자 수익증권을 각 청약자에 배정하고, 예탁결제원이 발행한 부동산 수익증권을 시장에 유통시켜, 하나 이상의 투자자로부터 거래 요청을 수신하고, 거래 요청이 매칭되는 것에 따라 거래 체결을 중개하고,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은, 수익증권 거래를 중개하고, 자금 이체는 개인이 신탁 계좌를 개설한 계좌관리기관이 직접 실행하고, 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수익증권과 계과관리기관의 계좌원장을 수시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BLOCKCHAIN-BASED REAL ESTATE BENEFICIARY CERTIFICATE TRAD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부동산의 일부에 대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연관된다.
부동산 투자 신탁은 투자자금을 모아 부동산 개발, 매매, 임대 및 주택저당채권(MBS) 등에 투자한 후 이익을 배당하는 금융상품이다. 흔히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라고 부른다. 리츠는 설립형태에 따라 회사형과 신탁형으로 구분된다. 회사형은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서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주식을 거래하게 된다. 신탁형은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 상장이 되지 않는다. 리츠를 이용하게 되면 소액개인투자자라도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고 거래비용 및 세금이 부담되는 부동산 투자를 전문가를 통해 간접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금화가 매우 어려운 부동산 투자의 단점을 리츠 주식의 매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리츠는 부동산 투자회사의 주식에 투자할 뿐, 부동산을 실질적으로 소유할 수 없다. 즉, 공신력이 있는 부동산에 대해 부동산 거래에 대한 공신력은 아직 보장되지 않고, 부동산 투자 플랫폼 상에서 간접적인 투자만 가능하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신력이 있는 예탁결제원을 통해 부동산 신탁 수익증권을 전자등록 방식으로 발행하고, 공신력 있는 수익증권을 시장에 유통시키고, 블록체인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부동산 거래를 디지털 방식으로 발생 및 저장시킬 수 있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신력 있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개인 투자자의 자금을 예금/출금하고, 계좌관리 기관은 예탁결제원을 통해 수익증권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수의 소유자에 대하여 각각 분할된 부동산 지분에 대한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 신탁 수익증권에 대한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부동산 수익증권의 거래에 따라 투자자들이 부동산을 실질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은, 제1 부동산의 청약 공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에 응답하여 청약을 체결하고, 상기 청약에 따라 발행된 수익증권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에 배정하고, 상기 수익증권에 대한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래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명의 투자자에 대한 거래를 체결하고, 상기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및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에 설치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동산의 일부 지분에 대한 청약, 매매, 판매 등의 거래를 할 수 있고, 거래 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되고, 부동산 신탁 수익증권은 공신력이 있는 예탁결제원에서 발행 및 관리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수익증권에 따라 투자자들은 부동산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을 가질 수 있고, 실시간 투자(거래)가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공모 청약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증권 발행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매매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 배당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청산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증권 말소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다수의 사용자(20)에게 복수 개의 부동산 매물(10)에 대한 부동산 투자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부동산 투자 거래는 부동산 또는 부동산의 일부 지분에 대한 청약, 매수, 매도, 수익금 분배, 청산 등의 거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공모 청약 정보(예: 신탁 계약)에 기반하여, 계좌관리기관(103)에 예치된 투자금으로 실제 부동산(10)을 매수하고 신탁회사 명의로 해당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가 매수한 부동산에 대해 예탁결제원(102)에 수익증권 전자 등록을 요청하면, 예탁결제원(102)에 의해 신탁 수익증권이 발행된다. 부동산에 대한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102)에 의해 관리되고, 수익증권은 부동산 및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익증권은 예를 들어,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이 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수익증권을 시장에 유통시키고, 매수자에 의한 청약과 매도자에 의한 청약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매매 계약 체결을 중개할 수 있다. 매매 계약 체결에 따라, 계좌관리기관(103)에 의해 매수자 계좌에서 출금된 거래금액이 매도자 계좌에 입금되며 매도자의 계좌에서 출고된 수익증권이 매수자의 계좌에 입고된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수익증권에 대한 거래를 중개할 뿐, 실제 거래금은 공신력이 있는 계좌관리기관(103)에 의해 처리되어 거래 금액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부동산 수익 증권 거래를 위한 개인 계좌를 생성 및 관리하는 주체로써, 예를 들어, 증권사 등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익증권 정보는 예탁결제원(102)에서 주기적으로 발행 총량이 관리되어 불법적인 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종합하면,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수익증권에 대한 거래 플랫폼만을 제공하고, 거래금은 투자자들의 개인 계좌를 보유한 계좌관리기관(103)에서 관리하고,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102)에서 발행 및 관리할 수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계좌관리기관(103)에 본인의 계좌를 생성하고, 수익증권 거래에 따른 자산변동이 계좌관리기관(103)의 계좌 원장에 기록된 내용으로 해당 부동산에 대한 법적 권리를 갖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 거래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실물자산에 대한 거래 플랫폼은 거래를 중개할 뿐, 실물자산에 대한 소유권은 투자자들의 신탁계약에 의한 신탁회사가 소유하고, 실물자산에 대한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이 발행 및 관리하고, 실물자산의 거래금은 투자자들에 대한 계좌를 보유하는 계좌관리기관이 관리할 수 있다. 실물자산은 다양한 형태의 물건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술품, 특정할 수 있는 가상 컨텐츠, 예술작품, 창작물, 동물, 또는 식물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플랫폼 상에 부동산 수익증권에 대한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정보를 기록한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 예탁결제원(102), 및 계좌관리기관(103)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또는 실물자산에 대한 수익증권 판매/매매/거래에 대한 중개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또는 실물자산에 대한 공모를 위해 법률적, 물리적, 또는 회계적 실사에 따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공모에 대한 증권신고서 작성 및 수리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공모에 대한 투자설명서를 공시할 수 있고, 증권 공모 및 청약을 제공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공모에 대한 투자자 별 수익증권을 배정하고, 투자자에 배정 예정 내역을 통지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공모 투자금에 대한 집금을 확인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수익증권(예: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ABS))을 발행 및 입고할 수 있고, 입고 알림을 통지할 수 있고 거래 플랫폼 상에 DABS를 상장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DABS 매매 체결, 관리 및 통지를 할 수 있고, 매매원장을 관리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DABS에 대한 운용 수익을 배당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자산 운용, 관리 및 개량을 할 수 있고, 임대차, 자금 및 예산 관리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제세공과금의 계산을 제공할 수 있고, 제반 보험 관리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DABS에 대한 운용 결산 및 운용 결산 보고서 작성을 할 수 있고, 운용 결산에 따른 배당금을 확정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명의개서 즉, 수익자 명부 관리를 할 수 있고, 배당금 분배 명세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별, 고객별 분배금을 원징 명세를 확정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운용보고서를 공시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에 대한 수익증권을 발행하고, 신탁재산에 대한 운영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에 대한 법률적, 물리적, 회계적 실사를 진행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증권신고서를 작성하여 수리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신탁계약을 체결하여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을 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발행인 관리 계좌를 예탁결제원(102)에 개설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신규 수익증권 전자등록을 예탁결제원(102)에 신청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DABS에 대한 매매 체결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DABS에 대한 자산 운용, 관리, 및 개량을 할 수 있고, 임대차, 자금 및 예산 관리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DABS에 대한 제세공과금의 계산 및 납부가 가능하고, 제반 보험을 관리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DABS에 대한 운용 결산 및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고, 배당금 확정에 따른 배당금 이체를 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DABS의 실물 대상인 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역할이 종료된다.
예탁결제원(102)은 발행인 관리계좌부에 신규 수익증권을 전자 등록할 수 있고, 계좌관리기관(103)에 신규 수익증권 전자등록 내역을 통보할 수 있다. 예탁결제원(102)은 거래(매매) 변동에 대해 수시로 수익증권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대한 금융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투자자 예치금, 수익증권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부동산 청약 공모를 위해 사전에 청약증거금을 집금하여, 투자자 각각의 신탁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하여, 수익증권 발행에 따라 배정 및 입고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수익증권 및 DABS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계좌간 대체 결제(예: 증권과 대금을 교환함)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매매원장을 관리하고, 매매 체결에 따른 수익증권 및 DABS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부동산 운용 및 배당에 따라 배당금의 수령 및 분배를 지급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원천징수를 신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공모 청약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새로운 부동산에 대한 공모 청약 정보를 플랫폼 상에 게시하고, 새로운 부동산에 대한 청약자(투자자)에 의한 투자금이 새로운 부동산을 살 수 있는 금액에 도달하면, 청약이 완료된다. 청약이 완료되면,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에 대한 지분을 수익증권화하여 청약을 한 개인(청약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20)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이 게시한 청약 공모에 대한 청약을 신청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20)는 청약 신청을 위해 청약 증거금을 미리 본인의 신탁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신탁계좌는 계좌관리기관(103)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본인 인증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계좌의 신설 및 관리가 가능하다.
S203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이 다수의 청약자에 의한 청약이 완료되면 수익증권을 청약자인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배정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수익증권 배정 내역을 계좌관리기관(103)에 통지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예를 들어, 증권사 또는 은행 등이 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수익증권 배정 내역에 따라 다수의 청약자의 신탁계좌에 입금된 청약증거금을 부동산 신탁회사(101)에 이체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이체 받은 청약 증거금으로 새로운 부동산을 실제 매수하고 소유권을 획득할 수 있다.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신탁 계약에 의해 부동산 소유권을 갖고, 부동산 수익증권은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증권 발행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S301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다수의 청약자들의 청약 증거금으로 부동산(10)을 구매하고, 신탁자로서 부동산(10)의 소유권을 갖고, 다수의 청약자들과 신탁 계약을 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10)에 대한 수익증권을 예탁결제원(102)에 전자 등록할 수 있다. 예탁결제원(102)은 신탁 수익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예탁결제원(102)은 전자 등록 내역을 계좌관리기관(103)에 통지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전자등록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수신한 전자등록 내역에 따라 고객 계좌에 증권을 입고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증권 입고 내역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통지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부동산 수익 증권에 대한 발행 및 입고(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매매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부동산에 대한 공모 청약 완료에 따라 초기 투자자(청약자)에 대한 수익증권이 발행된 상태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의한 거래 플랫폼에서 수익증권이 유통될 수 있다. 거래 플랫폼은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S401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20)는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매매 주문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전자 장치(20a)는 제1 수익증권에 대한 매도 주문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전자 장치(20b)는 제1 수익증권에 대한 매수 주문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제1 수익증권에 대한 매도 주문의 가격과 수량(또는 지분)이 제1 수익증권에 대한 매수 주문의 가격과 수량(또는 지분)과 일치하는 경우, 매매 체결을 진행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S402 단계에서 매매 체결 정보를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고, S403 단계에서 매매 체결 내역을 계좌관리기관(103)에 전송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체결 내역에 따라 사용자 전자 장치(20)의 계좌간 대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계좌관리기관(103)은 채결 내역을 계좌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예탁결제원(102)은 체결 내역 및 계좌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수익증권에 대한 발행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 예탁결제원(102)은 총량이 유지되는지 수시로 관리함으로써 불법적인 거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 배당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수익증권에 따른 운영수익(예를 들어, 임대료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수익증권의 계약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월간, 분기별 등)마다 운용 및 결산 내역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통지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배당을 공시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계좌관리기관(103)에 배당 총액을 이체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배당 지급 명세를 계좌관리기관(103)에 전송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사용자 전자 장치(20)에 해당하는 고객 계좌에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배당 지급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청산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부동산 수익증권에 대한 청산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수익자 총회의 약관(정관)에 의해 또는 투자자가 수익자 총회에 참여한 의사결정 과정의 찬반에 의해 부동산 수익증권 자체에 대한 청산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부동산 수익 증권의 거래뿐만 아니라 수익자 총회 운영에 대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수익자 총회에 따른 수익증권 정보도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601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 청산에 따른 최종 운용 및 결산 내역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통지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상장 폐지를 거래 플랫폼 상에 공시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20)는 거래 플랫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장 폐지 공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청산 배당 지급 명세를 계좌관리기관(103)에 전송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배당 총액을 계좌관리기관(103)에 이체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청산 배당금을 사용자 전자 장치(20)의 각 계좌에 지급하고 청산을 출고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청산 배당 지급 내역을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의 부동산 수익증권 말소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S701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부동산 수익증권 말소를 예탁결제원(102)에 등록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부동산 신탁회사(101)는 발행인 관리계좌부 삭제를 예탁결제원(102)에 요청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예탁결제원(102)은 말소 내역을 계좌관리기관(103)에 통지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계좌관리기관(103)은 말소 내역에 따라 사용자 전자 장치(20)의 각 계좌에 대하여 고객 계좌부 증권을 말소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이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S810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제1 부동산의 청약 공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에 응답하여 청약을 체결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제1 부동산에 대한 청약 공모 정보를 게시하고, 하나 이상의 청약자의 요청에 의해 청약을 체결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새로운 부동산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청약 정보를 플랫폼 상에 게시하고,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를 모을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투자자들에 의한 청약 신청을 모아 청약을 체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은, 계좌관리기관(103)을 통해 개인 신탁 계좌를 개설하고, 각 개인 신탁 계좌에 상기 청약에 따른 예치금을 보유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제1 부동산에 대한 청약 체결에 따라 발행된 수익증권을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102)에 의해 청약자들의 신탁계약에 따라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에 대하여 발행된 것으로,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청약자들의 신탁계약에 따른 신탁회사(101)가 최초 소유하고,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수익증권의 거래에 따라 변동된다. 수익증권은 예를 들어,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일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수익증권에 대한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거래 요청은, 매수 요청, 매도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지분, 수량, 금액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S840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래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명의 투자자에 대한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 요청이 서로 합치하는지 판단하여 거래 체결을 중개할 수 있다. 계약 체결에 따라 계좌관리기관(103)이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각 개인 신탁 계좌에 보유한 자금을 제1 부동산에 대한 신탁회사(101)에 직접 이체할 수 있다.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를 중개할 뿐, 거래의 당사자가 되지 않는다.
S850 단계에서,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부동산
20: 사용자 전자 장치
100: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101: 부동산 신탁회사
102: 예탁결제원
103: 계좌관리기관

Claims (15)

  1.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부동산의 청약 공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에 응답하여 청약을 체결하고,
    상기 청약에 따라 발행된 수익증권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에 배정하고,
    상기 수익증권에 대한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래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명의 투자자에 대한 거래를 체결하고,
    상기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래 체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에 체결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은,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개인 신탁 계좌를 개설하고, 각 개인 신탁 계좌에 상기 청약에 따른 예치금을 보유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신탁계약에 따라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에 대하여 발행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회사가 최초 소유하고,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상기 수익증권의 거래에 따라 변동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은,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개인 신탁 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거래 체결에 따라 상기 계좌관리기관이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각 개인 신탁 계좌에 보유한 자금을 상기 제1 부동산에 대한 신탁회사에 이체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증권은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8.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1 부동산의 청약 공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에 응답하여 청약을 체결하는 제1 단계;
    상기 청약 체결에 따라 발행된 수익증권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에 배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익증권에 대한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거래 요청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래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두 명의 투자자에 대한 거래를 체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거래 체결 정보를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청약 요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래 체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에 체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은,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개인 신탁 계좌를 개설하고, 각 개인 신탁 계좌에 상기 청약에 따른 예치금을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증권은 예탁결제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신탁계약에 따라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에 대하여 발행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약자의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회사가 최초 소유하고,
    상기 제1 부동산에 발생한 소유권은 상기 수익증권의 거래에 따라 변동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사용자 전자 장치 각각은,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개인 신탁 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거래 체결에 따라 상기 계좌관리기관이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의 각 개인 신탁 계좌에 보유한 자금을 상기 제1 부동산에 대한 신탁회사에 이체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증권은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
  15. 전자 장치에 의해,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 기록 매체.
KR1020210193511A 2021-12-30 2021-12-3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02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511A KR20230102990A (ko) 2021-12-30 2021-12-3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511A KR20230102990A (ko) 2021-12-30 2021-12-3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90A true KR20230102990A (ko) 2023-07-07

Family

ID=8715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511A KR20230102990A (ko) 2021-12-30 2021-12-30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9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20190318427A1 (en) Dividend Yielding Digital Currency through Elastic Securitization, High Frequency Cross Exchange Trading, and Smart Contracts
JP2022536445A (ja) トークン化された資産に関するデータ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記憶及び検索システムを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記憶媒体
US830156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reciprocal deposits
KR20180037136A (ko) 디지털적으로 암호화된 증권 플랫폼 및 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00257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just-in-time captial investment and controlled cost insurance
US20210110474A1 (en) Blockchain-Bas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Accelerate Transaction Processing
US201002114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care funding exchange
US202103746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etizing assets
US20040158531A1 (en) Method for insolvency claims resolution
KR20060038991A (ko) Csd-시스템에서 거래를 결산하고 결재하기 위한자동화된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20200094439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097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102990A (ko)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02992A (ko)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 증권 데이터 저장장치
KR20230102991A (ko) 블록체인 기반 dabs 거래 체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325916A1 (en) Heppner Fletcher ExAlt Plan? - Computer-Implemented Integrated Liquidity System and Methodology for Exchanging Alternative Assets
KR102052194B1 (ko) P2p 기반 대출금 상환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63589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104010A (ko) 소액부동산 투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048A (ko) 받을 권리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KR20090122799A (ko) 씨투씨 대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출 방법
Shaik et al. The Market Players
KR20150111762A (ko) 대차 거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차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