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55A -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55A
KR20150000355A KR1020130072705A KR20130072705A KR20150000355A KR 20150000355 A KR20150000355 A KR 20150000355A KR 1020130072705 A KR1020130072705 A KR 1020130072705A KR 20130072705 A KR20130072705 A KR 20130072705A KR 20150000355 A KR20150000355 A KR 2015000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cal
image data
image
diagno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804B1 (ko
Inventor
이웅
나시르 데사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04B1/ko
Priority to EP14817641.5A priority patent/EP3014566B1/en
Priority to PCT/KR2014/005511 priority patent/WO2014208950A1/en
Priority to US14/312,895 priority patent/US9582840B2/en
Publication of KR2015000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04B1/ko
Priority to US15/413,759 priority patent/US1039576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23C14/545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 C23C14/547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using opt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8Transferring the substrates through a series of coat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9Photoluminescence of semicondu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48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remote unit communicating with a single-box computer node experiencing an error/fau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고,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전 및/또는 이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DATA}
본 발명은, 의료 데이터를 수집, 관리,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임상적인 정보를 처리하고 대상체를 진단하기 위한 수 많은 부품 및 구성요소들을 포함된다. 이에 따라, 의료 진단 시스템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높은 숙련도와 이해도가 요구된다.
한편, 사용자가 의료 진단 시스템을 잘못 조작하거나, 시스템 내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의료 진단 시스템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의료 진단 시스템은 예기치 않은 문제로 인하여 그 동작이 중단되거나 일시적으로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료 진단 시스템의 콘솔 디바이스에 저장된 로그(log) 정보를 분석하거나, 디버깅(debugging) 보드를 활용한 디버깅 프로세스가 활용된다.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고,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은,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 중에서 제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콘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는,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추가 영상 데이터 및 추가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추가 영상 데이터 및 추가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의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데이터, 로그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하는 단계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패턴 인식 알고리즘,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 및 색상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송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 중에서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로그 데이터는,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 이력,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콘솔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정보, 콘솔 디바이스의 설정 정보, 콘솔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가 위치한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한 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영상 데이터, 로그 데이터, 및 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영역 상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차폐되는 영상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는,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및 HD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부;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 데이터 관리부; 및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의료 진단 디바이스, 콘솔 디바이스, 외부 서버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CT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X 선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초음파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의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은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X-ray, CT, MRI,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진단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방사선사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의료 진단 디바이스, 콘솔 디바이스, 외부 서버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콘솔 디바이스(20), 및 외부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콘솔 디바이스(20),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서로 연결되어 의료 진단 시스템(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대상체에 대한 의료 진단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대상체를 진단하고 의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생성한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진단 디바이스, X 선 진단 디바이스,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진단 디바이스, 및 초음파 진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상술한 진단 디바이스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모달리티(modality)에 따른 진단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솔 디바이스(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콘솔 디바이스(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오류 없이 작동하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콘솔 디바이스(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콘솔 디바이스(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와 분리되어 별도의 콘솔 룸(console room)에 위치할 수 있다. 콘솔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콘솔 룸에서 콘솔 디바이스(20)를 조작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를 관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의료 데이터”란,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획득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상술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와 통신하여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서버(200) 및 콘솔 디바이스(2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란,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에 대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촬영된 사용자 입력부의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란,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시스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콘솔 디바이스(20)가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로그 데이터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로그 데이터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작동 시에 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한 백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20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와 연결되어 의료 진단 시스템(5)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외부 서버(20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의료 데이터, 즉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콘솔 디바이스(20),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외부 서버(200)는, 의료 진단 시스템(5)의 서비스 센터 서버 또는 관리 센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보다 더 적은 구성 요소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에 대한 권리범위는 도시된 내용 및 설명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이벤트 감지부(110), 영상 촬영부(120),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 메모리(150), 통신부(160), 사용자 입력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10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다. 즉,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류 이벤트”란, 오작동이나 시스템의 오류로 인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또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장애(failure) 또는 충돌(crash)로 인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전원 공급이나 회로의 이상으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중단될 수도 있다. 즉, “오류 이벤트”란, 상술한 실시 예 이외에도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발생한 예기치 않은 결과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 감지부(110)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는, 오류 이벤트의 발생 시에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생성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와 주기적으로 체크(check)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오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체크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서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패턴 인식 알고리즘,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 색상 검출 알고리즘 등 다양한 종류의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에서, 기결정된 패턴과는 다른 종류의 예기치 않은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벤트 감지부(110)는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제스쳐나 동작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감지부(110)는 영상에서의 색상 변화에 기초하여 오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70)가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도 오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또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 감지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시스템 중단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능동적으로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 감지부(11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다. 영상 촬영부(120)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촬영부(120)는,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및 HD 카메라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촬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120)는 복수의 촬상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함으로써,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놉(knob) 버튼, 조그 스위치, 트랙볼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사용자 입력부로써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의 부근에 위치하여,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종류의 모달리티(modality)에 따른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다.
한편,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을 촬영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촬영부(120)는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하고, 오퍼레이팅 룸 내부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보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120)는 오퍼레이팅 룸 내의 대상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촬영부(120)는 오퍼레이팅 룸 내의 진단 테이블, 크레들(cradle), 진단 의자 등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대상체를 진단하는 위치 부근에 위치할 수 있고, 의료 진단 중에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촬영부(120)는 대상체를 촬영한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오퍼레이팅 룸, 또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촬영부(120)는, 영상을 촬영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영상과 함께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촬영부(120)는, 오퍼레이팅 룸 내에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즉, MRI 진단 디바이스나 CT 진단 디바이스와 같은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경우,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자기장과 X 선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영상 촬영부(12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생성하는 자기장, RF 신호, X 선 등으로부터 차폐되어 오퍼레이팅 룸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는, 영상 촬영부(120)가 촬영한 영상인 영상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획득하고, 관리한다. 즉,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또는 오퍼레이팅 룸을 촬영한 영상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는 영상 촬영부(120)가 촬영하고 메모리(1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시간 구간은, 이벤트 감지부(110)가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의한 시간 구간은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5분으로부터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10분까지의 시간 구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따라,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외부 서버(200)로부터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10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는 해당 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5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관리한다. 즉,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콘솔 디바이스(20)로 전송하고,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해당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 중에서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나아가,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따라,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이전 또는 이후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로그 데이터는, 콘솔 디바이스(2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 콘솔 디바이스(20)에 로그인 된 사용자 정보, 콘솔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정보, 콘솔 디바이스(2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설정 정보, 콘솔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정보,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위치한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영상 촬영부(12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가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실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프로그램 데이터나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인터넷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30)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 외부 서버(200),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및 콘솔 디바이스(2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요청 신호나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대상체를 진단한 결과인 스캔 데이터, 즉 의료 영상에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와 함께 외부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이벤트 감지부(110)가 오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110)가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영상 데이터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200)에서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어떠한 경로로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사용자(예컨대, 소노그래퍼)가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에는 키 보드, 키 패드, 마우스, 돔 스위치(dome switch), 트랙볼,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70)는 직접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터치 입력(예컨대, 터치&홀드, 탭, 더블 탭, 플릭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7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7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다중 터치 입력(예컨대, 핀치)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입력부(170)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 촬영부(120)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 상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와 상술한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영상 촬영부(120)를 제어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 및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음향 데이터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 관리부는, 오퍼레이팅 룸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고, 음향 데이터로서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관리부(130) 및 로그 데이터 관리부(140)와 마찬가지로, 음향 데이터 관리부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통신부(160)는, 영상 데이터와 로그 데이터에 더하여 음향 데이터 또한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간에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작동으로 인한 예기치 않은 결과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20)를 통해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고 저장한다. 단계 32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하여 결정된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누적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오류 이벤트의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5분 이전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 구간은, 기결정된 정도의 구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320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간 구간 정보를 콘솔 디바이스(20)로 전송하고,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해당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20 및 단계 3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 대하여 서로 매칭되는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매칭되는 영상 데이터와 로그 데이터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동기화(synchronized)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320 및 단계 330에서 획득한 의료 데이터(즉,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의료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비스 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대한 별도의 디버깅(debugging) 프로세스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즉, 디버깅 프로세스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및 콘솔 디바이스(20)에 부하(load)가 되어 처리 속도를 저하시키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료 데이터를 수신한 외부 서버(200)는, 로그 데이터뿐 아니라 영상 데이터 또한 분석할 수 있다. 즉, 시스템적인 부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문제가 없었는지 확인함으로써, 외부 서버(2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 및 콘솔 디바이스(20)에 발생한 오류 이벤트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 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4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부(120)를 통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고,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퍼레이팅 룸 내부에 위치한 대상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4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다. 단계 420은 단계 320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4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410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420에서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전 및/또는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추출된 영상 데이터의 시간 구간 정보를 콘솔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45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콘솔 디바이스(20)에 전송한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즉, 단계 440 및 단계 45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하여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대응되는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 대하여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의 단계 340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도 3 및 도 4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5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서 오류 이벤트가 발생된다. 즉,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조작상 문제점이나 시스템 결함으로 인하여 예기치 않은 결과로 동작할 수 있다. 오류 이벤트에 대해서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단계 5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거나, 단계 51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전 또는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콘솔 디바이스(20)로 단계 540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의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56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550엥서 전송한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57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 추출한 영상 데이터 및 수신한 로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와 로그 데이터에 더하여, 음향 데이터 또한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510에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입력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의 음향을 녹음하여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540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계 570에서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와 함께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에,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소정의 시간 구간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계 6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 감지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소정 시간 구간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5분 이후의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오류 이벤트가 감지되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이전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미리 획득되고 저장되는 반면,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이후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미리 획득될 수 없다.
따라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되면, 기결정된 소정 시간 구간 동안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610과 마찬가지로, 단계 620의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후의 기결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로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콘솔 디바이스(2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610 및 단계 620에서 획득한,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후의 의료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와 외부 서버(200)간의 통신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계 7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이전 및/또는 이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720에서, 외부 서버(200)는 수신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외부 서버(200)에서는 영상 데이터, 로그 데이터,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에 발생한 오류 이벤트의 원인과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 730 및 단계 735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에 추가적으로 전송한다. 즉,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전의 시간 구간에 대한 데이터와는 달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 동안, 실시간으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구간 단위로 수집하고, 전송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 이후 5분 동안의 의료 데이터를, 1분 단위의 나누어 수집하고, 각각을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730 및 단계 735 동안, 외부 서버(200)는 계속하여 오류 이벤트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을 수신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오류 이벤트에 대한 분석이 종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의료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75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76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추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즉, 외부 서버(200)는 오류 이벤트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전송한 의료 데이터 보다 더 긴 시간 구간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요청하는, 추가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77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추가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710, 단계 730, 단계 735에서 전송한 의료 데이터의 시간 구간 이외의 시간 구간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78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770에서 수집한 추가 의료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200)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 이벤트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오류 이벤트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앞서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81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시간 t0에서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어서, 단계 82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인 t0 이전의 소정 시간 구간인, 시간 구간 t1 내지 t0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83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인 t0 이후의 소정 시간 구간인, 시간 구간 t0 내지 t2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시간 구간 t0 내지 t2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획득하는 대로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시간 구간 t1 내지 t0에 대한 의료 데이터와는 달리,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시간 구간 t0 내지 t2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획득함과 동시에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의료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구간 단위로 획득하고,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84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의 획득 및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단계 85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추가 전송 요청을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오류 이벤트의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의료 데이터를 요청 받을 수 있다.
단계 86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단계 850에서 수신한 추가 전송 요청에 따라, 시간 구간 t3 내지 t1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시간 구간 t1 내지 t0에 대한 의료 데이터가 오류 이벤트의 분석 및 조치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시간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더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계 870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시간 구간 t2 내지 t4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시점 t4에서 추가 전송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시간 구간 t2 내지 t4에 대하여 획득하고 저장한 의료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전송 중단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시간 구간 t4 이후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CT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CT 진단 디바이스(910)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부(932, 934, 936, 938)를 포함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CT 진단 디바이스(910)의 갠트리에 부착된 컨트롤 패널(922)을 촬영하는 제1 영상 촬영부(932)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CT 진단 디바이스(910)의 진단 테이블에 부착된 테이블 컨트롤 버튼(924)을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부(93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CT 진단 디바이스(91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널(926) 및 키보드(928)를 촬영하는 제3 영상 촬영부(936) 및 제4 영상 촬영부(938)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퍼레이팅 룸(900) 내부를 촬영하는 제5 영상 촬영부(950) 도 포함할 수 있다. 제5 영상 촬영부(950)는, 오퍼레이팅 룸(900) 내부를 전체적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제1 영상 촬영부(932) 내지 제4 영상 촬영부(938)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퍼레이팅 룸(900)에 위치한 대상체를 촬영하는 제6 영상 촬영부(9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6 영상 촬영부(990)는, 진단 중인 대상체를 촬영하고,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로그 데이터와 함께 외부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X 선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X 선 진단 디바이스(1010)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부(1032, 1034, 1036)를 포함한다.
즉,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X 선 진단 디바이스(1010)의 전압 조작부(1022)를 촬영하는 제1 영상 촬영부(10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X 선 진단 디바이스(1010)의 시스템 제어부(1024)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부(1034), 및 키보드(1026)를 촬영하는 제3 영상 촬영부(10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X 선 진단 디바이스(10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도 9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유사하게, 오퍼레이팅 룸에 위치한 대상체를 촬영하는 제4 영상 촬영부(1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MRI 진단 디바이스(11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부(1132, 1134, 1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MRI 진단 디바이스(1110)의 보어(bore) 컨트롤 패널(1126)을 촬영하는 제1 영상 촬영부(11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MRI 진단 디바이스(1110)의 터치 스크린(1124)을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부(1134) 및 키보드(1122)를 촬영하는 제3 영상 촬영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오퍼레이팅 룸 내에서 MRI 진단 디바이스(1110)에 의해 진단되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초음파 진단 시스템의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초음파 진단 디바이스(1210)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부(1232, 1234, 1236, 1238, 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촬영부(1232, 1234, 1236, 1238, 1240)는, 초음파 진단 디바이스(1210)의 조영제 주입부(1222), 프로브 연결부(1224), 키보드(1226), 프로브 거치대(1228), 풋 스위치(1230)를 각각 촬영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과 마찬가지로, 도 11 및 도 12에서, MRI 진단 디바이스(1110) 및 초음파 진단 디바이스(1210)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복수의 영상 촬영부는, 각각의 의료 진단 디바이스(910, 1010, 1110, 1210)에서 생성하는 자기장, RF 신호, X 선으로부터 영향 받지 않도록 차폐될 수 있다.
이상의 도 9 내지 도 12에서, 각각의 모달리티(modality)에 따라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되고 설명한 내용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러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내용에 따른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함으로써, 외부 서버(200)가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오류 이벤트를 분석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진단 디바이스(10)의 문제점에 대한 원인 파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버깅 보드를 이용한 디버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100)가 지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의료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트래픽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조작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움직임에 대해 피드백 할 수 있어, 차후 오류 이벤트의 발생 가능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가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중에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추가 영상 데이터 및 추가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추가 로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의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패턴 인식 알고리즘,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 및 색상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 중에서 상기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 이력,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설정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가 위치한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한 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대상체를 진단한 결과인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오퍼레이팅 룸 내에 위치한 대상체를 촬영한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영역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차폐되는 영상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인,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및 HD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것인,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18.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부;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영상 중에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매칭되는 로그 데이터를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추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추가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추가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추가 로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의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음향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오류 이벤트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패턴 인식 알고리즘,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 및 색상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 중에서 상기 오류 이벤트가 감지된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 이력,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설정 정보, 상기 콘솔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가 위치한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가 위치한 오퍼레이팅 룸 내부를 촬영한 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대상체를 진단한 결과인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오퍼레이팅 룸 내에 위치한 대상체를 촬영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대상체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영역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로부터 차폐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및 HD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5.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6.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가 의료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37.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부;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그 데이터 관리부; 및
    소정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
  38. 오퍼레이팅 룸에 위치한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디바이스;
    콘솔 룸에서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콘솔 디바이스;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 관리 장치는,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오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오류 이벤트를 감지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의료 진단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그(log)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
KR1020130072705A 2013-06-24 2013-06-24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1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05A KR101518804B1 (ko) 2013-06-24 2013-06-24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EP14817641.5A EP3014566B1 (en) 2013-06-24 2014-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data
PCT/KR2014/005511 WO2014208950A1 (en) 2013-06-24 2014-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data
US14/312,895 US9582840B2 (en) 2013-06-24 2014-06-24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data
US15/413,759 US10395767B2 (en) 2013-06-24 2017-01-24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05A KR101518804B1 (ko) 2013-06-24 2013-06-24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55A true KR20150000355A (ko) 2015-01-02
KR101518804B1 KR101518804B1 (ko) 2015-05-11

Family

ID=5211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05A KR101518804B1 (ko) 2013-06-24 2013-06-24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82840B2 (ko)
EP (1) EP3014566B1 (ko)
KR (1) KR101518804B1 (ko)
WO (1) WO20142089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42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처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KR20220039084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코밴 Ic 카드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87B1 (ko) 2013-06-17 2020-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적 영상과 비동기적 영상을 위한 영상 정합 장치 및 이미지 센서
US10105189B2 (en) 2015-11-10 2018-10-23 Mako Surgical Corp. Techniques for correcting an error in a nonvolatile memory of an embedded component for an end effector in a robotic surgical system
CN106529182A (zh) * 2016-11-15 2017-03-22 黄劲涛 一种云医院
US11611576B2 (en) * 2019-12-11 2023-03-21 GE Precision Healthcar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ng an im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561B2 (ja) 1990-11-30 1996-12-11 株式会社フジタ ロボットハンドの遠隔操作システム
US6381557B1 (en) * 1998-11-25 2002-04-3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dical imaging system service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477908A1 (de) 2003-05-14 2004-11-17 Wilfried Beck Kommunikationssystem sowie Verfahren zum verbesserten Nutz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KR100598588B1 (ko) 2004-09-21 2006-07-07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펌프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원격제어방법
DE102005009852B3 (de) * 2005-03-03 2006-06-29 Siemens Ag Einrichtung zur Aufnahme und Verwaltung medizinischer Bilddaten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KR100746023B1 (ko) 2005-07-20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9514275B2 (en) 2006-03-13 2016-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Diagnostic imaging simplified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KR20090035839A (ko) 2007-10-08 2009-04-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
US8219859B2 (en) * 2008-02-19 2012-07-1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support control system
JP2009291308A (ja) 2008-06-03 2009-12-17 Fujifilm Corp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US20100245583A1 (en) * 2009-03-25 2010-09-30 Syclipse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remote surveillance and applications therefor
KR101039246B1 (ko) * 2009-06-22 2011-06-07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변 임계값을 이용한 이벤트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10064384A (ko) 2009-12-08 2011-06-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로그 파일을 수집하는 시스템
KR101234791B1 (ko) * 2012-01-19 2013-03-15 노희옥 지폐계수기를 이용하여 지폐를 계수하는 상황을 감시하고 확인하기 위한 멀티 시스템
CN103365759A (zh) * 2012-03-30 2013-10-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使用时间提醒系统、电子装置及方法
US20130304489A1 (en) * 2012-05-08 2013-11-14 Lantronix, Inc.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Medical Devices
KR101241582B1 (ko) 2012-05-18 2013-03-11 주식회사 나라정보기술 방범 폐쇄회로티브이 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US8984484B2 (en) * 2012-11-27 2015-03-17 Nvidia Corporation Video sequence recording during a testing session on a data processing device to enable fault detection
US9980629B2 (en) * 2013-03-11 2018-05-29 Karl Storz Imaging, Inc. Video capture and streaming diagnostics metadata
KR101539234B1 (ko) * 2013-07-26 2015-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진단 장치의 오류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장치
US9665932B2 (en) * 2013-09-03 2017-05-30 Thales Transport & Security, Inc. Camera based cable inspe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42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방법 및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처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KR20220039084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코밴 Ic 카드를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4566A4 (en) 2017-03-15
US10395767B2 (en) 2019-08-27
US20170132381A1 (en) 2017-05-11
EP3014566A1 (en) 2016-05-04
US20140380104A1 (en) 2014-12-25
US9582840B2 (en) 2017-02-28
WO2014208950A1 (en) 2014-12-31
EP3014566B1 (en) 2020-09-02
KR101518804B1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234B1 (ko) 의료 진단 장치의 오류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장치
US10542960B2 (en) Wireless X-ray system
KR101518804B1 (ko)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20166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ding imaging diagnosis using medical image, and image diagnosis aid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4267273A (ja) 医用システム
KR102207255B1 (ko) 초음파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 의료 전문가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및 정보 공유 시스템
US20190189270A1 (en) Hospital information apparatu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hospit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921795B2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image displaying using multiple mobile devices
US102694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US20200342997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92003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 deep learning model for an imaging system
WO2019200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maging system express mode
CN111753831A (zh) 一种图像分析方法、装置、图像采集设备及存储介质
JP201720779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70046115A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6804239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20184219A (ja) 医用情報表示装置、及び医用情報表示システム
US20230386113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JP6320859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
JP6521587B2 (ja) 医療用画像読影装置、医療用画像の提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キット
US20210118568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631490B2 (e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managing the display of abnormality detection results
US202302302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210304894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23053991A1 (ja) 医療画像処理装置、医療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医療画像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