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855A -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855A
KR20140146855A KR20130069694A KR20130069694A KR20140146855A KR 20140146855 A KR20140146855 A KR 20140146855A KR 20130069694 A KR20130069694 A KR 20130069694A KR 20130069694 A KR20130069694 A KR 20130069694A KR 20140146855 A KR20140146855 A KR 2014014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edge
head
fastening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855A/ko
Publication of KR2014014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관통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 체결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구멍보다 외경이 크고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을 형성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다리부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들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면 상기 피 체결부재에 걸림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암부재; 및 상기 삽입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쐐기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들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부재 {FASTENER}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구속력이 강화된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체결부재는 복수의 적층된 피 체결부재를 조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피 체결부재는 내부의 부품을 수리 또는 점검하기 위해 해체될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는 체결력, 조립성, 탈거성 등이 뛰어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체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체결부재는 피상단 체결부재의 외부에 드라이버 매칭 홈형상이 노출되어 있어 외관상 좋지 않으며 리테이너 탈거시 반드시 '+'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야만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탈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관에 드라이버 매칭 홈 형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착탈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구속력이 강화된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 체결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구멍보다 외경이 크고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을 형성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다리부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들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면 상기 피 체결부재에 걸림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암부재; 및 상기 삽입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쐐기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들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관통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 체결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는 상측에 노출되어 피 체결부재를 누르는 머리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외부면이 경사진 다리부를 포함하는 암부재; 및 상기 다리부를 측면으로 확장시켜 상기 다리부의 외부면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도록 상기 암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어 상기 다리부의 외경을 증감시키도록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쐐기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립과 탈거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체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체결부재를 A-A'선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를 B-B'선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5의 체결부재를 탈거하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1, 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체결부재(1, 100)를 A-A'선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관통구멍(20)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40)가 적층된 상태에서 관통구멍(20)에 삽입되어 피 체결부재(40)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 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1, 100)는 관통구멍(20)을 통과하지 않도록 관통구멍(20)보다 외경이 크고 관통구멍(20)과 동심을 형성하는 삽입구멍(3a)이 형성된 머리부(5, 105)와 관통구멍(20)에 삽입되고, 관통구멍(20)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다리부(7, 107)가 머리부(5, 10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리부(7, 107)들은 관통구멍(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면 피 체결부재(40)에 걸림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암부재(3, 103); 및 삽입구멍(3a)을 통과하지 않도록 삽입구멍(3a)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11, 111)와 삽입구멍(3a)에 삽입되고, 관통구멍(20)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쐐기부(13, 113)가 돌출부(11, 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리부(7, 107)들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수부재(10, 11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 100)는 복수의 피 체결부재(40)를 관통한다. 암부재(3, 103)는 머리부(5, 105)와 다리부(7, 107)를 포함한다. 머리부(5, 105)는 삽입구멍(3a)이 형성된다, 삽입구멍(3a)은 후술할 쐐기부(13, 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경이 정해진다. 삽입구멍(3a)은 후술할 돌출부(11, 111)가 삽입될 수 없도록 직경이 정해진다. 다리부(7, 107)는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머리부(5, 105)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머리부(5, 105)는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다, 머리부(5, 105)는 쐐기부(13, 11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다리부(7, 107)는 피 체결부재(40)에 형성된 관통구멍(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간격이 줄어든다. 또한, 다리부(7, 107)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다리부(7, 107)의 간격은 증감될 수 있다. 다리부(7, 107) 및 머리부(5, 10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재(3, 103)는 다리부(7, 107)가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소성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20)과 삽입구멍(3a)은 동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멍(3a)은 후술할 수부재(10, 11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삽입구멍(3a)은 돌출부(11, 111)는 삽입되지 못하고, 쐐기부(13, 113)가 삽입되도록 직경이 정해진다.
다리부(7, 107)의 외측면은 테이퍼지도록 형성된다. 다리부(7, 107)의 하측 단부는 피 체결부재(40)에 형성된 관통구멍(2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부재(3, 103)는 전체적으로 버섯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은 머리부(5, 105)와 다리부(7, 107)로 형성된다. 다리부(7, 107)는 머리부(5, 105)와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다리부(7, 107)의 단부는 관통구멍(2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다리부(7, 107) 및 쐐기부(13, 113)는 관통구멍(20)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부재(10)는 암부재(3)에 체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눌려지면 쐐기부(13)의 간격이 줄어들어 암부재(3)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쐐기부(13)에 눌림홈부(p1)가 형성된다.
눌림홈부(p1)는 쐐기부(13)에 형성될 수 있다. 눌림홈부(p1)는 쐐기부(13)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쐐기부(13)는 두개로 형성된다. 눌림홈부(p1)는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서 쐐기부(13)를 밀게 되므로, 복수의 쐐기부(13)는 간격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부재(3)는 수부재(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눌림홈부(p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구멍(H1)이 형성된다. 수부재(10)는 탈거부재(30)가 삽입되어 눌림홈부(p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눌림구멍(H1)이 형성된다. 눌림구멍(H1)은 외부와 눌림홈부(p1)를 연결한다. 눌림구멍(H1)은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눌림구멍(H1)은 눌림홈부(p1)가 노출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눌림구멍(H1)은 머리부(5)가 피 체결부재(40)와 접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눌림홈부(p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머리부(5)의 하측면을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1)가 피 체결부재(40)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머리부(5)와 돌출부(11)는 서로 접하게 된다. 머리부(5)는 돌출부(11)의 하측에 배치되고, 머리부(5)의 하단면은 피 체결부재(40)와 접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피 체결부재(40)와 머리부(5)는 서로 접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탈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눌림구멍(H1)은 이와 같은 공간을 형성한다. 눌림구멍(H1)은 머리부(5)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쐐기부(13, 11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편(15, 115); 및 다리부(7, 107)의 단부에 걸림되어 확장편이 상하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연장편(15, 115)의 하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17,117)를 포함한다.
연장편(15, 115)은 쐐기부(13, 113)의 일부를 형성한다. 연장편(15, 115)은 관통구멍(20)에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 부재일 수도 있다. 연장편(15, 115)은 탄성력을 갖도록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연장편(15, 115)은 돌출부(11, 111)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연장편(15, 115)의 단부에는 돌기(17,117)가 형성된다. 돌기(17,117)는 다리부(7, 107)의 단부에 걸림되어 연장편(15, 115)을 다리부(7, 107)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연장편(15, 115)의 일측에는 돌기(17,117)가 형성되고, 연장편(15, 115)의 타측에는 돌출부(11, 111)가 형성되므로, 연장편(15, 115)은 상하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돌기(17,117)는 다리부(7, 107)의 단부가 걸리도록 각지게 형성된 걸림멱(17a, 117a)과 걸림턱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리부(7, 107)의 내면과 접하며 미끄러지도록 돌출되고 라운드진 삽입벽(17b, 117b)이 형성된다.
돌기(17,117)는 걸림멱(17a, 117a)과 삽입벽(17b, 117b)이 형성된다. 걸림멱(17a, 117a)은 수부재(10, 110)를 암부재(3, 10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걸림멱(17a, 117a)은 턱지게 형성되어 다리부(7, 107)의 하단을 감싼다. 삽입벽(17b, 117b)은 쐐기부(13, 113)가 삽입구멍(3a)을 통해 쉽게 다리부(7, 107)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부재(3, 103)는 수부재(10, 110)가 삽입될때 삽입벽(17b, 117b)이 미끄러지도록 다리부(7, 107)의 내면에 함몰된 만곡면(7a, 107a)이 형성된다.
만곡면(7a, 107a)은 암부재(3, 103)에 형성된다. 만곡면(7a, 107a)은 다리부(7, 107)의 내면에 형성된다. 만곡면(7a, 107a)은 다리부(7, 107)의 내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다리부(7, 107)는 하측 일정부분까지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만곡면(7a, 107a)은 다리부(7, 107)의 하측 일정부분까지는 함몰된 정도가 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부재(3, 103)는 수부재(10, 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탈거될 수 있도록 다리부(7, 107)의 내면에 걸림턱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면(7b, 107b)이 형성된다.
경사면(7b, 107b)은 다리부(7, 107)의 단부에서 시작되어 내면에 형성된다. 경사면(7b, 107b)은 만곡면(7a, 107a)과 만날수도 있다. 만곡면(7a, 107a)은 하측으로 갈수로 홈이 깊게 패이다가 하측 일정 부분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서 경사면(7b, 107b)과 만난다. 만곡면(7a, 107a)은 돌기(17,117)의 하측 진행에 따라 다리부(7, 107)가 좌우로 벌려지도록 하고, 경사면(7b, 107b)은 돌기(17,117)가 일정 깊이 이상 진행하면 경사면(7b, 107b)을 따라 하측으로 미끄러지도록 형성된다.
관통구멍(20)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40)가 적층된 상태에서 관통구멍(20)에 삽입되어 피 체결부재(40)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 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1, 100)는 체결부재(1, 100)는 상측에 노출되어 피 체결부재(40)를 누르는 머리부(5, 105)와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외부면이 경사진 다리부(7, 107)를 포함하는 암부재(3, 103); 및 다리부(7, 107)를 측면으로 확장시켜 다리부(7, 107)의 외부면이 관통구멍(20)에 끼워지도록 암부재(3, 103)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수부재(10, 110)를 포함하고, 수부재(10, 1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어 다리부(7, 107)의 외경을 증감시키도록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쐐기부(13, 11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 1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 100)를 B-B'선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부재(110)는 암부재(103)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려지면 암부재(103)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쐐기부(113) 또는 돌출부(111)에 눌림홈부(p p2)가 형성된다.
눌림홈부(p2)는 돌출부(111)에 형성될 수도 있고, 쐐기부(1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눌림홈부(p2)의 위치는 수부재(1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눌림홈부(p2)의 위치는 돌출부(11)와 근접한 쐐기부(113) 또는 돌출부(11)에 형성될 수 있다. 눌림홈부(p2)에 끼워진 탈거부재(30)는 수부재(11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하므로 돌출부(111)의 하면과 머리부(105)의 상면에 2점 지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부재(103)는 수부재(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눌림홈부(p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구멍(H2)이 형성되고, 눌림구멍(H2)은 머리부(105)의 상측면을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눌림구멍(H2)은 탈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골과 같이 머리부(105)의 일부를 깍아내어 형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눌림홈부(p2)는 수부재(110)가 암부재(103)에 체결된 상태일때 머리부(105)보다 높게 위치하여 외부로 노풀될 수 있다. 눌림홈부(p2)는 머리부(105)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눌림홈부(p2)에는 탈거부재(30)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머리부(105)는 탈거부재(3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머리부(105)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홈을 형성하여, 머리부(105)의 일부가 눌림홈부(p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3 및 도 5의 체결부재를 탈거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 체결부재(40)에 형성된 관통구멍(20)에 암부재(3, 103)의 다리부(7, 107)를 삽입한 후 수부재(10, 110)의 쐐기부(13, 113)를 삽입구멍(3a)에 삽입한다. 돌기(17,117)는 만곡부를 따라 진행하며, 만곡부의 형상 및 돌기(17,117)의 형상으로 인해 다리부(7, 107)의 폭은 좌우로 확장된다. 돌기(17,117)는 경사면(7b, 107b)에 다다르면 미끄러져 하측으로 이동하게된다. 돌기(17,117)가 하측 끝단에 다다르면 다리부(7, 107)의 단부는 걸림멱(17a, 117a)에 걸려 수부재(10, 110)는 암부재(3, 103)에 고정된다. 한편, 수부재(10, 110)가 고정된 후 연장편(15, 115)은 다리부(7, 107)를 내측에서 가압하므로 다리부(7, 107)의 외경이 증가된다. 따라서 피 체결부재(40)의 하측은 다리부(7, 107)에 의해 고정되고, 피 체결부재(40)의 상측은 머리부(5, 105)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탈거시에는 탈거부재(30)를 이용하여 수부재(10, 110)를 암부재(3, 103)로부터 탈거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탈거부재(30)를 눌림구멍(H1,)을 통해 밀어넣어 눌림홈부(p1)를 밀게된다. 쐐기부(13)는 복수로 구성되고 탄성력을 갖으므로 쐐기부(13)의 간격이 줄어들어 수부재(10)를 쉽게 탈거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탈거부재(30)를 눌림구멍(H2)을 통해 밀어넣은 후, 돌출부(111)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오도록 한다. 탈거부재(30)는 머리부(105)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랫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된다. 돌출부(111)가 상측으로 힘을 받으면 탄성력을 갖는 쐐기는 간격이 서로 줄어들게 되므로 쉽게 탈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체결부재 3: 암부재
3a: 삽입구멍 5: 머리부
7: 다리부 7a: 만곡면
7b: 경사면 H1: 눌림구멍
10: 수부재 11: 돌출부
13: 쐐기부 15: 연장편
17: 돌기 17a: 걸림벽
17b: 삽입벽 P1: 눌림홈부
20: 관통구멍 30: 탈거부재
40: 피 체결부재 101: 체결부재
103: 암부재 103a: 삽입구멍
105: 머리부 107: 다리부
107a: 만곡면 107b: 경사면
H1, H2: 눌림구멍 110: 수부재
111: 돌출부 113: 쐐기부
115: 연장편 117: 돌기
117a: 걸림벽 117b: 삽입벽
P2: 눌림홈부

Claims (12)

  1. 관통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 체결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구멍보다 외경이 크고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을 형성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다리부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들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면 상기 피 체결부재에 걸림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암부재; 및
    상기 삽입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멍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쐐기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들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수부재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암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쐐기부의 간격이 줄어들어 상기 암부재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부에 눌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눌림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구멍이 형성된 체결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구멍은,
    상기 머리부가 상기 피 체결부재와 접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눌림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머리부의 하측면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체결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암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려지면 상기 암부재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부 또는 상기 머리부에 눌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눌림홈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눌림구멍은,
    상기 머리부의 상측면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체결부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홈부는,
    상기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에 체결된 상태일때 상기 머리부보다 높게 위치하여 외부로 노풀되는 체결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편; 및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확장편이 상하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상기 연장편의 하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각지게 형성된 걸림벽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의 내면과 접하며 미끄러지도록 돌출되고 라운드진 삽입벽이 형성된 체결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가 삽입될때 상기 삽입벽이 미끄러지도록 상기 다리부의 내면에 함몰된 만곡면이 형성된 체결부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의 내면에 상기 걸림턱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체결부재.
  12. 관통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피 체결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 체결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측에 노출되어 피 체결부재를 누르는 머리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외부면이 경사진 다리부를 포함하는 암부재; 및
    상기 다리부를 측면으로 확장시켜 상기 다리부의 외부면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도록 상기 암부재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어 상기 다리부의 외경을 증감시키도록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쐐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KR20130069694A 2013-06-18 2013-06-18 체결부재 KR20140146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694A KR20140146855A (ko) 2013-06-18 2013-06-18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694A KR20140146855A (ko) 2013-06-18 2013-06-18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855A true KR20140146855A (ko) 2014-12-29

Family

ID=5267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694A KR20140146855A (ko) 2013-06-18 2013-06-18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8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7861A (zh) * 2015-07-06 2017-01-18 伍鐌科技股份有限公司 回弹扣件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KR102208203B1 (ko) * 2020-11-30 2021-01-27 유기혁 카메라 렌즈용 트레이
KR20220132851A (ko) * 2021-03-24 2022-10-04 이승현 콘센트 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7861A (zh) * 2015-07-06 2017-01-18 伍鐌科技股份有限公司 回弹扣件
CN106337861B (zh) * 2015-07-06 2019-03-12 伍鐌科技股份有限公司 回弹扣件
CN111609013A (zh) * 2020-05-29 2020-09-0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KR102208203B1 (ko) * 2020-11-30 2021-01-27 유기혁 카메라 렌즈용 트레이
KR20220132851A (ko) * 2021-03-24 2022-10-04 이승현 콘센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6855A (ko) 체결부재
US8056994B2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rawer
US8864097B2 (en) Anti-theft structure for a socket display hanger
JP2015044002A (ja) 引き出し、および、引き出し底部を強固にクランプするための工具
CN204718229U (zh) 冰箱及其风道面板
JP2007315467A (ja) 部品の取付装置
US20150280362A1 (en) Fastening device of plug-socket combination
JP5957334B2 (ja) バックル
EP3970646B1 (en) Sternal closure assembly
KR101455585B1 (ko)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 체결용 클립
JP2010014148A (ja) クリップ
KR101281540B1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JP5134204B2 (ja) グロメット
CN209959641U (zh) 一种易拆卡扣连接件
DK3090835T3 (en) PRESSURE TOOLS AND ITS USE FOR PRESSING A FITTING
CN211579114U (zh) 固定座及包括其的连接器固定结构
CN217847767U (zh) 拉拔式断电开关
JP6074638B2 (ja) ファスナー
KR20045954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연결구조
CN210726860U (zh) 一种腿部防损的插扣
CN220585636U (zh) 弹片帽套、弹性连接组件及电源模块
JPH1182429A (ja) 取外可能なハーネスクリップ
JP5307928B1 (ja) 着脱可能型箸
KR20180051696A (ko) 전동공구의 원터치 록킹장치
JP5301388B2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