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729A - 유체이동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이동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729A
KR20140146729A KR20130069346A KR20130069346A KR20140146729A KR 20140146729 A KR20140146729 A KR 20140146729A KR 20130069346 A KR20130069346 A KR 20130069346A KR 20130069346 A KR20130069346 A KR 20130069346A KR 20140146729 A KR20140146729 A KR 2014014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control device
flow control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458B1 (ko
Inventor
정준호
양현기
오동환
윤상홍
주선홍
김은지
양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102013006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58B1/ko
Priority to CN201420326235.5U priority patent/CN204043276U/zh
Publication of KR2014014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등에서 냉기와 같은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에 상기 이동되는 유체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또는/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와 볼록(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다단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 단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방식으로 상기 이동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이동 조절 장치{Fluid Moving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냉장고 등에서 냉기와 같은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에 상기 이동되는 유체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또는/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와 볼록(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다단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 단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방식으로 상기 이동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등에서 냉기와 같은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에 상기 이동되는 유체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사용된 바 있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5567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0572175호를 통하여 개발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체이동 조절 장치는 덕트 등과 같은 유체이동 통로에 설치되어 유체이동 통로에서 이동되는 유체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면서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완충부재가 상기 테두리 부분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당접하여 상기 개구부로 통하는 유체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플레이트에 완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에 당접될 때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완충부재가 당접되는 것이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완충부재가 손상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또는/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와 볼록(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이동되는 유체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유체 누설에 대한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유체통로 폐쇄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유체가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볼록(凸)부 또는 오목(凹)부와 마주보게 하여,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그 공간이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과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이 동일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과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맞닿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폐쇄 위치를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원하는 개방 위치까지만 개방되도록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그 스토퍼가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유로가 굴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2개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된 경우,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간격은 변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의 단면이 사각형,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단면 형상은 각 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를 개폐될 때,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오목부에 챔퍼(chamfer)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선단부(33)가 상기 프레임에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면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부분인 회동축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결합되는 부분인 회전지지부 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D-cut 형상으로 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 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열로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마지막 기어가 부채꼴 형상으로 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기어가 일체로 내장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을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그 용적이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을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용적이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된 공간의 용적이 가장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또는/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와 볼록(凸)부로 구성하게 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다단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각 단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감소됨에 따라 유체의 양 또한 감소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별도의 구성 없이 비접촉식으로도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유체통로를 폐쇄할 수 있어 상기 플레이트의 완충부재의 설치 및 상기 개구부 테두리 부분의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원가를 감소할 수 있고, 종래 상기 플레이트가 프레임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던 소음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서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서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에서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일부 절취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 (a) 및 (b)는 도 4에서 오목부 및 볼록부 부분에 대한 각 실시예의 확대도
도 6 (a) 내지 (c)는 유로 간격이 변화된 각 실시예에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개구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축(42)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40)와, 상기 회동축(42)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0)를 개폐하는 플레이트(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과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할 때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와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유체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오목(凹)부(12, 32) 및 볼록(凸)부(13, 33)는 상기 플레이트(30)가 구동부(40)의 회동축(42)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와 마주보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32) 또는 볼록(凸)부(33)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10)에서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凸)부(13) 또는 오목(凹)부(12)를 형성하여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그 공간이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로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할 경우 상기 오목(凹)부(12, 32)와 볼록(凸)부(13, 33)로 인하여 다단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각 단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감소됨에 따라 유체의 양 또한 감소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별도의 구성 없이 비접촉식으로도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접촉식 밀폐구조는 도 6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A 또는 C)와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B)에 의하여 다단의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A)은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B)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도 6 (a) 내지 (c)]. 또한,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C)이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B)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도 6 (a) 및 (c)], 또한,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A)와 간격(C), 그리고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B)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도 6 (b)].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A)이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B)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b) 및 (c)의 경우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목부가 좌측의 제1오목부의 폭(W1)과 우측의 제2오목부의 폭(W2)이 동일하고,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도 동일하여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그 용적이 동일하게 된다.
도 6 (a)의 경우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목부가 좌측의 제1오목부의 폭(W1)과 우측의 제2오목부의 폭(W2)이 상이하여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용적이 서로 다르게 된다. 또한, 도 6 (a)와 같이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된 공간의 용적이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할 때, 상기 유로가 굴절되면서 비접촉식으로 되어 유체를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2개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된 경우,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간격은 변화되도록 하여 각 단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감소됨에 따라 유체의 양 또한 감소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통한 누설량 저감은 유체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로의 틈새 간격을 최소화 하고, 유로 표면에 여러 모양의 요철(돌기)을 형성시키거나, 유로 틈새를 복잡하게 만드는 등 일정한 면적에서 한정된 수의 요철을 이용하는 형상 변경에 대한 다양한 설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부(12, 32) 또는/및 상기 볼록부(13, 33)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면 형상을 경사면으로 할 경우 그 경사도에 따라서도 유체의 유동 저항이 달라진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2, 32) 또는 상기 볼록부(13, 33) 내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6)를 더 형성되게 하여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에 많은 굴절을 가하여 각 단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감소됨에 따라 유체의 양 또한 감소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기부(16)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각형,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부(20)를 둘러싼 상기 플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10)의 단면 형상은 각 변에 따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에 각각 형성된 오목(凹)부(12, 32) 또는 볼록(凸)부(13, 33)는 그 단면 형상이 각 변에 따라 달라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의 그 단면 형상의 상, 하, 좌, 우가 일실시예로서 일정하게 둘러싼 사각의 오목(凹)부(12, 32) 또는 볼록(凸)부(13, 33) 아닌 불규칙적으로 그 단면 형상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양한 설계를 통하여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20)의 테두리 부분(11)에 각각 형성된 오목(凹)부(12, 32) 또는 볼록(凸)부(13, 33)는 그 단면 형상이 각 변에 따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를 개폐할 때, 상기 회동축(42) 부위에 상기 플레이트(3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프레임(10)과 서로 간섭, 즉 부딪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오목부(12)에 챔퍼(chamfer,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30)의 선단부(33)가 상기 프레임(10)에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면이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가 원활히 회동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30)의 일측이 회동축 결합부(31)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40)의 회동축(42)과 결합하고, 상기 플레이트(30)의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30) 또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30)가 회전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30) 에 회전지지부 캡(32)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회전지지부(15)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40)의 회동축(42)과, 상기 회동축(42)과 결합되는 부분인 회동축 결합부(31)와, 상기 플레이트(30)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회전지지부(15)와, 상기 회전지지부(15)와 결합되는 부분인 상기 회전지지부 캡(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D-cut 형상으로 하여 견고히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동 조절 장치에서 구동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가 일체로 내장된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동축(42)이 상기 플레이트(30)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다음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 회전축(43)과 기어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열(44)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축(42)이 상기 플레이트(30)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30)에 연결되는 마지막 기어가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된 부채꼴 기어(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다단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 단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접촉식 구조로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개구부(20)와 맞닿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폐쇄 위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플레이트(30)의 폐쇄 위치는 모터의 제어신호로 제한할 수도 있지만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다. 그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하든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하여 상기 플레이트(30)의 폐쇄 위치를 기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구동부(40)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플레이트(30)의 폐쇄 위치를 기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가 원하는 개방 위치까지만 개방되도록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는데. 그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구동부(40)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플레이트(30)가 원하는 개방 위치까지만 개방되도록 기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들에서 상기 유체이동 조절장치가 유체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압에서 저압으로의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본 발명은 유체가 작은 구멍과 같은 저항이 큰 곳을 통과하는 것과 같이 흐름의 단면적을 좁히면, 이미 존재하는 압력차에 의해 유속이 강제적으로 증가되고, 이로 인해 분자간 거리가 멀어져 압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교축(throttling)  현상을 이용해서 유체의 누설을 막아주는 장치로서, 유로의 공간을 좁은 공간과 넓은 공간으로 만들고, 또한 요철(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교축되고, 넓은 공간에서 압력이 감소하는 작용이 반복되는데 이러한 작용이 계속 되면서 각 단 마다 유체의 흐름이 방해가 되어 누설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 11: 테두리 부분
12, 32: 오목부 13, 33: 볼록부
15: 회전지지부 16: 돌기부
20: 개구부 30: 플레이트
31: 회동축 결합부 32: 회전지지부 캡
33: 선단부 40: 구동부
41: 기어일체형 모터 42: 회동축
43: 모터 회전축 44: 기어열
45: 부채꼴 기어

Claims (2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와;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유체가 차단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볼록(凸)부 또는 오목(凹)부와 마주보게 하여,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그 공간이 유체가 통과되는 유로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과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수평면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과 상기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맞닿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폐쇄 위치를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원하는 개방 위치까지만 개방되도록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유로는 굴절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2개 이상의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된 경우, 마주보는 수평면 사이와 수직면 사이에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간격은 변화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의 단면은 사각형,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사각형,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단면 형상은 각 변에 따라 달라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개폐될 때,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오목부에 챔퍼(chamfer)를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면이 절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회동축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부분인 회동축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결합되는 부분인 회전지지부 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D-cut 형상으로 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 기어와, 상기 모터 기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열로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마지막 기어는 부채꼴 형상으로 된 기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어가 일체로 내장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을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그 용적이 동일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을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은 그 용적이 서로 다르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접촉에 의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공간들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된 공간의 용적이 가장 작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동 조절장치.
KR1020130069346A 2013-06-18 2013-06-18 유체이동 조절 장치 KR10158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346A KR101583458B1 (ko) 2013-06-18 2013-06-18 유체이동 조절 장치
CN201420326235.5U CN204043276U (zh) 2013-06-18 2014-06-18 流体移动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346A KR101583458B1 (ko) 2013-06-18 2013-06-18 유체이동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29A true KR20140146729A (ko) 2014-12-29
KR101583458B1 KR101583458B1 (ko) 2016-01-08

Family

ID=5224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346A KR101583458B1 (ko) 2013-06-18 2013-06-18 유체이동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3458B1 (ko)
CN (1) CN20404327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232A1 (de) * 2017-01-26 2018-07-26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verzweigtem Luftka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93A (ko) * 2004-02-06 2005-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댐퍼장치
KR100572175B1 (ko) * 2005-02-01 2006-04-18 주식회사 모아텍 냉장고용 댐퍼장치
KR100593962B1 (ko) * 2002-05-01 2006-07-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식 댐퍼장치
JP2011052870A (ja) * 2009-08-31 2011-03-17 Hitachi Appliances Inc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62B1 (ko) * 2002-05-01 2006-07-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식 댐퍼장치
KR20050079493A (ko) * 2004-02-06 2005-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댐퍼장치
KR100572175B1 (ko) * 2005-02-01 2006-04-18 주식회사 모아텍 냉장고용 댐퍼장치
JP2011052870A (ja) * 2009-08-31 2011-03-17 Hitachi Appliances Inc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58B1 (ko) 2016-01-08
CN204043276U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8134B2 (ja) 冷蔵庫
US20110319005A1 (en) Damper plate
JP6326458B2 (ja) 両方向ゲートバルブ
KR20110032898A (ko) 냉기 유출방지 부재를 갖는 냉장고
US11088596B2 (en) Motor cooling fan unit, motor, and exhaust unit
KR20130005100A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583458B1 (ko) 유체이동 조절 장치
TW201430304A (zh) 冰箱
GB2516094A (en) Valve
KR101684881B1 (ko) 게이트 밸브
JP2008261521A (ja) ダンパー装置
TWM582553U (zh) 蝶閥
JP7002945B2 (ja) 二重偏心弁
KR101276417B1 (ko) 버터플라이밸브
JP2021025662A (ja) ガス伝導管用の閉鎖装置
KR101445690B1 (ko) 볼 타입 진공 게이트 밸브
JP4720588B2 (ja) 冷蔵庫の冷気調整用ダンパ
JP6294164B2 (ja) レジスタ
KR1019561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7076313A (zh) 机动车辆中的发动机控制阀
JP2013064562A (ja) 冷蔵庫
KR200353379Y1 (ko) 기밀성이 뛰어난 공조용 댐퍼
US20170108125A1 (en) Valve
CN220505845U (zh) 一种用于多边形调节阀的密封结构
JP6368101B2 (ja) レ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