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423A -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423A
KR20140146423A KR20130069098A KR20130069098A KR20140146423A KR 20140146423 A KR20140146423 A KR 20140146423A KR 20130069098 A KR20130069098 A KR 20130069098A KR 20130069098 A KR20130069098 A KR 20130069098A KR 20140146423 A KR20140146423 A KR 2014014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main body
module
extension
rak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711B1 (ko
Inventor
김종수
박성일
김황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7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와,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갈퀴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펫(carpet) 등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장소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표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떨어진 먼지를 흡입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카펫(carpet) 등의 직물의 결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이 좋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n automatic cleaner}
본 발명은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청소기 중 특히,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자동 청소기라 칭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는, 충전지에 의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58136호에는 메인 본체와, 메인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모듈과,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팬 모듈과,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 박스 등을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종래의 자동 청소기의 경우, 장판이나, 대리석 등 표면이 대체적으로 매끄러운 장소의 청소를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공되었다. 그러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장소를 청소하는 경우, 해당 표면으로부터 먼지가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자동 청소기는 펠트(felt) 직물 또는 직물제(織物製)의 깔개와 같은 카펫(carpet), 융단이나, 수직(手織)으로 제작되는 러그(rug), 모직물 등을 청소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의 장소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와,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갈퀴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 및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와,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장착공간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갈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펫(carpet) 등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장소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표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떨어진 먼지를 흡입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카펫(carpet) 등의 직물의 결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이 좋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갈퀴 모듈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갈퀴 모듈의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130)과, 상기 본체(110)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바퀴(14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본체 자석(150)과, 갈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 장치 및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집진 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흡입구(111)와, 상기 갈퀴 모듈(200)이 결합되기 위한 장착 공간(112)과, 상기 갈퀴 모듈(20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결합 가이드(113)와, 상기 장착 공간(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분리용 홈(114)과, 본체 자석 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1)는, 상기 흡입 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집진 수단으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구(111)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112)은 상기 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112)은 상기 갈퀴 모듈(2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착 공간(112)은 장방형일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는 상기 장착 공간(112)의 일측에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는 상기 장착 공간(112)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112)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는 상기 장착 공간(112)의 두면이 맞닿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홈(114)은 상기 갈퀴 모듈(200)을 상기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손 또는 도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분리용 홈(114)은 상기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일측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본체 자석 삽입부(115)에는 본체 자석(150)이 삽입된다. 일 예로, 상기 본체 자석 삽입부(115)는 장착 공간(112)의 배면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자석 삽입부(115)는 상기 장착 공간(112)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130)은, 하나 이상의 바퀴와, 상기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퀴(140)는 소정의 구동원을 통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바닥과의 마찰력에 따라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자석(150)은 상기 본체 자석 삽입부(115)에 삽입되어, 상기 갈퀴 모듈(200) 및 본체(11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갈퀴 모듈(200)은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갈퀴 모듈(200)은 카펫(carpet) 등 표면이 거칠거나, 푹신한 재질을 가지는 대상의 청소를 수행할 경우에, 해당 청소 대상을 긁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갈퀴 모듈(200)은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구(11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갈퀴 모듈(200)은 상기 장착 공간(112)에 결합되는 제 1 갈퀴 모듈(210)과, 상기 제 1 갈퀴 모듈(210)에 결합되는 제 2 갈퀴 모듈(220)과, 상기 본체 자석(150)과 결합되는 모듈 자석(230)과, 무게추(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갈퀴 모듈(210)은, 외형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211)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 1 갈퀴 부재(212)와,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가 상기 제 1 케이스(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커버(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1)는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의 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하기 위한 제 1 삽입 홀(211a)과,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내부에 안착되게 하기 위한 제 1 안착 공간(211b)과, 상기 제 2 갈퀴 모듈(210)이 삽입되기 위한 결합 공간(213)과, 상기 모듈 자석(230)이 삽입되는 모듈 자석 삽입부(214)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 홈(215)과, 상기 무게추(240)가 삽입되는 무게추 삽입부(216)와,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와 결합되는 제 2 결합 가이드(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 홀(211a)은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의 하측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결합 공간(213)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결합 공간(213)은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모듈 자석 삽입부(214)는 상기 결합 공간(2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5)은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일 측면에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5)은 상기 분리용 홈(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 삽입부(216)는,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무게추 삽입부(216)는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무게추 삽입부(216)는 상기 결합 공간(213)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무게추 삽입부(216)는 상기 모듈 자석 삽입부(214)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 삽입부(216)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가이드(217)는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일측에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가이드(217)는 상기 제 1 케이스(211)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가이드(217)는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 및 제 2 결합 가이드(217)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제 1 갈퀴 모듈(210)이 상기 장착 공간(112)에 결합되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상기 제 1 결합 가이드(113)가 홈이고, 상기 제 2 결합 가이드(217)가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는, 청소 대상면을 긁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는 고무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이동 수단(130)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는,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에 삽입되는 지지부(212a)와, 상기 지지부(21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갈퀴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2a)는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의 저면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2a)는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212a)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갈퀴부(21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딜리 상기 지지부(212a)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12a)는 상기 갈퀴부(212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삽입 홀(211a)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퀴부(212b)는 청소 대상에 접촉하여 청소 대상을 긁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갈퀴부(212b)는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갈퀴부(212b)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갈퀴부(212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부(212a)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퀴부(212b)의 종단면은 역삼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퀴부(212b)에서, 상기 갈퀴부(212b)의 하단부의 단면적은 가장 좁을 수 있다.
상기 갈퀴부(212b)는 상기 지지부(212a)의 하측에 연결되는 몸통부(212c)와, 상기 몸통부(212c)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1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통부(212c)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연장부(212d)의 수평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가 상기 장착 공간(112)에 직접 탈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가 갈퀴 모듈(200)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커버(218)는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218)는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가 상기 제 1 안착 공간(211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케이스(211) 및 제 1 커버(218)의 사이에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갈퀴 모듈(220)은, 외형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21)와, 상기 제 2 케이스(2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갈퀴 부재(222)와,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가 상기 제 2 케이스(2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커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21)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의 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22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하기 위한 제 2 삽입 홀(221a)과,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 2 케이스(221)의 내부에 안착되게 하기 위한 제 2 안착 공간(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는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의 위치가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는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갈퀴 부재(212)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갈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갈퀴부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갈퀴부 사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갈퀴부 및 제 2 갈퀴부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바닥을 긁어내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갈퀴부 및 제 2 갈퀴부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커버(223)는, 상기 제 2 안착 공간(221b)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223)는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가 상기 제 2 안착 공간(221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케이스(221) 및 제 2 커버(223)의 사이에 상기 제 2 갈퀴 부재(2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자석(230)은, 상기 모듈 자석 삽입부(214)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갈퀴 모듈(210) 및 본체(110)의 결합력을 높힐 수 있다.
상기 무게추(240)는, 상기 무게추 삽입부(2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240)는 중량이 큰 쇠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무게추(240)의 재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게추(240)로 자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 자석(150)은, 상기 무게추(2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 예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차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212)는, 지지부(212a)와, 갈퀴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갈퀴부(212b)는 몸통부(212c)와, 연장부(21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뒤집어진 콘(cone)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212d)는 사각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과 달리, 상기 연장부(212d)는 원뿔이거나, 삼각뿔 등 다른 뿔 형태의 다면체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212)는, 지지부(212a)와, 갈퀴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갈퀴부(212b)는 몸통부(212c)와, 연장부(21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212d)는 상기 몸통부(212c)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12e)와, 상기 몸통부(212c)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12f)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연장부(212d)는 상기 몸통부(212c)로부터 복수의 갈래로 갈라지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12e) 및 제 2 연장부(212f)의 두께, 길이 또는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연장부(212f)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212e)의 길이보다 길고, 동일한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연장부(212f)의 두께는 상기 제 1 연장부(212e)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른 갈퀴 부재(212)는, 지지부(212a)와, 상기 지지부(212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갈퀴부(212b)(212g)(212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갈퀴부는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갈퀴부(212b)와, 상기 제 1 갈퀴부(212b)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갈퀴부(212g)와, 상기 제 1 갈퀴부(212b) 및 제 2 갈퀴부(212g)의 길이 방향과 모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3 갈퀴부(212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갈퀴부(212g)는 상기 제 1 갈퀴부(212b)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갈퀴부(212g)는 상기 제 1 갈퀴부(212b)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갈퀴부(212h)는 상기 이동 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갈퀴부(212g)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갈퀴부(212h)는 상기 제 1 갈퀴부(212b)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갈퀴부(212g)는 상기 제 1 갈퀴부(212b)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갈퀴부(212h)는 상기 제 2 갈퀴부(212g)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갈퀴부(212g)가 상기 제 1 갈퀴부(212b)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상기 제 3 갈퀴부(212h)가 상기 제 1 갈퀴부(212b)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펫(carpet) 등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장소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표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떨어진 먼지를 흡입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퀴 부재를 이용하여 카펫(carpet) 등의 직물의 결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이 좋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갈퀴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갈퀴 부재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자동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갈퀴 부재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이동 수단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자동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 부재는, 제 1 갈퀴 부재와, 상기 제 1 갈퀴 부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 갈퀴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갈퀴 부재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갈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갈퀴 부재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갈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갈퀴부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갈퀴부 사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부재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동 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의 길이보다 긴 자동 청소기.
  9. 흡입구 및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장착공간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갈퀴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 모듈은,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는 안착 공간과, 상기 안착 공간에 형성되는 삽입 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안착 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갈퀴부를 포함하는 갈퀴 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 공간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 모듈은,
    상기 장착 공간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 1 갈퀴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갈퀴 모듈; 및
    상기 제 1 갈퀴 모듈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 2 갈퀴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갈퀴 모듈;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 모듈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갈퀴 부재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모듈 자석을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 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갈퀴부; 및
    상기 제 1 갈퀴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갈퀴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KR1020130069098A 2013-06-17 2013-06-17 자동 청소기 KR10216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98A KR102163711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98A KR102163711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23A true KR20140146423A (ko) 2014-12-26
KR102163711B1 KR102163711B1 (ko) 2020-10-12

Family

ID=5267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098A KR102163711B1 (ko) 2013-06-17 2013-06-17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33A (ko) * 2021-02-23 2022-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8765A1 (de) * 1983-02-08 1984-09-19 Zaklady Zmechanizowanego Sprzetu Domowego "Predom-Zelmer" Fadensammler eines Saugers oder einer Saugbürste
DE4112394A1 (de) * 1991-04-16 1992-10-22 Heinz Fritze Aufsteckvorrichtung fuer einen staubsauger
JP2003052588A (ja) * 2001-08-10 2003-02-25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掃除装置
EP1173085B1 (fr) * 1999-04-29 2003-03-26 Seb S.A. Suceur d'aspirateur a lame de raclage
US20060248680A1 (en) * 2005-05-05 2006-11-0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accessory too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8765A1 (de) * 1983-02-08 1984-09-19 Zaklady Zmechanizowanego Sprzetu Domowego "Predom-Zelmer" Fadensammler eines Saugers oder einer Saugbürste
DE4112394A1 (de) * 1991-04-16 1992-10-22 Heinz Fritze Aufsteckvorrichtung fuer einen staubsauger
EP1173085B1 (fr) * 1999-04-29 2003-03-26 Seb S.A. Suceur d'aspirateur a lame de raclage
JP2003052588A (ja) * 2001-08-10 2003-02-25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掃除装置
US20060248680A1 (en) * 2005-05-05 2006-11-0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accessory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711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0492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US20230090575A1 (en) Surface cleaning head with dual rotating agitators
US8918947B2 (en) Crevice tool for vacuum cleaners
RU2251958C2 (ru) Пылесос-робот, создающий возмущ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воздуха
US3460188A (en) Vacuum cleaner
EP3104761B1 (en) Vacuum cleaner tool
AU2021232679B2 (en)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JP6357174B2 (ja) 掃除機ヘッド
KR20140146423A (ko) 자동 청소기
KR20130121681A (ko) 자루 걸레의 먼지 흡인구
KR10044432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US20110072611A1 (en)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KR101290990B1 (ko) 로봇 청소기
US3217352A (en) Suction cleaning tool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EP3010385B1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EP1252852A2 (en) Vacuum cleaner suction head
KR10075072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JP3034259U (ja) フィルタ清掃装置
KR100751914B1 (ko)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KR10105506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2002336168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23166331A (ja) モップ
KR20210044285A (ko) 진공 청소기 용구
KR19990080089A (ko) 진공청소기의 직물청소용 흡입구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