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914B1 -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914B1
KR100751914B1 KR1020060036717A KR20060036717A KR100751914B1 KR 100751914 B1 KR100751914 B1 KR 100751914B1 KR 1020060036717 A KR1020060036717 A KR 1020060036717A KR 20060036717 A KR20060036717 A KR 20060036717A KR 100751914 B1 KR100751914 B1 KR 10075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acuum cleaner
outer members
adsorption
adsorp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이나 마루의 청소시 또는 이불, 침대보, 카펫, 커튼과 같은 직물류의 먼지 제거시 청소대상이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바닥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상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및 이 흡착방지부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Vacuum cleaner and adsorption preventive memb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결합부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브러시 110 : 연결부
120 : 공기흡입구 200 : 흡착방지부재
210,220 : 가로,세로부재 230a,230b,240a,240b : 외곽부재
250 : 메시부재 300 : 결합부
310 : 결합돌기 320 : 결합홈
본 발명은 바닥이나 마루의 청소시 또는 이불, 침대보, 카펫, 커튼과 같은 직물류의 먼지 제거시 청소대상이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바닥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상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및 이 흡착방지부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 등과 같이 흡입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호스의 단부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마련된 흡입브러시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진공청소기 본체의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은 청소기 본체, 연결호스, 연장관을 거쳐서 흡입브러시의 공기흡입구로 제공되고, 이에 따라, 흡입브러시의 공기흡입구로 청소면의 먼지,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오물이 흡입되고, 흡입된 오물질은 연장관과 연결호스를 통해 청소기 본체 내의 집진실에 집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공기청정기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9774호에도 그 일예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진공청소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닥이나 마루를 청소하거나 또는 이불, 침대보, 카펫, 커튼과 같은 직물류에 붙은 먼지를 제거할 경우 브러시의 공기흡입구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의 강한 흡인력으로 인해 직물류 등이 빨려들어가거나 브러시 바닥에 흡착되어 다시 떼어내고 청소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과, 또는 상기 각 청소지역이나 청소대상물에 적합한 별도의 브러시를 교체하여 장착 사 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바닥에 측면부 일측이 개구된 흡착방지용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개구된 측면 부분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청소대상물이 브러시 바닥에 흡착되어 발생하는 작업상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및 이 흡착방지부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는,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보다 높이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곽부재 내에는 메시(mesh) 형태를 갖는 메시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흡착방지부재; 상기 흡착방지부재와 상기 브러시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방지부재는,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보다 높이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120)가 형성된 브러시(100)와, 상기 브러시(100)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흡착방지부재(200)와, 상기 흡착방지부재(200)와 상기 브러시(100)를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러시(100)의 상부에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호스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하단으로는 상기 브러시(100)의 바닥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방지부재(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브러시(100)에 결합부(30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방지부재(200)는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얇고 긴 판재 형태의 4개의 외곽부재(230a)(230b)(240a)(240b)로 구성되는바,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와, 측면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외곽부재(240a)(240b)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흡착방지부재(200)는 그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의 높이가 상기 측면 외곽부재(240a)(240b)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흡착방지부재(200)가 바닥면(지면) 위에 놓여질 경우 상기 측면 외곽부재(240a)(240b)는 상기 바닥면 위에 닿아 접촉되는 반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서 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흡착방지부재(200)는 내부에 메시(mesh) 형상을 갖는 메시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부재(250)는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와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가로부재(210)와, 측면 외곽부재(240a)(240b)와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세로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부재(210) 및 세로부재(220)는 서로 교차 되어 격자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부재(250)는 상기 외곽부재(230a)(230b)(240a)(240b)와 함께 일체로 성형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부재(250)의 높이는 흡착방지부재(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흡착방지부재(200)를 브러시(100)에 결합하는 결합부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결합부(300)는 탄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310)는 브러시(100)의 양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단(330)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0)은 흡착방지부재(200)의 양측면, 즉, 측면 외곽부재(240a)(240b)의 외면상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결합단(33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흡착방지부재(200)를 브러시(100)의 바닥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흡착방지부재(200)를 상기 브러시(100)의 바닥에 대고서 상부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결합단(330)의 탄성에 의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이 탄성 결합되어 흡착방지부재(2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결합된 흡착방지부재(200)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결합단(330)의 끝부분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간편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브러시의 바닥에 4개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진 흡착방지부재를 설치하되,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의 높이를 측면 외곽부재(240a)(240b)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착방지부재(200)의 좌,우 측면 외곽부재(240a)(240b)가 청소 바닥면(직물류의 상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230a)(230b)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흡착방지부재의 전,후방 공간)을 통해 공기의 강제 흡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직물류가 브러시(100)의 바닥에 흡착하여 빨려들어가지 않고서 먼지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흡착방지부재(200)는 상기한 직사각형 형태 이 외에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바, 이때, 상기 다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외곽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머지보다 높이가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술된 실시예 와 같은 흡착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흡착방지부재(200)에는 청소 작업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장착될 수 있는바, 상기 바퀴는 상기 흡착방지부재(200)의 좌,우측면 외곽부재(240a)(240b)의 내,외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좌,우측면 외곽부재(240a)(240b)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바퀴가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거나, 또는 세로부재(2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바닥에 복수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진 흡착방지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복수의 외곽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나머지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착방지부재가 청소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흡착방지부재의 개방된 측면 부분을 통해 공기의 강제 흡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직물류가 브러시의 바닥에 흡착하여 빨려들어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브러시를 사용 용도에 맞게 일일이 교체 사용하여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브러시와 직물류와의 흡인력을 높여서 직물류 등의 먼지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곽부재 내에 메시(mesh) 형태를 갖는 메시부재를 결합하여 형 성함으로써, 상기 메시부재를 통해 흡착방지부재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결합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흡착방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탄성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함으로써, 흡착방지부재를 브러시의 바닥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긴 판재 형태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부재는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방 외곽부재와, 측면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의 높이가 상기 측면 외곽부재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흡착방지부재가 바닥면 위에 놓여질 때 상기 측면 외곽부재는 상기 바닥면 위에 닿아 접촉되는 반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서 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 내에는 메시(mesh) 형태를 갖는 메시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3.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흡착방지부재;
    상기 흡착방지부재와 상기 브러시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방지부재는,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긴 판재 형태의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부재는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방 외곽부재와, 측면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외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의 높이가 상기 측면 외곽부재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방지부재가 바닥면 위에 놓여질 때 상기 측면 외곽부재는 상기 바닥면 위에 닿아 접촉되는 반면 상기 전,후방 외곽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60036717A 2006-04-24 2006-04-24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KR10075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17A KR100751914B1 (ko) 2006-04-24 2006-04-24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17A KR100751914B1 (ko) 2006-04-24 2006-04-24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914B1 true KR100751914B1 (ko) 2007-08-23

Family

ID=3861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717A KR100751914B1 (ko) 2006-04-24 2006-04-24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9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802U (ja) * 1998-05-05 1998-11-17 孝 小島 クリーナー床ブラシの吸つき防止カバー。
KR20050073115A (ko) * 2004-01-08 2005-07-13 김태열 청소기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와 청소기노즐의 접촉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802U (ja) * 1998-05-05 1998-11-17 孝 小島 クリーナー床ブラシの吸つき防止カバー。
KR20050073115A (ko) * 2004-01-08 2005-07-13 김태열 청소기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와 청소기노즐의 접촉방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47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US20130326843A1 (en) Crevice tool for vacuum cleaners
US20070039118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AU2008207571A1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isposable cover sheet
GB2528145A (en) Vacuum cleaner head
KR20110052032A (ko) 다관절 로봇 진공청소기
KR101760208B1 (ko) 청소기용 흡입장치
KR100751914B1 (ko)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용 흡착방지부재
KR20110051332A (ko) 진공 청소기
CN204995357U (zh) 一种地面清洁器
WO2010080832A1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KR20080001672U (ko) 걸레부착판이 일체 형성된 스팀 청소기
KR100666716B1 (ko) 청소 유니트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200407243Y1 (ko) 로봇 청소기의 물걸레 착탈구조
KR200449314Y1 (ko)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용 보조 흡입장치
KR102163711B1 (ko) 자동 청소기
JPH08294468A (ja) 床用吸込具
JPH08294469A (ja) 床用吸込具
KR100580951B1 (ko) 로봇청소기
EP1252852A2 (en) Vacuum cleaner suction head
KR101407791B1 (ko) 침구 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기 연결형 흡입헤드
KR10222220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0155673B1 (ko) 마루용 흡입구
CN219593467U (zh) 一种除螨装置
KR200426129Y1 (ko) 탈/부착 가능한 크리닝부를 갖는 청소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