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45A -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 Google Patents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45A
KR20140145145A KR1020147027986A KR20147027986A KR20140145145A KR 20140145145 A KR20140145145 A KR 20140145145A KR 1020147027986 A KR1020147027986 A KR 1020147027986A KR 20147027986 A KR20147027986 A KR 20147027986A KR 20140145145 A KR20140145145 A KR 2014014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substituted
substituted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후루카와
다이스케 하나이
테츠오 타마이
준 카나자와
카츠노리 타나카
아사호 나가가타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4Ectoparasiticides, e.g. scab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6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singly-bound to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1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0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3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21/24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21/28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1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18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2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with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70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38One sulfur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42On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4Benzothiazoles with onl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진드기 활성 및/또는 살충 활성이 뛰어나고, 안전성이 뛰어나며,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합성할 수 있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및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식 등으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한다. (식 중, Cy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페닐기 등, X는 할로겐 원자 등, R1은 에틸기 등, R2는 수소 원자 등, R3 및 R4는 메틸기 등, X1은 메틸티오기 등, m1은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 X2는 메틸기 등, m2는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Description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ARYLOXYUREA COMPOUND AND PEST CONTROL AGENT}
본 발명은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뛰어난 살진드기 활성 및/또는 살충 활성을 가지고, 안전성이 뛰어나며,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합성할 수 있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4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089459호, 및 2012년 10월 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21909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구조상 관련하는 화합물로서, 특허문헌 1∼3에 식(A)∼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식(A) 중, X2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8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Y2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8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6은, 페닐기, 시아노기, C1∼4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7은, 수소 원자, C1∼4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8 및 R9는,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3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10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4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식(B) 중, X3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Y3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11은, 에틸기, 또는 n-프로필기를 나타낸다.
R12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식(C) 중, X4 및 Y4 중 한쪽은, 질소 원자 또는 질소산화물을 나타내고, 또 한쪽은 CR(R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등을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혹은, X4 및 Y4의 양쪽이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Z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등을 나타낸다.
R13은, 알킬기, 알케닐기 등을 나타낸다.
R14는, 벤질 부분의 페닐환이 임의적으로 C1∼4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는 벤질옥시메틸기 등을 나타낸다.
R15 및 R16은, 양쪽 모두 수소 원자가 아니라, 양쪽이 수소 원자 이외인 경우 그들의 조합된 탄소 원자 합계가 4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3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17은, C1∼4 알킬, C3∼6 시클로알킬 등을 나타낸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특개2005-517642호 공보(WO2003/048128)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특개2006-507338호 공보(WO2004/047537)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개 특개2006-507339호 공보(WO2004/047538)
본 발명은, 유해 생물 방제 활성, 그 중에서도 특히 살진드기 활성 및/또는 살충 활성이 뛰어나고, 안전성이 뛰어나며,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합성할 수 있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제공하는 것, 및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특정의 구조를 가지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은, 유해 생물 방제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뛰어난 살진드기 활성 및/또는 살충 활성을 가지며, 또한 양호한 특성과 높은 안전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들의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1] 식(I)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4
[식(I) 중,
Cy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 X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치환기 X는 2개 이상이어도 되고, 치환기 X를 2개 이상 가질 때 X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R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Q는, 식(II) 또는 식(III)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식(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과 R4는 서로 연결되어 R3 및 R4가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環)을 형성해도 된다.
R5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카르복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식(I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6 및 R7은, 각각 독립하여,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6과 R7은 서로 연결되어 R6 및 R7이 결합되는 황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2] 상기 식(I) 중의 Cy가 식(IV)로 표시되는 기인, [1]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7
(식(IV) 중,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X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n1은, X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Z1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Z2 및 Z3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3] 상기 식(I) 중의 Q가 식(V)로 표시되는 기인, [1] 또는 [2]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8
(식(V)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1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1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2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2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1과 m2의 합은 4 이하이다.)
[4] 상기 식(I) 중의 Q가 식(VI)으로 표시되는 기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9
(식(V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3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3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4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4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3과 m4의 합은 3 이하이다.)
[5] 상기 식(I) 중의 Q가 식(VII)로 표시되는 기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10
식(V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5는,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5가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6은,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6이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5와 m6의 합은 5 이하이다.
[6] 상기 [1]∼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7] 상기 [1]∼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살진드기제 또는 살충제.
[8] 상기 [1]∼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외부 기생충 방제제.
[9] 식(VIII)로 표시되는 벤질옥시우레아 화합물.
Figure pct00011
식(VIII) 중,
R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과 R4는 서로 연결되어 R3 및 R4가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1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1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2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2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1과 m2의 합은 4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은, 농작물이나 위생면에서 문제가 되는 유해 생물을 방제할 수 있다. 특히 진드기류 및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은,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Figure pct00012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무치환의」의 용어는, 모핵이 되는 기(基)만인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를 가진다」의 기재가 없고 모핵이 되는 기의 명칭만으로 기재되어 있을 때는, 특별한 단정이 없는 한 「무치환의」이라는 의미이다.
한편, 「치환기를 가진다」의 용어는, 모핵이 되는 기 중 어느 하나의 수소 원자가, 모핵과 동일 또는 다른 구조의 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치환기」는, 모핵이 되는 기에 결합된 다른 기이다. 치환기는 1개이어도 되고, 2 이상이어도 된다. 2 이상의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다른 것이어도 된다.
「C1∼6」 등의 용어는, 모핵이 되는 기의 탄소 원자수가 1∼6개 등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탄소 원자수에는, 치환기 중에 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치환기로서 에톡시기를 가지는 부틸기는, C2알콕시 C4알킬기로 분류된다.
「치환기」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며,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지는 한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치환기」가 될 수 있는 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기를 들 수 있다.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6 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등의 C2∼6 알케닐기;
2-시클로프로페닐기, 2-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4-시클로옥테닐기 등의 C3∼8 시클로알케닐기;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2-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펜티닐기, 2-펜티닐기, 3-펜티닐기, 4-펜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2-메틸-3-펜티닐기, 1-헥시닐기, 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의 C2∼6 알키닐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6 알콕시기;
비닐옥시기, 아릴옥시기, 프로페닐옥시기, 부테닐옥시기 등의 C2∼6 알케닐옥시기;
에티닐옥시기, 프로파르길옥시기 등의 C2∼6 알키닐옥시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C6∼10 아릴기;
페녹시기, 1-나프톡시기 등의 C6∼10 아릴옥시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C7∼11 아랄킬기;
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C7∼11 아랄킬옥시기;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벤조일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기 등의 C1∼7 아실기;
포르밀옥시기, 아세틸옥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벤조일옥시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기 등의 C1∼7 아실옥시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i-프로폭시카르보닐기, n-부톡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옥소기;
옥시라닐기, 테트라히드로푸릴기, 디옥소라닐기, 디옥라닐기 등의 환상 에테르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n-프로필기, 1-플루오로-n-부틸기, 퍼플루오로-n-펜틸기 등의 C1∼6 할로알킬기;
2-클로로-1-프로페닐기, 2-플루오로-1-부테닐기 등의 C2∼6 할로알케닐기;
4,4-디클로로-1-부티닐기, 4-플루오로-1-펜티닐기, 5-브로모-2-펜티닐기 등의 C2∼6 할로알키닐기;
2-클로로-n-프로폭시기, 2,3-디클로로부톡시기 등의 C1∼6 할로알콕시기;
2-클로로프로페닐옥시기, 3-브로모부테닐옥시기 등의 C2∼6 할로알케닐옥시기;
4-클로로페닐기, 4-플루오로페닐기, 2,4-디클로로페닐기 등의 C6∼10 할로아릴기;
4-플루오로페닐옥시기, 4-클로로-1-나프톡시기 등의 C6∼10 할로아릴옥시기;
클로로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4-클로로벤조일기 등의 C1∼7 할로아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C1∼6 알킬아미노기;
아닐리노기, 나프틸아미노기 등의 C6∼10 아릴아미노기;
벤질아미노기, 페닐에틸아미노기 등의 C7∼11 아랄킬아미노기;
포르밀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프로파노일아미노기, 부티릴아미노기, i-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C1∼7 아실아미노기;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n-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기, i-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기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지리디닐기, 피로리디닐기, 피페리딜기, 피페라디닐기, 모르폴리닐기 등의 환상(環狀) 아미노기;
아미노카르보닐기,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N-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카르보닐기;
이미노메틸기, (1-이미노)에틸기, (1-이미노)-n-프로필기 등의 이미노 C1∼6 알킬기;
히드록시이미노메틸기, (1-히드록시이미노)에틸기, (1-히드록시이미노)프로필기 등의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메톡시이미노메틸기, (1-메톡시이미노)에틸기;
메르캅토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부틸티오기, s-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등의 C1∼6 알킬티오기;
비닐티오기, 아릴티오기 등의 C2∼6 알케닐티오기;
에티닐티오기, 프로파르길티오기 등의 C2∼6 알키닐티오기;
페닐티오기, 나프틸티오기 등의 C6∼10 아릴티오기;
티아조릴티오기, 피리딜티오기 등의 헤테로아릴티오기;
벤질티오기, 페네틸티오기 등의 C7∼11 아랄킬티오기;
(메틸티오)카르보닐기, (에틸티오)카르보닐기, (n-프로필티오)카르보닐기, (i-프로필티오)카르보닐기, (n-부틸티오)카르보닐기, (i-부틸티오)카르보닐기, (s-부틸티오)카르보닐기, (t-부틸티오)카르보닐기 등의 (C1∼6 알킬티오)카르보닐기;
메틸술피닐기, 에틸술피닐기, t-부틸술피닐기 등의 C1∼6 알킬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등의 C2∼6 알케닐술피닐기;
프로파르길술피닐기 등의 C2∼6 알키닐술피닐기;
페닐술피닐기 등의 C6∼10 아릴술피닐기;
티아조릴술피닐기, 피리딜술피닐기 등의 헤테로아릴술피닐기;
벤질술피닐기, 페네틸술피닐기 등의 C7∼11 아랄킬술피닐기;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등의 C1∼6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등의 C2∼6 알케닐술포닐기;
프로파르길술포닐기 등의 C2∼6 알키닐술포닐기;
페닐술포닐기 등의 C6∼10 아릴술포닐기;
티아조릴술포닐기, 피리딜술포닐기 등의 헤테로아릴술포닐기;
벤질술포닐기, 페네틸술포닐기 등의 C7∼11 아랄킬술포닐기;
피로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이미다조릴기, 피라조릴기, 옥사조릴기, 이소옥사조릴기, 티아조릴기, 이소티아조릴기, 트리아조릴기, 옥사디아조릴기, 티아디아조릴기, 테트라조릴기 등의 5원환의 헤테로아릴기;
피리딜기, 피라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등의 6원환의 헤테로아릴기;
인도릴기, 벤조푸릴기, 벤조티에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벤조옥사조릴기, 벤조티아조릴기, 퀴노릴기, 이소퀴노릴기, 퀴노퀴사리닐기 등의 축합환의 헤테로아릴기;
트리메틸시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등의 트리 C1∼6 알킬 치환실릴기;
트리페닐실릴기;
또한,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의 수소 원자가, 다른 구조의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Cy]
식(I) 중, Cy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C6∼10 아릴기」는, 단환(單環) 및 다환(多環)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다환 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환이면, 나머지의 환이 포화 지환(脂環), 불포화 지환 또는 방향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C6∼10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아즈레닐기, 인데닐기, 인다닐기, 테트라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환을 구성하는 원자로서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4개의 복소 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는, 단환 및 다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다환 헤테로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환이 헤테로아릴이면, 나머지의 환이 포화 지환, 불포화 지환 또는 방향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헤테로아릴기로서는, 상기의 「치환기」에서 예시한 5원환의 헤테로아릴기, 6원환의 헤테로아릴기, 축합환의 헤테로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페닐기, 나프틸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인도릴기, 벤조푸릴기, 벤조티에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벤조옥사조릴기, 벤조티아조릴기, 퀴노릴기, 이소퀴노릴기, 퀴노퀴사리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닐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C6∼10 아릴기」또는 「헤테로아릴기」 상의 치환기 X의 치환수(n)는, 1에서 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또한, 무치환인 경우는, n은 0이다.
[치환기 X]
치환기 X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치환기 X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치환기 X의 수의 상한은,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4이다. 치환기 X를 2개 이상 가질 때 X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는,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쇄이어도 된다. 「C1∼6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i-프로필기, i-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i-펜틸기, 네오펜틸기, 2-메틸부틸기, 2,2-디메틸프로필기, i-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메틸기, 2-시클로프로필에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2-시클로헥실에틸기, 2-시클로옥틸에틸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 C1∼6 알킬기;
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메틸기, 브로모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디브로모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클로로메틸기, 트리브로모메틸기, 2,2,2-트르플루오로에틸기, 2,2,2-트리클로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4-플루오로부틸기, 4-클로로부틸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기, 퍼플로로헥실기, 퍼클로로헥실기, 2,4,6-트리클로로헥실기 등의 C1∼6 할로알킬기;
히드록시메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등의 히드록시 C1∼6 알킬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메톡시-n-프로필기, 에톡시메틸기, 에톡시에틸기, n-프로폭시메틸기, i-프로폭시에틸기, s-부톡시메틸기, t-부톡시에틸기 등의 C1∼6 알콕시 C1∼6 알킬기;
비닐옥시메틸기, 아릴옥시메틸기, 프로페닐옥시메틸기, 부테닐옥시메틸기 등의 C2∼6 알케닐옥시 C1∼6 알킬기;
피리딘-2-일옥시메틸기 등의 헤테로아릴옥시 C1∼6 알킬기;
포르밀메틸기, 아세틸메틸기, 프로피오닐메틸기 등의 C1∼7 아실 C1∼6 알킬기;
포르밀옥시메틸기, 아세톡시메틸기, 2-아세톡시에틸기, 프로피오닐옥시메틸기, 프로피오닐옥시에틸기 등의 C1∼7 아실옥시 C1∼6 알킬기;
카르복실메틸기, 카르복실에틸기 등의 카르복실기 C1∼6 알킬기;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n-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i-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 C1∼6 알킬기;
포름아미드메틸기, 아세트아미드메틸기, 2-아세트아미드에틸기, 프로피오닐아미노메틸기, 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기 등의 C1∼7 아실아미노 C1∼6 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t-부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s-부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펜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등의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기;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i-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s-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n-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기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C7∼11 아랄킬기;
벤조일아미노메틸기 등의 C6∼10 아릴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3∼8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2∼6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로서는, 2-클로로-1-프로페닐기, 2-플루오로-1-부테닐기 등의 C2∼6 할로알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2∼6 알키닐기」로서는,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2-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펜티닐기, 2-펜티닐기, 3-펜티닐기, 4-펜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2-메틸-3-펜티닐기, 1-헥시닐기, 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로서는, 4,4-디클로로-1-부티닐기, 4-플루오로-1-펜티닐기, 5-브로모-2-펜티닐기 등의 C2∼6 할로알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6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i-프로폭시기, i-부톡시기, s-부톡시기, t-부톡시기, i-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로서는, 클로로메톡시기, 디클로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트리클로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1-플루오로에톡시기, 1,1-디플루오로에톡시기,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기, 펜타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의 C1∼6 할로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로서는,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7 아실기」로서는,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벤조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로서는, 클로로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4-클로로벤조일기 등의 C1∼7 할로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i-프로폭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기, 시클로부틸메톡시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메톡시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메톡시카르보닐기, 2-메틸시클로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기, 2,3-디메틸시클로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기, 2-클로로시클로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기, 2-시클로프로필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기, 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기, 브로모메톡시카르보닐기, 디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기, 디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기, 디브로모메톡시카르보닐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기, 트리클로로메톡시카르보닐기, 트리브로모메톡시카르보닐기,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기,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기, 펜타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기, 4-플루오로부톡시카르보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폭시카르보닐기, 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톡시카르보닐기, 퍼플로로헥실옥시카르보닐기 등의 C1∼6 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6 알킬티오기」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n-펜틸티오기, n-헥실티오기, i-프로필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6 알킬술포닐기」로서는,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1∼6 알콕시술포닐기」로서는, 메톡시술포닐기, 에톡시술포닐기, t-부톡시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는, 상기 Cy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상의 치환기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6 알킬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n-프로필기, 1-플루오로-n-부틸기, 퍼플루오로-n-펜틸기 등의 C1∼6 할로알킬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로서는, 2,5-디메틸-피롤-1-일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로서는, 히드록시이미노메틸기, (1-히드록시이미노)에틸기, (1-히드록시이미노)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로서는, 메톡시이미노메틸기, (1-메톡시이미노)에틸기, (1-메톡시이미노)프로필기, 에톡시이미노메틸기, (1-에톡시이미노)에틸기, (1-에톡시이미노)프로필기 등의 C1∼6 알콕시이미노 C1∼6 알킬기; (1-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에틸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 C1∼6 알콕시이미노 C1∼6 알킬기; 벤질옥시이미노메틸기, (1-벤질옥시이미노)에틸기 등의 C7∼11 아랄킬옥시이미노 C1∼6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X에 있어서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식(IV)]
이들 중, Cy는, 식(IV)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3
식(IV) 중,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X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n1은, X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Z1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Z2 및 Z3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R1]
식(I) 중, R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1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2∼6 알케닐기」, 「C2∼6 알키닐기」, 「C1∼7 아실기」,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1로서는, C1∼6 알킬기, C1∼6 할로알킬기, 및 C2∼6 알키닐기가 바람직하다.
[Z]
식(I) 중,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산소 원자이다.
[Q]
식(I) 중, Q는, 식(II) 또는 식(III)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식(II)]
Figure pct00014
식(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식(II) 중, R2는,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2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2∼6 알케닐기」, 「C2∼6 알키닐기」, 「C1∼7 아실기」,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 R4]
식(II)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과 R4는 서로 연결되어 그것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R3 및 R4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2∼6 알케닐기」, 및 「C2∼6 알키닐기」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 및 R4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는, 상기 Cy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 및 R4로서는, C1∼6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3과 R4가 서로 연결되어 그것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환」으로서는, 시클로프로판환, 시클로부탄환, 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옥시란환 등을 들 수 있다.
[R5]
식(II) 중, R5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카르복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R5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3∼8 시클로알킬기」, 「C2∼6 알케닐기」, 「C2∼6 알키닐기」, 「C1∼7 아실기」,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는, 단환 및 다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다환 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환이면, 나머지의 환이 포화 지환, 불포화 지환 또는 방향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R5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아즈레닐기, 인데닐기, 인다닐기, 테트라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헤테로아릴기」는, 환을 구성하는 원자로서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4개의 복소원자를 포함하는 5∼10원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기는, 단환 및 다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다환 헤테로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환이 헤테로아릴이면, 나머지의 환이 포화 지환, 불포화 지환 또는 방향환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R5에 있어서의 「헤테로아릴기」로서는, 피로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이미다조릴기, 피라조릴기, 옥사조릴기, 이소옥사조릴기, 티아조릴기, 이소티아조릴기, 트리아조릴기, 옥사티아조릴기, 티아디아조릴기, 테트라조릴기 등의 5원환의 헤테로아릴기;
피리딜기, 피라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등의 6원환의 헤테로아릴기;
인도릴기, 벤조푸릴기, 벤조티에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벤조옥사조릴기, 벤조티아조릴기, 퀴노릴기, 이소퀴노릴기, 퀴노퀴사리닐기 등의 축합환의 헤테로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상의 치환기로서는, 이하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아미노기;
아지리디닐기, 피로리디닐기, 피페리딜기, 피페라디닐기, 모르폴리닐기 등의 환상 아미노기;
히드라지노기; N-메틸히드라지노기, N,N'-디메틸히드라지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히드라지노기;
S,S-디메틸술폭시이미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술폭시이미노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부틸티오기, s-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등의 C1∼6 알킬티오기;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기 등의 C1∼6 할로알킬티오기;
메틸술피닐기, 에틸술피닐기, n-프로필술피닐기, n-부틸술피닐기, t-부틸술피닐기 등의 C1∼6 알킬술피닐기;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n-프로필술포닐기, i-프로필술포닐기, n-부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등의 C1∼6 알킬술포닐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6 알킬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n-프로필기, 1-플루오로-n-부틸기, 퍼플루오로-n-펜틸기 등의 C1∼6 할로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등의 C2∼6 알케닐기;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2-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펜티닐기, 2-펜티닐기, 3-펜티닐기, 4-펜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2-메틸-3-펜티닐기, 1-헥시닐기, 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의 C2∼6 알키닐기;
수산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6 알콕시기;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벤조일기 등의 C1∼7 아실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i-프로폭시카르보닐기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C6∼10 아릴기;
피로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이미다조릴기, 피라조릴기, 옥사조릴기, 이소옥사조릴기, 티아조릴기, 이소티아조릴기, 트리아조릴기, 옥사디아조릴기, 티아디아조릴기, 테트라조릴기 등의 5원환의 헤테로아릴기;
피리딜기, 피라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등의 6원환의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R5에 있어서의, 「C2∼6 알케닐키시카르보닐기」로서는, 에테닐옥시카르보닐기, 1-메틸-2-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기, 2-메틸-1-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C2∼6 알키닐키시카르보닐기」로서는, 에티닐옥시카르보닐기, 프로파르길옥시카르보닐기, 1-메틸프로파르길옥시카르보닐기, 2-부티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카르보닐기」로서는,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t-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s-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n-펜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2-프로피닐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2∼6 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N-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메톡시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1∼6 알콕시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1∼6 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벤질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C7∼11 아랄킬아미노카르보닐기; 피페리진-1-일 카르보닐기 등의, 1위치환-환상 아민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5에 있어서의,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로서는, 히드록시이미노메틸기, (1-히드록시이미노)에틸기, (1-히드록시이미노)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로서는, 메톡시이미노메틸기, (1-메톡시이미노)에틸기, (1-메톡시이미노)프로필기, 에톡시이미노메틸기, (1-에톡시이미노)에틸기, (1-에톡시이미노)프로필기 등의 C1∼6 알콕시이미노 C1∼6 알킬기; (1-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에틸기 등의 C3∼8 시클로알킬 C1∼6 알콕시이미노 C1∼6 알킬기; 벤질옥시이미노메틸기, (1-벤질옥시이미노)에틸기 등의 C7∼11 아랄킬옥시이미노 C1∼6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식(V)]
식(II) 중의 R5는 치환기 X1 및 X2를 가지는 피리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Q는 식(V)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5
식(V)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
식(V) 중,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1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1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1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로서는,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아미노기; 아지리디닐기, 피로리디닐기, 피페리딜기, 피페라디닐기, 모르폴리닐기 등의 환상 아미노기; 히드라지노기; N-메틸히드라지노기, N,N'-디메틸히드라지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히드라지노기; S,S-디메틸술폭시이미노기 등의 C1∼6 알킬 치환 술폭시이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X1에 있어서의, 「C1∼6 알킬티오기」로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부틸티오기, s-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로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기 등의 C1∼6 할로알킬티오기를 들 수 있다.
X1에 있어서의, 「C1∼6 알킬술피닐기」로서는, 메틸술피닐기, 에틸술피닐기, n-프로필술피닐기, i-프로필술피닐기, n-부틸술피닐기, i-부틸술피닐기, s-부틸술피닐기, t-부틸술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1에 있어서의, 「C1∼6 알킬술포닐기」로서는,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n-프로필술포닐기, i-프로필술포닐기, n-부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X2]
식(V) 중,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2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2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1과 m2의 합은 4 이하이다.
X2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3∼8 시클로알킬기」, 「C2∼6 알케닐기」, 「C2∼6 알키닐기」, 「C1∼6 알콕시기」, 「C1∼7 아실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C6∼10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및 「할로겐 원자」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식(VI)]
식(II) 중의 R5는 치환기 X1 및 X2를 가지는 피리미디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Q는 식(VI)으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6
식(V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R4,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m3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3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4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4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3과 m4의 합은 3 이하이다.
[식(VII)]
식(II) 중의 R5는 치환기 X1 및 X2를 가지는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Q는 식(VII)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7
식(V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R4,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m5는,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5가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6은,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6이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5와 m6의 합은 5 이하이다.
[식(III)]
Q는, 상기의 식(V), 식(VI), 식(VII) 이외에도, 식(III)으로 표시되는 기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18
식(I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6, R7]
식(III) 중, R6 및 R7은, 각각 독립하여,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6과 R7은 서로 연결되어 그것들이 결합되는 황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R6 및 R7에 있어서의 「C1∼6 알킬기」, 「C3∼8 시클로알킬기」, 「C2∼6 알케닐기」, 및 「C2∼6 알키닐기」로서는, 상기 X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6 및 R7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서는, 상기 Cy에 있어서 예시한 그것들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6 및 R7에 있어서의 「C6∼10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상의 치환기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6 알킬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n-프로필기, 1-플루오로-n-부틸기, 퍼플루오로-n-펜틸기 등의 C1∼6 할로알킬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R6과 R7이 서로 연결되어 그것들이 결합되는 황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환」으로서는, 테트라히드로티오펜환,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환, 옥사티안환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의 염]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의 염은, 화합물(I)의 염이다. 염으로서는, 농원예학적(農園芸學的)으로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의 염; 아세트산, 젖산 등의 유기산의 염;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의 염; 철, 구리 등의 천이금속의 염;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히드라진 등의 유기 염기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의 염은, 화합물(I)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제1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킴(scheme)으로 나타내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9
a) 식(1)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아민 화합물(이하, 「화합물(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염기의 존재하에 클로로포름산페닐을 반응시켜, 식(2)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이하, 「화합물(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얻는다. 다음으로 이것을 산의 존재하에 탈Boc화하여, 식(3)으로 표시되는 N-아릴옥시카르바민산페닐에스테르 화합물(이하, 「화합물(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한다. 또한, 식(1)∼식(3) 중, Cy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클로로포름산페닐의 사용량은, 화합물(1)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화합물(1)과 클로로포름산페닐과의 반응은 염기의 부존재하에서 실시할 수도 있지만, 염기의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1)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n-펜탄,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타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아세트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및 이들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1)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수십 시간이다.
계속하여, 탈Boc화 반응은, 산의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바람직하다. 산의 사용량은, 화합물(2) 1몰에 대하여, 통상, 1∼20몰이다. 탈Boc화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2)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실온으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부터 수십 시간이다.
b) 화합물(3)에,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4)」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반응시켜, 식(5)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이하, 「화합물(5)」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한다. 여기서, 화합물(4)는, 식(4-1)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이하, 「화합물(4-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식(4-2)로 표시되는 술폭시이민 화합물(이하, 「화합물(4-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식(4) 및 식(5) 중, Q 및 Cy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식(4-1) 및 식(4-2) 중, R2, R3, R4, R5, R6 및 R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화합물(4)의 사용량은, 화합물(3)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3)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또한, 화합물(4-2)을 반응시키는 경우는, 염기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3)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이다. 반응 온도는, 실온으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수십 시간이다.
c) 염기의 존재하에 화합물(5)에 식(6)으로 표시되는 요오드화물(이하, 「화합물(6)」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반응시켜, 목적물인 식(7)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이하, 「화합물(7)」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한다. 식(6) 및 식(7) 중, Q, R1, 및 Cy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화합물(6)의 사용량은, 화합물(5)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수산화칼륨,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5)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5)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수십 시간이다.
2) 제2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킴으로 나타내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0
a) 기존의 방법으로 조제 가능한 N-벤질옥시카르바민산페닐에스테르(이하, 「화합물(8)」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화합물(4)을 반응시켜, 식(9)로 표시되는 벤질옥시우레아 화합물(이하, 「화합물(9)」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한다.(식(9) 중, Q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화합물(4)의 사용량은, 화합물(8)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8)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또한, 화합물(4-2)을 반응시키는 경우는, 염기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8)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이다. 반응 온도는, 실온으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수십 시간이다.
b) 화합물(9)에, 화합물(6)을 반응시켜, 식(10)으로 표시되는 벤질옥시우레아 화합물(이하, 「화합물(1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 한 후, 접촉 환원에 의해 탈벤질화하여, 식(11)로 표시되는 옥시우레아 화합물(이하, 「화합물(1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제조한다. 식(10) 및 식(11) 중, Q 및 R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화합물(6)의 사용량은, 화합물(9)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9)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수십 시간이다.
계속하여, 탈벤질화 반응은, 팔라듐 촉매 등에 의한 접촉 수소 환원에 의해 실시한다. 사용하는 팔라듐 촉매로서는, 팔라듐 블랙, 팔라듐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팔라듐 촉매의 사용량은, 화합물(10) 1몰에 대하여, 통상, 0.01∼0.1몰이다. 이 탈벤질화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10)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실온으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부터 수십 시간이다.
c) 염기의 존재하에, 화합물(11)에 식(12)로 표시되는 아릴 화합물(이하, 「화합물(1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반응시켜, 목적물인 화합물(7)을 제조한다. 식(12) 중, Cy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며, X'는 불소 원자 등을 나타낸다. 화합물(12)의 사용량은, 화합물(11)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 바람직하게는 1.0∼1.2몰이다. 염기로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메톡시드, 칼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 등의 금속 알콕시드;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소화칼슘 등의 금속 수소화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DBU),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의 유기 염기;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11) 1몰에 대하여, 통상, 1∼2몰이다. 이 반응은,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2)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합물(11) 1g에 대하여, 통상, 1∼100ml이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규모에도 따르지만, 통상, 수 분간부터 수십 시간이다.
상기 어느 반응에 있어서도, 반응 종료 후는, 통상의 후처리 조작, 및 소망에 의해 증류, 재결정,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공지 관용의 정제수단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물을 단리(單離)할 수 있다.
목적물의 구조는, IR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매스 스펙트럼, 원소 분석 등의 공지의 분석수단에 의해, 동정(同定), 확인할 수 있다.
[식(VIII)]
상기 제2의 제조 방법 중의 화합물(10)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식(VIII)로 표시되는 벤질옥시우레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1
식(VIII) 중, R1, R2, R3, R4, Z, X1, m1, X2, m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이하 「본 발명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약해(藥害)가 적고, 어류나 온혈 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고, 특히 안전성이 높은 화합물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각종의 해충 또는 진드기류의 방제에 유효하므로, 살진드기제 또는 살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유해 생물 방제제]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는, 본 발명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는, 본 발명 화합물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가스상(狀) 담체 등의 담체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는, 본 발명 화합물을 다공 세라믹판이나 부직포 등의 기재에 함침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그 외의 보조제를 첨가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는, 일반의 농약이 취할 수 있는 형태, 즉, 수화제, 입제(粒劑), 분제(粉劑), 유제(乳劑), 수용제, 현탁제, 과립 수화제, 플로어블(flowable), 마이크로캡슐, 에어졸, 연무제, 가열 증산제, 훈연제, 살진드기제의 경우는 베이트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製劑化)할 수 있다.
고체의 제형(劑型)으로의 제제화에 있어서 사용되는 첨가제 및 담체로서는, 대두분(大豆粉), 소맥분 등의 식물성 분말, 규조토, 인회석, 석고, 탈크, 벤토나이트, 파이로피라이트, 클레이(clay) 등의 광물성 미분말(微粉末), 벤조산소다, 요소(尿素), 망초 등의 유기 및 무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액체의 제형으로의 제제화에 있어서 사용되는 액상 담체로서는, 케로신, 크실렌 및 석유계의 방향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알코올, 아세톤, 트리클로로에틸렌, 메틸이소부틸케톤, 광물유, 식물유, 물 등을 들 수 있다.
분사제로 제제화할 때에 사용되는 가스상 담체로서는, 부탄 가스, LPG, 디메틸에테르, 탄산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독이(毒餌)의 기재(基材)로서는, 곡물분, 식물유, 당, 결정(結晶) 셀룰로오스 등의 먹이 성분,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등의 산화 방지제, 데히드로아세트산 등의 보존료(保存料), 고추분말 등의 어린이나 애완용 동물에 의한 오식(誤食) 방지제, 치즈 향료, 양파 향료 등의 해충 유인성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제제(製劑)에 있어서 균일하고 안정한 형태를 취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솔비탄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페닐에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카르본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제제 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 화합물의 함유량은, 통상, 제제(製劑)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85중량%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화제, 유제, 플로어블제, 수용제, 과립 수화제는 물로 소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용해액, 현탁액 혹은 유탁액으로 하고, 또한 분제·립제는 그대로, 식물 혹은 토양에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방역용 살진드기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유제, 에어졸, 연무제, 독이, 방진드기 시트 등의 형태로 공급된 제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를, 소, 돼지 등의 가축류; 개, 고양이 등의 애완용 동물류의 동물에 기생하는 진드기류의 방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숙주(宿主) 동물 1kg에 대하여, 본 발명 화합물이, 0.01∼1000mg의 비율이 되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해 생물 방제제의 동물에 대한 시용(施用)은 공지의 수의학(獸醫學)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전신적 억제(systemic control)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제, 캡슐, 침지액, 사료(飼料) 혼입, 좌약, 주사(근육내, 피하, 정맥내, 복강내 등) 등에 의해 동물에 투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비전신적 억제(non-systemic control)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유성 또는 수성 액제를 분무, 끼얹기(pour-on), 적하(spot-on) 등에 의해 투여하는 방법, 수지에 살진드기제를 반죽하고, 그 혼련물을 목걸이, 귀표(耳札)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그것을 동물에 장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는, 살균제, 다른 살충·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토양 해충제, 식물 조절제, 공력제(共力劑), 비료, 토양 개량제, 동물용 사료 등과 혼용 또는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와 혼합하고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살균제, 다른 살충·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토양 해충제, 구충제, 식물 생장 조절제의 대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살충·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토양 해충제, 구충제:
(1) 유기(티오) 인산염계: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메틸, 아진포스·에틸, 브로모포스·에틸, 브롬펜빈포스, BRP,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클로르피리포스·에틸, 클로르펜빈포스, 카두사포스, 카보페노치온,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메포스, 쿠마포스, 시아노펜포스, 시아노포스, CYAP, 다이아지논, 디크로보스, 디크로토포스, 디메트에이트, 디술포톤, 디메톤-S-메틸, 디메틸빈포스, 디메톤-S-메틸술폰, 디알리포스, 다이아지논, 디클로펜티온, 디옥사벤조포스, 디술포톤, 에티온, 에트프로포스, 에트림포스, EPN,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펜술포티온, 플루피라조포스, 포노포스, 포르모티온, 포스메틸란, 헵테노포스, 이사조포스, 요드펜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크사티온, 이프로벤포스, 말라티온, 메빈포스, 메타미드포스, 메티다티온, 모노크로토포스, 메카르밤, 메타크리포스, 날레드, 오메트에이트, 옥시디메톤·메틸, 파라옥손,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사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포레이트,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피리미포스·에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티오포스, 포스티아제이트, 포스포카브, 프로파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토에이트, 피리다펜티온, 피라클로포스, 퀴날포스, 살리티온, 술프로포스, 술포텝,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테르브포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티오메톤, 바미드티온;
(2) 카르바메이트계: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페녹시카브, 페노티오카브, 메티오카브, 메소밀,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술, 티오디카브, 트리아자메이트, 에티오펜카브, 페노브카브, MIPC, MPMC, MTMC, 피리다펜티온, 푸라티오카브, XMC, 알독시카브, 알릭시카브, 아미노카브, 벤디오카브, 부펜카브, 부타카브, 부토카르복심, 부톡시카르복심, 클로에토카브, 디메틸란, 포르메타네이트, 이소프로카브, 메탐·나트륨, 메톨카브, 프로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메타카브, 크시릴카브;
(3) 피레트로이드계: 알레트린, 비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시페노트린, 시페르메트린, 알파·시페르메트린, 베타·시페르메트린, 제타·시페르메트린, 델타메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스린, 펜발러레이트, 이미프로트린, 퍼메트린, 프랄레트린, 피레트린, 피레트린I, 피레트린II, 레스메트린, 시라플루오펜, 플루바리네이트,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트란스플루트린, 프로플루트린, 디메플루트린, 아크리나트린, 시클로프로트린, 할펜프록스, 플루시트리네이트, 바이오알레스린, 바이오에타노메트린, 바이오퍼메트린, 바이오레스메트린, 트란스퍼메트린, 엠펜트린, 펜플루트린, 펜피리트린,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 플루펜프록스, 플루메트린, 메토플루트린, 페노트린, 프로트리펜부트, 피레스메트린, 테랄레트린;
(4) 성장 조절 물질:
(a) 키틴 합성 저해제: 클로르플루아즈론, 디플루벤즈론, 플루시클록스론, 플루페녹스론, 헥사플루무, 루페누론, 노발루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비스트리플루론, 노비플루무론, 부프로페진,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클로펜테진, 플루아즈론, 펜플루론;
(b) 엑디손안타고니스트: 할로페노자이드, 메톡시페노자이드, 테부페노자이드, 크로마페노자이드, 아자디락틴;
(c) 유약호르몬형 물질: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디오페놀란, 에포페노난,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트리프렌;
(d) 지질 생합성 저해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마트, 플로니카미드;
(5) 니코틴 수용체 아고니스트/안타고니스트 화합물: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티아진, 니코틴, 벤술탑, 칼탑; 플루피라디퓨론;
(6) GABA 안타고니스트 화합물:
(a) 아세토프롤, 에티프롤, 피프로닐, 바닐리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b) 유기 염소계: 캄페클로르, 클로르덴, 엔도술판, HCH, γ-HCH, 헵타클로르, 메톡시클로르;
(7) 대환상(大環狀) 락톤 살충제: 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산염, 밀베멕틴, 레피멕틴, 스피노사드, 이버멕틴, 셀라멕틴, 도라멕틴, 에피노멕틴, 목시덱틴; 밀버마이신, 밀버마이신옥심;
(8) METI I화합물: 페나자퀸,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플루페네림, 하이드라메틸논,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지코홀;
(9) METI II 및 III 화합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로테논;
(10) 탈공역제(脫共役劑) 화합물: 클로르페나피르, 비나파크릴, 디노부톤, 디노캡, DNOC;
(11) 산화적 인산화 저해제 화합물: 시헥사틴, 디아펜티우론, 펜부타틴·옥사이드, 프로파르기트, 아조시클로틴;
(12) 탈피 교란 화합물: 시로마진;
(13) 혼합 기능 옥시다아제 저해제 화합물: 피페로닐부톡사이드;
(14) 나트륨 채널 차단제 화합물: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15) 미생물 농약: BT제, 곤충 병원 바이러스제, 곤충 병원 사상균제, 선충 병원 사상균제; 바실루스속종, 백강병균, 흑강병균, 페실로마이세스속종, 투린지엔신, 바티실리움속종;
(16) 라트로피린 수용체 작용약: 뎁시펩티드, 환상(環狀) 뎁시펩티드, 24원 환상 뎁시펩티드, 에모뎁사이드;
(17) 옥토파민성 작용약: 아미트라즈;
(18) 리아노딘 유도체 작용약: 플루벤디아미드, 클로란트라닐프롤, 시안트라릴니프롤;
(19) 마그네슘 자극성 ATP 아제의 저해약: 티오시클람, 티오술탑, 네라이스톡신;
(20) 섭식(攝食) 저해약: 피메트로진;
(21) 진드기 성장 저해약: 클로펜테진, 에톡사졸;
(22) 그 외의 화합물: 벤클로티아즈, 비페나제이트, 피리다릴, 황, 사이에노피라펜, 사이플루메토펜, 아미드플루메트, 테트라디폰, 클로르디메폼, 1,3-디클로로프로펜, DCIP, 페니소브로모레이트, 벤조메이트, 메타알데히드, 스피네토람, 피리플루퀴나존, 벤족시메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퀴노메티오네이트, 클로르벤질레이트, 클로르피크린, 클로티아조벤, 디사이클라닐, 페녹사크림, 펜트리파닐, 플루벤지민, 플루펜진, 고시플루어, 쟈포니루어, 메톡사디아존, 석유, 올레산칼륨, 술플루라미드, 테트라술, 트리아라센; 아피드피로펜(afidopyropen), 피플루부미드(pyflubumide), 플로메토퀸, 플루피프롤(flufiprole), 플루엔술폰, 메퍼플루트린,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술폭사플로르, 이미시아포스, 트랄로피릴, 디플로비다진, 디메플루트린, 메틸네오데칸아미드;
(23) 구충제
(a) 벤즈 이미다졸계: 펜벤다졸, 알벤다졸, 트리클라벤다졸, 옥시벤다졸;
(b) 살리실아닐리드계: 클로산텔, 옥시클로자니드;
(c) 치환 페놀계: 니트록시닐;
(d) 피리미딘계: 피란텔;
(e) 이미다조티아졸계: 레바미솔;
(f)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프라지칸텔;
(g) 그 외의 구충약: 시클로디엔, 라이아니아, 클로르술론, 메트로니다졸, 데미디트라즈;
살균제:
(1) 벤조이미다졸계: 베노밀, 카르벤다짐, 푸베리다졸,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클로르페나졸;
(2) 디카르복시이미드계: 클로졸리네이트, 이프로디온, 플로시미돈, 빈클로조린;
(3) DMI-살균제계: 이마자릴, 옥스포코나졸, 페푸라조에이트, 프로클로라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피리페녹스, 페나리몰, 누아리몰,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롬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폭시코나졸, 펜브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푸르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크로부타닐,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티코나졸, 에타코나졸, 파코나졸시스; 디클로부트라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르포·아세테이트, 플루코나졸, 이마자릴·술페이트, 나프티펜,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폴리코나졸;
(4) 페닐아미드계: 베날락실, 푸랄락실, 메탈락실, 메탈락실-M, 옥사딕실, 오푸라세; 베날락실-M, 클로질라콘;
(5) 아민계: 알디모르프(Aldimorph), 도데모르프(dodemorph),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딘, 피페랄린, 스피록사민;
(6) 포스포로티오레이트계: EDDP, 이프로벤포스, 피라조포스;
(7) 디티오란계: 이소프로티오란;
(8) 카르복사미드: 베노다닐, 보스칼리드, 카르복신, 펜푸란,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필,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펜티오피라드, 티플루자마이드; 빅사펜, 이소피라잠, 펜플루펜, 플루퀴사피록사드, 세닥산;
(9) 히드록시-(2-아미노)피리미딘계: 부피리메이트,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10) AP살균제 (아닐리노피리미딘)계: 시프로디닐,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11) N-페닐카바메이트계: 디에토펜카브;
(12) QoI-살균제(Qo저해제)계: 아족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파목사돈, 플루옥사스트로빈, 펜아미돈, 메토미노펜; 아메톡트라딘,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페녹시스트로빈, 트리클로피리카브;
(13) PP살균제(페닐피롤)계: 펜피코닐, 플루디옥소닐;
(14) 퀴놀린계: 퀴녹시펜;
(15) AH살균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비페닐, 클로로네브, 디클로란, 퀸토젠, 테크나젠;
(16) MBI-R계: 프사라이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17) MBI-D계: 카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메트, 페녹사닐
(18) SBI제: 펜헥사미드, 피리부티카브, 테르비나핀;
(19) 페닐우레아: 펜시쿠론;
(20) QiI-살균제(Qi저해제): 시아조파미드; 아미설브롬, 플루메시클록스;
(21) 벤즈아미드계: 족사마이드;
(22) 에노피란우론계: 블라스티사이딘;
(23) 헥소피라노실계: 카스가마이신; 카스가마이신염산염;
(24) 글루코피라노실계: 스트렙토마이신, 발리다마이신; 발리다마이신 A;
(25) 시아노아세트아미드계: 시목사닐;
(26) 카바메이트계: 요오드카브, 프로파모카브, 프로티오카브, 폴리카르바메이트;
(27) 탈공액제 :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28) 유기 주석 화합물: 아세트산트리페닐주석, 염화트리페닐주석, 수산화트리페닐주석;
(29) 인산 에스테르: 아인산, 톨크로포스메틸, 포세틸; 톨크토포스메틸;
(30) 프탈아미드산계: 테클로프탈람;
(31) 벤조트리아진계: 트리아조사이드;
(32) 벤젠술포나미드계: 플루술파미드;
(33) 피리다지논: 디클로메진;
(34) CAA 살균제(카르본산아미드)계: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발리페날레이트;
(35)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36) 티오카르바메이트계: 메타술포카브;
(37) 그 외의 화합물: 에트리디아졸, 폴리옥신, 옥솔린산, 히드록시이소옥사졸, 옥틸리논, 실티오팜, 디플루메토림, 아시벤조랄S메틸,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에타복삼, 시플루페나미드, 프로퀴나지드, 메트라페논, 플루오피콜라이드, 수산화 제2구리, 유기 구리, 황, 퍼밤, 만제브, 만네브, 메티람, 프로피네브, 티우람, 지네브, 지람, 캡탄, 캡타폴, 폴펫, 클로로탈로닐, 디클로플루아니드, 톨릴플루아니드, 도딘, 구아자틴, 이미녹타진아세트산염, 이미녹타진드도데실벤젠술폰산염, 아닐라진, 디티아논, 클로로피크린, 다조멧, 퀴노메티오네이트, 시프로푸람, 실티오팜, 아그로박테리움, 플루오로이미드); 이소티아닐, 폴리옥소림, 보르도액, 구리나프탈레이트, 산화구리,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만콥파, 비스(8-퀴놀리나토(quinolinato)) 구리(Ⅱ), 다황화칼슘, 이노믹타딘, 이소페타미드, 톨프로카브, 펜피라자민, 피리오페논, 테부플로퀸, 플루오피람, 자릴아미드; 플루오폴펫(Fluor Folpet), 프로파미딘, 에디펜포스(edifenphos);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사이신, 카르본, 쿠프라넵, 만코제브, 시프로술파미드,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펜조쿠아트, 디펜조쿠아트ㆍ메틸술페이트, 디페닐아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나트륨, 이루마마이신, 메틸이소티아네이트(MITC),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프로파모카브ㆍ포세틸레이트, 프로파모신ㆍ나트륨, 피리모르프, 피롤니트린, 톨니파니드, 트리클라미드;
식물 생장 조절제:
아브시딘산, 인돌부티르산, 유니코나졸, 에티클로제이트, 에테폰, 클록시포낙, 클로르메쿼트, 클로렐라 추출액, 과산화칼슘, 시안아미드, 디클로르프로프, 지베렐린, 다미노지드, 데실알코올, 트리넥사팍에틸, 메피쿼트클로라이드, 파크로부트라졸, 파라핀 왁스, 피페로닐부톡사이드, 피라플루펜에틸, 플루르프리미돌, 프로 히드로자스몬, 프로헥사디온칼슘염, 벤질아미노푸린, 펜디메타린, 포클로르페누론, 말레산히드라지드칼륨, 1-나프틸아세트아미드, 4-CPA, MCPB, 콜린, 황산옥시퀴놀린, 에티클로제이트, 부트랄린, 1-메틸시클로프로펜, 아비글리신 염산염;
[살진드기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살진드기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살진드기제는, 살성충, 살약충, 살유충, 및 살란(殺卵) 등의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식물에 붙은 진드기류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다. 처리의 대상이 되는 식물로서는, 곡물류, 야채류, 근채류, 고구마류, 수목류, 목초류, 잔디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 이들 식물류의 각 부위를 대상으로 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식물류의 각 부위로서는, 잎, 줄기, 자루, 꽃, 꽃봉오리, 과실, 종자, 스프라우트, 뿌리, 괴경, 괴근, 묘조, 꺾꽂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식물류의 개량 품종ㆍ변종, 재배 품종, 나아가 돌연변이체, 하이브리드체, 유전자 재조합체 (GMO)를 대상으로 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방제의 대상이 되는 진드기류(Acari)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무기문목(Astigmata)의 진응애류(Acaridida):
(a) 진응애과(Acar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리조글리푸스속종(Rhizoglyphus spp.)의, 뿌리응애(Rhizoglyphus echinopus), 로빈뿌리응애(Rhizoglyphus robini); 긴털가루진드기속종(Tyrophagus spp.)의,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온실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neiswanderi), 큰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erniciosus), 곤봉가루응애(Tyrophagus similis); 그 외, 가루진드기(Acarus siro), 보리가루진드기(Aleuroglyphus ovatus), 작은긴털가루진드기(Mycetoglyphus fungivorus);
(2) 전기문목(Prostigmata)의 털진드기류(Actinedida)
(a) 잎응애과(Tetranych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브리오비아속종(Bryobia spp.)의, 클로버응애(Bryobia praetiosa), 작은클로버응애(Bryobia rubrioculus); 예를 들어 에오테트라니쿠스속종(Eotetranychus spp.)의, 살구응애(Eotetranychus boreus), 제니쿨라투스응애(Eotetranychus geniculatus), 밤응애(Eotetranychus pruni), 호두응애(Eotetranychus uncatus), 잣밤나무응애(Eotetranychus shii), 뽕나무응애(Eotetranychus suginamensis), 팽나무응애(Eotetranychus celtis), 스미스응애(Eotetranychus smithi), 코우노시로응애(Eotetranychus asiaticus), 미야케응애(Eotetranychus kankitus); 예를 들어 올리고니쿠스속종(Oligonychus spp.)의, 망고응애(Oligonychus mangiferus), 아보가도응애(Oligonychus perseae), 올리고니쿠스·푸스튤로수스(Oligonychus pustulosus), 낙엽송잎응애(Oligonychus karamatus), 삼나무응애(Oligonychus hondoensis), 철쭉응애(Oligonychus ilicis), 전나무잎응애(Oligonychus ununguis), 벼응애(Oligonychus shinkajii), 사탕수수응애(Oligonychus orthius); 예를 들어 파노니쿠스속종(Panonychus spp.)의, 귤응애(Panonychus citri), 뽕나무잎(Panonychus mori), 사과응애(Panonychus ulmi); 예를 들어 테트라니쿠스속종(Tetranychus spp.)의,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테트라니쿠스·퀘시보루스(Tetranychus quercivorus), 테트라니쿠스·루데니(Tetranychus ludeni), 테트라니쿠스·파셀루스(Tetranychus phaselus), 붉은점박이응애(Tetranychus cinnabarinus),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예를 들어 아포니쿠스속(Aponychus spp.)의, 넓은어깨응애(Aponychus corpuzae), 벽오동응애(Aponychus firmianae); 예를 들어 미도리응애속(Sasanychus spp.)의, 미도리응애(Sasanychus akitanus), 히메미도리응애(Sasanychus pusillus); 예를 들어 시조테트라니쿠스속(Shizotetranychus spp.)의, 납작대응애(Shizotetranychus celarius), 시조테트라니쿠스·미스칸티(Shizotetranychus miscanthi), 시조테트라니쿠스·론구스(Shizotetranychus longus), 버드나무응애(Shizotetranychus schizopus), 시조테트라니쿠스·렉키(Shizotetranychus recki); 그 외, 제주치레응애(Tuckerella pavoniformis), 테트라니키나·하르티(Tetranychina harti), 예조니쿠스·사포렌시스(Yezonychus sapporensis);
(b) 애응애과(Tenuipalp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브레비팔푸스속종(Brevipalpus spp.)의, 포도애응애(Brevipalpus lewisi), 선인장애응애(Brevipalpus russulus), 망초애응애(Brevipalpus obovatus), 플랫마이트(Brevipalpus phoenicis); 예를 들어 테니팔푸스속종(Tenuipalpus spp.)의, 양란애응애(Tenuipalpus pacificus), 감나무애응애(Tenuipalpus zhizhilashviliae); 그 외, 파인애플애응애(Dolichotetranychus floridanus);
(c) 흑응애과(Eriophy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아세리아속종(Aceria spp.)의, 감녹진드기(Aceria diospyri), 무화과녹진드기(Aceria ficus), 밤흑응애(Aceria japonica), 구기자흑응애(Aceria kuko), 카네이션녹진드기(Aceria paradianthi), 구기자흑응애(Aceria tiyingi), 튤립녹진드기(Aceria tulipae), 아세리아·조이시에아(Aceria zoysiea); 예를 들어 에리오피에스속종(Eriophyes spp.)의, 작은배녹진드기(Eriophyes chibaensis), 에리오피에스·에마르기나태(Eriophyes emarginatae); 예를 들어 아쿠로프스속종(Aculops spp.)의, 토마토녹진드기(Aculops lycopersici), 귤녹진드기(Aculops pelekassi); 예를 들어 아쿠루스속종(Aculus spp.)의, 복숭아녹진드기(Aculus fockeui), 사과녹진드기(Aculus schlechtendali); 그 외, 포도흑응애(Colomerus vitis), 포도녹진드기(Calepitrimerus vitis), 류큐귤녹진드기(Phyllocotruta citri), 파라카라카루스·포도카프리(Paracalacarus podocarpi), 차녹진드기(Calacarus carinatus), 아카필라·테아바그란스(Acaphylla theavagrans), 국화잎녹진드기(Paraphytoptus kikus), 배녹진드기(Epitrimerus pyri);
(d) 먼지응애과(Transonem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타르소네무스속종(Tarsonemus spp.)의,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 화백먼지응애(Tarsonemus waitei); 그 외, 시클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e) 어스 마이트과(Penthale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펜탈레우스속종(Penthaleus spp.)의, 배추진드기(Penthaleus erythrocephalus), 보리진드기(Penthaleus major);
본 발명에 관련되는 살진드기제는, 동물에 기생하는 진드기류에 대한 방제 효과도 우수하다(외부 기생충 방제). 동물에 기생하는 진드기류는, 숙주가 되는 동물(숙주 동물)의 등, 겨드랑이아래, 하복부, 허벅다리부 등에 기생하여 동물로부터 혈액이나 비듬 등의 영양원을 얻어 생식하는 것, 및 숙주 동물의 등, 둔부 등으로 날아와 동물로부터 혈액이나 비듬 등의 영양원을 얻어 생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이 되는 숙주 동물로는, 개, 고양이, 마우스, 래트, 햄스터, 몰모트, 다람쥐, 토끼, 족제비; 애완 조류(예를 들어, 비둘기, 앵무새, 구관조, 문조, 잉꼬, 십자매, 카나리아); 소, 말, 돼지, 양, 염소; 가금 (예를 들어, 집오리, 닭, 메추리, 거위); 꿀벌 (예를 들어, 서양 꿀벌, 일본 꿀벌) 등을 들 수 있다.
방제의 대상이 되는 진드기류(Acari)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중기문목 (Mesostigmata)의 진드기류 (mite)
(a) 새진드기과 (Dermanyss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새진드기 (Dermanyssus gallinae);
(b) 가위집게진드기과 (Macronyss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집진드기속종 (Ornithonyssus spp.)의, 오르니토니서스·실비아럼 (Ornithonyssus sylviarum), 오르니토니서스·부르사 (Ornithonyssus bursa), 집진드기 (Ornithonyssus bacoti);
(c) 가시응애과 (Laelap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가시응애속종 (Laelaps spp.)의, 쥐좀진드기 (Laelaps echidninus), 비단털쥐좀진드기 (Laelaps jettmari); 꿀벌가시응애 (Tropilaelaps clarae)
(d) 꿀벌응애과 (Varro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꿀벌응애속종 (Varroa spp.)의, 바로아·데스트룩토르 (Varroa destructor), 바로아·쟈콥소니 (Varroa jacobsoni), 바로아·언더우디 (Varroa underwoodi);
(2) 후기문목 (Metastigmata)의 참진드기류 (tick)
(a) 공주진드기과 (Argas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아르가스속종 (Argas spp.)의, 아르가스·퍼시쿠스 (Argas persicus), 아르가스·리플렉서스 (Argas reflexus); 예를 들어 공주진드기속종 (Ornithodoros spp.)의, 오르니토도로스·모우바타 (Ornithodoros moubata);
(b) 참진드기과 (Ixod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가시들피참진드기속종 (Haemaphysalis spp.)의, 헤마피살리스·콘시나 (Haemaphysalis concinna), 헤마피살리스·푼크타타 (Haemaphysalis punctata), 헤마피살리스·신아바리나 (Haemaphysalis cinnabarina), 헤마피살리스·오토필라 (Haemaphysalis otophila), 헤마피살리스·레아치 (Haemaphysalis leachi), 헤마피살리스·론기코르니스 (Haemaphysalis longicornis), 헤마피살리스·마게시마엔시스 (Haemaphysalis mageshimaensis), 헤마피살리스·예니 (Haemaphysalis yeni), 헤마피살리스·캄파눌라타 (Haemaphysalis campanulata), 헤마피살리스·펜타라기 (Haemaphysalis pentalagi), 헤마피살리스·프라바 (Haemaphysalis flava), 헤마피살리스·메가스피노사 (Haemaphysalis megaspinosa), 헤마피살리스·쟈포니카 (Haemaphysalis japonica), 헤마피살리스·도우글라시 (Haemaphysalis douglasi); 예를 들어 뭉뚝참진드기속종 (Amblyomma spp.)의, 암블리오머·아메리카넘 (Amblyomma americanum), 암블리오머·바리에가툼(Amblyomma variegatum), 암블리오머·마큐라툼 (Amblyomma maculatum), 암블리오머·헤브라에움 (Amblyomma hebraeum), 암블리오머·카졔넨스 (Amblyomma cajennense), 암블리오머·테스투디나리움 (Amblyomma testudinarium); 예를 들어 참진드기속종 (Ixodes spp.)의, 익소디즈·리시누스 (Ixodes ricinus), 익소디즈·헥사고나스 (Ixodes hexagonus), 익소디즈·카니수가 (Ixodes canisuga), 익소디즈·피로서스 (Ixodes pilosus), 익소디즈·루비쿤더스 (Ixodes rubicundus), 익소디즈·스카푸라리스 (Ixodes scapularis), 익소디즈·호로시크루스 (Ixodes holocyclus), 익소디즈·오바투스 (Ixodes ovatus), 익소디즈·퍼술카투스 (Ixodes persulcatus), 익소디즈·닛포넨시스 (Ixodes nipponensis); 예를 들어 꼬리소진드기아속종 (Boophilus spp.)의, 소진드기 (Rhipicephalus (Boophilus) microplus), 리피세팔러스 (부필러스)·데콜로라투스 (Rhipicephalus (Boophilus) decoloratus), 리피세팔러스 (부필러스)·아뉴라투스 (Rhipicephalus (Boophilus) annulatus), 리피세팔러스 (부필러스)·칼세라투스 (Rhipicephalus (Boophilus) calceratus); 예를 들어 개진드기속종 (Rhipicephalus spp.)의, 리피세팔러스·에베르트시 (Rhipicephalus evertsi), 리피세팔러스·산귀네우스 (Rhipicephalus sanguineus), 리피세팔러스·부르사 (Rhipicephalus bursa), 리피세팔러스·아펜디쿨라투스 (Rhipicephalus appendiculatus), 리피세팔러스·카펜시스 (Rhipicephalus capensis), 리피세팔러스·투라니커스 (Rhipicephalus turanicus), 리피세팔러스·잠베지엔시스 (Rhipicephalus zambeziensis); 예를 들어 광대진드기속종 (Dermacentor spp.)의, 더마센톨·마르기나투스 (Dermacentor marginatus), 더마센톨·레티쿨라투스 (Dermacentor reticulatus), 더마센톨·피크투스 (Dermacentor pictus), 더마센톨·알비피크투스 (Dermacentor albipictus), 더마센톨·안데르소니 (Dermacentor andersoni), 더마센톨·바리아빌리스 (Dermacentor variabilis);
(3) 무기문목 (Astigmata)의 진응애류 (Acaridida)
(a) 귀진드기과 (Psoropt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귀진드기속종 (Psoroptes spp.)의, 양귀진드기 (Psoroptes ovis), 토끼귀진드기 (Psoroptes cuniculi), 말귀진드기 (Psoroptes equi); 예를 들어 코리옵테스속종 (Chorioptes spp.)의, 코리옵테스·보비스 (Chorioptes bovis); 옥토데크테스속종 (Otodectes spp.)의, 옥토데크테스·시노티스 (Otodectes cynotis);
(b) 옴진드기과 (Sarcopt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옴진드기속종 (Sarcoptes spp.)의, 사르코프테스·스카비에이 (Sarcoptes scabiei), 사르코프테스·카니스 (Sarcoptes canis), 사르코프테스·보비스 (Sarcoptes bovis), 사르코프테스·오비스 (Sarcoptes ovis), 사르코프테스·루피카프라에 (Sarcoptes rupicaprae), 사르코프테스·에쿠이 (Sarcoptes equi), 사르코프테스·수이스 (Sarcoptes suis); 예를 들어, 노토에드레스속종 (Notoedres spp.), 노토에드레스·카티 (Notoedres cati);
(c) 새옴진드기과 (Knemidokopt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새다리옴진드기속종 (Knemidokoptes spp.)의 새다리옴진드기 (Knemidokoptes mutans);
(4) 전기문목 (Prostigmata)의 털진드기류 (Actinedida)
(a) 모낭충진드기과 (Demodix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모낭충진드기속종 (Demodex spp.)의, 개모낭충진드기 (Demodex canis), 소모낭충진드기 (Demodex bovis), 양모낭충진드기 (Demodex ovis), 염소모낭충진드기 (Demodex caprae), 말모낭충진드기 (Demodex equi), 데모덱스·카발리 (Demodex caballi), 돼지모낭충진드기 (Demodex suis), 고양이모낭충진드기 (Demodex cati);
(b) 쯔쯔가무시과 (Trombicul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쯔쯔가무시속종 (Trombicula spp.)의, 트롬비큘라·알프레드게시 (Trombicula alfreddugesi), 트롬비큘라·아카무시 (Trombicula akamushi);
(c) 먼지응애과(Tarsonemidae)의 진드기, 예를 들어 아카라피스속종 (Acarapis spp.)의, 옴응애 (Acarapis woodi);
[살충제]
본 발명에 관한 유해 생물 방제제는, 살충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살충제는 농작물에 붙은 진드기류 이외의 해충, 위생 해충, 저각 해충, 의류 해충, 가옥 해충 등의 유해 생물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다.
방제의 대상이 되는 해충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인시목 해충, 예를 들어,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배추밤나방 (Agrotis ypsilon), 검은은무늬밤나방 (Autographa nigrisigna),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honmai), 차잎말이나방 (Homona magnanima), 복숭아심식나방 (Carposina sasakii), 심식나방 (Grapholitha molesta),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동백가는나방 (Caloptilia theivora), 사과굴나방 (Phyllonorycter ringoniella),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차독나방 (Euproctis pseudoconspersa),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흑명나방 (Cnaphalocrocis medinalis), 유럽조명나방 (Ostrinia nubilalis),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줄알락명나방 (Cadra cautella), 헤리오티스속종 (Heliothis spp.), 헤리오베르파속종 (Helioverpa), 아그로티스속종 (Agrotis spp.), 옷좀나방 (Tinea translucens), 잎말이나방 (Cydia pomonella), 목화다래나방 (Pectinophora gossypiella) 등 ;
(2) 반시목 해충, 예를 들어,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솜진딧물 (Aphis gossypii), 무우테두리진딧물 (Lipaphis erysimi), 기장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padi), 톱다리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풀노린재 (Acrosternum hilare), 화살깍지벌레 (Unaspis yanonensis), 뽕나무가루깍지벌레 (Pseudococcus comstocki),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꼬마배나무이 (Bemisia argentifolii), 배나무방패벌레 (Psylla pyricola), 배군배충 (Stephanitis nashi),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애멸구 (Laodelphax stratella),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끝동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등 ;
(3) 갑충목 해충, 예를 들어, 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오이잎벌레 (Aulacophora indica), 콜로라도잎벌레 (Leptinotarsa decemlineata), 벼물바구미 (Lissorhoptrus oryzophilus), 바구미 (Sitophilus oryzae), 팥바구미 (Callosobruchus chinensis), 알풍뎅이 (Popillia japonica), 땅풍뎅이 (Anomala rufocuprea), 디아브로티카속종 (Diabrotica spp.), 권련벌레 (Lasioderma serricorne), 넓적나무좀 (Lyctus brunneus), 알락수염긴하늘소 (Monochamus alternatus), 알락하늘소 (Anoplophora malasiaca), 아그리오티스속 (Agriotes spp.),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느치 (Tenebroides mauritanicus), 목화바구미 (Anthonomus grandis) 등;
(4) 쌍시목 해충, 예를 들어, 오이과실파리 (Bactrocera cucurbitae), 귤코비파리 (Bactrocera dorsalis), 씨고자라니파리 (Delia platura), 벼잎물가파리 (Hydrellia griseola),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등 ;
(5) 총채벌레목 해충, 예를 들어, 오이총채벌레 (Thrips palmi), 볼록총채벌레 (Scirtothrips dorsalis) 등;
(6) 막시목 해충, 예를 들어, 애집개미 (Monomorium pharaonis), 노랑말벌 (Vespa simillima), 무우잎벌 (Athalia rosae) 등 ;
(7) 직시목 해충, 예를 들어,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등 ;
(8) 바퀴목 (Blattodea) 해충, 예를 들어, 독일바퀴 (Blattella germanica), 검은바퀴 (Periplaneta fuligginosa), 일본바퀴 (Periplaneta japonica), 이질바퀴 (Periplaneta americana), 잔이질바퀴(Periplaneta australasiae) 등 ;
(9) 흰개미목 해충, 예를 들어, 집흰개미 (Coptotermes formosanus), 일본 흰개미 (Reticulitermes speratus) 등,
(10) 식물 기생성 선충류, 예를 들어, 고무마뿌리혹 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뿌리썩이 선충류, 대두 시스토 선충 (Heterodera glycines), 벼잎 선충 (Aphelenchoides besseyi), 소나무재 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 등 ;
본 발명에 관련되는 살충제는, 동물에 기생하는 해충류에 대한 방제 효과도 우수하다(외부 기생충 방제).
방제의 대상이 되는 해충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이목(Phthiraptera)
짐승이과 (Haematopinidae)의 이, 개이과 (Linognathidae)의 이, 새털이과 (Menoponidae)의 새이, 참새털이과 (Philopteridae)의 새이, 짐승털이과 (Trichodectidae)의 새이;
(2) 벼룩목 (Siphonaptera)
인간벼룩과 (Pulicidae)의 벼룩, 예를 들어, 개벼룩속종 (Ctenocephalides spp.)의, 개벼룩 (Ctenocephalides canis), 고양이벼룩 (Ctenocephalides felis);
뚱뚱보벼룩과 (Tungidae)의 벼룩, 쥐벼룩과 (Ceratophyllidae)의 벼룩, 장님쥐벼룩과 (Leptopsyllidae)의 벼룩;
(3) 노린재목 (Hemiptera)의 해충
(4) 파리목 (Diptera) 해충
모기과 (Culicidae)의 모기, 먹파리과 (Simuliidae)의 먹파리, 둥에모기과 (Ceratopogonidae)의 둥에모기, 등에과 (Tabanidae)의 등에, 집파리과 (Muscidae)의 파리, 체체파리과 (Glossinidae)의 체체파리, 이파리과 (Hippoboscidae)의 파리, 검정파리과 (Calliphoridae)의 파리, 말파리과 (Oestridae)의 파리;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1-(티아졸로[5,4-b]피리딘-5-일옥시)우레아(화합물7)(하기 화합물 번호1-2)의 제조
페닐벤질옥시카바메이트(화합물2)의 제조
Figure pct00022
O-벤질히드록실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화합물1) 25.0g을 아세토니트릴 250ml에 용해하고, 빙랭 하, 피리딘 24.8g 및 클로로포름산페닐 24.5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그 후, 이것에 포화 식염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2가 38.0g(수율 99%) 얻어졌다. 화합물2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23
1-벤질옥시-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3)의 제조
Figure pct00024
화합물2 10.7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20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2-(피리딘-2-일)프로판-2-아민 6.0g 및 트리에틸아민 4.90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 6시간 교반했다. 그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3이 7.93g(수율 63%, 융점 104∼106℃) 얻어졌다.
1-(벤질옥시)-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4)의 제조
Figure pct00025
화합물3 15.79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0ml에 용해했다. 이것에, 빙랭 하에서 수소화나트륨 2.43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이것에 요오드화에틸(9.06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이어서, 이것에 포화 식염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4가 17.12g(수율 99%) 얻어졌다. 화합물4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26
1-에틸-1-히드록시-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5)의 제조
Figure pct00027
화합물4 4.71g을 메탄올 4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5% 팔라듐카본 1g을 첨가하여, 수소로 치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했다. 그 후, 셀라이트에서 여과했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화합물5가 3.25g(수율 97%, 융점 73∼75℃) 얻어졌다.
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1-(티아졸로[5,4-b]피리딘-5-일옥시)우레아(화합물7)의 제조
Figure pct00028
화합물5 0.22g과 화합물6 0.22g을 디메틸술폭시드 5ml에 용해하고, 칼륨t-부톡시드 0.12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이것에 염화암모늄수를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목적 화합물7이 0.080g(수율 23%, 융점 116∼118℃) 얻어졌다.
실시예 2
1-[벤조(d)티아졸-6-일옥시]-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11)(하기 화합물 번호1-1)의 제조
페닐 벤조(d)티아졸-6-일옥시카바메이트(화합물9)의 제조
Figure pct00029
벤조(d)티아졸-6-올 0.30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0ml에 용해하고, 칼륨t-부톡시드 0.25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 2시간 교반했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이것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ml에 용해하고, 빙랭 하, O-메시틸술포닐히드록실아민 1.06g의 염화메틸렌 용액 5ml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했다. 이것에 빙랭 하에서 피리딘 0.22g 및 클로로포름산페닐 0.31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 이것에 포화 식염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9가 0.20g(수율 35%, 융점 152∼154℃) 얻어졌다.
1-[벤조(d)티아졸-6-일옥시]-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10)의 제조
Figure pct00030
화합물9 0.20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0ml에 용해하고, 2-(피리딘-2-일)프로판-2-아민 0.10g 및 트리에틸아민 0.08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 하룻밤 교반했다. 그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0이 0.20g(수율 87%, 융점 164∼166℃) 얻어졌다.
1-[벤조(d)티아졸-6-일옥시]-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11)의 제조
Figure pct00031
화합물10 0.20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4ml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0.09g 및 요오드화에틸 0.10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이어서, 이것에 포화 식염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목적 화합물11이 0.16g(수율 74%, 융점 76∼77℃) 얻어졌다.
실시예 3
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6-일옥시]우레아(화합물18) (화합물 번호1-11)의 제조
N-(4,6-디클로로피리딘-3-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화합물13)의 제조
Figure pct00032
화합물12 2.00g을 디클로로메탄 20ml에 용해하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2.71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그 후, 이것에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중화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3이 3.00g(수율 94%) 얻어졌다. 화합물13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33
6-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화합물14)의 제조
Figure pct00034
화합물13 0.40g을 톨루엔 30ml에 용해하고, 대비 시약(Davy-reagent) p-톨릴 2.79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에서 7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했다. 그 후,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4가 1.92g(수율 70%) 얻어졌다. 화합물14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35
터셔리-부틸 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6-일옥시카바메이트(화합물15)의 제조
Figure pct00036
화합물14 1.05g과 Boc-히드록실아민 0.71g을 디메틸술폭시드 20ml에 용해하고, 수산화칼륨 0.75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염화암모늄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5가 0.96g(수율 65%, 융점 149∼150℃) 얻어졌다.
페닐 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6-일옥시카바메이트(화합물16)의 제조
Figure pct00037
화합물15 1.19g을 디클로로메탄 3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빙랭 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54g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산페닐 0.61g을 적하하고, 빙랭 하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염화암모늄수를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하고, 이것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에 디클로로메탄 24ml를 첨가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8ml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이어서 유기층을 분리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6이 1.14g(수율 90%) 얻어졌다. 화합물16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38
1-[2-(피리딘-2-일)프로판-2-일]-3-[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6-일옥시]우레아(화합물17)의 제조
Figure pct00039
화합물16 0.30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20ml에 용해하고, 2-(피리딘-2-일)프로판-2-아민 0.15g 및 트리에틸아민 0.5ml를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7이 0.23g(수율 68%) 얻어졌다. 화합물17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40
1-에틸-3-[2-(피리딘-2-일)프로판-2-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로[4,5-c]피리딘-6-일옥시]우레아(화합물18)의 제조
Figure pct00041
화합물17 0.23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7ml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0.23g 및 요오드에탄 0.090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목적 화합물18이 0.21g(수율 84%, 융점 120∼122℃) 얻어졌다.
실시예 4
1-[6-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1-에틸-3-{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 번호3-9)의 제조
1-벤질옥시-3-{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19)의 제조
Figure pct00042
화합물2 2.57g을 아세토니트릴 32ml에 용해하고, 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아민 6.0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하, 24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19가 3.29g(수율 94%) 얻어졌다. 화합물19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43
1-벤질옥시-1-에틸-3-{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20)의 제조
Figure pct00044
화합물19 3.28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40ml에 용해하고, 빙랭 하, 55%수소화나트륨 0.45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 교반한 후, 요오드화에틸 1.59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포화 염화암모늄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 여과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20이 3.41g(수율 96%) 얻어졌다. 화합물20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45
1-에틸-1-히드록시-3-{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21)의 제조
Figure pct00046
화합물20 3.41g을 디클로로메탄 27ml에 용해하고, 빙랭 하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8ml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 후, 유기층을 분리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 여과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화합물21이 2.70g(quant.) 얻어졌다. 화합물21의 1H-NMR의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Figure pct00047
1-[6-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1-에틸-3-{2-[4-(메틸티오)피리딘-2-일]프로판-2-일}우레아(화합물22)의 제조
Figure pct00048
화합물21 0.27g과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0.23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8ml에 용해하고, 5℃에서 칼륨t-부톡시드 0.12g을 첨가하여, 5∼10℃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포화 염화암모늄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 여과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22가 0.29g(수율 64%, 융점 64∼67℃) 얻어졌다.
전술의 방법 등에 따라서 표 1∼9에 나타내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을 제조했다. 표 1은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2는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3-1, 3-2 및 3-3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4는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5는 식(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6은 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7은 식(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8은 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표 9는 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또한, 표 1∼9는, 상기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다른 화합물, 즉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의 기로 치환된 것이 상기 방법 등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해 당업자에 있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ct00049
[표 1]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표 2]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표 3-1]
Figure pct00054
[표 3-2]
Figure pct00055
[표 3-3]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표 4]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표 5]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표 6]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표 7]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표 8]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표 9]
Figure pct00068
표 1∼9에 나타낸 화합물 중, 몇 개의 화합물에 관하여 물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하기에 나타냈다. 또한, 점성 오일 또는 무정형(amorphous)의 화합물에 관하여는 1H-NMR (CDCl3) 또는 굴절률을 측정했다. 좌단의 번호는 표 중의 화합물 번호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의 제제 실시예를 약간 나타내지만, 첨가물 및 첨가 비율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고, 광범위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제(製劑) 실시예 중의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이하에 농원예용의 제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제 실시예 1 (수화제)
본 발명 화합물 40부
규조토 53부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 4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3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유효 성분 40%의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 실시예 2 (유제)
본 발명 화합물 30부
크실렌 33부
디메틸포름아미드 30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7부
이상을 혼합 용해하여, 유효 성분 30%의 유제(乳劑)를 얻었다.
이하에 방역용·동물용의 제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제 실시예 3 (과립)
본 발명 화합물 5부
카올린 94부
화이트 카본 1부
본 발명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담체 위에 분무한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킨다. 이 종류의 과립은 동물의 먹이와 혼합할 수 있다.
제제 실시예 4 (주입제)
본 발명 화합물 0.1∼1부
땅콩유 밸런스
조제 후는, 멸균 필터에 의해 여과 멸균한다.
제제 실시예 5 (포어온제)
본 발명 화합물 5부
미리스틴산에스테르 10부
이소프로판올 밸런스
제제 실시예 6 (스팟온제)
본 발명 화합물 10∼15부
팔미틴산에스테르 10부
이소프로판올 밸런스
제제 실시예 7 (스프레이온제)
본 발명 화합물 1부
프로필렌글리콜 10부
이소프로판올 밸런스
[생물시험]
본 발명 화합물이, 살진드기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것을 이하의 시험예로 나타낸다.
시험예 1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효력 시험
3촌발(寸鉢)에 파종한 노랑 강남콩의 발아 후 7∼10일을 경과한 초생잎(初生葉) 위에, 유기 인제저항성의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을 10마리 접종했다. 이어서, 상기 제제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방의 유제를 조제했다. 이 유제를 화합물 농도 125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그 희석액을 상기 노랑 강남콩에 살포했다. 이 노랑 강남콩을, 온도 25℃, 습도 65%의 항온실 내에 두었다. 살포로부터 3일 경과시에 성충의 생사(生死)를 조사했다. 나아가 살포로부터 14일 경과시에 산하된(産下) 알이 성충까지 발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Figure pct00076
시험예 2 귤응애(Panonychus citri)에 대한 효력 시험
샬레에 넣은 귤잎 위에, 와카야마현산의 귤응애암컷 성충을 8마리 접종했다. 이어서 상기 제제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방의 유제를 조제했다. 이 유제를 화합물 농도 125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고, 그 희석액을 회전 살포탑에서 상기 귤에 살포했다. 이 귤을, 온도 25℃, 습도 65%의 항온실 내에 두었다. 살포로부터 3일 경과시에 성충의 생사를 조사했다. 나아가 살포로부터 10일 경과시에 산하된 알이 성충까지 발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Figure pct00077
시험예 3 귤응애(Panonychus citri)에 대한 효력 시험
샬레에 넣은 귤잎 위에, 와카야마현산의 살진드기제 저항성 귤응애암컷 성충을 8마리 접종했다. 이어서 상기 제제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방의 유제를 조제했다. 이 유제를 화합물 농도 125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고, 그 희석액을 회전 살포탑에서 상기 귤에 살포했다. 이 귤을, 온도 25℃, 습도 65%의 항온실 내에 두었다. 살포로부터 3일 경과시에 성충의 생사를 조사했다. 나아가 살포로부터 10일 경과시에 산하된 알이 성충까지 발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화합물 번호 1-1, 1-3, 1-8, 1-13, 3-1, 3-2, 3-3, 3-9, 3-11, 3-18, 3-22, 3-23, 3-28, 3-33, 3-46, 3-47, 3-56, 3-58, 3-82, 및 4-7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유제에 관하여, 상기 시험을 실시했다. 어떤 화합물도 3일 경과시의 살충률 또는 10일 경과시의 살충률이 90% 이상이었다.
시험예 4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에 대한 효력 시험
3촌발에 파종한 노랑 강남콩의 발아 후 7∼10일을 경과한 초생잎 위에, 오카야마현산의 차응애암컷 성충을 10마리 접종했다. 이어서, 상기 제제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방의 유제를 조제했다. 이 유제를 화합물 농도 500ppm 또는 125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그 희석액을 상기 노랑 강남콩에 살포했다. 이 노랑 강남콩을, 온도 25℃, 습도 65%의 항온실 내에 두었다. 살포로부터 3일 경과시에 성충의 생사를 조사했다. 나아가 살포로부터 14일 경과시에, 산하된 알이 성충까지 발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화합물 번호 2-1의 화합물을 500ppm 함유하는 유제에 관하여, 상기 시험을 실시했다. 3일 경과시의 살충률 및 14일 경과시의 살충률은 90% 이상이었다.
Figure pct00078
시험예 5 귤녹진드기(Aculops pelekassi)에 대한 효력 시험
샬레에 넣은 귤잎 위에, 살진드기제 저항성 귤녹진드기 성충을 20마리 접종했다. 이어서 상기 제제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방의 유제를 조제했다. 이 유제를 화합물 농도 125ppm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그 희석액을 회전 살포탑에서 상기 귤에 살포했다. 이 귤을, 온도 25℃, 습도 65%의 항온실 내에 두었다. 살포로부터 3일 경과시에 성충의 생사를 조사했다. 나아가 살포로부터 10일 경과시에 산하된 알이 성충까지 발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화합물 번호 1-1, 3-18, 및 4-7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유제에 관하여, 상기 시험을 실시했다. 어떤 화합물도 3일 경과시의 살충률 및 10일 경과시의 살충률이 90% 이상이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은, 농작물이나 위생면에서 문제가 되는 유해 생물을 방제할 수 있다. 특히 진드기류 및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해 생물의 방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9)

  1. 식(I)로 표시되는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79

    [식(I) 중,
    Cy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 X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 X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술포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치환기 X는 2개 이상이어도 되고, 치환기 X를 2개 이상 가질 때 X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R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Q는, 식(II) 또는 식(III)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80

    (식(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과 R4는 서로 연결되어 R3 및 R4가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環)을 형성해도 된다.
    R5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카르복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미노 C1∼6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81

    (식(I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6 및 R7은, 각각 독립하여,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6과 R7은 서로 연결되어 R6 및 R7이 결합되는 황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의 Cy가 식(IV)로 표시되는 기인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82

    (식(IV) 중,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X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n1은, X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Z1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Z2 및 Z3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의 Q가 식(V)로 표시되는 기인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83

    (식(V)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1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1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2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2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1과 m2의 합은 4 이하이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의 Q가 식(VI)으로 표시되는 기인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84

    (식(V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3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3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4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4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3과 m4의 합은 3 이하이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의 Q가 식(VII)로 표시되는 기인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85

    식(VII) 중, *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2, R3, 및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5는,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5가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6은,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6이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5와 m6의 합은 5 이하이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살진드기제 또는 살충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외부 기생충 방제제.
  9. 식(VIII)로 표시되는 벤질옥시우레아 화합물.
    Figure pct00086

    (식(VIII) 중,
    R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과 R4는 서로 연결되어 R3 및 R4가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해도 된다.
    Z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X1은,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아미노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티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피닐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m1은, X1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1∼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1이 2 이상일 때 X1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2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3∼8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2∼6 알키닐기, 수산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7 아실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C6∼10 아릴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 옥소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2는, X2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m2가 2 이상일 때 X2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m1과 m2의 합은 4 이하이다.)
KR1020147027986A 2012-04-10 2013-04-08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KR20140145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9459 2012-04-10
JPJP-P-2012-089459 2012-04-10
JP2012219095 2012-10-01
JPJP-P-2012-219095 2012-10-01
PCT/JP2013/060658 WO2013154080A1 (ja) 2012-04-10 2013-04-08 アリールオキシウレア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45A true KR20140145145A (ko) 2014-12-22

Family

ID=4932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986A KR20140145145A (ko) 2012-04-10 2013-04-08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099883A1 (ko)
EP (1) EP2837620A4 (ko)
JP (1) JP5771325B2 (ko)
KR (1) KR20140145145A (ko)
CN (1) CN104203911A (ko)
AU (1) AU2013247762A1 (ko)
CA (1) CA2869721A1 (ko)
WO (1) WO20131540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12A (ko) * 2018-04-09 2020-09-11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페녹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23951A2 (pt) * 2014-04-22 2017-08-15 Nippon Soda Co ?agente de controle de parasita ou parasiticida, e, métodos de controlar ou expelir um endoparasita e nematódeos que são parasíticos em animais de sangue quente ou peixes?
JP2017160124A (ja) * 2014-07-24 2017-09-14 日本曹達株式会社 アリールオキシ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JP2018199622A (ja) * 2015-10-21 2018-12-20 日本曹達株式会社 アミド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TWI773657B (zh) 2015-12-18 2022-08-11 美商亞德利克斯公司 作爲非全身tgr5促效劑之經取代之4-苯基吡啶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7269A1 (en) * 1986-05-26 1987-12-03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Aryloxyurea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GB0129267D0 (en) 2001-12-06 2002-01-23 Syngenta Ltd Fungicides
GB0227558D0 (en) 2002-11-26 2002-12-31 Syngenta Ltd Fungicides
GB0227555D0 (en) 2002-11-26 2002-12-31 Syngenta Ltd Fungicides
DE10346245A1 (de) * 2003-10-06 2005-04-28 Bayer Cropscienc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ylharnstoffderivaten, Salze dieser Acylharnstoff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US8268755B2 (en) * 2007-12-11 2012-09-18 Nippon Soda Co., Ltd. Oxime ether derivative and fungicide for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use
PL2628724T3 (pl) * 2010-10-12 2019-05-31 Nippon Soda Co Związek aryloksymocznika i środek do zwalczania szkodnikó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12A (ko) * 2018-04-09 2020-09-11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페녹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9883A1 (en) 2015-04-09
JP5771325B2 (ja) 2015-08-26
JPWO2013154080A1 (ja) 2015-12-17
EP2837620A1 (en) 2015-02-18
EP2837620A4 (en) 2015-11-18
CN104203911A (zh) 2014-12-10
WO2013154080A1 (ja) 2013-10-17
AU2013247762A1 (en) 2014-10-02
CA2869721A1 (en)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86462A1 (ja) イソオキサゾリン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EP3181552B1 (en) Diaryl imidazole compound and pest control agent
KR101755145B1 (ko)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JP6088631B2 (ja) アリールオキシ酢酸アミド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IL190532A (en) Reliable cyclic compounds and pesticides containing them
KR20140145145A (ko) 아릴옥시우레아 화합물 및 유해 생물 방제제
JP2013216626A (ja) アリールオキシ酢酸アミド化合物を含有する殺ダニ剤または殺虫剤
AU2014268201A1 (en) Aryloxyurea compound and pest control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