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091A -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091A
KR20140145091A KR1020140071055A KR20140071055A KR20140145091A KR 20140145091 A KR20140145091 A KR 20140145091A KR 1020140071055 A KR1020140071055 A KR 1020140071055A KR 20140071055 A KR20140071055 A KR 20140071055A KR 20140145091 A KR20140145091 A KR 2014014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ode
information providing
display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422B1 (ko
Inventor
반대현
이웅
한정호
오금용
이창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51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200289A2/en
Priority to US14/303,086 priority patent/US10283088B2/en
Priority to EP14172191.0A priority patent/EP2813959A3/en
Priority to CN201480045372.4A priority patent/CN105473071A/zh
Publication of KR2014014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에 중첩되는 상기 진단 정보를 제1 모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대상체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r Tomography, CT) 시스템은, 대상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복수 개의 x-ray 영상을 촬영하고 합성한다. CT 시스템은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x-ray 촬영 기기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가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활용된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은 원자핵을 자장에 노출시킨 후 공명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로 영상을 나타낸다.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비침습적이고(noninvasive), CT에 비하여 조직의 대조도(contrast)가 우수하며, 골조직에 의한 아티팩트(artifact)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위치 변환 없이도 원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다른 화상 진단 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인 CT 시스템이나 MRI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콘솔 룸(console room)은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으로부터 차폐된다. 한편, 콘솔 룸에는 대상체를 진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존재하므로, 메디컬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콘솔 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면 콘솔 룸 윈도우(console room window)를 통한 대상체의 관찰이 소홀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 데스크의 각종 서류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모니터 등에 의해서, 또는 사용자 주변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하여 진단 정보를 보기 위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분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윈도우를 통해 대상체를 보는 것이 방해받을 수 있다. 그에 EK라서, 대상체를 관찰하는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대상체를 관찰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의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에 중첩되는 상기 진단 정보를 제1 모드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실드 룸과 분리된 콘솔 룸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제3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획득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크기,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획득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드 룸을 관찰하기 위한 상기 콘솔 룸의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각각 매칭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과정에 대한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는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에 중첩되는 상기 진단 정보를 제1 모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실드 룸과 분리된 콘솔 룸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크기,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드 룸을 관찰하기 위한 상기 콘솔 룸의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매칭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각각 매칭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과정에 대한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일반적인 기술과 내용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와 콘솔 룸 윈도우 및 의료 진단 시스템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와 의료 진단 시스템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와 의료 진단 시스템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복수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영상 획득부가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실드 룸 영상을 출력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대상체에 대한 진단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정된 우선순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의 우선순위에 따라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진단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콘솔 룸 윈도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의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는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X-ray, CT, MRI,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진단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방사선사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일반적인 기술과 내용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스템, X-ray 시스템 등의 의료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콘솔 룸(console room)에 위치한 사용자(5)는 실드 룸(shield room) 내에 위치한 대상체(10)를 진단한다. 여기서, 의료 진단 시스템은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의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모든 시스템 또는 장치를 뜻한다. 또한, 실드 룸은 전술한 의료 진단 시스템이 위치하여 대상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공간을 뜻하며, '검사실', '검사 룸', '진단 룸' 등으로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콘솔 룸은 전술한 의료 진단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실드 룸과 분리된 공간을 뜻한다. 콘솔 룸과 실드 룸은, 실드 룸으로부터 전달되는 자기장, 방사선, RF 신호 등으로부터 사용자(5)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 벽을 통해 서로 분리된다.
한편, 의료 진단 시스템의 사용자(5)는, 대상체(10)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실드 룸 내부와 대상체(10)를 직접 관찰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5)는 대상체(10)의 진단 테이블 상의 위치, 진단 중의 대상체(10)의 움직임 등, 실드 룸 내부에서 대상체(10)와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콘솔 룸과 실드 룸을 분리하는 차폐 벽은 콘솔 룸 윈도우(console room window, 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솔 룸 윈도우(20)는, 콘솔 룸에 위치한 사용자(5)가 실드 룸에 있는 대상체(10)를 관찰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5)는 사용자 주변에 배치되는 모니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진단할 수 있다. 사용자(5)는 진단 테이블 상의 대상체(10)의 위치, 의료 영상 촬영 중의 대상체(10)의 이동 등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콘솔 룸 윈도우(20)를 이용하여 체크할 수 있다.
사용자(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해 대상체(10)와 실드 룸 내부를 직접 관찰하며 대상체(10)를 진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는 대상체(10)를 진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5)는 사용자 주변에 배치되는 의료 진단 시스템과 연결된 복수의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통해, 진단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여 대상체(10)를 진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콘솔 룸 윈도우(20) 및 의료 진단 시스템(30)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5)는 콘솔 룸에서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해 실드 룸 내의 대상체(10)를 관찰하며, 의료 진단 시스템(30)의 작동 또한 관찰할 수 있다.
도 2의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과 연결되어 진단 정보를 수신하며, 획득한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며, 촬영된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획득부(110)는 디스플레이 부(160)와 분리되는 실드 룸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실드 룸 내부를 관찰하는 사용자의 시야는 윈도우(20)의 크기와 관련되어, 윈도우(20)의 크기에 따라서 제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160)가 콘솔 룸 윈도우(20)의 물리적 경계의 외곽 또는 옆에 배치될 때, 쉴드 룸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사용자(5)의 시야를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하여 확보되는 시야 이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서, 실드 룸 내부의 영상과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5)에게 의료 정보, 즉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진단 정보"는, 대상체(10)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로서, 대상체(10)와 관련하여 행정상의 서버 등과 같은 의료 진단 시스템(30)을 통해 획득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정보는 환자의 병원 ID와 같이 대상체(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대상체(10)의 나이, 이름, 성별과 같은 환자 정보, 대상체(10)의 이전 촬영 이력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스케쥴을 나타내는 환자 목록 등 대상체(10)와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정보 및/또는 나이, 또는 성별 등과 같은 대상체(10)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진단 정보는 대상체(10)가 위치하는 진단 테이블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대상체(10)를 진단한 결과인 의료 이미지, 대상체(10)에 투입된 조영제의 확산 경로에 대한 이미지, 및 대상체(10)를 진단하는 프로토콜의 진행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단 정보는 이상에서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체(10)에 대한 진단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5)는,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관찰함과 동시에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의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5)는 콘솔 룸 윈도우의 주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60)로 인하여, 시선의 분산 없이도 대상체(10)에 대한 관찰과 대상체(10)의 진단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 획득부(110)와 디스플레이부(160)의 개수 및 콘솔 룸 윈도우(20)에 대한 위치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획득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60)의 배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21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서 출력하는 의료 정보의 종류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드'라고 칭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의료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하는 경우를, 제2 모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를, 제3 모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의 각각의 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모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60)와 영상 획득부(110)를 설명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주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는, 도 3에 점선(165)으로 도시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가 배열된 형태 및 위치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와 1:1 매칭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 모두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의 일부와 매칭되는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점선(165)으로 도시된 6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하단에 좌우로 배열된 4개의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만 영상 획득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만 영상 획득부(11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모드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가 촬영한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가 배치된 공간을 통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드 룸 내부의 가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 중에서 가상의 영역과 대응되는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을 설정한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영역을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점선(165)으로 도시된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모드로 동작하며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고 콘솔 룸 윈도우(20)의 주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콘솔 룸 윈도우가 확장된 것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모드를 설명한다. 제2 모드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 표시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2에서 설명한 의료 이미지, 조영제 확산 이미지, 촬영 스케쥴 목록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콘솔 룸에는 복수의 출력 디바이스(모니터 등)가 콘솔 룸 윈도우(20)와 별도로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5)는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해 대상체(10)를 관찰하면서 모니터에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의 주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진단 정보를 표시 출력함으로써, 대상체(10)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5)의 시선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중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점선(165)으로 도시된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 중에서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의 두 디스플레이부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즉, 두 디스플레이부는 진단 정보로써 대상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고, 표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4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제1 모드로 동작하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모드를 설명한다. 제3 모드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과 환자 등록 서버 등과 같은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에 진단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에 오버랩된 진단 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의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 또는 뷰(view)를 진단 정보와 함께 합성한 영상 또는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 중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의 두 디스플레이부는, 제3 모드로 동작한다. 즉, 두 디스플레이부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과 함께 진단 정보를 표시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정보를 오버랩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3 모드의 실시 예에 있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에 오버랩 되는 진단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 있어서, 진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조절(scaling)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진단 정보를 투명함 없이 나타내기 위한 기능을 설정한 후, 진단 정보를 둘러싸는 경계의 주변부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의 추가적인 부분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드는 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지 않았지만 진단 정보와 실드 룸 내부 영상을 함께 표시하였기 때문에, 제3 모드로 호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진단 정보 획득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처리부(120), 모드 결정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센서부(170), 및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시된 구성 요소 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영상 획득부(110)는, 의료 검사를 위하여 대상체가 위치한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상세하게, 영상 영상 획득부(110)가 촬영하는 실드 룸 내부의 위치 및 영역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50)를 조작하는 것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획득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5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드 룸 내부의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대상체에 대한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3 모드에 따라서 실드 룸 내부 영상에 중첩(overlaid)되는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구현 형태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와 1:1 매칭이 되도록 복수의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60)와 매칭되는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1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10)와 디스플레이부(160)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영상 획득부(110)와 디스플레이부(160)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와 같이, 영상 획득부(11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60)와 연관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영상 획득부(11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160)와 연관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10)가 디스플레이부(160)와 연관되어 형성되더라도, 영상 획득부(110)와 디스플레이부(160)는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영상 획득부인 카메라 및 윈도우의 물리적 경계 옆 또는 인접하여 배치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윈도우만을 통하여 관찰하는 영역에 비하여 사용자가 관찰 가능 영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도 2 및 도 3에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하나의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고 설명될 실시 예와 같이 복수의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획득부(110)는,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단일한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영상 획득부(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서 중앙에 부착된 형태로 위치하여, 윈도우(20)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획득부(11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룸 윈도우(20)의 뒷면의 여러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 부에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획득부(110)는 콘솔 룸 윈도우의 적어도 하나의 귀퉁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가 없는 윈도우(20)의 코너 또는 디스플레이부(160)가 있는 윈도우(20)의 코너에 각각 영상 획득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4 위치에 영상 획득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고 설명하는 내용은, 단순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영상 획득부(110)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배치되어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획득부(110)는 적외선 카메라,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획득부(110)는 실드 룸 내부에 대한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가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결과로부터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생성한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표시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60) 보다 적은 개수의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가 촬영한 영상 중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표시 출력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60)와 1:1 매칭되도록 영상 획득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생성하고,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전부의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표시될 영역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반면에,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을 편집하거나 조절하여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영상 처리부(120)는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이 표시될 디스플레이부(160)의 콘솔 룸 윈도우(20) 상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콘솔 룸 윈도우(20) 상에서 우측 하단 귀퉁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60)의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우측 하단 부분의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20)는 디스플레이부(160)의 배치를 고려하여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처리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가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나누어 복수의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L"자 형태로 분할하여 복수의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120)는 사용자(5)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5)의 위치에 따라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5)가 콘솔 룸 윈도우(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콘솔 룸 윈도우(20)에 대한 사용자(5)의 시선의 방향을 참조하여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9 내지 도 1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영상 처리부(120)는 여러 가지 다른 기준에 따라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하나의 기준이 아닌 여러 가지 기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대상체(10)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단 정보는 대상체(10)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대상체를 진단한 결과인 의료 이미지를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병원 서버로부터 환자의 신상 정보나 촬영 스케쥴에 대한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 외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하며,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 정보 획득부(13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결정부(140)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하는 의료 정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하는 제1 모드,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하는 제2 모드,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를 모두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 모드에서 사용자에가 실드 룸 내부의 뷰(view)를 직접 보여주기 위해서, 영상 획득부(110)를 사용함이 없이,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3 모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진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실드 룸 내부 영상 대신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60)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 및 제3 모드에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의 뷰를 직접볼 수 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드 결정부(140)는, 대상체(10)에 대한 "진단"이 진행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체(10)에 대한 "진단"이라 함은, 대상체(10)에 대한 의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준비 과정부터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예를 들어, 의료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의료 정보의 제공을 종료하는 과정 등, 의료 진단 시스템(30)이 대상체(10)와 연계되어 수행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MRI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대상체(10)의 "진단"이라 함은, 대상체(10)의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MRI 이미지 촬영에 특이사항이 있는지(조영제를 활용하는지 등)를 확인하는 준비 단계부터, MRI 시스템의 진단 테이블에 대상체가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단계, MRI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등, 전반적인 과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가지 단계는 의료 진단 시스템의 "진단" 과정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MRI 시스템과 관련하여 모드 결정부(140)를 설명하면, 모드 결정부(140)는 MRI 시스템의 각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MRI 시스템의 "진단" 과정이 진행될 때마다 출력할 의료 정보의 종류가 변경되고, 모드 결정부(14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MRI 시스템에서 새로운 환자의 진단이 개시되고 진단 정보 획득부(130)가 대상체(10)의 환자 정보를 획득하면, 모드 결정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환자 정보를 진단 정보로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RI 촬영이 종료되고 진단 정보 획득부(130)가 MRI 이미지를 획득하면, 모드 결정부(140)는 MRI 이미지를 진단 정보로써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제1 모드인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동시에, 모드 결정부(140)는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 따라 동작하며 환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모드 결정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각각 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드 결정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단 정보 획득부(130)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드 결정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각 디스플레이부(160)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5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0)는 키보드, 마우스, 키 패드,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키보드가 이용될 수 있다. MR/CT 콘솔 룸의 공간 사용을 최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디터 또는 화면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갖는 컴퓨터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같은 단일 소스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50)는 직접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출력되는 의료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예컨대, 터치&홀드, 탭, 더블 탭, 플릭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50)는, 의료 정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다중 터치 입력(예컨대, 핀치)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일원화된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20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거나,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의료 이미지, 촬영 스케쥴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를 오버랩 하여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6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6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의 우측 및 하단부에 인접하여 "L" 자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배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주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는 실드 룸 내부에 대하여 콘솔 룸 윈도우를 통해서 관찰할 수 있는 영역 보다 더 크고 넓은 영역을 관찰 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가 확장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20)의 주위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실드 룸 내부 영상 및 콘솔 룸 윈도우(20)의 나머지 부분(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지 않는)의 결합을 통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60)가 콘솔 룸 윈도우에 "인접하여 배치"된다는 것은, 콘솔 룸 윈도우의 경계 또는 측면와 디스플레이부(160)의 경계 또는 측면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만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솔 룸 윈도우의 경계와 디스플레이부(160)의 경계는 콘솔 룸을 실드 룸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는 물질, 구조, 재료 등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내로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가 확장되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러한 소정 간격은 최소화하거나 콘솔 룸 윈도우의 경계와 디스플레이부(160)의 경계 간의 사이 영역을 투명하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각각에는,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부(160) 마다 설정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동일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17 내지 도 19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센서부(170)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센서부(170)는 사용자와 콘솔 룸 윈도우 또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60) 간의 거리 등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깊이 센서, 거리 센서, 동작 인식 센서, 디바이스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식별 신호 검출 센서 등 여러 가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홍채 인식 센서나 카메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이나 제스쳐 또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 9 내지 도 1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80)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영상 획득부(110)가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 획득부(130)가 획득한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의료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센서부(170)에서 감지한 사용자(5)에 기초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도록,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5)에게 실제감있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콘솔 룸 내에 있는 사용자(5)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도록,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처리부(120), 진단 정보 획득부(130), 모드 결정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센서부(170) 간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4에서 설명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 영상 획득부(110), 영상 처리부(120), 진단 정보 획득부(130), 모드 결정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센서부(17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 및 도 6의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뒷면 또는 콘솔 룸 윈도우의 뒷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는 실드 룸 내부의 영역을 서로 겹쳐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는 실드 룸 내부의 서로 구별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각각 촬영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는 상세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중복되거나 생략되는 디스플레이 없이 복수의 영역들이 촬영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5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진단 정보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의료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진단 정보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에 대한 진단이 개시되고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에 대한 진단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때마다 새로운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을 통하여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3 모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에 중첩되는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단계 520에 후속하여 단계 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기 위하여,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획득되고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제1 모드인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진단 정보 출력을 중지하고,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출력하도록,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던 진단 정보를 다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가 표시되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제1 모드로 변경하고, 진단 정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는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 및 제3 모드는 디스플레이부가 진단 정보와 함께 실드 룸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지에 따라 구별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제2 모드와 제3 모드는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없이도,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선택하여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5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는 실드 룸 내부 영상과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530에서 결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 진단 정보, 또는 두 가지 모두를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한 의료 정보에 더하여 새로운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520 내지 단계 540에서 설명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새로운 진단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새롭게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의료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610 내지 단계 630은, 도 5에서 설명한 단계 510 내지 단계 530 과 유사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6의 단계 610 내지 6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단계 6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63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한다.
단계 6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1 모드인지 판단한다. 판단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단계 650으로 진행한다. 대상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인 경우, 단계 670으로 진행한다.
단계 65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610에서 촬영한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즉, 의료 정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1 모드이므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모드에서 투명한 상태가 되어서 실드 룸 내부 모습(view)을 직접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와 디스플레이부의 1:1 매칭 여부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에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 획득부와 디스플레이부가 1:1 매칭 관계인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가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한다. 또한, 1:1 매칭 관계라 하더라도,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 등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부들은 쉴드룸 내부 영상의 각각 대응되는 부분들을 중첩되거나 중복적으로 표시하는 것 없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영상 획득부에 의해서 획득된 실드 룸 내부 영상들의 부분 영역들을 선택하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부 각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콘솔 룸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5)의 시야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되는 실드 룸 내부 모습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미지 프로세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은 실드 룸 내부 영상의 시점 변화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시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1:1 매칭 관계가 아닌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및 위치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표시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다.
단계 66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650에서 선택된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650에서 선택된 영역의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단계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67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인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62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만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반면, 제3 모드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를 실드 룸 내부 영상과 함께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3 모드에서 진단 정보를 실드 룸 내부 영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6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진단 정보가 표시된 부분을 통하여도 실드 룸 내부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진단 정보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의료 진단 시스템(30)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7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7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모드로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710에서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730에서,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의 진단을 개시한다. 즉,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에 대한 진단 과정을 진행한다. 진단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진단 시스템(30)이 대상체와 연계하여 수행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진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의 개인 정보, 대상체의 식별 정보, 치료 계획, 진단 계획 등과 같은 진단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75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하고,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74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단계 720에서 제1 모드였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결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상에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2 모드에서는 진단 정보만을, 제3 모드에서는 진단 정보를 실드 룸 내부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 모습을 배경으로 한 부분적으로 투명한 표시로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의료 진단 시스템(30)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내용에 더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8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단계 8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10에서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제1 모드로 출력한다. 즉, 도 8의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고, 단계 810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830에서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의 진단을 개시하고, 단계 8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85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한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한 디스플레이부 상에,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4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의 종류 및 표시할 진단 정보의 개수를 고려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일부 및 전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전환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기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변경하고,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변경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860에서,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에 대한 진단을 계속하여 진행한다. 대상체에 대한 진단 프로세스가 계속하여 진행됨에 따라,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진단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87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새롭게 생성된 진단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한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40 및 단계 870에서 의료 진단 시스템(30)뿐만 아니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88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하고,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70에서 추가적으로 획득한 새로운 진단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단계 88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50에서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진단 정보를 출력하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단계 84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고 단계 870에서 획득한 새로운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840의 진단 정보를 출력하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로 변경하고, 단계 870의 진단 정보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중앙에 도시된 콘솔 룸 윈도우(20)를 기준으로, 좌측은 콘솔 룸, 우측은 실드 룸을 각각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10), 디스플레이부(160), 및 센서부(170)가 콘솔 룸 윈도우(20)의 주변에 배치된다. 영상 획득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60)의 배치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에서, 센서부(17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7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콘솔 룸 윈도우(20)와는 별도로 콘솔 룸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17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깊이 센서, 거리 센서, 동작 인식 센서, 디바이스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식별 신호 검출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스쳐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식별 디바이스(예를 들어, ID tag 등)를 감지하거나, 식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거리를 파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거리 센서나 깊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디스플레이부(160)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제스쳐가 감지되는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검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 또한 감지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식별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신호를 검출하고, 식별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식별 디바이스를 감지함에 있어서, 의료 진단 시스템(30)과 연결된 식별 디바이스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가 의료 진단 시스템(30)에 로그인(log-in)하여 대상체를 진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는 의료 진단 시스템(30)과의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에 로그인된 식별 디바이스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주 사용자(main operator)를 검출할 수도 있다. 콘솔 룸에 복수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주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식별 디바이스를 보유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식별 디바이스 중 의료 진단 시스템(30)과 연결된 식별 디바이스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의료 진단 시스템(30)에 로그인하여 대상체를 진단하는 주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미리 저장된 특정 제스쳐를 감지함으로써 주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거리 센서와 깊이 센서 등을 활용하여 콘솔 룸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인식하고,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기설정된 제스쳐를 취하는 사용자를 주 사용자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를 감지함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10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를 확인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콘솔 룸 윈도우의 주변에 어떠한 형태 및 위치로 배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에 관하여 미리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여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 및 위치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배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10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도 9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 예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실드 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 변화에 근거하여 이미지 프로세서에 의해서 선택이 이뤄질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일부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단계 1010 및 단계 1020에서 확인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 및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콘솔 룸 윈도우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콘솔 룸 윈도우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와 좌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 앞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 및 위치를 고려하여,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콘솔 룸 윈도우의 좌측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콘솔 룸 내부를 바라보는 뷰(view)와 콘솔 룸 윈도우의 우측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콘솔 룸 내부를 바라보는 뷰(view)는,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에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일부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 및/또는 윈도우(20) 또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실드 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선택한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 중에서 단계 1030에서 선택한 일부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콘솔 룸 윈도우가 확장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부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상단에 위치한 센서부(170)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1120)을 획득한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시선 인식 센서나 홍채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눈(1110)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어떠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1120)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공간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113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일부 영역(113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과 매칭되는 실드 룸 내부 공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콘솔 룸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도 9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라 주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주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주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복수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121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획득부를 이용하여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복수의 영상 획득부에 관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122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영상 획득부를 서로 매칭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를 동일한 수로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는 서로 1:1 매칭될 수 있다.
반면에,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는 1:1이 아닌 형태로 매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하나와 둘 이상의 영상 획득부가 매칭되거나, 그 반대로 매칭될 수도 있다.
단계 1220에서의 매칭 관계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를 통해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매칭된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123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단계 124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확인한다. 단계 1230 및 단계 1240은, 도 10의 단계 1010 및 단계 1020에서 설명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78단계 125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가 1:1로 매칭되는지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가 1:1로 매칭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26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27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계 125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220 에서 매칭한 관계를 활용하여 1:1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6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매칭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210에서 복수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각각의 영상 획득부에 매칭된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181단계 127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즉, 디스플레이부와 영상 획득부가 1:1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영상 획득부가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가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 중에서, 영상 획득부에 매칭된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영역에 대한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230 및 단계 1240에서 획득한 사용자 위치와 디스플레이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 및 사용자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단계 1280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영상을 매칭된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표시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매칭 관계를 고려하여,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영상 획득부가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112)와 디스플레이부(160)가 1:1로 매칭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5개의 영상 획득부(112)와 5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각각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 부에 일렬로 배치되며,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획득부(112)와 디스플레이부(160)는 서로 매칭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영상 획득부(112)는 각각 매칭된 디스플레이부(160)의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2)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이 위치한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즉, 복수의 영상 획득부(112)는 각각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하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된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한다. 영상 획득부(112)와 디스플레이부(160)가 1:1 매칭되므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된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바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부(112)는, 실드 룸 내부의 서로 겹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부(112)는, 실드 룸 내부를 빠짐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중복되게 실드 룸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2)가 생성한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선택된 일부 영역들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 디스플레이부(160)와 사용자의 거리,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 등에 기초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114)와 디스플레이부(160)의 위치 또는 숫자가 1:1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13a에 도시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5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반면에, 도 13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의 네 귀퉁이에 배치된 4개의 영상 획득부(114)를 포함한다.
4개의 영상 획득부(114)는, 각각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다. 도 13a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영상 획득부(114)는 실드 룸 내부를 빠짐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중복되게 실드 룸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4)에서 획득한 실드 룸 내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5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개의 영상 획득부(114)에서 촬영한 실드 룸 내부 영상 중 5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미리 설정된 매칭 관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13b에 도시된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실드 룸 영상을 출력하는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부에 일렬로 배열된다.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60)의 개수와 배열은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고,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거나 실드 룸의 집적접인 모습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투명하게 구동한다. 한편,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된 번호로 그 순서가 구별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4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각각의 일부 영역을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한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4개의 일부 영역이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보가 중첩되거나 생략됨이 없이 연결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와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 출력되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드 룸 내부 영상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두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두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영상들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163), 및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164)에 각각 출력되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실드 룸 내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선택한 일부 영역들을, 각각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모드인 디스플레이부(160)에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부(160)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실드 룸 내부를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해 실드 룸 내부를 바라보는 뷰와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관찰하는 뷰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콘솔 룸 윈도우가 확장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투명한 디스플레이부에 있어서, 제1 모드 및 제3 모드에서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의 뷰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사이에도 연결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 4개의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14에서 제1 모드인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촬영하고, 의료 진단 시스템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이미지(1510) 및 촬영 스케쥴(1520)을 진단 정보로써 획득한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의 머리에 대한 진단이 완료됨에 따라, 의료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1510)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의 진단이 완료됨에 따라, 다음 진단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스케쥴(1520)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이미지(1510) 및 촬영 스케쥴(15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진단 정보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이고, 제3 모드는 진단 정보와 함께 실드 룸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임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에 의료 이미지(1510)를 제공하고,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에 촬영 스케쥴(1520)을 제공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함에 있어서, 진단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이미지(1510)에 대한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2 모드로 미리 설정된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촬영 스케쥴(1520)에 대한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제2 모드로 미리 설정되었지만,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 스케쥴(1530)을 실드 룸 영상에 오버랩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촬영 스케쥴(1530)을 제3 모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이미지(1510)를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에 제2 모드로 제공한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 스케쥴(1520)을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에 제3 모드로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는 실드 룸 영상에 촬영 스케쥴(1520)을 오버랩하여 표시함으로써, 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163) 및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164)에 대해서, 제1 모드인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의료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진단 정보가 획득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진단 정보를 다른 디스플레이부(160)로 옮기는 입력이 수신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163) 또는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164)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163) 또는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164) 상에 진단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대상체에 대한 진단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도 16의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에 배열된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도 16의 우측에는, 대상체에 대한 의료 진단 시스템(30)의 진단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 1610은, 진단 개시 이전 상황을 도시한다. 진단 개시 이전에,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에 대한 환자 정보, 촬영 스케쥴 등 대상체를 진단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전반적인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예를 들어 병원 서버로부터 환자 정보, 식별 정보, 진단 부위, 진단 프로토콜의 명칭, 환자의 진단에 대한 유의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61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들(161, 162, 163, 16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또는 데3 모드에 있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단계 1610의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620은, 진단이 진행 중인 상황을 도시한다. 대상체에 대한 진단 중에,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에 조영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조영제 투입 양, 조영제 투입 속도, 조영제 확산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상체에 조영제가 투입되는 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620 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들(161, 162, 163, 16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 상에 단계 1620의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610에서 획득한 진단 정보를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에서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로 옮겨서 디스플레이하고, 단계 1620의 진단 정보를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1630은, 조영제가 투입된 이후에 진단이 진행 중인 상황을 도시한다.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조영제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촬영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복수의 의료 이미지를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에서 진행된 프로토콜의 결과인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 1630에서 획득한 의료 이미지를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163) 또는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16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이미지를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161) 또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162) 상에 표시하고, 해당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던 진단 정보를 다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1640은, 진단이 종료된 상황을 도시한다.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의 진단이 종료된 이후, 진단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대상체의 진단 부위의 크기, 길이, 부피 값을 계산할 수도 있고, 조영제가 투입된 혈관 경로를 영상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진단 시스템(30)은 진단 부위 부근에서 종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를 표시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결과를 분석한 정보를 진단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음 촬영 대상인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 스케쥴에 대한 정보 또한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진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들(161, 162, 163, 164)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에 대한 진단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새로운 진단 정보에 따라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획득하는 진단 정보 수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각각에 대하여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고, 각 디스플레이부(160)에 서로 다른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설정된 우선순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간에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획득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여러 가지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의 배치 형태, 디스플레이부(160)의 위치 등 콘솔 룸 윈도우(20)와 디스플레이부(160) 간의 위치 관계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60)의 크기, 해상도 등 디스플레이부(160)의 사양 또한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도시된 숫자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정한 우선순위를 도시한다. 즉,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는 "1"부터 "6"까지 적혀진 숫자에 대응되는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우측 하단의 디스플레이부("1"이 도시된)에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두 종류의 진단 정보를 더 획득하고,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두 디스플레이부("2", "3"이 각각 도시된)에 새로운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60)에 설정된 우선순위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동일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4", "5", "6"이 적혀진 디스플레이부는, 동일한 "4" 순위의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 상에 진단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우선순위에 더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시선의 방향 등을 고려할 수도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 "5", "6"이 적혀진 세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를 감지하고 획득한 진단 정보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솔 룸 윈도우(20)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 "5", "6"이 적혀진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에게 가까운 "4" 가 적혀진 디스플레이부 상에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디스플레이부의 우선순위에 따라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160)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되나,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60)에 동일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8의 상단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뇌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진단 정보로써 획득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진단 정보인 뇌 의료 이미지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인 "1"이 적힌 디스플레이부(181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8의 하단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또 다른 의료 이미지인 복부 의료 이미지를 진단 정보로써 획득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부 의료 이미지를 두 번째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인 "2"가 적힌 디스플레이부(182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세 번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3"이 적힌 디스플레이부 상에 세 번째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진단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에 도 17에서 설명한 우선순위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9의 상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진단 시스템(30)으로부터 촬영 스케쥴을 진단 정보로써 획득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우측 하단의 디스플레이부(1910)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변환한 디스플레이부(1910) 상에 촬영 스케쥴 진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9의 하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새로운 진단 정보로써 뇌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획득한다. 한편, 도 18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6개의 디스플레이부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우선순위가 아니라 진단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는 진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시점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으며, 최선 순위 디스플레이부(1910)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영 스케쥴 진단 정보의 경우, 의료 이미지 보다 낮은 중요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단 정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중요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진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더 높은 중요도를 갖거나 또는 가장 새롭고 최근에 획득된 진단 정보인 의료 이미지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인 우측 하단의 디스플레이부(19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 스케쥴 진단 정보를 두 번째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1920)로 옮겨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우선순위와 진단 정보의 중요도를 함께 고려하여 진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의료 이미지보다 더 높은 중요도를 갖는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 스케쥴 진단 정보와 의료 이미지 진단 정보를,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부 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로 옮겨서 출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4개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4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20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을 공통적으로 받는 디스플레이 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1, 2, 3, 5, 6 내지 10... 20 등과 같은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솔 룸에는 의료 진단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를 도 1과 같이 각각 별도로 포함하는 경우, 조작의 편의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모두 대응되는 일원화된 사용자 입력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20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2000)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4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2010)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이어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2010) 상에 출력되는 실드 룸 내부 영상이나 진단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입력에 따라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20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4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2030)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2030)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어 입력이 수신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응되는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20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2000)의 특정 키를 누르는 입력을 선택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F1", "F2", "F3", "F4" 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각각 첫 번째 디스플레이부(2010),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2020), 세 번째 디스플레이부(2030), 네 번째 디스플레이부(2040)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F2" 키를 누른 이후에 사용자 입력부(2000) 상의 다른 키를 입력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두 번째 디스플레이부(2020)에 대한 제어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콘솔 룸 윈도우(2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는 LCD panel, TFT-LCD 패널, OLED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들은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부 측면 에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배치되는 카메라가 콘솔 룸 윈도우(20)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좌측 상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4개의 디스플레이부(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상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하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좌측, 우측, 상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5개의 디스플레이부(2130)를 포함한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좌측 하단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부가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측 하단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주변에 배치되는 "L" 자 형태의 6개의 디스플레이부(2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서 도시된 실시 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 대한 실시 예이다. 디스플레이부의 개수, 배치 형태 및 위치는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콘솔 룸 윈도우(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형성되는 6개의 디스플레이부들(2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콘솔 룸 윈도우(2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콘솔 룸 윈도우(20)의 작은 영역만을 커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솔 룸 윈도우(20)는 로 다르거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각각이 의료 또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적인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로 분할되어 동작가능한 단일 디스플레이부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커버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콘솔 룸과 분리된 구조를 갖거나 콘솔 룸 윈도우(20)에 부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160)는 콘솔 룸 윈도우(20)에 삽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콘솔 룸 윈도우(20) 상에 접착 물질, 또는 고정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솔 룸 윈도우(20) 및 디스플레이부들을 포함하는 구성이 콘솔 룸과 검사실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검사실은 대상체를 위치시켜 의료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모든 공간을 지칭하며, 실드 룸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검사실로 실드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예로, 콘솔 룸과 실드 룸 사이에 이미 설치된 콘솔 룸 윈도우(20) 상에 디스플레이 부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M*N 의 메트릭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그룹들의 배열로써 배치될 수 있으며, 메트릭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그룹들에 포함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은 데이터 버스(2114), 네트워크 또는 기타 유무선의 연결 방법등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워크스테이션(2116)과 접속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21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2118), 적어도 하나의 메뉴키(2220)를 포함하는 키보드(2000), 마우스(2222)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2118)는 다양한 그래픽 물체(2119), 메뉴,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의 의료 검사 및 실드 룸 내부에 있는 의료 장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60)의 동작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상체가 위치한 환자 침대의 움직임, 대상체로 조영제(contrast)를 투여하기 위한 조영제 투여 장치, 또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여 대상체를 이미징하기 위한 CT 스케너 또는 MRI 시스템 등과 같은 의료 영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키(2220)를 포함하는 키보드(2000), 마우스(2222)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것,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다른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118)는 영상의 추가적인 목표 영역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른 종류의 조영제를 투여하여야 하는 경우, 다른 MR 시퀀스를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추가적인 진단 절차가 필요한 경우에 다른 전문가, 예를 들어, 외과 의사, 다른 분야 의사 등과 사용자가 직접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2116)은 이미지 획득부로부터 룸 영상을 획득하고 룸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룸 영상 처리기(room image processor)(2121), 및 대상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관심 영역(ROI)에서의 의료 이미지를 형성하는 의료 처리기(medical processor)(2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의료 처리기(212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가상 디스플레이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개별구동이 가느안 실제 또는 가상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또는 디스플레이)(2320, 2322, 2324, 2326, 2328, 2330, 2332, 2334)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전 처리기(2310)는 병원 데이터베이스(23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개인 기록, 의료 이력 기록, 이전 이미징 절차에서의 결과 등과 같이 대상체에 대한 의료 정보를 병원 데이터베이스(231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전 처리기(2310)는 또한 이미징 스케쥴 또는 이미징 절차에서의 이미징 프로토콜의 스케쥴을 생성하기 위한 스케쥴 생성기(2314)와 연결될 수 있다.
전 처리기(2310)는 획득된 의료 정보를 분리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또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상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처리기(2310)는 대상체에 대한 개인 기록을 제1 디스플레이부(2320)에 디스플레이하고, 의료 이력 기록을 제2 디스플레이부(2322)에 디스플레이고, 이전 이미징 절차의 결과를 제3 디스플레이부(2326)에 디스플레이하며, 현재 이미징 절차를 위한 이미징 프로토콜을 제4 디스플레이부(232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의료 정보는 제2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2 모드) 또는 제3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3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5 디스플레이부(2328), 제6 디스플레이부(2330), 제7 디스플레이부(2332), 및 제8 디스플레이부(2334)를 통하여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의료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 또는 사전 설정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처리기(2310)와 관련된 동작은 도 16에서 설명한 동작(1610)에 대응될 수 있다.
모니터링 처리기(2340)는 대상체로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한 조영제 투여 장비(contrast injection equipment(2342)는 대상체 내에서 퍼지는 조영제의 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조영제가 퍼지는 것을 나타내는 의료 이미지를 제6 디스플레이부(23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2 모드) 또는 제3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3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의료 정보는 제7 디스플레이부(2332), 및 제8 디스플레이부(2334)가 실드 룸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의료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디스플레이부(2330), 제7 디스플레이부(2332), 및 제8 디스플레이부(2334)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간 포인트에서 조영제가 퍼지는 의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처리기(2340)의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동작(162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징 처리기(imaging processor)(2350)는 제2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2 모드) 또는 제3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3 모드)에서, 제8 디스플레이부(2334)가 대상체의 일 관심 영역을 촬영하여 획득된 의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뇌 이미지 등과 같은 이미징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동작하는 이미징 장치에서 촬영된 대상체의 다른 관심 영역(ROI)에 해당하는 의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7 디스플레이부(233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접수 처리기(registration processor)(2354)는 CT 스케너(2356)과 MRI시스템(2358)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의료 영상 장비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59)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메모리(2359)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접수 처리기(2354)는 제2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2 모드) 또는 제3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3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의료 이미지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될 의료 정보를 등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디스플레되고 있었던 조영제 관련 정보 및/또는 조영제 퍼짐 영상을 다른 모달리티에서 획득된 중첩되는 영상으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징 처리기(2350) 및 접수 처리기(2354)의 동작은 도 6에서 설명한 동작(1630)에 대응될 수 있다.
분석 처리기(2360)는 제2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2 모드) 또는 제3 의료 정보 제공 모드(제3 모드)에서, 환자의 이미징 동안에 생성된 의료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로써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처리기(2360)는 종양(tumor)을 갖는 대상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처리기(2360)의 동작은 도 16에서 설명한 동작(1640)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들 각각에 대한 진단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는 사용자 등에 의해서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부들이 열 상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콘솔 룸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로써 생성될 수도 있으며, 실드 룸 내부에 대한 관찰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콘솔 룸 윈도우의 외각 경계 주변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 사용자
10: 대상체
20: 콘솔 룸 윈도우
30: 의료 진단 시스템
100: 의료 정보 제공 장치
110: 영상 획득부
120: 영상 처리부
130: 진단 정보 획득부
140: 모드 결정부
150: 사용자 입력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센서부
180: 제어부

Claims (41)

  1.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에 중첩되는 상기 진단 정보를 제1 모드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이미지를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실드 룸과 분리된 콘솔 룸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 따라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제3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획득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의료 정보 제공 모드가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크기,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획득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드 룸을 관찰하기 위한 상기 콘솔 룸의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각각 매칭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과정에 대한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1. 대상체가 위치하는 실드 룸(shield room)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대상체와 관련된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에 중첩되는 상기 진단 정보를 제1 모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의료 정보 제공 모드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및 상기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실드 룸과 분리된 콘솔 룸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인,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의료 진단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대상체의 진단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각각에 대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의료 정보 제공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크기,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가 획득하는 진단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드 룸을 관찰하기 위한 상기 콘솔 룸의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실드 룸 내부의 영상 중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매칭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을 각각 매칭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일부 영역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공통적으로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과정에 대한 정보, 상기 대상체의 진단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4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장치.
  41.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71055A 2013-06-12 2014-06-11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1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5175 WO2014200289A2 (en) 2013-06-12 2014-06-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US14/303,086 US10283088B2 (en) 2013-06-12 2014-06-1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EP14172191.0A EP2813959A3 (en) 2013-06-12 2014-06-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CN201480045372.4A CN105473071A (zh) 2013-06-12 2014-06-12 用于提供医疗信息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304 2013-06-12
KR1020130067304 2013-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91A true KR20140145091A (ko) 2014-12-22
KR101716422B1 KR101716422B1 (ko) 2017-03-14

Family

ID=5267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55A KR101716422B1 (ko) 2013-06-12 2014-06-11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422B1 (ko)
CN (1) CN1054730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42A1 (ko) * 2017-03-07 2018-09-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내시경을 이용한 수면호흡장애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및 수면호흡장애 진단 및 모니터링방법
WO2019231216A1 (ko) * 2018-05-28 2019-12-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시각 보조 장치 및 시각 보조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시각 보조 방법
KR102301689B1 (ko) * 2020-09-17 2021-09-1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다기능 콘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4034A (zh) * 2016-10-20 2017-02-22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数据显示系统及显示方法
CN108804060A (zh) * 2017-04-27 2018-11-13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液晶屏图像显示方法、图像显示装置和家用电器
CN108209952B (zh) * 2018-01-02 2021-09-21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医疗监控系统及方法、医疗设备
CN112837767A (zh) * 2019-11-25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医疗数据的处理方法、健康档案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856A (ja) * 1995-07-24 1997-02-07 Denso Corp 表示装置
KR20040077609A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JP2010057528A (ja) * 2008-09-01 2010-03-18 Fujifilm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並びに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115299A (ja) * 2010-11-29 2012-06-21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592B1 (en) * 2000-06-02 2004-03-09 Medrad, Inc. Communication systems for use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s
DE10109219B4 (de) * 2001-02-26 2005-07-07 Siemens Ag Positioniereinrichtung für bildgebende Diagnosesysteme
DE10210050A1 (de) * 2002-03-07 2003-12-0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holt gleichen Relativpositionierung eines Patienten
US20060100497A1 (en) * 2004-11-09 2006-05-11 Hirokazu Sawazaki Medical information system, program product for use in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o manage a medical procedures
DE102008046023B4 (de) * 2008-09-05 2010-06-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Tomographieanlage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Personen
DE102010035917B4 (de) * 2010-08-31 2017-07-27 Siemens Healthcare Gmbh Strahlenschutzwand für Mammographiesysteme mit integrierter Benutzeroberfläche
CN202023377U (zh) * 2011-03-17 2011-11-02 上海爱立峰医疗科技有限公司 一体式磁共振医疗室
EP2737845B1 (en) * 2012-12-03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apparatus operatively coupled with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856A (ja) * 1995-07-24 1997-02-07 Denso Corp 表示装置
KR20040077609A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JP2010057528A (ja) * 2008-09-01 2010-03-18 Fujifilm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並びに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115299A (ja) * 2010-11-29 2012-06-21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42A1 (ko) * 2017-03-07 2018-09-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내시경을 이용한 수면호흡장애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및 수면호흡장애 진단 및 모니터링방법
US11246528B2 (en) 2017-03-07 2022-02-15 Pharos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sleep-disordered breathing by using drug induced sleep endoscopy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sleep-disordered breathing
WO2019231216A1 (ko) * 2018-05-28 2019-12-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시각 보조 장치 및 시각 보조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시각 보조 방법
US11475663B2 (en) 2018-05-28 2022-10-18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Visual aid device and visual aid method by which user uses visual aid device
KR102301689B1 (ko) * 2020-09-17 2021-09-1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다기능 콘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22B1 (ko) 2017-03-14
CN105473071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22B1 (ko)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830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KR101539234B1 (ko) 의료 진단 장치의 오류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장치
CN106569673B (zh) 多媒体病历报告的显示方法及多媒体病历报告的显示设备
KR101716421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의료 진단 장치
CN105769240B (zh) 显示医学图像的设备和方法
US10842466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ultrasound apparatus therefor
KR101636876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50160821A1 (en) Method of arranging medical images and med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042028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US9220482B2 (en) Method for providing ultrasound images and ultrasound apparatus
US10285665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2694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EP28897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dical images
WO2016125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dical image
KR20160139810A (ko)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6683402B2 (ja) 医療映像表示方法及び医療映像表示装置
KR101643322B1 (ko)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CN111904768B (zh) 医疗设备扫描孔径内图像显示方法和医疗设备
JP2022145671A (ja) ビューワ、前記ビューワの制御方法および前記ビューワ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3032238A (ja) 医用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