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339A - 부잔교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잔교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339A
KR20140144339A KR1020130065772A KR20130065772A KR20140144339A KR 20140144339 A KR20140144339 A KR 20140144339A KR 1020130065772 A KR1020130065772 A KR 1020130065772A KR 20130065772 A KR20130065772 A KR 20130065772A KR 20140144339 A KR20140144339 A KR 20140144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ridges
deck
present
plat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모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모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모건
Priority to KR102013006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339A/ko
Publication of KR2014014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콘크리트가 소정 두께로 타설되어 장방형의 데크를 이루고, 하부에는 다수 개로 구획된 공간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부잔교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부잔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잔교들의 데크에 형성된 결합홈에 수용되어서 상기 부잔교들이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수 개의 부잔교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지만 부잔교의 연결부재가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할 수 있어 그 원래의 수면에서의 부유 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잔교 연결장치{Conncecting apparatus of floating piers}
본 발명은 부잔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 설치되어 선박 접안용으로 이용되는 부잔교들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 설치하여서 다수 개의 부잔교가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부잔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물에 뜨도록 만든 상자형의 부체(浮體)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상판(데크)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積楊)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며, 수위에 따라 상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부체 여러 개를 결합하여 부잔교를 만드는 경우, 부체를 서로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파도가 심한 바다, 강, 호수 등의 수상에 부체 여러 개를 연결하여 부잔교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부체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주면서도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연결기구가 필요하다.
종래의 부잔교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412호(2012년 4월 19일)와 같이 도 1에 개시된 부잔교는, 다수의 부체(100)와; 부체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부체의 양측에 돌출되고,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바와; 둘 이상의 부체(100)를 연결하도록 둘 이상의 부체(100)의 돌출바에 장착되는 제1 연결패널(300)과; 제1 연결패널(300)을 관통한 돌출바에 장착되어 제1 연결패널(300)에 접하고, 양측끝단이 제1 연결패널의 양측끝단의 위치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커버패널(400); 및 제1 연결패널(300) 및 커버패널(400)을 관통한 돌출바에 결합되어 제1 연결패널(300)과 커버패널(400)을 부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서, 다수의 부체(100)를 연결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쉬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하다. 또한, 부체 사이의 연결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고 항상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선박 등의 접안 등에 따른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1 연결패널들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 부잔교에 있어서는,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부체가 심한 파도에 휩쓸릴 경우 다수 개의 부체가 결합된 부잔교 전체가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하지 못하고 동시에 휩쓸리게 되어 뒤엎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부잔교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지만 부잔교의 연결부재가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할 수 있어 그 원래의 수면에서의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부잔교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에 콘크리트가 소정 두께로 타설되어 장방형의 데크를 이루고, 하부에는 다수 개로 구획된 공간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부잔교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부잔교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들의 데크에 형성된 결합홈에 수용되어서 상기 부잔교들이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잔교들 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에 장착된 브라켓과, 양측에 구비된 볼트가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을 통과하게 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다수 개의 부잔교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면, 부잔교들 간에서의 유동이 서로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할 수 있어, 다수 개의 부잔교가 그 원래의 수면에서의 부유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잔교의 원래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의 연결장치에 의해 부잔교들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 연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부분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 연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 연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부분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들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또는 목재가 소정 두께로 타설되어 장방형의 데크(11)를 이루고 있고, 하부에는 다수 개로 구획되어서 스티로폼과 같은 부유물의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12)가 구비된 콘크리트 부잔교(10)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는, 상기 부잔교(10)들의 데크(11)들이 연결부재(20)를 통해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잔교(10)들 사이에 다수 개로 설치된다.
상기 부잔교(10)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는 부잔교(10)들의 데크(11)에 형성된 결합홈(15)에 수용되어서 부잔교(10)들이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브라켓(22) 및 탄성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22)은 다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결합홈(15)에 견고하게 장착되어서 다음에 기술되는 탄성체(24)가 부잔교(10)들의 데크(11)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브라켓(22)은 도면들에서는 비록 한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데크(11)에 탄성체(24)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24)는 부잔교(10)들을 서로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하되, 부잔교(10)들 서로에 있어서, 즉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하여 부잔교(10)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탄성체(24)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로 구비된 볼트(23)가 브라켓(22)의 관통공을 통과하게 하여 너트(21)로 체결되어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21)는 파도의 심한 너울거림에 의해 풀려져서 볼트(23)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서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볼트(23)에 체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24)는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하여 서로 연결된 부잔교(10)들의 결합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강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하였지만, 파도의 너울거림에 대응하는 탄성작용을 가지기만 하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부잔교 11: 데크
12: 공간부 15: 결합홈
20: 연결부재 21: 너트
22: 브라켓 23: 볼트
24: 탄성체

Claims (3)

  1. 상면에 콘크리트가 소정 두께로 타설되어 장방형의 데크(11)를 이루고, 하부에는 다수 개로 구획된 공간부(12)가 구비된 콘크리트 부잔교(10)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부잔교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10)들의 데크(11)에 형성된 결합홈(15)에 수용되어서 상기 부잔교(10)들이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하는 연결부재(20)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10)들 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20)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15)에 장착된 브라켓(22)과,
    양측에 구비된 볼트(23)가 상기 브라켓(22)의 관통공을 통과하게 하여 너트(21)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탄성체(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4)는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연결장치.
KR1020130065772A 2013-06-10 2013-06-10 부잔교 연결장치 KR20140144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72A KR20140144339A (ko) 2013-06-10 2013-06-10 부잔교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72A KR20140144339A (ko) 2013-06-10 2013-06-10 부잔교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39A true KR20140144339A (ko) 2014-12-19

Family

ID=5267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772A KR20140144339A (ko) 2013-06-10 2013-06-10 부잔교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150A (zh) * 2020-03-31 2020-07-1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勤务学院 一种快速输转船载液态危化品的轻型浮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150A (zh) * 2020-03-31 2020-07-1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勤务学院 一种快速输转船载液态危化品的轻型浮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7640881B1 (en) Dock system
US7273018B2 (en)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KR101140412B1 (ko) 부잔교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100804057B1 (ko) 플로트 조립체의 부속물 설치구조
KR20140144339A (ko) 부잔교 연결장치
US4085696A (en) Utility chase for floating units
KR20190071564A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볼트 체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면 구조물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KR101617190B1 (ko) 접합식 플로팅 도크 및 확장 플로팅 도크
KR102417512B1 (ko)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101551838B1 (ko) 도교 자중 완화장치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KR20090009601U (ko) 플로팅 도크에서 선체의 이동 방지를 위한 스토퍼 장치
KR100544858B1 (ko) 해상 접안 시설물 시공을 위한 가교 바지선의 연결장치
KR200475669Y1 (ko) 선박용 방파 구조물
KR101475009B1 (ko) 바지선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KR101063726B1 (ko) 육안 연결교용 힌지 장치
CA1140401A (en) Cantilevered finger piers for marine floats
KR101995467B1 (ko) 부유체
KR200488461Y1 (ko) 헬리데크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