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277A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277A
KR20140144277A KR1020147031236A KR20147031236A KR20140144277A KR 20140144277 A KR20140144277 A KR 20140144277A KR 1020147031236 A KR1020147031236 A KR 1020147031236A KR 20147031236 A KR20147031236 A KR 20147031236A KR 20140144277 A KR20140144277 A KR 20140144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b
power supply
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오까모또
다쯔야 후지끼
도시히로 미야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자장치가 비대응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의 접속을 검지 가능하게 한다. 전자 기기(1)는 통신 커넥터(10), 판정부(21) 및 설정 제어부(22)를 갖는다. 통신 커넥터(10)는 전원 단자(11) 및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를 구비한다. 판정부(21)는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 중,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되고,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신호 단자(12b)의 전위에 기초하여, 통신 커넥터(10)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설정 제어부(22)는, 판정부(21)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원 단자(1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끼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 규격 중에는, 한쪽의 전자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전자 기기로,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 대표적인 통신 규격으로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취하는 것이 어려운 휴대형의 전자 기기는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의 공급을 받음으로써, 기동하여 통상의 동작을 행하거나, 혹은,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관한 규정은 통신 규격에 따라서 다양하다. 예를 들면 USB의 경우, USB1.1 및 USB2.0의 각 규격에서는, 출력 전압은 5V이고, 출력 전류는 0.5A이다. 이에 반해 USB3.0 규격에서는, 출력 전압은 마찬가지로 5V이지만, 출력 전류는 0.9A로 되어 있다.
또한, 접속된 전자 기기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규격을 판정하기 위한 기술예로서는, USB2.0 및 USB3.0의 양쪽의 규격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단자 중, USB3.0 규격에서의 통신용의 그라운드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규격을 판정하는 전자 기기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03781호 공보
상기와 같이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의 공급을 받는 전자 기기에서는 공급되는 전력이 큰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는, 공급되는 전력이 큰 쪽이,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규격과 같이, 통신 규격의 세대에 따라서 전원의 규정이 상이하고, 또한 통신 케이블의 물리적인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 통신 규격의 경우, 접속된 전자 기기 중 한쪽이 오래된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다른 쪽이 새로운 통신 규격에 대응한다고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오래된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는, 접속된 다른 쪽의 전자 기기가 새로운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큰 전력의 공급 능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급된 전원에 관한 설정을, 오래된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작은 전력밖에 소비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왜냐하면, 오래된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는, 접속된 다른 쪽의 전자 기기가 새로운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자장치가 비대응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의 접속을 검지 가능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전자 기기는 통신 커넥터, 판정부 및 설정 제어부를 갖는다. 통신 커넥터는 전원 단자와 복수의 신호 단자를 구비한다. 판정부는, 복수의 신호 단자 중,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되고,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설정 제어부는,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원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한다.
또한, 하나의 안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 형태에 의하면, 자장치가 비대응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의 접속을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예와, 그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USB 인터페이스 및 전원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USB3.0 기기가 구비하는 접속 검지용의 회로 구성예와, 그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USB3.0 기기가 구비하는 접속 검지용의 회로 구성예와, 그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접속 검지 신호 출력 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기 판정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기기 판정 회로 내에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기 판정 회로 내에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접속 기기의 판정 수순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프로빙 및 센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프로빙 및 센싱 실행 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예와, 그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기기(1)는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기이다. 전자 기기(1)는 통신 커넥터(10), 판정부(21) 및 설정 제어부(22)를 구비한다.
통신 커넥터(10)는 제1 통신 규격에 준거한 커넥터이며, 전원 단자(11) 및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를 구비한다.
전원 단자(11)에는, 통신 커넥터(10)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전원 신호가 공급된다. 전원 단자(11)로부터 공급된 전원 신호는, 예를 들면 전자 기기(1)가 구비하는 전원 회로(23)에 입력되고, 이 전원 회로(23)로부터 전자 기기(1) 내의 각 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자 기기(1)는 전원 단자(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이 전원 신호 이외의 전원(예를 들면, 전자 기기(1)가 구비하는 배터리)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커넥터(10)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기인 경우, 전원 단자(11)에는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사양의 전원 신호가 공급된다. 한편, 통신 커넥터(10)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기인 경우, 전원 단자(11)에는 제2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사양의 전원 신호가 공급된다. 제1 통신 규격과 제2 통신 규격에서는, 예를 들면 전원 단자(11)에 공급되는 최대 전력이 상이하다.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는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단자이다. 여기서, 전자 기기(1)는, 제2 통신 규격에서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경우라도,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규격은, 동 계통의 통신 규격 중, 제1 통신 규격보다 새로운 세대의 통신 규격이며, 제1 통신 규격과 제2 통신 규격 사이에는 후방 호환성이 있다.
판정부(21)는,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 중,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판정부(21)는 신호 단자(12b)의 전위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한다. 또한, 신호 단자(12b)는,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제어부(22)는, 판정부(21)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원 단자(1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설정 제어부(22)는, 전원 회로(23)에 대하여,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의 절환을 지시한다.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최대 소비 전류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규격과 제2 통신 규격에서는 전원 신호의 사양이 상이하기 때문에, 설정 제어부(22)는, 접속된 다른 기기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전원 신호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한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1)는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되어 있지만,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신호 단자(12b)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1)는,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하여,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제2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사양에 적합하도록 절환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기기(1)에 대하여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경우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신호 단자(12b)가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 단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좌측 하방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다른 전자 기기(2)는, 예를 들면 전용의 통신 케이블(전용 케이블(31))에 의해 전자 기기(1)와 접속된다. 이 경우, 전자 기기(1)는 전자 기기(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신호를 전원 단자(11)를 통하여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자 기기(1)는, 복수의 신호 단자(12a, 12b, …) 중 적어도 신호 단자(12b)를 제외한 다른 신호 단자를 통하여, 전자 기기(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자 기기(2)가 구비하는 단자 중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단자(2a)와, 통신 커넥터(10)의 신호 단자(12b)가 전용 케이블(31)에 의해 결선된다. 이 경우, 전자 기기(1)의 판정부(21)는, 신호 단자(12b)의 전위에 기초하여,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2)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2)의 내부에 있어서, 수신 단자(2a)는 도시하지 않은 종단 저항에 의해 종단된다. 전자 기기(1)의 판정부(21)는, 예를 들면 커플링 콘덴서를 통하여 신호 단자(12b)에 판정 신호를 출력하고, 커플링 콘덴서의 신호 단자(12b)와는 반대측의 전위의 변동 상황으로부터, 전용 케이블(31)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12b)에 접속된 접속선의 타단이 종단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판정부(21)는, 접속선의 타단에 종단 저항이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2)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도 1의 우측 하방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다른 전자 기기(3)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규격에 준거한 범용의 통신 케이블(범용 케이블(32))에 의해 전자 기기(1)와 접속된다. 이 경우, 범용 케이블(32)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12b)도 접속된 접속선의 타단은, 수신 단자(2a)에는 접속되지 않고, 종단 저항에 의해 종단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1)의 판정부(21)는, 신호 단자(12b)에 커플링 콘덴서를 통하여 판정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의 전위의 변동 상황으로부터, 접속선의 타단이 종단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하여,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다른 전자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가, 신호 단자(12b) 이외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다른 전자 기기(3)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1)는 신호 단자(12b)를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방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1)는,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하여,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제2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사양에 적합하도록 절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전자 기기의 예로서,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2.0 규격과, 그 확장 사양인 USB OTG(On The Go)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 OTG 규격에서 규정된 "듀얼 롤 디바이스(Dual role device)"이며, USB 호스트로서도 USB 디바이스로서도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USB 호스트"란, USB 규격에서 규정된 호스트측 장치이며, "USB 디바이스"란, USB 규격에서 규정된 슬레이브측 장치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를 "USB2.0 기기", USB2.0 기기 중 USB OTG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를 "OTG 기기",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를 "USB3.0 기기"라 부른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101)에는 메모리/IO(In/Out) 컨트롤러(102)를 통하여, RAM(Random Access Memory)(104)과 복수의 주변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RAM(104)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주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RAM(102)에는 CPU(10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104)에는 CPU(10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IO 컨트롤러(102)에 접속되어 있는 주변 기기로서는 플래시 메모리(105), 표시부(106), 입력부(107), SCU(System Control Unit)(103) 및 USB 인터페이스(110) 등이 있다.
플래시 메모리(105)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2차 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플래시 메모리(105)에는 OS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로서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다른 종류의 불휘발성 기억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106)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한다. 표시부(106)는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107)는 조작 키 등의 소정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101)에 송신한다.
SCU(103)는, CPU(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후술하는 전원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서브 CPU이다.
또한, CPU(101), 메모리/IO 컨트롤러(102) 및 SCU(103)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108)에 실장된다.
USB 인터페이스(110)는 USB 소켓(111)을 통하여 USB2.0 및 USB OTG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USB 소켓(111)은," 마이크로 AB"라 불리는, USB 호스트측 및 USB 디바이스측 중 어느 쪽의 소켓으로서도 사용 가능한 소켓이다. 또한, USB 소켓(111)은 "미니 AB"라 불리는 소켓이어도 된다.
전원부(120)는 USB 소켓(111) 및 배터리(13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120)는 USB 소켓(111) 또는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변압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의 내부의 각 부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20)는 USB 소켓(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배터리(130)에 인가하여, 배터리(13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부(120)는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변압하여, USB 소켓(111)을 통하여 다른 기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기능을 구비한 정보 단말기, 태블릿형 단말기, 오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실현 가능하다.
도 3은 USB 인터페이스 및 전원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의 굵은 선은 전원 전압의 인가 경로를 나타낸다.
USB 인터페이스(110)는 PHY(물리층 회로)(112)와, 기기 판정 회로(113)를 구비한다. 전원부(120)는 충전 IC(Integrated Circuit)(121)와, PMU(Power Management Unit)(122)를 구비한다.
또한, USB 소켓(111)은 Vbus 단자, D+ 단자, D- 단자, ID 단자 및 GND 단자를 구비한다. Vbus 단자는 5V의 전원 신호가 전달되는 단자이다. D+ 단자 및 D- 단자는 USB2.0 규격 및 USB OTG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단자이다. ID 단자는 USB OTG 규격에서 규정된 단자이며, 접속된 다른 기기가 USB 호스트와 USB 디바이스 중 어느 쪽인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GND 단자는 접지 전위로 되는 단자이다.
충전 IC(121)는 PMU(122)에 대하여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나, 배터리(130)를 충전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PMU(122)는 CPU(101)로부터의 지시를 SCU(103)를 통하여 수신하여, 충전 IC(12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나, 충전 IC(121)로부터 공급된 시스템 전원을 승압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 내의 각 부에 공급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경우, 충전 IC(121)는 Vbus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PMU(122)에 공급함과 함께, 이 전원 전압을 배터리(130)에 공급하여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1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경우, 충전 IC(121)는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PMU(122)에 공급함과 함께, Vbus 단자로부터 다른 기기에 대하여 5V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PHY(112)는 D+ 단자 및 D-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는 수신 신호를, 메모리/IO 컨트롤러(102)를 통하여 CPU(101)에 통지한다. 또한, PHY(112)는 CPU(101)로부터 지시된 송신 신호를, D+ 단자 및 D- 단자를 통하여 다른 기기에 송신한다. PHY(112)는, CPU(101)에 의한 제어 하에서, USB2.0 규격 또는 USB OTG 규격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PHY(112)는, 다른 기기로부터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었을 때에, 다른 기기에 대하여 자장치(즉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존재를 통지하는 기능이나, ID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기기 판정 회로(113)는, ID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USB3.0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PMU(122)에 통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기 판정 회로(113)는 커플링 콘덴서를 구비하고, ID 단자에 대하여 커플링 콘덴서를 통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USB3.0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기 판정 회로(113)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USB3.0 기기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충전 시간은 충전 전류를 크게 할수록 짧아진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개시로부터 최초의 기간에서는 정전류에 의한 충전(프리차지)이 행해지고,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의 상한 전압 Vmax에 도달하면, 정전압에 의한 충전이 행해진다.
정전류에 의한 충전이 행해지는 기간, 즉, 배터리의 전압이 상한 전압 Vmax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충전 전류가 클수록 짧아진다. 도 4에서는 예로서, 정전류 0.9A로 충전한 경우와, 정전류 0.5A로 충전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정전류 0.9A에 의한 충전의 기간(시각 T0부터 T1)은, 정전류 0.5A에 의한 충전의 기간(시각 T0부터 T2)보다도 짧아진다.
또한, 도 4와 같이, 정전압에 의한 충전이 행해지는 기간에서는 충전 전류는 서서히 저하되어 가기 때문에, 정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량은 정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량보다도 압도적으로 크다. 이 때문에, 충전 전류를 크게 하여, 정전류에 의한 충전의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을 빨리 완료시킬 수 있다.
그런데, USB2.0 규격 및 USB OTG 규격에서는, Vbus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의 정격값은 0.5A이다. 한편, USB3.0 규격에서는, Vbus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의 정격값은 0.9A이다. 따라서, USB 디바이스는, USB2.0 규격 또는 USB OTG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에 접속된 경우보다,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에 접속된 경우쪽이 배터리를 단시간에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USB3.0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는, USB3.0 규격뿐만 아니라, USB2.0 규격(단, USB OTG 규격을 제외함)에 따라서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에,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USB 호스트가 접속되는 케이스는 많다. 따라서,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라도, Vbus 단자를 통하여 0.9A의 전류의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많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는,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의 충전 회로는, USB3.0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충전 전류의 상한값(즉, 충전 시의 소비 전류의 상한값)을 0.5A로 제한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USB3.0 기기가 접속되어 있었다고 해도, 충전에 요하는 시간은 단축되지 않는다.
또한, USB2.0 규격에는 0.5A를 초과하는 전류에 의한 충전을 상정한 사양도 존재한다. USB2.0 규격에는 "USB 배터리 차징 사양"이라고 하는 Vbus 단자에의 전원 공급의 사양이 있다. 그리고, USB 배터리 차징 사양 중에서는, CDP(Charging Downstream Port) 및 DCP(Dedicated Charger Port)라고 하는 0.5A를 초과하는 전류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USB 호스트가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CDP 및 DCP 모두,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CDP 및 DCP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USB2.0 규격 본래의 사양을 일탈하는 사양이 강제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CDP 및 DCP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0.5A의 출력 전류가 최저 보장되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는, CDP 또는 DCP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라도, 반드시 0.5A를 초과하는 전류를 받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USB 배터리 차징 사양의 1.2판에서는 CDP의 출력 전류의 최저값이 1.5A까지 높여졌다. 그러나, 최저값이 0.5A인 1.1판과의 구별을 행하는 방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들 이유로부터,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디바이스는, 내부의 충전 IC에 대하여,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0.5A로 제한하기 위한 설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0.5A를 초과하는 입력 전류를 활용하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는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기 판정 회로(113)를 이용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충전 IC(121)의 설정을 0.9A의 입력 전류에 최적화하여, 배터리(130)의 충전을 단시간에 완료시킬 수 있다.
기기 판정 회로(113)는, USB 소켓(111)의 단자 중,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ID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USB3.0 규격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기기 판정 회로(113)는, USB3.0 기기끼리에서 실행되는 접속 검지 방법을 유용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USB3.0 규격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이하, 도 5∼도 7을 이용하여, USB3.0 기기끼리에서 실행되는 접속 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USB3.0 기기가 구비하는 접속 검지용의 회로 구성예와, 그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참고예로서 도시한 전자 기기(201, 202)는 모두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이다. 전자 기기(201)는 USB 호스트이어도, 혹은 USB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그리고, 전자 기기(201)가 USB 호스트인 경우, 전자 기기(201)가 USB 디바이스로 되고, 전자 기기(201)가 USB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기기(201)가 USB 호스트로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도 5에 도시한 전자 기기(201)가 구비하는 회로를 전자 기기(202)도 구비하고 있고, 도 5에 도시한 전자 기기(202)가 구비하는 회로를 전자 기기(201)도 구비하고 있다.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소켓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Tx+ 단자 및 Tx- 단자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x+ 단자 및 Rx- 단자를 구비한다. Tx+ 단자 및 Tx- 단자는 차동 출력 단자이고, Rx+ 단자 및 Rx- 단자는 차동 입력 단자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1)의 내부에 있어서, 송신 회로 TX의 정측 출력 단자와 Tx+ 단자 사이에는 AC 결합을 위한 커플링 콘덴서 C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신 회로 TX는 전자 기기(201)의 PHY의 일부를 구성한다. 커플링 콘덴서 C의 용량은 예를 들면 75nF∼200nF이다.
또한, 송신 회로 TX의 정측 출력 단자와 커플링 콘덴서 C 사이에는, 접속 검지용 회로의 예로서, 저항 R 및 스위치 SW가 접속되어 있다. 저항 R의 일단에는 검출 전압 Vdet가 인가되고, 저항 R의 타단은 스위치 SW를 통하여 커플링 콘덴서 C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자 기기(202)의 Rx+ 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에 의해, 전자 기기(201)의 Tx+ 단자와 접속된다. 전자 기기(202)의 내부에 있어서, Rx+ 단자는 신호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매치한 종단 저항 Rt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종단된다. 종단 저항 Rt는 예를 들면 50Ω 정도의 저항값을 갖는다.
전자 기기(202)가 USB 호스트인 경우, 전자 기기(202)는 적어도 자장치에 대하여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것을 핫 플러그에 의해 대기하는 동안, 종단 저항 Rt를 접속 상태로 한다. 한편, 전자 기기(202)가 USB 디바이스인 경우라도, 전자 기기(202)는 적어도, 자장치를 핫 플러그에 의해 USB 호스트에 인식시키기 위해서, 종단 저항 Rt를 접속 상태로 한다. 그리고, USB 호스트와 USB 디바이스는, 서로 상대측의 수신 회로에 있어서의 종단 저항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접속 상대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 후에 링크 확립을 위한 트레이닝 시퀀스를 실행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종단 저항 Rt의 존재 확인에 의해 접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 기기(201)는 스위치 SW를 정기적으로 일정 시간 온으로 함으로써, Tx+ 단자에 일정 간격의 접속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저항 R과 커플링 콘덴서 C 사이의 관측 전압 Vp를 검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201)로부터의 접속 검지 신호는 전자 기기(202)의 Rx+ 단자를 통하여 종단 저항 Rt에 흐른다. 이때, 접속 검지 신호에 의해 커플링 콘덴서 C가 충전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1)의 Tx+ 단자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플링 콘덴서 C의 대 그라운드 용량은 Tx+ 단자 개방 시의 부유 용량 C0과 직렬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부유 용량은, 예를 들면 0pF∼10pF의 용량을 갖는다. 그리고, 접속 검지 신호의 출력에 의해, 커플링 콘덴서 C와 부유 용량 C0의 전체가 충전되게 된다.
도 7은 접속 검지 신호 출력 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의 SW_on은 도 5의 스위치 SW의 온/오프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파형이고, 온일 때에 "1", 오프일 때에 "0"으로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관측 전압 Vp의 파형 중, 실선의 파형은 전자 기기(201)의 Tx+ 단자에 USB3.0 기기(도 5의 전자 기기(20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파형이고, 점선의 파형은 전자 기기(201)의 Tx+ 단자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파형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x+ 단자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플링 콘덴서 C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종단 저항 Rt는 접속되지 않고, 커플링 콘덴서 C보다 충분히 작은 부유 용량 C0이 접속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 SW가 온으로 되고 나서의 관측 전압 Vp의 수하 시간(즉, 용량 전체의 충전에 요하는 시간)은, Tx+ 단자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7 중의 시간 t11)보다, Tx+ 단자에 USB3.0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7 중의 시간 t12)쪽이 길어진다. 전자 기기(201)는, 스위치 SW를 온으로 하고 나서 관측 전압 Vp의 수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USB3.0 기기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도 5∼도 7에서는, Rx+ 단자를 통하여 종단 저항 Rt의 존재를 확인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Rx- 단자를 통하여 종단 저항 Rt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8∼도 10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 8∼도 10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도 10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USB 소켓(111)은 마이크로 AB 소켓인 것으로 하지만, USB 소켓(111)은 미니 AB 소켓이어도 된다. 미니 AB 소켓은 마이크로 AB 소켓과 마찬가지의 단자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2.0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의 USB 소켓(111)에는 범용의 USB 케이블이 접속된다. USB 규격에서는, 케이블의 일단에는 A 타입의 플러그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B 타입의 플러그가 설치된다. A 타입의 플러그는 USB 호스트에 접속되고, B 타입의 플러그는 USB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마이크로 B 플러그(221b)를 구비하는 범용 케이블(221)이 사용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USB 소켓(111)에는, 범용 케이블(221)의 마이크로 B 플러그(221b)가 접속된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USB 호스트인 전자 기기(211)는 마이크로 A 소켓(211a)을 구비하고 있고, 전자 기기(211)의 마이크로 A 소켓(211a)에는 범용 케이블(221)의 마이크로 A 플러그(221a)가 접속된다.
한편,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마이크로 A 플러그(222a)를 구비하는 범용 케이블(222)이 사용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USB 소켓(111)에는 범용 케이블(222)의 마이크로 A 플러그(222a)가 접속된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USB 디바이스인 전자 기기(212)는 마이크로 B 소켓(212b)을 구비하고 있고, 전자 기기(212)의 마이크로 B 소켓(212b)에는 범용 케이블(222)의 마이크로 B 플러그(222b)가 접속된다.
여기서, USB OTG 규격에 준거하는 범용 케이블(221, 222)에서는, USB 호스트측의 ID 단자와 GND 단자가 케이블 내 혹은 플러그 내에서 결선되는 한편, USB 디바이스측의 ID 단자는 어디에도 결선되지 않고 개방 상태로 된다. OTG 기기는 이와 같은 ID 단자의 결선 방법의 차이를 검지함으로써, 접속된 다른 기기가 USB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판별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전자 기기(211)는 마이크로 A 소켓(211a)을 구비하고 있지만, 마이크로 A 소켓(211a) 대신 미니 A 소켓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미니 A 소켓은 마이크로 A 소켓(211a)과 마찬가지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전자 기기(211)가 미니 A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소켓간의 결선 상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된다.
마찬가지로, 도 9의 예에서는, 전자 기기(212)는, 마이크로 B 소켓(212b)을 구비하고 있지만, 마이크로 B 소켓(212b) 대신 미니 B 소켓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미니 B 소켓은 마이크로 B 소켓(212b)과 마찬가지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전자 기기(212)가 미니 B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소켓간의 결선 상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USB2.0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케이스로서, USB 호스트는 스탠다드 A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USB 호스트와의 접속에는, 스탠다드 A 플러그와 마이크로 B 플러그를 구비하는 범용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 경우, 접속되어 있는 USB 호스트는 USB OTG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2.0 기기이고, 스탠다드 A 소켓에는 ID 단자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USB2.0 규격에 대응하지만 USB OTG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호스트와 접속되었을 때에는, USB 디바이스측(즉, 정보 처리 장치(100)측)의 ID 단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에,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의 예를 도 10에 도시한다. 전자 기기(213)는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예를 들면 USB3.0 규격에 준거하는 스탠다드 A 소켓(213a)을 구비한다. 스탠다드 A 소켓(213a)은 USB2.0 규격에서 각각 규정된 Vbus 단자, D+ 단자, D- 단자 및 GND 단자와, USB3.0 규격에서 각각 규정된 Tx+ 단자, Tx- 단자, Rx+ 단자, Rx- 단자 및 GND 단자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213)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접속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용 케이블(223)이 사용된다. 전용 케이블(223)에서는, USB 호스트측과 USB 디바이스측의 Vbus 단자끼리, D+ 단자끼리, D- 단자끼리 및 USB2.0 규격의 GND 단자끼리가 결선된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213)와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2.0 규격(단, USB OTG 규격을 제외함)에 따라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케이블(223)에서는, USB 디바이스측의 ID 단자와, USB 호스트측의 Rx+ 단자 또는 Rx- 단자가 결선된다. ID 단자는 USB OTG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에 접속되었을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기기에 접속되었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용 케이블(223)을 사용하여 ID 단자와 Rx+ 단자 또는 Rx- 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가 ID 단자를 통하여 종단 저항 Rt의 존재를 확인하고,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의 ID 단자와 USB 호스트의 Rx+ 단자 또는 Rx- 단자가 접속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0)는, ID 단자가 USB 호스트의 종단 저항 Rt에 의해 종단된 것을 인식하여,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의 ID 단자는 개방 상태로 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도 11은 기기 판정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기 판정 회로(113)를 이용하여, ID 단자를 통한 상기 접속 검지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 5, 도 6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기기 판정 회로(113)는 저항 R, 커플링 콘덴서 C, 트랜지스터 M, 멀티바이브레이터 M1, M2, 인버터 INV 및 D 플립플롭 DF를 구비한다.
저항 R 및 커플링 콘덴서 C는, 도 5에 도시한 저항 R 및 커플링 콘덴서 C에 대응하고, 트랜지스터 M은 도 5에 도시한 스위치 SW에 대응한다. 트랜지스터 M은 P 채널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Field Effect Transistor)이고,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판정 펄스 신호 DET가 반전된 펄스 반전 신호 DET#에 따라서, 저항 R로부터 커플링 콘덴서 C에 흐르는 전류의 온/오프를 행한다.
커플링 콘덴서 C의 트랜지스터 M과는 반대측의 단자는 USB 소켓(111)의 ID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100)가 도 10에 도시한 전용 케이블(223)을 통해 다른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 다른 기기의 Rx+ 단자 또는 Rx-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커플링 콘덴서 C와 USB 소켓(111)의 ID 단자 사이의 신호선은 PHY(112)에도 접속되어 있고, PHY(112)는 이 신호선의 전위를 판정 신호 OTG_ID로서 검출할 수 있다.
멀티바이브레이터 M1, M2는 모두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고, 한쪽의 출력 펄스가 다른 쪽에 입력됨으로써 링 카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멀티바이브레이터 M1의 반전 출력 단자(Q# 단자)로부터, 트랜지스터 M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 반전 신호 DET#이 출력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 M1에는 저항 R1 및 콘덴서 C1이 접속되고, 저항 R1의 저항값 및 콘덴서 C1의 용량에 의해 멀티바이브레이터 M1의 펄스 출력 기간, 즉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 되는 기간이 결정된다. 또한, 멀티바이브레이터 M2에는 저항 R2 및 콘덴서 C2이 접속되고, 저항 R2의 저항값 및 콘덴서 C2의 용량에 의해 멀티바이브레이터 M2의 펄스 출력 기간, 즉 트랜지스터 M이 오프로 되는 기간이 결정된다.
또한, 펄스 반전 신호 DET#은 D 플립플롭 DF의 클럭 단자에도 입력된다. 또한, 저항 R과 트랜지스터 M 사이의 관측 전압 Vp는 인버터 INV에 인가된다. 인버터 INV는 슈미트 트리거 타입의 인버터이며, 관측 전압 Vp의 파형을 정형함과 함께 반전하여, D 플립플롭 DF의 데이터 단자에 공급한다.
D 플립플롭 DF는 인버터 INV로부터의 출력 전압 U3_DETP의 레벨을, 펄스 반전 신호 DET#의 상승 타이밍(즉,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되는 타이밍)에서 래치한다. D 플립플롭 DF는, 관측 전압 Vp의 수하 시간에 따라서,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접속 판정 신호 U3_DET를 PMU(122)에 출력한다.
또한, 멀티바이브레이터 M1, M2의 각각의 클리어 단자에는, 접속 반전 신호 ATCH#이 반전되어 입력된다. 접속 반전 신호 ATCH#은 충전 IC(1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며, USB 소켓(111)의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있을 때에 하이 레벨로 되고, 인가되고 있지 않을 때에 로우 레벨로 된다. 접속 반전 신호 ATCH#의 하이 레벨의 전위는 기준 전압 Vcc 및 저항 R3에 의해 결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관한 판정 처리는, 다른 기기가 접속된 초기의 기간에 실행된다. 여기서, 다른 기기가 OTG 기기가 아닌 USB 호스트인 경우, Vbus 단자에는 접속 당초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되지만, 다른 기기가 OTG 기기인 경우, 접속 당초는 Vbus 단자에는 전원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에 다른 기기가 접속된 초기의 소정 기간에서는,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OTG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고, 이 상태에서는 접속 반전 신호 ATCH#이 로우 레벨로 된다. 이때, 멀티바이브레이터 M1, M2의 펄스 출력이 정지되어, 펄스 반전 신호 DET#이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트랜지스터 M이 오프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PHY(112)에 입력되는 판정 신호 OTG_ID에 기초하여, 접속된 OTG 기기가 USB 호스트인지 USB 디바이스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기기 판정 회로 내에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기기 판정 회로(11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 모두, 접속 반전 신호 ATCH#은 하이 레벨인 것으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판정 펄스 신호 DET는 펄스 반전 신호 DET#을 반전한 파형이며, 하이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 되었을 때의 관측 전압 Vp의 수하 시간(일정 전압보다 낮아지는 시간)은,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보다,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쪽이 길어진다. 전자의 수하 시간을 t11, 후자의 수하 시간을 t12라 하면, 트랜지스터 M을 온으로 하는 시간(펄스 반전 신호 DET#을 로우 레벨로 하는 시간)을, t11보다 크고, t12보다 작게 설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 되는 타이밍 T21로부터, 트랜지스터 M이 오프로 되는 타이밍 T22까지의 동안, 관측 전압 Vp는 소정 전압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타이밍 T21∼T22의 기간에서 인버터 INV로부터의 출력 전압 U3_DETP가 하이 레벨로 되고, 타이밍 T22에서 D 플립플롭 DF로부터의 접속 판정 신호 U3_DET는 하이 레벨로 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3.0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이 온으로 되는 타이밍 T23에서 관측 전압 Vp가 소정 전압 이하로 저하된다. 그러나, 관측 전압 Vp는, 트랜지스터 M이 오프로 되는 타이밍 T25보다 전의 타이밍 T24에서 소정 전압보다 커지므로, 인버터 INV로부터의 출력 전압 U3_DETP도, 타이밍 T23∼T24의 기간에서 하이 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 M이 오프로 되는 타이밍 T25에서는 인버터 INV로부터의 출력 전압 U3_DETP는 로우 레벨로 되고, 타이밍 T25에서의 D 플립플롭 DF로부터의 접속 판정 신호 U3_DET도 로우 레벨 상태인 채로 된다.
이상과 같이, 기기 판정 회로(113)로부터 출력되는 접속 판정 신호 U3_DET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 하이 레벨로 된다. PMU(122)는, 접속 판정 신호 U3_DET가 하이 레벨로 되었을 때, CPU(101)에 대하여 SCU(103)를 통하여,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3.0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USB3.0 규격에서의 통신용의 그라운드 단자(드레인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인식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USB3.0 규격의 데이터 신호선은 차동 신호선이므로, 드레인 단자는 반드시 접지될 필요는 없고, 개방 상태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인 단자가 접지 전위로 됨으로써, 그라운드 루프 전류가 발생하고, 코먼 모드 노이즈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드레인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는, 종단 저항 Rt에 의해 확실하게 종단되는 Rx+ 단자 또는 Rx- 단자의 전위에 기초함으로써,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4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접속 기기의 판정 수순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14의 처리의 초기 상태에서는, 충전 IC(121)로부터 기기 판정 회로(113)에 출력되는 접속 반전 신호 ATCH#은 로우 레벨로 된다.
[스텝 S11]
PMU(122)는 CPU(101)에 의한 제어 하에서, 충전 IC(121)에 프로빙(Probing) 및 센싱(Sensing)의 각 동작을 실행시킨다. 프로빙이란, Vbus 단자에 접속 검지 펄스를 일정 간격으로 인가함으로써, 다른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동작이다. 또한, 센싱이란, 접속된 다른 기기에 의한 프로빙을 검지하는 동작이다. PMU(122)는 프로빙 또는 센싱에 의해 다른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하면, 그 취지를 SCU(103)를 통하여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는 프로빙 또는 센싱에 의해 다른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OTG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한다. 또한, 프로빙 및 센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CPU(101)는 OTG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17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CPU(101)는 일정 시간 내에 OTG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할 수 없었던 경우, 스텝 S12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2]
전술한 바와 같이, OTG 기기 이외의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된 USB 호스트로부터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PHY(112)는 Vbus 단자에 다른 기기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것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CPU(101)에 통지한다. 이와 함께, 충전 IC(121)는 Vbus 단자에 다른 기기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것을 검출하면, 기기 판정 회로(113)에 출력하는 접속 반전 신호 ATCH#을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시킨다.
CPU(101)는,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것이 검출된 경우, 스텝 S13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CPU(101)는, 일정 시간 내에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스텝 S11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 CPU(101)는, PHY(112)에 D+ 단자 또는 D- 단자의 전위를 풀업시켜, 정보 처리 장치(100)가 접속된 것을 다른 기기에 인식시킨다.
스텝 S11, S12의 처리는 일정 주기로 반복된다.
[스텝 S13]
CPU(101)는 기기 판정 회로(11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서 접속 반전 신호 ATCH#이 하이 레벨로 됨으로써, 멀티바이브레이터 M1로부터의 펄스 신호 출력이 개시되고, 트랜지스터 M이 일정 간격으로 온된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경우, 기기 판정 회로(113)로부터 PMU(122)에 출력되는 접속 판정 신호 U3_DET가 하이 레벨로 된다. PMU(122)는, 접속 판정 신호 U3_DET가 하이 레벨로 되었을 때, CPU(101)에 대하여,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
[스텝 S14]
접속된 USB 호스트가 USB3.0 규격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5의 처리가 실행되고, USB3.0 규격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6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5]
CPU(101)는, PMU(122)에 대하여, 0.9A의 입력 전류에 적합한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PMU(122)는, 충전 IC(121)에 대하여, 배터리(130)의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0.9A로 하는 설정을 행하고, 배터리(130)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PMU(122)는, 충전 IC(121)에 의한 시스템 전압의 출력 동작을, 배터리(130)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부터 Vbus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 절환한다.
[스텝 S16]
CPU(101)는, PMU(122)에 대하여, 0.5A의 입력 전류에 적합한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PMU(122)는, 충전 IC(121)에 대하여, 배터리(130)의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0.5A로 제한하는 설정을 행하고, 배터리(130)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PMU(122)는, 충전 IC(121)에 의한 시스템 전압의 출력 동작을, 배터리(130)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부터 Vbus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 절환한다.
또한, 배터리(130)의 잔류 용량이 동일한 경우, 스텝 S16에서 충전에 요하는 시간보다, 스텝 S15에서 충전에 요하는 시간쪽이 짧아진다.
[스텝 S17]
스텝 S11에서 OTG 기기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충전 IC(121)로부터 기기 판정 회로(113)에 출력되는 접속 반전 신호 ATCH#은 로우 레벨인 채로 되고, 기기 판정 회로(113)의 트랜지스터 M은 오프인 채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ID 단자의 전위를 나타내는 OTG_ID 신호에 기초하여, USB OTG 규격에서 규정된 수순에 따라서, 접속된 OTG 기기가 USB 호스트인지 USB 디바이스인지를 판정한다.
접속된 OTG 기기가 USB 디바이스인 경우, PHY(112)는, ID 단자의 전위가 접지 전위인(즉, ID=0인) 것을 검출하고, 그 취지를 CPU(101)에 통지한다. 한편, 접속된 OTG 기기가 USB 호스트인 경우, PHY(112)는 ID 단자의 전위가 접지 전위가 아닌 것을 검출하고, 그 취지를 CPU(101)에 통지한다.
CPU(101)는, ID=0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8의 처리를 실행하고, ID=0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8]
CPU(101)는 Vbus 단자로부터 전원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PMU(122)에 지시한다. PMU(122)는 충전 IC(121)의 동작 상태를 절환하여, 충전 IC(121)에,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을 공급시킨다. 이때, 충전 IC(121)로부터 Vbus 단자를 통하여 다른 기기에 대하여, 0.5V, 0.5A의 전력이 공급된다.
[스텝 S19]
CPU(101)는, PMU(122)에 대하여, 0.5A의 입력 전류에 적합한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PMU(122)는, 충전 IC(121)에 대하여, 배터리(130)의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0.5A로 제한하는 설정을 행하고, 배터리(130)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PMU(122)는, 충전 IC(121)에 의한 시스템 전압의 출력 동작을, 배터리(130)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부터 Vbus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는 출력 동작으로 절환한다.
여기서,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프로빙 및 센싱의 각 동작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먼저, 도 15는 프로빙 및 센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OTG 기기를 제외한 USB2.0 기기 및 USB3.0 기기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USB 호스트는 자장치의 Vbus 단자에 항상 전원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그리고, USB 디바이스는 자장치의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 것을 검지하면, USB 호스트에 접속된 것을 인식하여, USB 호스트에 대하여 자장치가 접속된 것을 통지한다.
한편, OTG 기기는, 적어도, 다른 기기가 접속되어 그 기기가 USB 호스트인지 USB 디바이스인지를 판정할 수 있을 때까지는, Vbus 단자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그 대신, OTG 기기는 Vbus 단자를 이용한 프로빙 및 센싱이라는 동작에 의해,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한다.
OTG 기기를 포함하는 USB2.0 기기에 있어서는, Vbus 단자는 바이패스 콘덴서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바이패스 콘덴서는, 1μF∼6.5μF 정도의 용량을 갖는다. 도 15의 예에서는, 전자 기기(231)의 Vbus 단자는 바이패스 콘덴서 Cb1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전자 기기(232)의 Vbus 단자는 바이패스 콘덴서 Cb2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이하, 예로서, 전자 기기(231)는 USB OTG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이며, 전자 기기(232)는 USB OTG 규격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인 것으로 한다. 전자 기기(231)는 프로빙을 위한 구성으로서, 바이패스 콘덴서 Cb1을 충전하기 위한 전류원 I와, 바이패스 콘덴서 Cb1을 방전하기 위한 스위치 SW1과, 스위치 SW1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1을 구비한다. 한편, 전자 기기(232)는 센싱을 위한 구성으로서, Vbus 단자의 전위를 소정의 기준 전압 Vref와 비교하는 콤퍼레이터 CMP를 구비한다.
도 16은 프로빙 및 센싱 실행 시의 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기기(231)는 다음과 같이 하여 프로빙을 행한다. 전자 기기(231)는, 전류원 I에 일정한 전류를 출력시킨 상태에서, 스위치 SW1을 정기적으로, 일정 기간만큼 온으로 한다. 도 16의 스위치 온/오프 파형은, 스위치 SW1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또한, 도 16의 Vbus 파형은 전자 기기(231)의 Vbus 단자의 전위를 나타내는 파형이며, 실선은 전자 기기(232)가 접속된 경우의 파형을 나타내고, 점선은 전자 기기(232)를 포함하는 다른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파형을 나타낸다.
스위치 SW1이 오프로부터 온으로 됨으로써, 바이패스 콘덴서가 충전된다. 전자 기기(232)를 포함하는 다른 기기가 전자 기기(23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기기(231)의 바이패스 콘덴서 Cb1만이 충전된다. 한편, 전자 기기(232)가 전자 기기(231)에 접속된 경우, 전자 기기(231)의 바이패스 콘덴서 Cb1과 함께, 전자 기기(232)의 바이패스 콘덴서 Cb2도 충전된다. 즉, 전자 기기(231)에 다른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충전 용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충전에 요하는 시간도 변화된다.
다른 기기가 전자 기기(23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충전 시간 t31은, 전자 기기(232)가 전자 기기(231)에 접속된 경우의 충전 시간 t32보다 짧다. 전자 기기(231)는, 프로빙에 의해 이와 같은 충전 시간의 차를 판별함으로써, 다른 기기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전자 기기(232)는 다음과 같이 하여 센싱을 행한다. 전자 기기(232)의 콤퍼레이터 CMP의 출력은, Vbus 단자의 전위가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하고 있을 때, 하이 레벨로 되고, Vbus 단자의 전위가 기준 전압 Vref 이하일 때,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232)에 접속된 다른 기기가 프로빙을 행하고 있을 때, 콤퍼레이터 CMP는 일정 간격으로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전자 기기(232)는, 콤퍼레이터 CMP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펄스 파형이 출력되었을 때, 다른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프로빙은 USB 호스트뿐만 아니라, USB 디바이스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센싱도 USB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USB 호스트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15의 바이패스 콘덴서 Cb1, Cb2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함과 함께, 프로빙을 위한 구성인 전류원 I, 스위치 SW1 및 저항 R11과, 센싱을 위한 구성인 콤퍼레이터 CMP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패스 콘덴서, 전류원 I, 스위치 SW1, 저항 R11 및 콤퍼레이터 CMP는, 예를 들면 충전 IC(121)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4의 스텝 S1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프로빙 또는 센싱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함으로써, OTG 기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이상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3.0 규격에 따라서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USB 호스트가 접속된 경우에, 배터리(13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IC(121)의 설정을, Vbus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0.9A의 전류에 최적화하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USB 소켓(111)의 Vbus 단자를 통하여, USB3.0 기기의 수신 단자(Rx+ 단자 또는 Rx- 단자)와 접속함으로써, USB3.0 기기가 접속된 것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USB3.0 기기의 접속 판정이 USB OTG 규격에 준거한 소켓을 그대로 사용하여 행해지므로, OTG 기기를 포함하는 USB2.0 기기와의 접속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USB3.0 기기의 접속 판정용으로 전용의 단자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소켓의 설치 면적이나 정보 처리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간단히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이나 변경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의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3 : 전자 기기
2a : 수신 단자
10 : 통신 커넥터
11 : 전원 단자
12a, 12b : 신호 단자
21 : 판정부
22 : 설정 제어부
23 : 전원 회로
31 : 전용 케이블
32 : 범용 케이블

Claims (14)

  1. 전원 단자와 복수의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통신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 중,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되고,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하는 설정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에는, 접속된 다른 기기가 구비하는 단자 중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단자와, 상기 소정의 단자가 결선된 통신 케이블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상기 전원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전원 단자에 전송되는 접속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속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호스트 기기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단자에 접속된 커플링 콘덴서와, 상기 커플링 콘덴서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단자에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판정 신호 출력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판정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의 상기 커플링 콘덴서와 상기 판정 신호 출력 회로 사이의 전위의 변동 상황으로부터,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신호 출력 회로는,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상기 전원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단자에 종단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종단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신호에 대한 최대 소비 전류의 설정을,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제2 전류값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전원 단자와 복수의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통신 커넥터를 갖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 중,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되고, 제2 통신 규격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관한 설정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에는, 접속된 다른 기기가 구비하는 단자 중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단자와, 상기 소정의 단자가 결선된 통신 케이블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서는,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상기 전원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압에 기초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전원 단자에 전송되는 접속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서는, 상기 접속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가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호스트 기기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소정의 단자에 접속된 커플링 콘덴서와, 상기 커플링 콘덴서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단자에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판정 신호 출력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에서는,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상기 전원 신호가 입력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판정 신호 출력 회로에 상기 판정 신호를 출력시키고,
    상기 판정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의 상기 커플링 콘덴서와 상기 판정 신호 출력 회로 사이의 전위의 변동 상황으로부터,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서는, 상기 소정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단자에 종단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종단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기기가 상기 제2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의 절환에서는,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신호에 대한 최대 소비 전류의 설정을, 상기 제1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제1 전류값과 상기 제2 통신 규격에서 규정된 제2 전류값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47031236A 2012-05-11 2012-05-11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4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2190 WO2013168289A1 (ja) 2012-05-11 2012-05-11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277A true KR20140144277A (ko) 2014-12-18

Family

ID=4955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236A KR20140144277A (ko) 2012-05-11 2012-05-11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3093B2 (ko)
EP (1) EP2849023A4 (ko)
JP (1) JPWO2013168289A1 (ko)
KR (1) KR20140144277A (ko)
CN (1) CN104272216A (ko)
WO (1) WO20131682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66A1 (ko) * 2020-02-28 2021-09-02 엘에스일렉트릭 (주) 커넥터 및 통신 시스템
KR20230013737A (ko) 2021-07-19 2023-01-27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0199B2 (en) 2012-10-02 2015-06-30 Apple Inc. Sharing a graphics-processing-unit display port
US20140280960A1 (en) * 2013-03-15 2014-09-1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devices between multiple controllers
US9081705B2 (en) 2013-06-11 2015-07-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liable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devices
TWI492044B (zh) * 2013-11-21 2015-07-11 Genesys Logic Inc 通用序列匯流排裝置的偵測系統及其方法
TWI518515B (zh) * 2014-05-05 2016-01-2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晶片及連接模組
US9588560B2 (en) * 2014-05-28 2017-03-07 Nokia Technologies Oy Baseband PD communication over USB standard a connector
JP6254513B2 (ja) * 2014-11-26 2017-12-2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機器の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6167653A (ja) * 2015-03-09 2016-09-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301865B2 (ja) * 2015-03-11 2018-03-28 東芝メモリ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2017004404A (ja) * 2015-06-15 2017-01-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DE102015116802B3 (de) * 2015-10-02 2016-12-29 Beckhoff Automation Gmbh Bussystem
US10310592B2 (en) * 2015-11-02 2019-06-04 Ricoh Company, Ltd. Device, operation-mod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545908B2 (en) * 2016-02-29 2020-0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enable status change detection in a low power mode of a microcontroller unit
US10387346B2 (en) * 2016-05-06 2019-08-20 Quanta Computer Inc. Dynamic PCIE switch reconfiguration mechanism
CN107370196B (zh) * 2016-05-12 2021-12-03 阿尔派株式会社 充电装置及充电方法
US10908671B2 (en) * 2016-09-30 2021-02-0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high speed bus operation under high common mode voltage conditions
JP6884000B2 (ja) * 2017-02-17 2021-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367210A1 (en) * 2017-02-24 2018-08-29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884039B2 (ja) * 2017-05-30 2021-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673251B2 (en) * 2017-05-30 2020-06-0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72007B2 (ja) * 2018-01-29 2022-05-19 京セラ株式会社 電源装置、電源装置の制御装置、及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US10599597B2 (en) * 2018-03-12 2020-03-2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VBUS discharge in USB power delivery
CN108399142B (zh) * 2018-03-20 2021-06-0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usb接口电路及移动终端
US11009930B2 (en) * 2018-04-26 2021-05-1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Automatic USB host detection and port configuration
US11169940B2 (en) * 2019-02-20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Trace length on printed circuit board (PCB) based on input/output (I/O) operating speed
JP2021092861A (ja) * 2019-12-06 2021-06-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416431B2 (en) * 2020-04-06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with cache-coherent memory and server-linking switch
EP3933603B1 (en) 2020-07-02 2024-08-28 Infineon Technologies A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device f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US11403248B2 (en) * 2020-09-14 2022-08-0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directional bus topology
US12007933B2 (en) 2020-09-14 2024-06-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directional bus topology
US11777237B1 (en) 2022-05-24 2023-10-03 Inventus Power, Inc. Disconnecting power from external USB connectors of conformable wearable battery packs in the presence of conducting fluids
US11513158B1 (en) 2022-05-24 2022-11-29 Inventus Power, Inc. Detecting conducting fluids in external connectors of conformable wearable battery packs
US11588216B1 (en) 2022-05-24 2023-02-21 Inventus Power, Inc. Detecting conducting fluids in external connectors of conformable wearable battery packs using unused pi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9393B (en) * 2000-09-27 2002-03-11 Acer Peripherals Inc Automatic USB charging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JP3895982B2 (ja) * 2001-12-20 2007-03-2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3195985A (ja) * 2001-12-26 2003-07-11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周辺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20050268000A1 (en) * 2004-05-28 2005-12-01 Carlson Mark J Accessory identifier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700532B1 (ko) 2005-12-29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범용 직렬 버스 포트의 연결 장치 인식 방법과 범용 직렬버스 어댑터
JP4961999B2 (ja) * 2006-12-25 2012-06-2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US7711870B2 (en) * 2008-02-06 2010-05-04 Panasonic Corporation Interface detecting circuit and interface detecting method
JP4685896B2 (ja) * 2008-04-15 2011-05-18 平河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受給電アダプタ
JP5340803B2 (ja) * 2009-05-18 2013-1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JP4944213B2 (ja) * 2010-01-04 2012-05-3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本体機器、外部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1203781A (ja) * 2010-03-24 2011-10-13 Victor Co Of Japan Ltd 切換装置及びその切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8601173B2 (en) * 2010-06-30 2013-12-03 Silicon Image, Inc. Detection of cable connections for electronic devices
JP5743484B2 (ja) * 2010-10-20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229833B2 (en) * 2011-01-28 2016-01-05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uccessive approximation resistor detection
IN2012DE00409A (ko) * 2011-02-14 2015-06-05 Nikon Corp
CN102439816B (zh) * 2011-08-22 2015-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手持机、usb充电器及手持机识别usb充电器的方法
US8856420B2 (en) * 2011-12-27 2014-10-07 Intel Corporation Multi-protocol I/O interconnect flow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66A1 (ko) * 2020-02-28 2021-09-02 엘에스일렉트릭 (주) 커넥터 및 통신 시스템
KR20210110057A (ko) * 2020-02-28 2021-09-07 엘에스일렉트릭(주) 커넥터 및 통신 시스템
KR20230013737A (ko) 2021-07-19 2023-01-27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8289A1 (ja) 2013-11-14
EP2849023A4 (en) 2015-09-02
US20150058642A1 (en) 2015-02-26
CN104272216A (zh) 2015-01-07
EP2849023A1 (en) 2015-03-18
US9483093B2 (en) 2016-11-01
JPWO2013168289A1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4277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66055B2 (en) Automatic scheme to detect multi-standard charger types
US1074676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USB devices attached to a USB charging port
CN106291210B (zh) Usb接口检测器、检测方法、usb连接器及电子设备
JP5717005B2 (ja) Usbインタフェースのステータスに従って内部回路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US10241935B2 (en) Portable device, cable assembly, and USB system
US9153984B2 (en) Charging device
US92014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arbitrary charging protocol in USB charging ports
US8769317B2 (en) USB hub for supplying power upon determination whether a USB device is chargeable according to data transfer rate of the USB device
TWI573368B (zh) 可攜式電子裝置以及其充電方法
JP6643994B2 (ja) Usb接続により電子デバイスを充電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6045001A1 (en) Usb data pin impedance detection
US2016000428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00052620A1 (en) Battery charger ic including built-in usb detection
TWI436514B (zh) 可攜式電子裝置以及其充電方法
CN106687941B (zh) 用以控制设备的模式的方法和装置
WO2014179232A1 (en) Usb charging with data communication
CN110829523A (zh) 一种电子设备及反向充电方法
US9590441B2 (en) Multi-standard compliant USB battery charging scheme with detection of host disconnection in ACA-DOCK mode
US10141760B2 (en) Power supply circuit, charge circuit, charging system, power supplying method, and charging method
US8271714B2 (en) Interface for serial data communication
US20150253828A1 (en) Electronic system
CN106896311B (zh) 测量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