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924A -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924A
KR20140143924A KR1020130065688A KR20130065688A KR20140143924A KR 20140143924 A KR20140143924 A KR 20140143924A KR 1020130065688 A KR1020130065688 A KR 1020130065688A KR 20130065688 A KR20130065688 A KR 20130065688A KR 20140143924 A KR20140143924 A KR 20140143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lefin
film
urethan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666B1 (ko
Inventor
김응서
김정욱
Original Assignee
김응서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서, 김정욱 filed Critical 김응서
Priority to KR2013006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된 제품을 열로 신속하게 합지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수량과 납기를 지킬 수 있고, 각 공정 가공시 발생하는 손실을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적기에 신속하기 납품할 수 있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와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올레핀착색필름(22)과, 올레핀착색필름(22) 하부에 형성하는 프라이마층(11)과, 올레핀투명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하부에 형성되는 올레핀투명필름(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레탄층(24)은 우레탄 재료의 고형성분이 우레탄층(24) 전체 성분 중 40-60중량%가 되도록 하여, 핫멜트 접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상 특징은, 올레판착색필름(22)과, 올레핀투명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하부에 형성되는 올레핀투명필름층(25)을 포함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투명필름(25) 저면에, 인쇄층(23)을 형성시키는 단계; 인쇄층(23)을 건조하는 단계; 인쇄층(23) 상에 우레탄층(24)을 도포 형성시키는 단계; 우레탄층(24)이 도포된 올레핀투명필름(25)을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레탄층(24)이 형성된 올레핀투명필름(25)을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에서, 합지시 합지 온도는 약 섭씨 150-180도 조건에서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쇄층(23)의 형성을 위한 인쇄작업시, 인쇄층 표면의 인쇄 작업 온도는 섭씨 60-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olefin decoration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트, 건축자재용, 가구용의 내,외면 시트재로 사용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 제 10-818696 호
본 출원인이 발명한 상기 문헌1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투명 CPP 필름을 사용한 시트(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의 기본이 되는 백색 CPP 필름(12)을 준비하고, 이를 코로나 처리한다. 이때 코로나 처리란, 상기 투명 CPP 필름과 백색 CPP 필름의 매끄러운 표면의 표면장력을 좋게 하여 특수잉크 등이 점착되는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 CPP 필름이나 백색 CPP 필름의 표면장력은 28~30dyne인 반면, 코로나 처리가 완료된 투명 CPP 필름과 백색 CPP 필름의 표면장력은 40~41dyne이다. 상기 코로나 처리를 거친 백색 CPP 필름(12)의 이면에 프라이마(11)를 도포한다. 상기 프라이마(11)를 도포함으로써, 시트를 사용할 시, 상기 시트가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P/B 또는 합판 등에 완전히 접착되지 않고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 강도가 우수하여 2차 가공 상에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프라이마 처리 후, 후속하여 인쇄, 접착 작업 및 표면 처리 작업을 한번에 처리함으로써, 종래의 사용하는 방법인 인쇄, 접착 작업 및 표면 처리 작업을 실시한 후, 다시 프라이마 처리를 하는 2단계로 나누어지는 공정과 달리, 시간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불량품의 생산을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프라이마 처리가 완료된 백색 CPP 필름(12)의 상면에 필요한 색상의 잉크를 인쇄하여 인쇄층(13)을 형성한다. 상기 백색 CPP 필름(12)은 40~41dyne의 표면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표면장력이 약 39dyne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작업을 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인쇄작업시 사용되는 잉크는 일반적인 잉크와는 달리, 상기 백색 CPP 필름(12)에 알맞는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다음 공정에서 부착성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특수잉크의 구성성분은 안료, 수지, MEK (Methylethylketon), EA (Ethylacetate) 및 이소프로필알콜 (IPA)이다. 또한, 그라비아 인쇄시 나이트의 각도를 눕혀서 작업함으로써 특수잉크의 인쇄효과를 장기간동안 지속할 수 있다.
다음, 인쇄작업이 완료된 인쇄층(13)의 상면에 접착제(14)를 도포한 후, 여기에 투명 CPP 필름(15)을 접착시킨다. 이 단계에서도 상기 투명 CPP 필름(15)의 표면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백색 CPP 필름에서와 같이 코로나 처리를 하도록 한다.
상기 CPP 필름(15)의 접착공정이 끝나면, 이를 55~65℃에서 40~50시간 동안 행거에 걸어 보관하면서 숙성시킨다. 숙성과정이 끝나면, 상기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된다. 숙성이 완료되면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CPP 필름(15)의 상면에 표면 처리제를 코팅하여 표면층(1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표면 처리제로는 2액형의 친환경 처리제를 사용하며 용제로는 MEK를 사용한다.
또한, 코팅시에는 110~130메쉬 롤을 사용하며, 코팅공정이 완료된 후, 40~50시간 동안 숙성시켜 표면층의 물성이 유지되어 내오염성 및 내용제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표면 코팅처리를 하지 않으면 CPP 필름의 경도가 약해, 2차 가공시 가벼운 충격에 의해서도 표면에 스크레치 등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완성된 CPP 필름을 사용한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한 프라이마층(11), 상기 프라이마층(11)의 상면에 위치한 백색 CPP 필름(12), 상기 백색 CPP 필름(12)의 상면에 위치한 인쇄층(13), 상기 인쇄층(13)의 상면에 위치한 접착제층(14), 상기 접착제층(14)의 상면에 위치한 CPP 필름층(15) 및 상기 CPP 필름층(15) 상면에 위치한 표면층(16)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트(10)의 두께는 0.05~0.1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용도 및 사용 부위에 따라 시트의 두께를 조절하여 0.5~1.0mm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의 규격 역시 0.1~1.0mm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트는 기존의 PVC를 표면재로 사용하는 건축 자재 및 가구의 내·외면에 사용되며, 몰딩도어 및 오바레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접착제층(14)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드라이 라미 가공 및 숙성공정(24-48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공정 과정 중에 불량 등으로 인한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고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 시간 등으로 인해 적기에 납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 라미 기계 설비를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시설비가 많이 들고, 고가의 접착제의 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들며 2액형 접착제 사용시 접착제의 손실도 커 필연적으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술에서는, 최종 공정인 엠보 공정에서 접착제가 깨어지는 현상으로 투명층과 유백층과의 박리가 발생하고, 이때 표면 코로나가 약할 경우 불량이 더욱 심하게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사용되는 접착제는 친환경적이나 접착제로 인한 냄새 등으로 인해 작업 환경도 좋치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은 접착제층(14)을 형성공정과 드라이 라미 및 숙성 공정이 불필요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공정에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또 그로 인해 가공상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인쇄된 제품을 열로 신속하게 합지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수량과 납기를 지킬 수 있고, 각 공정 가공시 발생하는 손실을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적기에 신속하기 납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올레판착색 필름(22)과, 올레핀착색 필름(22) 하부에 형성하는 프라이마층(11)과, 올레핀 투명 필름 (25)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하부에 형성되는 올레핀 착색 필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레탄층(24)은 우레탄 재료의 고형성분이 우레탄층(24) 전체 성분 중 40-60중량%가 되도록 하여, 핫멜트 접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상 특징은, 올레핀 투명(25)과, 올레핀 투명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상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상부에 형성되는 올레핀 착색 필름(22)을 포함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투명필름(25) 이면에, 인쇄층(23)을 형성시키는 단계; 인쇄층(23)을 건조하는 단계; 인쇄층(23) 하부에 우레탄층(24)을 도포 형성시키는 단계; 우레탄층(24)이 도포된 올레핀 투명 필름(25)을 올레핀 착색 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레탄층(24)이 형성된 올레핀 투명 필름(25)을 올레핀 착색 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에서, 합지시 합지 온도는 약 섭씨 150-180도 조건에서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쇄층(23)의 형성을 위한 인쇄작업시, 인쇄층 표면의 인쇄 작업 온도는 섭씨 60-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상 제조 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또 그로 인해 가공상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된 제품을 열로 신속하게 합지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수량과 납기를 지킬 수 있어 적기에 신속하기 납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접착제층(14)을 형성공정과 드라이 라미 및 숙성 공정이 불필요하여 시설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정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포름알데히드나 잔류용제 등의 환경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작업장에서는 냄새 등이 나지 않아 작업 환경도 좋아 진다.
도 1 은 종래 문헌1의 시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시트 층을 단면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트의 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한다
도 2 는 본 발명 이전의 종래의 시트에 대한 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단면층은, 프라이마층(11), 올레판착색필름(22), 인쇄층(13), 접착제층(14), 올레판투명필름(25), 표면층(1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올레핀착색필름(22) 및 올레핀투명필름(25)은 예를들어 CPP, OPP 또는 TPO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올레핀착색 필름(22)은 칼라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생산한 것이다.
도 1 의 종래 기술의 설명시에는 CPP 유백층(12) 및 CPP 필름(15)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재질은 CPP 또는 OPP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적용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시트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차이점은, 종래의 접착제층(14) 대신 우레탄층(24)을 형성하였다. 즉, 올레핀투명필름(25)에 인쇄층(23)을 형성시킨 후, 우레탄층(24)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우레탄층(24)은 우레탄 계통의 재질을 사용하며 이는 핫멜트 접착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우레탄 재료의 고형성분은 전체 성분 중 적어도 40-60중량%가 존재하여야 핫멜트 접착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형성분이 상기 범위 이하면 열접착성이 떨어진다.
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올레핀투명필름(25)에 먼저 인쇄층(23)을 형성시키고 건조 후 우레탄층(24) 형성시킨다.
우레탄층(24) 형성 및 인쇄작업시 작업 온도는 섭씨 60-80도 이며, 이 온도에서 건조시키면 속히 건조된다. 그리고 이 온도 조건에서 건조 후 이를 권취시키면 권취면 사이에 블로킹 현상(상호 달라 붙는 현상)이 전혀 없다.
이렇게 우레탄층(24)과 인쇄층(23)이 형성된 올레핀투명필름(25)을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합지한다. 합지시 합지 온도는 약 섭씨 150-180도 조건에서 열합지한다. 이러한 온도 조건에 합지하면 최종 엠보 처리 공정 이후에도, 제품에서 층간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접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온도 이하면 합지 불량이 발생하며 지나치게 온도가 높으면 재료의 물성 변화와 손상이 오고 불필요한 가열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따른다.
우레탄층(24)은 도포 형성시킴과 동시에 건조 과정 없이 바로 다음 공정인 올레핀착색필름(22)과의 합지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우레탄층(24)이 건조된 후에도 열을 가하면 열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포 후 표면이 굳기 전인 비건조 상태에서도 바로 합지가 가능하다. 즉 우레탄층(24)을 건조 과정 없이 바로 합지도 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더욱 신속해 질 수 있다.
우레탄층(24)을 건조 후 준비하여 둔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열에 의한 합지 공정만 거치면 올리핀착색필름(22)과 바로 합지 되므로 합지 공정이 매우 빨라지고 후속으로 별도의 건조 공정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우레탄층(24) 및 인쇄층(23)이 준비된 올레핀투명필름(25)과, 그리고 올레핀착색필름(22)을 단지 열압으로 합지하면 우레탄층(24)이 핫멜트 역할을 하여 간단히 합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착제 도포공정 및 드라이 라미 공정과 시설물들이 불필요하여 제조가 신속하고 상기 종래 공정 과정 중에 발생하는 불량에 의한 제품 손실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접착제를 대용하여 우레탄층(24)을 형성하고 아울러 합지 공정에 방법적인 순서 변화를 준 발명이지만, 생산성이나 불량률 발생 감소 및 원가 절감의 효용면에서 보면, 그의 효과가 지대햐여 산업상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은 종래의 pvc를 표면재로 사용하고 있는 모든 것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시트, 건축자재, 부억가구, 혼례용 가구, 내,외면으로 사용 가능하고 몰딩, 샤시, 도아의 램핑작업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올레핀착색필름(22)과 올레핀투명필름(25)은, 그 재질이 OPP, CPP, TP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 프라이머층 22 올레판착색필름
23 인쇄층 24 우레탄층
25 올레핀투명필름

Claims (5)

  1. 올레판착색필름(22)과,
    올레핀착색층(22) 하부에 형성하는 프라이마층(11)과,
    올레핀 투명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하부에 형성되는 올레핀착색필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층(24)은 우레탄 재료의 고형성분이 우레탄층(24) 전체 성분 중 40-60중량%가 되도록 하여,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핫멜트 접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3. 올레판투명필름(25)과, 올레핀투명필름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층(23)과,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우레탄층(24)과, 우레탄층(24) 하부에 형성되는 올레핀착색필름층(22)을 포함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투명필름(25) 하면에, 인쇄층(23)을 형성시키는 단계;
    인쇄층(23)을 건조하는 단계;
    인쇄층(23) 하부에 우레탄층(24)을 도포 형성시키는 단계;
    우레탄층(24)이 도포된 올레핀투명필름(25)을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층(24)이 형성된 올레핀투명필름(25)을 올레핀착색필름(22)과 합지하는 단계에서,
    합지시 합지 온도는 약 섭씨 150-180도 조건에서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23)의 형성을 위한 인쇄작업시, 인쇄층 표면의 인쇄 작업 온도는 섭씨 60-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KR20130065688A 2013-06-10 2013-06-10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88A KR101490666B1 (ko) 2013-06-10 2013-06-10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88A KR101490666B1 (ko) 2013-06-10 2013-06-10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24A true KR20140143924A (ko) 2014-12-18
KR101490666B1 KR101490666B1 (ko) 2015-02-05

Family

ID=5259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688A KR101490666B1 (ko) 2013-06-10 2013-06-10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715B1 (ko) * 2016-12-06 2018-10-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96B1 (ko) * 2006-09-01 2008-04-01 김응서 Cpp필름을 사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시트
KR100842094B1 (ko) * 2006-11-21 2008-06-30 김응서 음이온 방사 올레핀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음이온 방사 올레핀 시트
KR100804826B1 (ko) 2006-12-08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코시트용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5857600B2 (ja) 2011-09-30 2016-02-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666B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940B2 (en) Method for finishing a wood board
US9518187B2 (en) High-gloss surface by means of hot-coating
US10087342B2 (en) Method of sealing surfaces
CN103770430A (zh) 一种柔性复合装饰薄木饰面工艺
JP6051719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6822277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818696B1 (ko) Cpp필름을 사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시트
KR20160126203A (ko) Pet, pp, uv, 폴리 등의 재도장이 가능한 lpm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0666B1 (ko) 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9174397B2 (en) Aircraft plastics repair
JP2017024361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879816B1 (ko) 이형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4688989B2 (ja) 塗装用粘着テープおよび塗装用粘着テープを用いた塗装方法
KR20160069775A (ko) 디지털 실사 무늬칼라 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다이렉트 접착 열전사지
JP5969955B2 (ja) 化粧板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CN101906866A (zh) 一种防裂的重组复合地板及其加工方法
KR101670828B1 (ko) 고 광택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JP6654083B2 (ja) 化粧貼内装材の製造方法
JP2001293703A (ja) 三次元形状の木質建材
KR20220005726A (ko) 가구용 장식필름의 제조방법
KR101628083B1 (ko) 핫멜트형 라미네이팅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8118B1 (ko) Opp필름을 사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시트
KR101610304B1 (ko) 반투명 도료 및 전사필름을 이용한 목재판넬 코팅방법
KR20150096117A (ko) 기능성 박막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박막필름
KR20170059962A (ko) Pet, pp, uv, 폴리 등의 재도장이 가능한 lpm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