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671A -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671A
KR20140143671A KR20130079314A KR20130079314A KR20140143671A KR 20140143671 A KR20140143671 A KR 20140143671A KR 20130079314 A KR20130079314 A KR 20130079314A KR 20130079314 A KR20130079314 A KR 20130079314A KR 20140143671 A KR20140143671 A KR 2014014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near
support
rail structur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2013007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671A/ko
Publication of KR2014014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상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안전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레일을 가진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사람이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와 회전고리로 연결된 벨트 걸쇠와, 상기 벨트 걸쇠에 의해 지지되어 재활 환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과, 상기 제1 직선 레일이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레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RAIL TYPE EXERCISE AIDING APPARATUS FOR GAIT TRAINING}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상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안전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레일을 가진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사람이 효율적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재활치료를 위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 또는 장치를 말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보행운동 보조장치로는 재활치료용 평행봉이 있다. 그러나, 재활치료용 평행봉은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자의 도움이 없는 경우 재활 환자가 넘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재활치료용 평행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일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1714호(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과 안전벨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 환자가 보행하는 바닥부(50)와, 상기 바닥부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입설되어 있는 지지봉(22)과, 상기 지지봉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봉(20)과, 상기 수직봉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고정봉(42)과, 상기 고정봉 내측에 있는 결합봉(41)과,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손잡이봉(40)과, 상기 수직봉 상단에 결합되는 레일봉(21)과, 상기 레일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바퀴(11)와, 상기 바퀴에 회전고리(12)로 연결되어 있는 벨트 걸쇠(30)와, 상기 벨트 걸쇠(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안전벨트(3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재활 환자가 일정 길이의 레일(10)을 따라 움직이는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재활 환자의 몸이 상측으로 견인된 상태에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활 환자가 넘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허리나 다리에 과부하가 걸려 신체에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레일(10)을 1개만 구비하고 있어 1명의 재활 환자만이 이를 이용할 수 있고, 여러 명이 동시에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10)이 직선 형태로 되어 있어 재활 환자가 일정 거리를 왕복하여 보행할 수밖에 없고, 곡선 형태의 보행궤적을 가진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46,1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6,251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 역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171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46,186호 한국등록특허 제796,2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재활 환자가 동시에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이 구비된 레일 구조물을 이용한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와 회전고리로 연결된 벨트 걸쇠와, 상기 벨트 걸쇠에 의해 지지되어 재활 환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과, 상기 제1 직선 레일이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레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막대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일체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들의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직교를 이루어 배열된 한 쌍의 제2 직선 레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고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벨트 걸쇠가 걸려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측부에 위치한 제1 직선 레일의 바깥 측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제1 부재의 끝단에 고정된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로 이루어진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고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벨트 걸쇠가 걸려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직선 레일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트랙형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랙형 레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 상기 트랙형 레일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이 직사각 형태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직선 레일 및 상기 트랙형 레일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상기 레일 구조물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레일 구조물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레일 구조물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2 수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잡이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상기 레일 구조물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레일 구조물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1 천장 고정봉과, 상기 레일 구조물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2 천장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레일 구조물에 다수의 제1 및 제2 직선 레일이 구비되어 있어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동시에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즉, 공간 활용도가 대폭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명이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레일 구조물의 둘레에 트랙형 레일이 구비되어 곡선의 보행궤적을 갖는 보행운동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행운동의 궤적이 다양화되어 보행운동이 단조로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활 치료의 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랙형 레일에서는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일 방향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 레일, 트랙형 레일 및 지지 프레임이 직사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직선 레일, 트랙형 레일 또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레일 구조물의 형태 및 크기를 변형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수직 프레임에 의해 레일 구조물이 지지되는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설치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 이후에도 구조물의 변경 및 이동이 비교적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 환자가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보행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레일 구조물에 런닝머신용 지지부재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효율적으로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수직 프레임에 손잡이봉을 설치하거나,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재활 환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다수의 천장 고정봉을 이용하여 레일 구조물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을 단순화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일과 안전벨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런닝머신과 종래기술에 따른 견인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런닝머신에 적용한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3으로서 런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4로서 런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전벨트(31)가 바퀴(11), 회전고리(12) 및 벨트 걸쇠(30)를 통해 레일(1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회전고리(12)는 벨트 걸쇠(30) 및 안전벨트(31)가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 환자가 보행운동을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레일(410, 420, 430), 벨트 걸쇠(30) 및 안전벨트(31)의 연결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 가로방향은 제1 직선 레일(410)의 길이방향을 나타내고, 세로방향은 레일 구조물(400, 400', 400") 상에서 상기 제1 직선 레일(4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나타냄을 밝혀둔다.
[제1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 손잡이봉(310) 및 레일 구조물(40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이 설치되는 베이스이며, 재활 환자가 보행운동을 수행하는 통로의 역할도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소재로는 고무소재,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활 환자의 안전을 위해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의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가 이동하기 쉽도록 가벼운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레일 구조물(400)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1 수직 프레임(210)이 레일 구조물(400)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한 쌍의 제2 수직 프레임(220)이 제1 수직 프레임(210)과 대응되도록 레일 구조물(400)의 타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은 레일 구조물(400)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직사각의 수평 단면을 가진 봉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은 수평 단면의 형상이 원형, 오각 이상의 다각형인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봉(310)은 재활 환자가 이것을 잡고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손잡이봉(310)이 재활 환자의 허리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손잡이봉(31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손잡이봉(310)의 양 단부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봉(3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봉(312)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관(322)을 가진 관 형태의 손잡이봉 지지부재(320)가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의 외주면에 끼워져 소정의 높이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봉(31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홀에 삽입된 고정핀(330)에 의해 손잡이봉 지지부재(320)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레일 구조물(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직선 레일(410)과 지지 프레임(440)이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상술한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1 직선 레일(410)과 지지 프레임(440)은 알루미늄, 탄소강 등의 금속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레일 구조물(4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각 형태의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직선 레일(40)과 지지 프레임(440)은 도 3에서와 같이 'ㄴ'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ㅡ'자 형태의 연결편(402)을 이용하여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된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편(402) 없이 제1 직선 레일(40)과 지지 프레임(440)이 용접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직선 레일(410)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하면 3개의 제1 직선 레일(410)이 일정 간격을 이루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2개의 지지 프레임(440)이 제1 직선 레일(410) 양 단부의 상부면에 세로방향으로 각각 고정됨으로써 평면 형태의 레일 구조물(400)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440)과 제1 직선 레일(410)이 직교를 이루고 있지만, 지지 프레임(440)을 제1 직선 레일(410)의 길이방향에 비스듬히 배열하여 레일 구조물(4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직선 레일(410)의 재료 및 길이에 따라 제1 직선 레일(410)의 구조적 강성 및 안정성이 약할 경우에는 제1 직선 레일(410)의 상부면에 사각 파이프 형태의 레일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여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440)은 상기 레일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레일 프레임은 이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제2 직선 레일(420), 트랙형 레일(430)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은 레일 구조물(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 프레임(440)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수직 프레임(210)은 레일 구조물(400)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44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제2 수직 프레임(220)은 레일 구조물(400)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44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지지 프레임(440)은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일체형의 평면 형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직선 레일(410)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여건에 따라 제1 직선 레일(410)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보행운동의 왕복구간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레일 구조물(400)에 구비된 3개의 제1 직선 레일(410) 하부에서 3명의 재활 환자가 동시에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명의 재활 환자가 한 쌍의 손잡이봉(310)에 의지하여 보행운동을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2명의 재활 환자가 손잡이봉(3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기존 1개의 직선 레일이 구비된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비해 공간 활용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고,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동시에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구조물(400)은 다수의 제1 직선 레일(410)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440)에 의해 지지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변형예 1)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에 5개의 제1 직선 레일(410)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440)에 의해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5명의 재활 환자가 동시에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제1 직선 레일(410)은 간격을 달리하여 평행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설치공간의 여건 및 이용하고자 하는 재활 환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레일 구조물(400)에 배열되는 제1 직선 레일(410)의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직선 레일(410)의 개수가 증대됨에 따라 레일 구조물(400)의 하중이 커지는 경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의 개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구비하지 않고, 도 4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이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봉(310)을 설치하지 않고, 레일 구조물(400)의 하부 공간을 개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 변형예 2)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에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1 직선 레일(410) 뿐만 아니라 제1 직선 레일(410)의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2 직선 레일(4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2 직선 레일(420)은 다수의 제1 직선 레일(410)의 단부에 고정되며, 경우에 따라 1개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레일 구조물(400')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제2 직선 레일(42)이 추가됨으로써 2명의 재활 환자가 추가적으로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변형예는 한정된 설치공간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 응용예 )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런닝머신에 적용한 응용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런닝머신과 종래기술에 따른 견인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에는 재활 환자가 런닝머신(50)을 이용하여 보행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견인장치(60)를 이용하였다. 이때, 견인장치(60)의 상부에 고정봉(30a)에 의해 연결된 벨트 걸쇠(30)가 구비됨으로써 안전벨트(미도시)를 착용한 재활 환자가 상측으로 견인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런닝머신(50)을 이용한 보행운동을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견인장치(60)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다음과 같이 응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런닝머신에 적용한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응용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레일(410)의 하부에 런닝머신(50)을 배치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즉, 2대의 런닝머신(50)을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하여 2명의 재활 환자가 런닝머신(50)을 이용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나머지 1명의 재활 환자는 2대의 런닝 머신(50) 사이에서 평행봉 및 안전벨트에 의지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 변형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3으로서 런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응용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제1 직선 레일(410)을 제거하고, 제거된 위치에 막대 형상의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가 지지 프레임(44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의 하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451a)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지지고리(451a)를 이용하는 이유는 런닝머신(50)에서 보행운동을 하는 경우 재활 환자의 위치가 한곳에 머무르게 되므로 벨트 걸쇠(30) 및 안전벨트가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의 하측에 런닝머신(50)이 배치되어 재활 환자가 런닝머신(50)에서 안전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가 지지프레임(440)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에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레일 구조물(400')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변형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4로서 런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제1 직선 레일(410)의 바깥쪽 측면에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의 하측에 런닝머신(50)이 각각 배치되어 런닝머신(50)을 이용한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9의 좌측에 위치한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는 제1 직선 레일(410)의 바깥쪽 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제1 부재(452a)와, 한 쌍의 제1 부재(452a)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 부재(452b)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2 부재(452b)의 하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452c)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제1 부재(452a)의 개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의 우측에 위치한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는 상기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가 'T'자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9에서는 제1 직선 레일(410)의 바깥쪽 측면에 제1 및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가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구조적 강성 및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레일 프레임을 제1 직선 레일(410)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를 레일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제1 및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안전벨트(미도시)가 장착되는 벨트 걸쇠(30)가 제1 직선 레일(41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2 부재(452b)에 구비된 지지고리(452c)에 걸려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3명의 재활 환자가 3개의 제1 직선 레일(410)의 하측에서 각각 보행운동을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2명의 재활 환자가 런닝머신(50)에서 안전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결국, 본 응용예에 의하면 단순한 형태의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를 레일 구조물(400)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동시에 다양한 보행운동이 가능하다.
( 변형예 5)
앞서 설명한 변형예 3의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1)와, 변형예 4의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의 제2 부재(452b)는 레일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체(미도시)의 하부면에 앞서 설명한 변형예 3 또는 변형예 4의 지지고리(451a, 452c)가 1개만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동체(미도시)에는 상기 레일홈(미도시) 상에서 상기 가동체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그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에 트랙형 레일(430)이 구비되어 있다. 트랙형 레일(430)은 제1 직선 레일(410)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제1 직선 레일(4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형 레일(430)은 직선부(432)와 곡선부(434)로 이루어진다. 직선부(432)는 중앙에 위치한 제1 직선 레일(410)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2개의 부분이고, 곡선부(434)는 2개의 직선부(432)를 연결하는 반원 형태의 부분을 말한다.
레일 구조물(400")은 제1 직선 레일(410) 및 트랙형 레일(430)이 다수의 지지 프레임(44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형 레일(430)은 상술한 직선부(432)를 없애고, 타원형, 원형 등의 형태로 곡선부만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제1 직선 레일(410)의 둘레에 트랙형 레일(430)이 구비됨으로써 재활 환자 1명이 트랙형 레일(430)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트랙형 레일(430)을 따라 일 방향으로 보행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변형예 1)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형 레일(430)이 2개의 제1 직선 레일(410)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트랙형 레일(430)의 제1 직선부(432a)는 제1 직선 레일(410)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2 직선부(432b)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440)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트랙형 레일(43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 즉 제1 직선부(432a)와 제2 직선부(432b)가 연결되는 부위는 호 형태의 곡선부(4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레일 구조물(400")은 도 10에서와 같이 각각 3개로 구성된 제1 수직 프레임(210)과 제2 수직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고, 총 4개의 손잡이봉(310)을 설치하였다. 이에 의하면 2명의 재활 환자가 손잡이봉(310)에 의지하여 제1 직선 레일(410)의 하측에서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명의 재활 환자가 트랙형 레일(430)을 따라 일 방향으로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 변형예 2)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형 레일(430)이 3개의 제1 직선 레일(410)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제1 직선 레일(410)의 개수는 설치공간의 여건에 따라 더욱 늘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일 구조물(400")은 각각 2개로 구성된 제1 수직 프레임(210)과 제2 수직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손잡이봉(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설치하지 않고, 레일 구조물(400")의 하부 공간을 개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천장 고정봉(502, 504)이 구비되어 앞서 설명한 레일 구조물(400, 400', 400")이 설치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210, 220), 손잡이봉(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필요치 않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천장 고정봉(502)은 도 13에서와 같이 레일 구조물(400)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440)의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천장 고정봉(504)은 레일 구조물(400)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440)의 상부에 상기 제1 천장 고정봉(502)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천장 고정봉(502, 504)이 설치공간의 천장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레일 구조물(400)이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서는 레일 구조물(400)에 제1 직선 레일(410)만 구비되어 있지만, 앞서 설명한 제2 직선 레일(420) 및 트랙형 레일(430)과 제1 및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452, 452')가 추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의 구조물을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레일
11 : 바퀴
12 : 회전고리
30 : 벨트걸쇠
31 : 안전벨트
40 : 손잡이봉
50 : 런닝머신
60 : 견인장치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10 : 제1 수직 프레임
220 : 제2 수직 프레임
310 : 손잡이봉
312 : 고정봉
320 : 손잡이봉 지지부재
322 : 고정관
330 : 고정핀
400, 400', 400" : 레일 구조물
402 : 연결편
410 : 제1 직선 레일
420 : 제2 직선 레일
430 : 트랙형 레일
432a : 제1 직선부
432b : 제2 직선부
434 : 곡선부
440 : 지지 프레임
451 :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
451a : 지지고리
452, 452' :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
452a : 제1 부재
452b : 제2 부재
452c : 지지고리
502 : 제1 천장 고정봉
504 : 제2 천장 고정봉

Claims (14)

  1.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와 회전고리로 연결된 벨트 걸쇠와, 상기 벨트 걸쇠에 의해 지지되어 재활 환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과, 상기 제1 직선 레일이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제1 직선 레일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레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막대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일체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들의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는 제2 직선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제1 런닝머신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고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벨트 걸쇠가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측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직선 레일의 바깥 측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제1 부재의 끝단에 고정된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고리로 이루어진 제2 런닝머신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고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벨트 걸쇠가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직선 레일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트랙형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형 레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제1 직선 레일, 상기 트랙형 레일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이 직사각 형태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레일 및 상기 트랙형 레일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레일 구조물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레일 구조물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2 수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손잡이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레일 구조물의 일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1 천장 고정봉과, 상기 레일 구조물의 타단부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2개 이상의 제2 천장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KR20130079314A 2013-07-05 2013-07-05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KR20140143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314A KR20140143671A (ko) 2013-07-05 2013-07-05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314A KR20140143671A (ko) 2013-07-05 2013-07-05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71A true KR20140143671A (ko) 2014-12-17

Family

ID=526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314A KR20140143671A (ko) 2013-07-05 2013-07-05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6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29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재활기구
CN110354454A (zh) * 2019-06-12 2019-10-22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骨科康复训练装置及使用方法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29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재활기구
CN110354454A (zh) * 2019-06-12 2019-10-22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骨科康复训练装置及使用方法
CN110354454B (zh) * 2019-06-12 2021-09-24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骨科康复训练装置及使用方法
KR102225063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990B2 (en) Gait training apparatuses, attachments for gait training and related methods
US9089465B2 (en) Open area harness system for providing patient mobility
JP2006311874A (ja) 筋力訓練装置
US7938757B1 (en) Track—mobile
KR20140143671A (ko)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CN207401072U (zh) 一种多功能医疗用康复训练扶梯
US11083928B2 (en) Hand-over-hand fitness machine and methods of use
KR101862794B1 (ko) 근력 운동기구
KR101608890B1 (ko)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CN202122799U (zh) 一种步态康复减重训练器
CN102274611A (zh) 步态康复减重训练器
KR102296449B1 (ko)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JP2017225626A (ja) 歩行補助装置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EP2687271A1 (en) Cyclette for riding with legs in vertical position
US20130226046A1 (en) J Walker Rehabilitation "Learn To Walk Again" System
KR20090102473A (ko)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CN205796006U (zh) 带负重自锁装置的辅助步态训练器
US10028593B1 (en) Infant walker system
KR20150132658A (ko) 운동 기구
JP3145983U (ja) 歩行運動と左右開閉運動兼用器具
US20100234771A1 (en) Massage bench
KR20110089913A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KR101168326B1 (ko) 수동식 런닝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