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90B1 -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90B1
KR101608890B1 KR1020140050064A KR20140050064A KR101608890B1 KR 101608890 B1 KR101608890 B1 KR 101608890B1 KR 1020140050064 A KR1020140050064 A KR 1020140050064A KR 20140050064 A KR20140050064 A KR 20140050064A KR 101608890 B1 KR101608890 B1 KR 10160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pedestal
rail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544A (ko
Inventor
백범준
Original Assignee
백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범준 filed Critical 백범준
Priority to KR102014005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엎드린 상태로 전신을 움직여 운동할 수 있는 전신 운동장치로써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수납 및 이송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고,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신 운동장치는 특수 제작된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며,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받침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받침대; 그리고 상기 상단받침대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고, 상기 상단받침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에는 각각 사용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지지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는 반대편 레일의 지지대와 탈부착 가능한 교차봉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와이어를 통해 반대편 손잡이와 연결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내구성이 좋으면서도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수납 및 운반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Prefabricated body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엎드린 상태로 전신을 움직여 운동할 수 있는 전신 운동장치로써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수납 및 이송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고,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적인 현대인들은 신체적 활동보다는 정신적인 활동을 더 많이 하고, 신체 활동을 할 만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수의 현대인들은 만성적인 운동부족을 겪고 있으며, 이는 체력 저하 및 비만 등을 야기하여 건강에 해가 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도시에 거주하는 현대인들은 신체 활동을 할 만한 여유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운동 등의 신체 활동을 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은 대부분 실내 운동기구를 통하여 자신의 체력 및 근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의 실내 운동기구들은 런닝머신이나 사이클 장치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특정 부위의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로써, 이러한 운동기구는 특정 부위의 근육을 고립시켜 집중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신의 근육을 단련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는 팔, 다리, 가슴, 허리 등을 단련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번갈아가며 사용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하지만 사람의 신체 각 부분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일정 부분만을 단련하게 되더라도 근접한 신체에 영향을 주게 되고, 따라서 단순히 신체의 일부분을 단련시키고자 하는 목적 및 구조로 개발된 운동기구는 이러한 신체의 유기적인 구조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효율성 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특정 부위 자극 운동기구는 목표한 특정 부위에 지나친 자극을 줄 수 있어, 근육 또는 관절에 필요 이상의 부하를 걸게 할 수 있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정 부분 단련용 운동기구 외에도 신체의 전신을 단련시킬 수 있는 구조의 운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전신 운동기구로써 포복형 전신 운동기구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는데, 등록특허 10-0722294호, 등록특허 10-0723297호, 등록특허 10-0717815호, 등록특허 10-0868982호, 등록특허 10-0868983호, 등록특허 10-0804315호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식 또는 수동식의 포복형 전신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특허는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송 및 수납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그 구조 또한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 비해 구조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등록특허의 단점을 극복한 개량형으로써 상기한 등록특허와의 차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등록특허와 연관된 구조로써, 전신운동장치의 롤러 이탈방지구조가 등록특허 10-0804314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의 등록특허에 개시된 이탈방지구조 역시 안정성 및 제작의 용이성, 동작의 용이성 등에서 불안정하여 실시 여부가 의문스럽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앞서 포복형 전신 운동기구인 등록특허 10-0538203호, 공개특허 10-2007-0111782호를 개시하여 포복형 전신 운동기구를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시한 등록특허 및 공개특허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불편한 부분을 개선 및 개량하여, 사용 뿐 아니라 수납 및 운반에도 용이하고, 설치가 유연하여 벽면 상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올려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신 운동기구로써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며,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받침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받침대; 그리고 상기 상단받침대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고, 상기 상단받침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에는 각각 사용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지지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는 반대편 레일의 지지대와 탈부착 가능한 교차봉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와이어를 통해 반대편 손잡이와 연결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레일과 상, 하단 받침대의 연결은 한쪽 면이 열린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4개의 연결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레일과 받침대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연결프레임을 통한 한 쌍의 레일과 상, 하단 받침대의 연결은, 상기 각각의 받침대 측면에 각각 연결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연결프레임이 레일의 일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연결프레임을 통한 한 쌍의 레일과 상, 하단 받침대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한 쌍의 레일에는 각각 상부면 및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손잡이 및 지지대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이 직접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휠결합부, 상기 휠결합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 상기 휠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결합바퀴, 상기 휠결합부 일측면 바깥쪽에 설치되며, 상기 교차봉과 연결되는 교차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가 레일의 상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하단결합바퀴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레일의 하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각각 맞물려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단받침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연결프레임의 전면부로는 각각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이송부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손잡이에는 각 고리가 손잡이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 단이 상기 고리에 각각 걸리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에 와이어홈 및 하나 이상의 조임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임홀에 각각 나삽될 수 있는 조임나사로 구성되는 두 개의 조임핀이 추가로 형성되어 와이어 양단을 탈부착 가능한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 전면부에 설치된 고리에 걸도록 하여 손잡이와 와이어가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하나의 손잡이와 한 쪽이 상기의 방식으로 연결된 뒤 상단받침대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 전면부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이송부의 롤러를 통해 'ㄷ'자 형태로 꺾여서 나머지 하나의 손잡이와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한 쌍의 다리는 지지대, 기둥,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회전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회전부가 상단받침대의 양 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한 쌍의 다리의 연결회전부가 상기 상단받침대와 나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대는 기둥과 연결되는 지지핀거치대와, 상기 지지핀거치대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지면을 직접 지지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핀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지핀거치대는 십자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핀을 4개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핀거치대의 튀어나온 각 부분에 하나씩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의 부분 하나하나를 전부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납 또는 이송이 매우 간편하며, 분리된 부분을 조립하는 것도 간편하여 사용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포복 시에 딛게 되는 양 손 및 발의 지지구조가 매우 견고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운동기구는 설치조립이 매우 용이하여 이를 벽면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A부분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B부분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전신 운동기구(1000)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주로 하여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의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며, 세부 결합관계(A, B, C, D부분)는 추가적으로 개별 도면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는 평행한 저1레일(100)과 제2레일(200), 상단받침대(300), 하단받침대(400)를 기본 골격으로 하며, 상기 제1레일(100)에는 왼발지지대(110)와 왼손잡이(120)가 설치되고, 제2레일(200)에는 오른발지지대(210)와 오른손잡이(220)가 설치되며, 상기 왼발지지대(110)와 오른손잡이(220)는 제1교차봉(510)의 양 단에 각각 고정 연결되고, 오른발지지대(210)와 왼손잡이(120)는 제2교차봉(520)의 양 단에 각각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100)과 제2레일(200)의 일측단은 상단받침대(30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은 하단받침대(400)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단받침대(300)의 양 측단부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1받침대다리(600) 및 제2받침대다리(70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왼손잡이(120)와 오른손잡이(220)는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800)에 의해 연결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결합되는 전신 운동기구(1000)는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를 띄며,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왼손잡이(120)를 잡고 오른손으로 오른손잡이(220)를 잡으며, 왼발로 왼발지지대(110)를 지지하고 오른발을 오른발지지대(210)에 지지한 상태에서 왼손 또는 오른손, 왼발 또는 오른발을 이용하여 상기 제1레일(100) 및 제2레일(200)상에 위치한 상기 왼발지지대(110) 및 왼손잡이(120), 오른발지지대(210) 및 오른손잡이(220)를 제1레일(100) 및 제2레일(200)상에서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움직임으로써 실시된다. 이때 상기 오른손잡이(220)는 제1교차봉(510)을 통하여 왼발지지대(110)와 연결되어 같이 움직이게 되고, 왼손잡이(120)는 제2교차봉(520)을 통하여 오른발지지대(210)와 연결되어 같이 움직임으로 사용자는 마치 경사진 암벽을 타는 것처럼 상기 전신 운동기구(1000) 상에서 양 팔 및 다리, 몸을 함께 움직이게 됨으로써 전신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으면서도, 레일 상에서 발지지대(110, 210) 및 손잡이(120, 220)의 갑작스러운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교차봉(510, 520)이 각각 왼발지지대와 오른손잡이(110, 220), 왼손잡이와 오른발지지대(120, 210)를 고정 연결시켜줌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움직일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와이어(800)가 각 손잡이(120, 220)를 연결시켜주고 있으므로, 어느 한쪽의 갑작스런 미끄러짐을 반대측에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전하게 상기 운동기구(10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신 운동기구(1000)의 보다 구체적인 결합관계를 이하에서 상기의 도 1과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한 제1레일(100) 및 제2레일(200)상에 설치되는 발지지대(110, 210) 및 손잡이(120, 220)의 결합관계 및 구조(도 1의 A)를 도 1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발지지대(110, 210) 중 왼발지지대(110)가 제1레일(100) 상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손잡이(120, 220)의 경우 상기 레일(100, 200)과의 결합관계 및 구조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발지지대(110, 2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왼발지지대(110)는 사용자가 발을 직접 딛게 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2) 하단에 고정 체결되며 바퀴(114, 115)가 설치되는 휠결합부(112), 상기 휠결합부(112)의 상단부에 용접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114), 상기 휠결합부(112) 측면 하단부에 하단바퀴축(116)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115a) 형성되어 있는 하단결합바퀴(115), 그리고 상기 휠결합부(112)의 일측면 바깥쪽으로 도 1에서 도시한 제1교차봉(5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교차결합부(113)가 용접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의 하단결합바퀴(115)의 설치 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하단결합바퀴(115)와 휠결합부(112)를 연결시키는 하단바퀴축(116)은 양 끝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단바퀴축(116)을 휠결합부(112)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휠결합부(112)의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홀과 하단결합바퀴(115)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일직선상에 놓도록 하고, 상기 하단바퀴축(116)을 상기 휠결합부(112)의 측면 하단부 홀과 하단결합바퀴(115)의 홀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뒤,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양 끝을 한 쌍의 바퀴고정너트(115b)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하단결합바퀴(115)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1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114)와 동일한 수의 상단홈(101)이 제1레일(1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결합바퀴(115)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5a)와 동일한 수의 하단홈(102)이 제1레일(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결합바퀴(115)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115a)가 상기 제1레일(100)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왼발지지대(110)가 제1레일(100)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이탈하지 않고 완전히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휠결합부(112) 일측 바깥쪽에 설치되는 교차결합부(113)는 제1교차봉(510)과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교차결합부(113)의 측면으로는 가로로 길게 결합부길이조절홈(11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교차봉(510)의 일단면에 상기의 결합부길이조절홈(113a)과 동일한 길이의 교차봉길이조절홈(511a)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부(511)가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되어, 상기 두 길이조절홈(113a, 511a)을 맞댄 후, 고정나사(512)를 상기 두 길이조절홈(113a, 511a)이 형성하는 틈 내부로 나삽 체결함으로써 상기 왼발지지대(110)와 제1교차봉(51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두 길이조절홈(113a, 511a)은 가로로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교차봉(510)의 길이조절부(511)를 교차결합부(113)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길이를 조절한 뒤 고정나사(512a)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왼발지지대(110)를 제1레일(100) 상에 설치 또는 해체하는 방법은, 상기의 왼발지지대(110) 중 지지부(111) 및 휠결합부(112),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114) 및 교차결합부(113)는 상호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상기한 구성요소를 제1레일(100) 상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한 방법으로 하단결합바퀴(115)를 설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해체 역시 상기 하단결합바퀴(115)를 분리하는 것 만으로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의 나머지 왼손잡이(120) 및 오른발지지대(210), 오른손잡이(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지 상기 지지부(111) 나 휠결합부(112)의 디자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레일(100, 200)과의 결합 관계 및 탈부착 방법은 모두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손잡이 및 바퀴(110, 120, 210, 220)의 연결 구조는 상단결합바퀴(114) 및 하단결합바퀴(115)를 사용하였지만, 측면에도 바퀴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레일(100, 20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홈(103)을 레일(100, 200)의 양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측면홈(103) 바퀴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휠결합부(112) 양 측면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 중 왼손잡이(120)와 와이어(800)의 결합관계(도 1의 B)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통하여 손잡이(120, 220)와 와이어(8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며, 오른손잡이(220)의 경우 왼손잡이(120)와 결합 방식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왼손잡이(120)의 손잡이부(121) 하단부에 용접 등으로 체결되는 휠결합부(122) 전면으로는 고리(127)가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 체결되는데, 오른손잡이(220) 역시 마찬가지의 위치에 고리(도시되지 않음)가 고정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800)는 상기 고리(127)에 걸어서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와이어(800)가 고리(127)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면서 반대편 오른손잡이(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고리(127)에 와이어(8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임핀(810)을 이용하여 와이어(800)의 남는 끈을 조여서 처리하고, 또한 와이어(800)에 고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의 조임핀(8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와이어홀(811)이 형성되어 내부로 와이어(800)를 관통시킬 수 있어 도 5와 같이 와이어(800)를 이용하여 상기 조임핀(810)을 고리목으로 하는 고리를 형성하게 하고, 또한 상기 조임핀(810)의 양 측면 또는 상단 또는 하단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상으로는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조임홀(812)이 형성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조임나사(813)가 상기 조임홀(812) 내에 나삽되면서 내부의 와이어(800)를 와이어홀(811) 내부에서 압력을 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끼움으로써, 상기 와이어(800)의 고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왼손잡이(120)와 와이어(800)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800)를 왼손잡이(120)로부터 분리하고 싶을 시에는, 단순히 상기 하나 이상의 조임나사(813)를 풀어 느슨하게 함으로써, 와이어(800) 고리 형태를 해제하여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1000)의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의 확대한 분해사시도(도 1의 C)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6을 통하여 상기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레일(200)과 하단받침대(400)의 결합관계는 상기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의 결합관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의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 사이에 한쪽 면이 열린 사각 틀 형태의 하단연결프레임(41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의 어느 한 쪽 측면 또는 양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레일체결볼트홈(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단부로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체결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의 하단부는 하단받침대(400)의 일측면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게 되며,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의 프레임볼트체결홈(412)과 마주보는 하단받침대(400)의 면상으로 상기 프레임볼트체결홈(412)과 동일한 수의 받침체결홈(4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홈(402, 411, 412)은 모두 나사가 나삽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내부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단연결프레임(410)에 제1레일(100)의 연결은, 우선 상기 제1레일(100)의 일측부를 하단연결프레임(410)의 열린 면 내부로 끼워넣은 뒤 레일볼트나사(413)를 레일볼트체결홈(411)에 관통 나삽시키고, 상기 제1레일(100)에도 관통 나삽되도록 하여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과 제1레일(100)을 레일볼트나사(413)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일볼트나사(413)가 제1레일(100) 내부로 나삽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제1레일(100)의 일측면 중 레일볼트체결홈(411)과 맞닿는 면상에 나삽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과 하단받침대(400)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414)가 각각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볼트체결홈(412)과 받침대체결홈(402)을 관통 나삽하면서 상기의 하단연결프레임(410)과 하단받침대(400)가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볼트체결홈(412)은 프레임볼트나사(414)의 나사머리 부분을 하단연결프레임(410) 바닥면 아래로 매몰되어 체결될 수 있게끔 턱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 바닥면으로는 제1레일(100)이 설치되므로, 상기 제1레일(100)이 프레임볼트나사(414)의 나사머리에 걸려서 설치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단받침대(400) 하단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핀(401)은 상기 하단받침대(400) 일측 하단면에 볼팅 등의 종래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체결되도록 하며, 도 1에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200)이 설치되는 부분에도 동일한 숫자의 지지핀(401)이 동일한 방법으로 하단받침대(400) 타측면에 고정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방법으로 하단받침대(400)와 하단연결프레임(410)을 고정 체결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단연결프레임(410)과 제1레일(100)을 고정 체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해체는 상술한 조립의 역순으로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기구(1000)중 제1레일(100)과 상단받침대(300), 재1받침대다리(600)의 확대한 분해사시도(도 1의 D)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7을 통하여 상기 제1레일(100)과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레일(200)과 상단받침대(300), 제2받침대다리(700)의 결합관계는 상기한 제1레일(100)과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의 결합관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제1레일(100)과 상단받침대(300)의 연결은, 상기에서 제1레일(100)과 하단받침대(400)의 연결을 하단연결프레임(410)을 이용하여 실시한 것과 동일하게, 상단연결프레임(310)을 통하여 연결하게 되며, 그 연결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단연결프레임(310) 전면으로는 손잡이(120, 220)를 연결시키는 와이어(800)를 90도로 꺾어서 연결시킬 수 있는 롤러(321)와, 상기 롤러(321)가 설치되는 몸체(322)로 구성되는 와이어이송부(320)가 고정 체결된다. 상기 와이어이송부(320)의 역할은 도 1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800)의 방향을 꺾어 손잡이(120, 220)를 와이어(800)를 통하여 'ㄷ'자 형태로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몸체(322)를 이용하여 제1롤러(100)의 타측부를 막아 손잡이(120, 220)가 과도하게 움직여 레일(100, 200) 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의 상단연결프레임(310)과 상단받침대(300)를 관통 나삽하여 체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는, 제1받침대다리(600)까지 관통 나삽하면서 연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가 상단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까지 고정 연결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대다리(600)와 프레임 및 받침대(300) 간의 연결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받침대다리(600)는 직접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640), 상기 지지대상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기둥(630), 상기 기둥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조절부(620),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620)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단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와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를 통하여 체결되는 연결회전부(610)로 구성된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 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를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의 나사부분은 연결프레임(310) 및 상단프레임(300)을 관통하면서, 제1받침대다리(600)의 연결회전부(610)까지 관통 나삽되어, 연결프레임(310) 및 상단프레임(300), 제1받침대다리(600)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회전부(610)는 상기 상단받침대(300)에 밀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연결부(612)와, 상기 연결부(612) 하단에 연결부(612)와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부(61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6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받침대(300)에 밀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볼트나사(314)가 연결부(612)까지 관통 나삽될 수 있도록 상단받침대(300)의 받침체결홈(302)과 맞닿는 연결부(612)의 면상에 연결홈(613)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프레임볼트나사(314)는 상단연결프레임(310)의 프레임볼트체결홈(312)과 받침체결홈(302), 연결홈(613)까지 관통 나삽하게 되어 상기 상단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를 연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부(612)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회전부(611)는 제1받침대다리(600)의 길이조절부(620)에 받침대나사(614)를 이용하여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611)에는 각각 회전홀(610a)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620)의 접합부(621) 중 상기 회전부(611) 및 회전홀(610a)과 맞닿는 접합부(621)의 면상에 접합홀(621a)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나사(614)를 상기 접합홀(621a) 및 회전홀(610a)에 관통시킨 후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연결회전부(610)와 길이조절부(62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회전부(610)의 회전부(6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지만,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도 1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회전부(611)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621)를 상기 한 쌍의 회전부(611) 사이에 끼운 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대나사(614)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의 회전부(611)를 하나로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621)를 굽쇠 형태로 갈라지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를 접합부(621)의 틈 사이에 끼운 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대나사(614)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620)는 상기한 접합부(621)와, 상기 접합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기둥(622),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기둥(622)의 조절된 길이를 고정시키는 조절스위치(623a)가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잠금부(623)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부(620) 하단으로 기둥(630)과 지지대(640)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의 길이조절기둥(622)은 원통형의 기둥(630) 안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기둥(622)을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다음에 길이조절잠금부(623)의 조절스위치(623a)를 이용하여 상기 길이조절기둥(622)을 고정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이는 유압실린더 방식이나 또는 상기의 길이조절기둥(622)에 다수의 홈을 형성한 뒤 조절스위치(623a)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의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다리(600) 중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대(640)는 지면을 직접 지지하게 되며 볼트 등의 수단으로 제작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지지핀(642)과, 상기 다수의 지지핀(642)을 거치시키는 지지핀거치대(641)로 구성되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는 지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상기 다수의 지지핀(642) 각자의 길이를 지면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받침대다리(600)가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핀거치대(641)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형성하고, 4개의 지지핀(642)을 이용하여 상기 십자 형태의 지지핀거치대(641)의 튀어나온 각각의 부분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제1받침대다리(600)가 지지하고자 하는 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제1레일(100)과 상단연결프레임(310) 및 상단받침대(300), 제1받침대다리(600)의 조립은 우선 상기 제1받침대다리(600)와 상단받침대(300), 상단연결프레임(310)을 조립한 뒤 상기 연결회전부(610)와 길이조절기둥(622)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와 각도로 조정한 후, 제1레일(100)을 상기 상단연결프레임(310)상에 설치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해체 역시 이의 역순으로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1000)는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전신 운동기구(1000)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므로, 상기 전신 운동기구(1000)와 벽면을 볼팅하여 체결하도록 하며, 이때 받침대다리(600, 700) 등은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100 : 제1레일. 101 : 상단홈. 102 : 하단홈. 103 : 측면홈.
110 : 왼발지지대. 111 : 지지부. 112 : 휠결합부. 113 : 교차결합부.
114 : 상단결합바퀴. 115 : 하단결합바퀴. 116 : 하단바퀴축.
120 : 왼손잡이. 200 : 제2레일. 210 : 오른발지지대. 220 : 오른손잡이.
300 : 상단받침대. 302, 402 : 받침체결홈. 310, 410 : 연결프레임.
312, 412 : 프레임볼트체결홈. 314, 414 : 프레임볼트나사.
320 : 와이어이송부. 321 : 롤러. 322 : 몸체. 400 : 하단받침대.
401 : 지지핀. 411 : 레일볼트체결홈. 413 : 레일볼트나사.
510 : 제1교차봉. 511 : 길이조절부. 512 : 고정나사. 520 : 제2교차봉.
600 : 제1받침대다리. 610 : 연결회전부. 611 : 회전부. 612 : 연결부.
613 : 연결홈. 614 : 받침대나사. 620 : 길이조절부. 621 : 접합부.
622 : 길이조절기둥. 623 : 길이조절잠금부. 630 : 기둥. 640 : 지지대.
641 : 지지핀거치대. 642 : 지지핀.

Claims (12)

  1. 전신 운동기구로써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며,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단받침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받침대; 그리고 상기 상단받침대 하단에 설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며 상기 상단받침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에는 각각 사용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지지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는 반대편 레일의 지지대와 탈부착 가능한 교차봉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와이어를 통해 반대편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상단받침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연결프레임의 전면부로는 각각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이송부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는 각 고리가 손잡이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 단이 상기 고리에 각각 걸리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에 와이어홈 및 하나 이상의 조임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임홀에 각각 나삽될 수 있는 조임나사로 구성되는 두 개의 조임핀이 추가로 형성되어 와이어 양단을 탈부착 가능한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 전면부에 설치된 고리에 걸도록 하여 손잡이와 와이어가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하나의 손잡이와 한 쪽이 상기의 방식으로 연결된 뒤 상단받침대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 전면부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이송부의 롤러를 통해 'ㄷ'자 형태로 꺾여서 나머지 하나의 손잡이와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과 상, 하단 받침대의 연결은 한쪽 면이 열린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4개의 연결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레일과 받침대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을 통한 한 쌍의 레일과 상, 하단 받침대의 연결은, 상기 각각의 받침대 측면에 각각 연결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연결프레임이 레일의 일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나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에는 각각 상부면 및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6.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및 지지대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이 직접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휠결합부, 상기 휠결합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 상기 휠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결합바퀴, 상기 휠결합부 일측면 바깥쪽에 설치되며, 상기 교차봉과 연결되는 교차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단결합바퀴가 레일의 상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하단결합바퀴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레일의 하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각각 맞물려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는 지지대, 기둥,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회전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회전부가 상단받침대의 양 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10. 제 1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연결회전부가 상기 상단받침대와 나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기둥과 연결되는 지지핀거치대와, 상기 지지핀거치대에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지면을 직접 지지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거치대는 십자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핀을 4개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핀거치대의 튀어나온 각 부분에 하나씩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신 운동기구.
KR1020140050064A 2014-04-25 2014-04-25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KR10160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4A KR101608890B1 (ko) 2014-04-25 2014-04-25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4A KR101608890B1 (ko) 2014-04-25 2014-04-25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44A KR20150123544A (ko) 2015-11-04
KR101608890B1 true KR101608890B1 (ko) 2016-04-04

Family

ID=5460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064A KR101608890B1 (ko) 2014-04-25 2014-04-25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93B1 (ko) * 2018-12-13 2019-03-20 윤명규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45766A1 (es) * 2018-09-03 2020-03-03 Juarez Gabriel Orlando Fracaroli Máquina de ejercicios físicos
GB2580940B (en) * 2019-01-31 2021-11-17 High Street Tv Group Ltd Track exercise device
KR102323854B1 (ko) * 2020-01-31 2021-11-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 재활필라테스 기구
EP4079381A1 (en) * 2021-04-21 2022-10-26 Chan, Cheng-Yu Limb exercise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76B1 (ko) * 2007-08-27 2008-11-21 정석균 운동기구
US20090105050A1 (en) * 2007-10-17 2009-04-23 Mayo Elvin A Exercise Machine for Back Rehabilitation
CN102671345A (zh) * 2011-03-14 2012-09-19 上海硕信实业有限公司 攀登爬行训练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76B1 (ko) * 2007-08-27 2008-11-21 정석균 운동기구
US20090105050A1 (en) * 2007-10-17 2009-04-23 Mayo Elvin A Exercise Machine for Back Rehabilitation
CN102671345A (zh) * 2011-03-14 2012-09-19 上海硕信实业有限公司 攀登爬行训练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93B1 (ko) * 2018-12-13 2019-03-20 윤명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44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890B1 (ko) 조립식 전신 운동장치
US8641585B2 (en) Exercise machine
US7179212B2 (en) Omni-directional abdominal exerciser
US10420974B2 (en) Exercise device
US4921245A (en) Exercise device
US6767314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collapsing the same
US10118064B1 (en) Adjustable isometric exercise apparatus
US10251807B2 (en) Massage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H029829B2 (ko)
TW201943441A (zh) 超經典核心床設備
US20130213917A1 (en) Set of accessories with supports to exercise the human body and structures where they are supported
US20220126153A1 (en) Fitness activity apparatus
KR101338634B1 (ko) 자전거의 넘어짐 방지장치
US20140250582A1 (en) Bathtub exercise auxiliary apparatus
KR20140143671A (ko) 레일형 보행운동 보조장치
KR200183001Y1 (ko) 페달 운동 장치
KR100722294B1 (ko) 호보방식의 수동식 전신운동장치
KR200440357Y1 (ko) 휴대용 건강 사이클
KR102113231B1 (ko)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RU2271187C1 (ru) Кресло-коляска
KR101182117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칭기구
KR101316754B1 (ko) 조립식 평행봉
KR200441910Y1 (ko) 접이식 안전 그네
CN218589617U (zh) 一种多功能体育器材
KR200377790Y1 (ko) 제자리걷기와 뜀뛰기와 좌우 몸 회전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