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150A -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150A
KR20140143150A KR1020147025667A KR20147025667A KR20140143150A KR 20140143150 A KR20140143150 A KR 20140143150A KR 1020147025667 A KR1020147025667 A KR 1020147025667A KR 20147025667 A KR20147025667 A KR 20147025667A KR 20140143150 A KR20140143150 A KR 2014014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tepped
stepped portion
battery
laminat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362B1 (ko
Inventor
가즈노리 오자와
야스노리 오자와
유스케 혼마
노리히로 곤
요시에 요시다
노리마사 미우라
가츠나리 노리타
세츠코 고우라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6Metal deforming with nonmetallic bo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수지층(6)이 마련된 스테인리스 강판(5)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지 요소(1)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2)를 구성하는 2개의 외장재 중의 한쪽의 외장재로서, 상기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다른쪽의 외장재와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수지층(6)이 서로 융착됨으로써 상기 전지 케이스(2)를 형성하는 외장재이고, 상기 탭(3)을 끼워 넣기 전에, 상기 2개의 외장재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의 상기 탭(3)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이다.

Description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EXTERIOR MATERIAL FOR LAMINATED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XTERIOR MATERIAL FOR LAMINATED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BATTERY AND LAMINATED BATTERY}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탭을 끼워 넣기 전에 외장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를 외장재에 미리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더욱 확실하게 전지 케이스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리튬 전지 등의 2차 전지의 형태의 1개로서, 전지 요소를 외장재(라미네이트 시트)에 의한 밀봉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수지층이 마련된 한쌍의 알루미늄 시트를 외장재로서 이용하고, 전지 요소에 접속된 탭(정 전극 및 부 전극의 인출 단자)을 외장재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외장재를 누르면서 외장재에 열을 가하는(히트 시일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외장재의 수지층을 서로 융착시키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외장재의 기재로서 알루미늄 시트를 이용한 경우, 알루미늄이 연질의 금속이기 때문에, 강도가 부족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디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기재로 하는 외장재를 이용하여, 상술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구성과 같이, 스테인리스 강판을 기재로 하는 외장재를 이용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9028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96217호
여기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알루미늄 시트를 기재로 하는 외장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이 연질의 금속이기 때문에, 히트 시일 공정시의 압력에 의해 외장재를 탭의 형상에 익숙하게 할 수 있고, 전지 케이스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을 기재로 하는 외장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강이 경질의 금속이기 때문에, 히트 시일 공정시의 압력만으로는 외장재의 형상을 동결할 수 없어, 스프링 백에 의해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린다.
즉,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구성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기재로 하는 외장재를 이용하고, 히트 시일 공정시의 압력에 의해 외장재의 판면을 탭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시키는 구성이므로,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전지 케이스의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더욱 확실하게 전지 케이스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는 수지층이 마련된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지 요소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구성하는 2개의 외장재 중의 한쪽의 외장재로서, 전지 요소에 접속된 탭을 다른쪽의 외장재와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수지층이 서로 융착됨으로써 전지 케이스를 형성하는 외장재이고, 탭을 끼워 넣기 전에, 2개의 외장재에 끼어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은 단차 가공부의 형성에 이용하는 펀치 및 다이에는 제 1 단차 측면부에 대응하는 펀치 측벽면과 다이 측벽면이 마련되어 있고, 펀치 측벽면과 다이 측벽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외장재의 판 두께보다 넓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차 측면부가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은 수지층이 마련된 한쌍의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사이에 전지 요소에 접속된 탭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외장재를 누르면서 제 1 및 제 2 외장재에 열을 가하는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외장재 사이에 탭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수지층을 서로 융착시키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외장재 사이에 탭을 끼워 넣기 전에, 제 1 및 제 2 외장재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를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형성한다.
본 발명에 관한 라미네이트식 전지는 전지 요소를 격납하는 전지 케이스와, 수지층이 마련된 한쌍의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수지층이 서로 열융착됨으로써 전지 케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외장재와, 전지 요소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외장재 사이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 탭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탭을 끼워 넣기 전에, 제 1 및 제 2 외장재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에 따르면, 탭을 끼워 넣기 전에, 외장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가 외장재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확실하게 단차 가공부의 형상을 동결할 수 있고,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한 후에 스프링 백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더욱 확실하게 전지 케이스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단차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단차 가공부와는 다른 형상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경우의 비교예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단차 가공부와는 다른 형상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경우의 비교예 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에 마련된 단차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단차 가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펀치 및 다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에 마련된 단차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2)의 내부에는 전지 요소(1)가 격납되어 있다. 주지와 같이, 전지 요소(1)는 정 전극, 부 전극,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체이며, 전해액에 침지되어 있는 것이다. 전지 요소(1)에는 한쌍의 탭(3)(정 전극 및 부 전극의 인출 단자)이 접속되어 있다. 탭(3)은 전지 케이스(2)의 외부에 인출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 또는 외부 부하에 접속된다. 전지 케이스(2)에는 복수의 부착 구멍(4)이 마련되어 있다. 부착 구멍(4)은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부착 대상에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도 2는 도 1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외장재(2a)와 제 2 외장재(2b)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지 케이스(2)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지 케이스(2)는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서로 점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에는 접합부(20), 한쌍의 단차 가공부(21) 및 전지 요소 수용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접합부(20)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외주(바깥둘레)의 대략 전체에 마련된 평면부이다. 접합부(20)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끼리의 직접의 점착에 이용된다.
단차 가공부(21)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외주의 일부에 있어서 접합부(20)로부터 인출되도록 가공이 실시된 부분이다. 이 단차 가공부(21)는 전지 케이스(2)가 형성될 때에 탭(3)을 끼워 넣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의 탭(3)의 단면 형상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지 요소 수용부(22)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어서 접합부(20)로부터 인출되도록 가공이 실시된 부분이다. 전지 요소 수용부(22)는 전지 케이스(2)가 형성되었을 때에, 전지 요소(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차 가공부(21) 및 전지 요소 수용부(22)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탭(3)을 끼워 넣기 전에(후술하는 히트 시일 공정이 실시되기 전에) 미리 형성된 것이다. 또한, 탭(3)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의 형상은 후술하는 히트 시일 공정이 실시된 후에, 단차 가공부(21)와 탭(3)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된 형상이다.
다음에, 도 3은 도 2의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는 기재로서의 스테인리스 강판(5)의 표면에 수지층(6)이 마련된 것이다. 스테인리스 강판(5)의 두께는 0.04∼0.40㎜ 정도이며, 수지층(6)의 두께는 0.02∼0.40㎜ 정도이다. 또, 수지층(6)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130∼200도 정도까지 가열시키면 용융하는 것이다. 주지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전지 케이스(2)는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누르면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에 열을 가하는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수지층(6)을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외장재에 우수한 성형성이나 내약품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판(5)으로서, 수지층(6)을 마련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윤활 피막(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는 도 2의 탭(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3)에는 탭 본체(30)와 필름체(31)가 포함되어 있다. 탭 본체(30)는 띠형상의 금속 박편이고,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두께 t1을 갖고 있다. 또한, 정극의 탭 본체(3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티탄 혹은 백금 등에 의해 구성되며, 부극의 탭 본체(30)는 예를 들면 동, 니켈, 스테인레스강 혹은 백금 등에 의해 구성된다. 탭(3)의 두께 방향(3a)은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접합부(20)가 형성되는 접합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다(도 1 참조).
필름체(3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구성된 한쌍의 띠형상 필름이 탭 본체(30)의 표면 및 이면에 점착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 필름체(31)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전지 케이스(2)가 형성될 때에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단차 가공부(21)의 수지층(6)과 융착된다. 또, 필름체(31)는 단차 가공부(21)의 수지층(6)과 함께,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스테인리스 강판(5)과 탭 본체(3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필름체(31)에는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탭 본체(30)의 양단으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돌출된 필름 돌출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필름 돌출부(32)는 띠형상 필름이 서로 점착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탭 본체(30)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필름 돌출부(32)는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돌출량 t2, 및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두께 t3을 갖고 있다. t3/2은 띠형상 필름의 1개분의 두께에 상당한다. 또한, 탭(3)의 폭 방향(3b)은 탭(3)의 두께 방향(3a)과 전지 케이스(2)로부터의 탭(3)의 연장 방향(3c)에 수직인 방향이다(도 1 참조).
다음에,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3)의 단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3)의 단면 형상은 탭 본체(30)의 양단으로부터 필름 돌출부(32)가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단순한 장방형에 비해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탭(3)은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제 1 탭 단면(35), 제 1 탭 측면(36), 제 2 탭 단면(37), 및 제 2 탭 측면(38)을 갖고 있다.
제 1 탭 단면(35)은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하는 필름체(31)의 단면이고, 탭 본체(30)의 폭 전체에 걸쳐 탭 본체(30)의 표면 및 이면과 중첩되는 단면이다.
제 1 탭 측면(36)은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양측의 제 1 탭 단면(35)의 단부로부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된 필름체(31)의 단면이다. 이 제 1 탭 측면(36)은 제 1 탭 단면(35)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탭 단면(37)은 제 1 탭 측면(36)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 필름체(31)의 필름 돌출부(32)의 단면이다. 이 제 2 탭 단면(37)은 제 1 탭 측면(36)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탭 측면(38)은 제 2 탭 단면(37)의 단부로부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된 필름체(31)의 필름 돌출부(32)의 단면이다. 이 제 2 탭 측면(38)은 제 2 탭 단면(37)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3)의 단면형상이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탭(3)을 끼워 넣는 단차 가공부(21)의 형상도 이것을 고려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6은 도 2의 단차 가공부(21)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단차 가공부(21)에는 제 1 단차 단면부(210), 제 1 단차 측면부(211), 및 접속부(212)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단차 단면부(210)는 도면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탭 단면(35)에 대응하도록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 벽부이다. 제 1 단차 측면부(211)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탭 측면(36)(도 5 참조)에 대응하도록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단부로부터의 탭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된 벽부이다.
접속부(212)는 접합부(20)의 단부와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하는 벽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212)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제 3 단차 측면부(21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단차 단면부(212a)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2 탭 단면(37)(도 5 참조)에 대응하도록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 벽부이다. 제 3 단차 측면부(212b)는 일단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이 접합부(20)의 단부에 접속된 벽부이며,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2 탭 측면(38)에 대응하도록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접합부(20)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 및 두께 방향(3a)을 따라 멀어진 위치로서,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제 2 탭 측면(38)의 바깥쪽 위치로부터 탭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접합부(20)에 대한 인출량은 탭 본체(30)의 두께 t1과 필름체(31)를 구성하는 띠형상 필름의 2개분의 두께 t3의 합계를 2로 나눈 수에서 소정의 조절량 α를 감산한 양, 즉 {(t1+t3)/2}-α로 되어 있다. 이 인출량을 (t1+t3)/2보다 작게 하고 있는 것은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할 때에,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수지층(6)(도 2 참조)과 탭(3)의 필름체(31)를 더욱 확실하게 밀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띠형상 필름의 1개분의 두께 t3/2는 0.05∼0.2㎜ 정도이지만, 조절량 α는 이 띠형상 필름의 1개분의 두께 t3/2미만의 양이며, 0.01㎜보다 큰 양이다.
제 3 단차 측면부(212b)의 접합부(20)에 대한 인출량은 필름 돌출부(32)의 두께(필름체(31)를 구성하는 띠형상 필름의 2개분의 두께) t3을 2로 나눈 수에서 소정의 조절량 β를 감산한 양, 즉 (t3/2)-β로 되어 있다. 이 인출량을 (t3/2)보다 작게 하고 있는 것도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할 때에, 제 3 단차 측면부(212b)의 수지층(6)(도 2 참조)과 탭(3)의 필름체(31)를 더욱 확실하게 밀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절량 β는 띠형상 필름의 1개분의 두께 t3/2미만의 양이며, 또한 0.01㎜보다 큰 양이다.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길이는 필름 돌출부(32)의 돌출량 t2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은 도 1의 라미네이트식 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에는 외장재 제조 공정 S1과 히트 시일 공정 S2가 포함되어 있다.
외장재 제조 공정 S1은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며, 히트 시일 공정 S2의 전에 실시되는 것이다. 이 외장재 제조 공정 S1에서는 평면형상의 판재에 대해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접합부(20), 한쌍의 단차 가공부(21), 및 전지 요소 수용부(22)를 갖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제조한다.
히트 시일 공정 S2는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누르면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에 열을 가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수지층(6)이 서로 융착되어 전지 케이스(2)가 형성된다.
즉, 종래 방법에서는 단차 가공부(2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외장재가 이용되며, 히트 시일 공정시의 압력에 의해 외장재의 판면을 탭의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시키도록 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 시일 공정 S2의 실시 전에(탭(3)을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기 전에), 단차 가공부(21)를 미리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단차 가공부(21)의 형상을 동결할 수 있고, 히트 시일 공정 S2를 실시한 후에 스프링 백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2a, 2b)와 탭(3)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더욱 확실하게 전지 케이스(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은 도 6의 단차 가공부(21)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21)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단차 가공부(21)와 다른 형상의 단차 가공부가 형성된 경우의 비교예 1, 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8∼도 10의 (a)는 히트 시일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히트 시일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의 단차 가공부(21)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이용한 경우에는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된 후에 단차 가공부(21)와 탭(3)에 간극은 생기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비교예 1, 2에서는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된 후에 단차 가공부와 탭에 간극(10)이 생기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은 도 6의 단차 가공부(21)에서 접속부(212)가 생략된 구성, 즉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에 접합부(20)를 직접적으로 접속한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제 1 외장재(2a)의 접합부(20)와 제 2 외장재(2b)의 접합부(20)에 의해서 필름 돌출부(32)를 끼워 넣게 되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접합부(20)가 서로 접촉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필름 돌출부(32)(제 2 탭 측면(38))의 바깥쪽에 있어서 간극(10)이 생긴다. 이에 대해, 도 6의 단차 가공부(21)에서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 및 두께 방향(3a)을 따라 떨어진 위치로서,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제 2 탭 측면(38)의 바깥쪽 위치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의 단부와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부(212)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212)의 구성에 의해, 접합부(20)에 의한 필름 돌출부(32)의 끼워 넣음을 회피하고, 필름 돌출부(32)의 바깥쪽에 있어서의 간극(10)의 발생을 회피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비교예 2는 도 6의 단차 가공부(21)에서 제 1 단차 측면부(211)가 생략된 구성, 즉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단부와 필름 돌출부(32)의 바깥쪽으로부터 연장하는 접합부(20)의 단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212)에 의해서 접속된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히트 시일 공정 S2의 전부터 접속부(212)와 필름 돌출부(32)의 사이에 큰 간극(10)이 생기고, 히트 시일 공정 S2의 후에도 간극(10)이 해소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6의 단차 가공부(21)에서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탭 측면(36)을 따르도록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단부로부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 1 단차 측면부(211)가 마련된다. 이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구성에 의해,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필름 돌출부(32)의 양측에 있어서 큰 간극(10)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히트 시일 공정 S2의 후에 해당 간극(10)이 남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다음에, 도 11은 도 8의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돌출부(32)가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탭 본체(30)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1과 같이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르는 탭 본체(30)의 일단에 필름 돌출부(32)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 가공부(21)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다. 즉, 단차 가공부(21)는 필름 돌출부(32)의 양태에 따라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면 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에서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탭(3)을 끼워 넣기 전에,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3)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가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확실하게 단차 가공부(21)의 형상을 동결할 수 있고, 히트 시일 공정 S2를 실시한 후에 스프링 백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탭(3)의 사이에 간극(10)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더욱 확실하게 전지 케이스(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단차 가공부(21)에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탭 단면(35)에 대응하도록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단차 단면부(210)와,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탭 측면(36)에 대응하도록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단부로부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단차 측면부(211)와,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 및 두께 방향(3a)을 따라 떨어진 위치로서,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제 2 탭 측면(38)의 바깥쪽 위치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의 단부와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21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탭 본체(30)의 양단으로부터 필름 돌출부(32)가 돌출되는 것에 의해 탭(3)의 단면형상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더욱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탭(3)의 사이에 간극(10)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전지 케이스(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속부(212)에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2 탭 단면(37)에 대응하도록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일단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이 접합부(20)의 단부에 접속되고,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2 탭 측면(38)에 대응하도록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는 제 3 단차 측면부(212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기 전부터 단차 가공부(21)를 탭(3)에 밀접시킬 수 있으며, 더욱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탭(3)의 사이에 간극(10)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단차 가공부(21)의 형상은 필름 돌출부(32)의 존재를 고려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필름체에 필름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외장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탭의 단면형상이 단순한 사각형인 경우에는 도 9를 이용해서 설명한 단차 가공부에서도 탭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된다. 이 경우에도, 외장재 사이에 탭을 끼워 넣기 전에 외장재에 단차 가공부를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한 후의 스프링 백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고, 외장재와 탭의 사이에서의 간극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에 마련된 단차 가공부(21)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제 3 단차 측면부(212b)에 의해 접속부(212)가 구성되도록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경사부(212c)에 의해 접속부(212)가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212c)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단부와 접합부(20)의 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구성(도 6의 구성)과 같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된 제 3 단차 측면부(212b)를 형성할 수 있으면,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기 전부터 단차 가공부(21)를 탭(3)에 밀접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름 돌출부(32)의 두께 t3에 따라서는 접속부(212)의 가공이 극히 미세한 것으로 되고, 판재를 직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제 3 단차 측면부(212b)를 형성하려고 해도, 형상을 동결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단차 측면부(212b) 대신에 경사부(212c)를 마련함으로써, 판재의 가공량을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확실하게 형상을 동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3은 도 12의 단차 가공부(21)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21)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2의 단차 가공부(21)의 경우,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필름 돌출부(32)의 코너부가 경사부(212c)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 필름 돌출부(32)의 주변에 있어서 간극(10)이 생기고 있다.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면,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체(31)가 용융되고 단차 가공부(21)를 따라 변형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접합부(20)가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접속부(212)와 각 접속부(212)의 기단을 연결하는 선분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의 단면적은 필름 돌출부(32)의 단면적보다 작다. 이 때문에, 해당 공간은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면, 용융된 필름 돌출부(32)에 의해서 채워진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경사부(212c)에 의해 접속부(212)를 구성해도, 간극(10)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전지 케이스(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될 때에는 경사부(212c)의 경사면이 필름 돌출부(32)에 꽉 눌러지는 것에 의해,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안쪽으로 필름 돌출부(32)의 용융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압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공간에 수납되지 않았던 필름 돌출부(32)의 용융물의 대부분은 접합부(20) 사이에 진입하지 않고, 탭(3)의 연장 방향(3c)을 따라 전지 케이스(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압출된다.
다음에, 도 14는 도 12의 단차 가공부(21)를 형성하기 위한 펀치(15) 및 다이(16)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단차 가공부(21)는 도 14에 나타내는 펀치(15) 및 다이(16)를 이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펀치(15) 및 다이(16)에는 제 1 단차 측면부(211)에 대응하는 펀치 측벽면(15a)과 다이 측벽면(16a)이 마련되어 있다. 펀치 측벽면(15a)과 다이 측벽면(16a)의 사이의 클리어런스(17)는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판 두께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단차 측면부(211)는 제 1 단차 단면부(210)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형태 1과 같이, 제 1 단차 측면부(211)를 제 1 단차 단면부(210)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면, 클리어런스(17)를 제 1 및 제 2 외장재의 판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클리어런스(17)를 이와 같이 설정하면, 펀치(15)와 다이(16)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실제의 클리어런스(17)가 판 두께보다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가령 클리어런스(17)가 판 두께보다 작아지면, 펀치(15) 및 다이(16)에 의해서 판재가 전단되고, 외장재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외장재(2a, 2b)를 제조함에 있어서, 클리어런스(17)를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판 두께보다 넓게 하여, 제 1 단차 측면부(211)를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외장재(2a, 2b)에 균열이 생기는 가능성을 저감하고, 외장재(2a, 2b)의 성형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에서는 단차 가공부(21)가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제 2 탭 단면(37)에 대응하도록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단부와 접합부(20)의 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212c)가 접속부(212)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필름 돌출부(32)의 두께 t3이 작은 경우에도 더욱 확실하게 접속부(212)의 형상을 동결할 수 있고, 접속부(212)에서의 스프링 백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탭(3)의 사이에 간극(10)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펀치 측벽면(15a)과 다이 측벽면(16a)의 사이의 클리어런스(17)를 외장재의 판 두께보다 넓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차 측면부(211)가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외장재(2a, 2b)에 균열이 생기는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외장재(2a, 2b)의 성형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에 마련된 단차 가공부(21)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 2의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경사부(212c)에 의해 접속부(212)가 구성되어 있었지만(도 12 참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차 단면부(212a)를 생략하고, 경사부(212c)에 의해서만 접속부(212)를 구성해도 좋다. 접속부(212)를 경사부(212c)에 의해서만 구성하는 경우, 경사부(212c)의 접합부(20)에 대한 최대 돌출량이 (t3/2)-β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16은 도 15의 단차 가공부(21)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이용한 경우의 단차 가공부(21)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시일 공정 S2가 실시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경사부(212c)와 필름 돌출부(32)의 사이에 간극(10)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경사부(212c)의 접합부(20)에 대한 최대 돌출량이 (t3/2)-β로 되므로, 제 1 외장재(2a)의 경사부(212c)와 제 2 외장재(2b)의 경사부(212c)를 2개의 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은 필름 돌출부(32)의 단면적보다 작다. 이 때문에,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시일이 실시되면,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경사부(212c)를 2개의 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공간은 용융된 필름 돌출부(32)로 채워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단차 가공부(21)에서도 간극(10)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전지 케이스(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간에 수납되지 않았던 필름 돌출부(32)의 용융물의 대부분은 접합부(20) 사이에 진입하지 않고, 탭(3)의 연장 방향(3c)을 따라 전지 케이스(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압출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2a, 2b)에서는 접속부(212)는 접합부(20)의 단부와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212c)이므로, 필름 돌출부(32)의 두께 t3이 작은 경우에도 더욱 확실하게 접속부(212)의 형상을 동결할 수 있으며, 접속부(212)에서의 스프링 백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탭(3) 사이에 간극(10)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 전지 요소 2; 전지 케이스
2a; 제 1 외장재 2b; 제 2 외장재
3; 탭 4; 부착 구멍
5; 스테인리스 강판 6; 수지층
15; 펀치 16; 다이
20; 접합부 21; 한쌍의 단차 가공부
22; 전지 요소 수용부 30; 탭 본체
31; 필름체 32; 필름 돌출부
35; 제 1 탭 단면 36; 제 1 탭 측면
37; 제 2 탭 단면 38; 제 2 탭 측면)
210; 제 1 단차 단면부 211; 제 1 단차 측면부
212; 접속부

Claims (9)

  1. 수지층(6)이 마련된 스테인리스 강판(5)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지 요소(1)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2)를 구성하는 2개의 외장재 중의 한쪽의 외장재로서, 상기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다른쪽의 외장재와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수지층(6)이 서로 융착됨으로써 상기 전지 케이스(2)를 형성하는 외장재이고
    상기 탭(3)을 끼워 넣기 전에, 상기 2개의 외장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서의 상기 탭(3)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3)은 상기 외장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 제 1 탭 단면(35)과, 상기 제 1 탭 단면(35)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된 제 1 탭 측면(36)과, 상기 제 1 탭 측면(36)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된 제 2 탭 단면(37)과, 상기 제 2 탭 단면(37)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된 제 2 탭 측면(38)을 갖고 있고,
    상기 단차 가공부(21)에는,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탭 단면(35)에 대응하도록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단차 단면부(210)와,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탭 측면(36)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단차 단면부(210)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단차 측면부(211)와,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폭 방향(3b) 및 두께 방향(3a)을 따라 떨어진 위치로서,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르는 상기 제 2 탭 측면(38)의 바깥쪽 위치로부터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20)의 단부와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21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12)에는,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탭 단면(37)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일단이 상기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접합부(20)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탭 측면(38)에 대응하도록 상기 탭(3)의 두께 방향(3a)을 따라 연장되는 제 3 단차 측면부(212b)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12)에는,
    상기 단차 가공부(21)가 상기 탭(3)에 중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탭 단면(37)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로부터 상기 탭(3)의 폭 방향(3b)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단차 단면부(212a)와,
    상기 제 2 단차 단면부(212a)의 단부와 상기 접합부(20)의 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212c)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12)는 상기 접합부(20)의 단부와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의 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212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7. 제 6 항에 기재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단차 가공부(21)의 형성에 이용하는 펀치(15) 및 다이(16)에는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에 대응하는 펀치 측벽면(15a)과 다이 측벽면(16a)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펀치 측벽면(15a)과 상기 다이 측벽면(16a)의 사이의 클리어러스(17)를 외장재의 판 두께보다 넓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단차 측면부(211)가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8. 수지층(6)이 마련된 한쌍의 스테인리스 강판(5)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사이에, 전지 요소(1)에 접속된 탭(3)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를 누르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에 열을 가하는 히트 시일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 사이에 상기 탭(3)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상기 수지층(6)을 서로 융착시키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 사이에 상기 탭(3)을 끼워 넣기 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의 상기 탭(3)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를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9. 전지 요소(1)를 격납하는 전지 케이스(2)와,
    수지층(6)이 마련된 한쌍의 스테인리스 강판(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층(6)이 서로 열 융착됨으로써 상기 전지 케이스(2)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와,
    상기 전지 요소(1)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 사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2)의 외부에 인출되는 탭(3)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탭(3)을 끼워 넣기 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외장재(2a, 2b)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의 상기 탭(3)의 단면 형상에 적합한 단차 가공부(21)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식 전지.
KR1020147025667A 2012-02-29 2012-02-29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KR101940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086 WO2013128594A1 (ja) 2012-02-29 2012-02-29 ラミネート式電池の外装材、ラミネート式電池の外装材製造方法、ラミネート式電池の製造方法、及びラミネート式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50A true KR20140143150A (ko) 2014-12-15
KR101940362B1 KR101940362B1 (ko) 2019-01-18

Family

ID=4908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667A KR101940362B1 (ko) 2012-02-29 2012-02-29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70371A1 (ko)
EP (1) EP2822055B1 (ko)
KR (1) KR101940362B1 (ko)
CN (1) CN104145350B (ko)
WO (1) WO2013128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64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의 내면이 전기 절연성 소재로 코팅되어 있는 전지셀
US20190044106A1 (en) * 2016-09-28 2019-02-07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battery casing with receiving part and electrode lead groo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8998B (zh) * 2017-06-02 2022-06-17 住友电工超效能高分子股份有限公司 蓄电装置用构件、其制造方法和蓄电装置
CN208000939U (zh) * 2018-04-11 2018-10-2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和设备
CN111276647A (zh) * 2020-03-30 2020-06-12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模组以及电池的制备方法
KR102562686B1 (ko) 2021-03-30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CN113381101A (zh) * 2021-05-07 2021-09-10 厦门大学 一种散热性良好的电池软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3137677A (ja) * 2022-03-18 2023-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283A (ja) 2000-12-21 2002-07-05 At Battery:Kk 薄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薄型二次電池
JP2006196217A (ja) 2005-01-11 2006-07-27 Sony Corp 電池パック
JP2010165481A (ja) * 2009-01-13 2010-07-29 Showa Denko Kk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6963A (ja) * 2009-10-01 2011-04-14 Iwasaki Electric Co Ltd 光源装置
JP4725578B2 (ja) * 2007-12-28 2011-07-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20038695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562A (ja) * 1998-12-01 2000-06-23 Tokai Rubber Ind Ltd 薄型電池用袋体のシール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金型
WO2001054985A1 (fr) * 2000-01-26 2001-08-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spositif et procede de thermoscellage, procede d'emboutissage, dispositif de pressage de piece, et piece pressee
US6830641B2 (en) * 2001-08-13 2004-12-14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eal formed from polymer laminated metallic constructions
JP2004047262A (ja) * 2002-07-11 2004-02-12 Nissan Motor Co Ltd 薄型電池および組電池
JP3758629B2 (ja) * 2002-09-26 200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電池
JP4430487B2 (ja) * 2004-03-16 2010-03-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対面型コネクタ
CN100444430C (zh) * 2005-06-16 2008-12-1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扁平型电池及采用该扁平型电池的电池组
JP5082263B2 (ja) * 2006-03-10 2012-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968308B2 (ja) * 2009-09-30 2012-07-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外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外部リード端子及びラミネート電池
KR20110066448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US20110311862A1 (en) * 2010-06-21 2011-12-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N102324548B (zh) * 2011-09-22 2014-04-02 深圳市创明电池技术有限公司 一种软包装电池封装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283A (ja) 2000-12-21 2002-07-05 At Battery:Kk 薄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薄型二次電池
JP2006196217A (ja) 2005-01-11 2006-07-27 Sony Corp 電池パック
JP4725578B2 (ja) * 2007-12-28 2011-07-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0165481A (ja) * 2009-01-13 2010-07-29 Showa Denko Kk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6963A (ja) * 2009-10-01 2011-04-14 Iwasaki Electric Co Ltd 光源装置
KR20120038695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64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의 내면이 전기 절연성 소재로 코팅되어 있는 전지셀
US20190044106A1 (en) * 2016-09-28 2019-02-07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battery casing with receiving part and electrode lead groove
US11855296B2 (en) 2016-09-28 2023-12-2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having battery casing with receiving part and electrode lead 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5350A (zh) 2014-11-12
US20140370371A1 (en) 2014-12-18
CN104145350B (zh) 2017-07-21
KR101940362B1 (ko) 2019-01-18
EP2822055B1 (en) 2017-12-27
EP2822055A4 (en) 2015-10-21
WO2013128594A1 (ja) 2013-09-06
EP2822055A1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62B1 (ko)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JP5303974B2 (ja) 組電池
JP5374742B2 (ja) ラミネート式電池の外装材、ラミネート式電池の外装材製造方法及びラミネート式電池の製造方法
WO2009113634A1 (ja)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及び組電池
JP4690013B2 (ja) 接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5040698B2 (ja) キャパシタ
WO2018016653A1 (ja)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160110206A (ko) 라미네이트형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6351361A (ja) フィルム外装型蓄電装置
CN109564990B (zh) 电化学装置
CN102136553A (zh) 用于袋设计的增程式电动车电池包装
JP2015011895A (ja) 角形二次電池
JP2006164784A (ja)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
EP3641017A2 (en) Secondary battery
JP6344746B2 (ja) アルカリ電池およびアルカリ電池の製造方法
CN105576180B (zh) 蓄电装置以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TWI493767B (zh) 層疊式電池的外裝材、層疊式電池的外裝材製造方法、層疊式電池的製造方法及層疊式電池
JP5200072B2 (ja) 電池
JP5725113B2 (ja) 組電池および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
JP2007273625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7738A (ja) 密閉形電池および密閉形電池の製造方法
CN108292775B (zh) 用于二次电池的密封设备
KR20150037678A (ko) 배터리 팩
JP4554436B2 (ja) サーモプロテクタ及びその製作方法
WO2024063103A1 (ja) 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