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022A - 환경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환경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022A
KR20140142022A KR1020130063542A KR20130063542A KR20140142022A KR 20140142022 A KR20140142022 A KR 20140142022A KR 1020130063542 A KR1020130063542 A KR 1020130063542A KR 20130063542 A KR20130063542 A KR 20130063542A KR 20140142022 A KR20140142022 A KR 2014014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test chamber
wire harness
sealing memb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848B1 (ko
Inventor
오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2013006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 면에 와이어 하니스가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되고,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을 위한 시험챔버; 및 상기 시험챔버의 상기 와이어 홀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 홀을 통하여 상기 시험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 주변을 밀폐하며, 다양한 단면 크기를 갖는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쥘 수 있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직경조절부를 가지는 밀폐구;를 포함하는 환경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경 시험장치{Environmental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온도 또는 습도 환경에서 전기기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니스를 시험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뽑아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시험챔버를 밀폐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기기, 특히 차량용 전기기기는 고온 또는 저온의 온도 환경이나 습도 환경에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전기기기가 이러한 환경에서 기능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와이어 홀이 형성된 시험챔버를 포함하는 시험장치를 이용한다.
시험챔버 내에 전기기기를 넣고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을 수행할 때, 시험챔버 내부에 배치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기기에 와이어 하니스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즉 전기기기에 연결된 와이어 하니스가 시험챔버 내부에서 와이어 홀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와야 할 경우가 필요한 것이다. 이 경우 외이어 홀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과시키면서도 시험챔버 내부를 밀폐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종래의 시험장치는 와이어 하니스로 인하여 완벽하게 시험챔버의 내부를 밀폐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시험챔버 내부의 온도(또는 습도)와 시험을 위하여 설정된 온도(또는 습도)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정확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마이너스 40℃ 정도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저온 시험의 경우 시험챔버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게 되어 시험실의 상온 온도와 시험챔버 내부의 저온과의 차이로 인하여 와이어 홀이 얼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하니스를 와이어 홀을 통하여 뽑아내고도 시험챔버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는 일측 면에 와이어 하니스가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되고,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을 위한 시험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챔버의 상기 와이어 홀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 홀을 통하여 상기 시험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 주변을 밀폐하며, 다양한 단면 크기를 갖는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쥘 수 있는 홀딩부(31)와, 상기 홀딩부(31)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직경조절부(37)를 가지는 밀폐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밀폐구는 상기 시험챔버의 상기 일측 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40)는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밀폐구를 상기 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부(40)는 상기 밀폐구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40)는 압력조절부(41)와 상기 압력조절부(41)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41)를 통하여 상기 삽입부(42)가 팽창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2)에 끼워져 상기 밀폐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구의 둘레면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홀딩부(31)는 상기 밀폐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배열(34)로 배열하는 복수의 피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 각각의 끝단은 상기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쥐면서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피스 각각의 사이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밀폐막(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피스 각각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열(34)의 윗면 또는 밑면에 배치되되, 피스들이 상기 제1배열(34)의 상기 복수의 피스(32)와 엇갈려 배치되는 제2배열(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피스 각각은 끝단에 플렌지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피스 각각의 상기 와이어 하니스와 접촉하는 끝단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홀딩부(31)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31)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쥐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직경조절부(37)는 상기 밀폐구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밀폐구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와이어 하니스 주변을 밀폐시켜 시험챔버를 왼전히 밀폐함으로써 시험챔버 내부의 온도(또는 습도)를 설정된 온도(또는 습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저온 시험시 시험챔버가 얼어버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는 시험챔버에 끼워지는 밀폐구를 나타낸다.
도 2는 홀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홀딩부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홀딩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는 홀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홀딩부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홀딩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홀딩부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배열과 제2배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홀딩부에 포함되는 피스 각각의 끝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플랜지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는 플랜지부가 상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홀딩부의 제1실시예와 직경조절부를 나타낸다.
도 7은 홀딩부의 제2실시예와 직경조절부를 나타낸다.
도 8과 도 9는 밀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플랜지부가 상부에 형성된 홀딩부가 삽입된 경우의 밀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플랜지부가 하부에 형성된 홀딩부가 삽입된 경우의 밀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밀폐구에 마개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를 나타낸다. 도 1(b)는 시험챔버(10)에 끼워지는 밀폐구(3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는 전기기기의 온도 또는 습도 환경에서의 성능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험챔버(10)와 밀폐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이라 함은 고온, 저온 또는 온도가 변하는 환경에서 전기기기가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여부나 고습도, 저습도 또는 습도가 변하는 환경에서 전기기기가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시험일 수 있다.
시험챔버(10)는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을 위하여 시험대상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시험챔버(10)는 일측 면에 와이어 하니스(20)가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구(30)는 홀딩부(31, 도 2를 참조)와 직경조절부(37, 도 6 및 도 7을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폐구(30)는 시험챔버(10)의 와이어 홀에 끼워질 수 있다. 밀폐구(30)는 시험챔버(10)의 와이어 홀을 통하여 시험챔버(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와이어 하니스(20) 주변을 밀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폐의 정도는 시험챔버(10)의 내부와 외부 간에 수분의 왕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이면 족하다.
도 2는 홀딩부(31)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홀딩부(3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홀딩부(31)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피스(32)들이 4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 다만 피스(32)들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딩부(31)는 다양한 단면 크기를 갖는 와이어 하니스(20)를 감싸쥘 수 있다. 홀딩부(31)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피스(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피스(32)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피스(32)는 밀폐구(30)의 내부에서 밀폐구(3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할 수 있다. 피스(32) 각각의 끝단은 와이어 하니스(20)를 감싸쥐며 와이어 하니스(20)에 밀착될 수 있다.
홀딩부(31)의 제1실시예는 피스(32) 각각의 사이에 플렉시블(Flexible)한 밀폐막(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홀딩부(31)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홀딩부(3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홀딩부(31)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홀딩부(31)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배열(34)과 제2배열(35)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홀딩부(31)의 제2실시예는 제1배열(34)과 제2배열(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배열(35)은 제1배열(34)의 피스(32) 각각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제1배열(34)의 윗면 또는 밑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배열(35)을 구성하는 피스(32)들은 상기 제1배열(34)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피스(32)와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홀딩부(31)에 포함되는 피스(32) 각각의 끝단에 플렌지부(36)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플렌지부(36)가 하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는 플렌지부(36)가 상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홀딩부(31)에 포함되는 피스(32) 각각의 끝단에는 플렌지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렌지부(36)는 피스(32) 각각의 끝단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이라 함은 밀폐구(3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하측 방향이라 함은 밀폐구(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밀폐구(30)의 전면은 밀폐구(30)가 시험챔버(10)에 끼워진 경우 외측면을 의미한다. 밀폐구(30)의 후면은 밀폐구(30)가 시험챔버(10)에 끼워진 경우 밀폐구(30)가 시험챔버(10)의 와이어 홀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도 6은 홀딩부(31)의 제1실시예와 직경조절부(37)를 나타낸다. 도 7은 홀딩부(31)의 제2실시예와 직경조절부(37)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직경조절부(37)는 홀딩부(31)의 직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직경조절부(37)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폐구(3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직경조절부(37)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밀폐구(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골(37)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골(37)은 본 실시예에서는 톱니 모양이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사골(37)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과 대응하여 밀폐구(30)의 둘레면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한다.
홀딩부(3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홀딩부(31)에 포함되는 복수의 피스(32)에 있어서 와이어 하니스(20)와 접촉하는 끝단의 반대단(32a)은 직경조절부(37)의 나사골(37)에 요철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대단(32a)은 나사골(37)의 형상과 형상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골(37)의 형상과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31)의 제1실시예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와이어 하니스(20)를 밀폐구(30)에 끼우고 홀딩부(31)의 플렌지부(36)를 붙잡고 밀폐구(30)를 돌리면 밀폐구(30) 내부에서 밀폐구(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피스(32)가 서로의 간격을 좁히면서 밀착된다. 피스(32) 각각의 끝단이 와이어 하니스(20)에 닿으면서 피스(32) 각각은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을 하고, 이러한 변형을 통하여 와이어 하니스(20)에 더욱 밀착된다.
사용자가 밀폐구(30)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복수의 피스(32)는 서로의 간격을 넓히면서 반경 방향을 따라 회전 중심축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스(32) 각각은 분리되며, 복수의 피스(32)는 서로의 간격이 멀어진다.
피스(3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밀폐막(33)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피스(32)들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는 밀폐막(33)이 접혀진다. 또한 피스(32)들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는 밀폐막(33)이 팽창된다. 밀폐막(33)은 피스(32)들 사이의 틈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럼으로써 와이어 하니스(20)를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밀폐막(33)의 여러 특성 중 하나는 수분을 통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밀폐막(33)의 재질은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써 저온 시험에서 시험챔버(10) 내부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막(33)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닐 등일 수 있다.
홀딩부(31)의 제2실시예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와이어 하니스(20)를 밀폐구(30)에 끼우고 플렌지부(36)를 붙잡고 밀폐구(30)를 돌리면 제1배열(34)로 배열된 복수의 피스(32)와 제2배열(35)로 배열된 복수의 피스(32)가 모두 서로의 간격을 좁히면서 밀착된다. 홀딩부(31)의 직경이 좁아질수록 제1배열(34)의 피스(32)와 제2배열(35)의 피스(32)가 서로 포개지게 되는 부분의 면적이 커진다. 또한, 사용자가 밀폐구(30)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제1배열(34)의 복수의 피스(32)와 제2배열(35)의 복수의 피스(32)는 모두 서로의 간격을 넓히면서 멀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배열(34)로 배열된 피스(32)들 사이의 틈을 제2배열(35)로 배열된 피스(32)들이 막아준다. 홀딩부(31)의 직경이 커질수록 제1배열(34)의 피스(32)와 제2배열(35)의 피스(32)가 서로 포개지게 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진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배열(34)과 제2배열(35)은 서로 밀착될수록 바람직하다. 제1배열(34)과 제2배열(35)은 서로 밀착되어 있을수록 제1배열(34)의 피스(32)들 사이의 틈을 더욱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홀딩부(31)의 피스(32) 각각의 상기 와이어 하니스(20)와 접촉하는 끝단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32) 각각의 끝단을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홀딩부(31)의 직경이 수축하는 경우 피스(32) 각각의 끝단과 와이어 하니스(20)의 밀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딩부(31)의 직경이 수축하는 경우 피스(32) 각각의 끝단이 와이어 하니스(20)와 접촉하면서 피스(32) 끝단의 형상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만큼 밀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끝단의 반대단(32a)은 끝단보다는 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피스(32) 각각의 반대단(32a)이 직경조절부(37)를 타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밀착부(4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플렌지부(36)가 상부에 형성된 홀딩부(31)가 삽입된 경우의 밀착부(4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플렌지부(36)가 하부에 형성된 홀딩부(31)가 삽입된 경우의 밀착부(4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밀폐구(30)는 시험챔버(10)의 일측 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착부(40)는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켜 밀폐구(30)를 상기 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착부(40)는 밀폐구(3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착부(40)는 압력조절부(41)와 삽입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력조절부(41)를 통하여 삽입부(42)가 팽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력조절부(41)가 수축하면서 삽입부(42)를 팽창시킬 수 있다.
압력조절부(41)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컨테이너(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밀착부(40)를 포함하는 밀폐구(30)의 후면은 평평한 형상일 수 있으며 시험챔버(10)의 일측 면에 맞닿을 수 있다.
삽입부(42)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폐구(3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는 시험챔버(10)의 일측 와이어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삽입부(42)는 내부에 와이어 하니스(20)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의 둘레에 공기를 받아들여 팽창할 수 있는 제2컨테이너(B)가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41)와 삽입부(42)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삽입부(42)를 시험챔버(10)의 일측 면에 형성된 와이어 홀에 끼우고 압력조절부(41)를 가압하면 압력조절부(41)의 제1컨테이너(A)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삽입부(42)의 제2컨테이너(B)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컨테이너(A)는 수축되고, 제2컨테이너(B)는 팽창한다. 제2컨테이터의 팽창에 의하여 삽입부(42)도 팽창한다. 삽입부(42)가 팽창하면서 삽입부(42)와 시험챔버(10)에 형성된 와이어 홀 사이의 공간을 메운다. 삽입부(42)가 시험챔버(10)와 밀폐구(30)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밀폐구(30)는 시험챔버(1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홀을 더욱 밀폐할 수 있다.
제1컨테이너(A)와 제2컨테이너(B)를 포함하는 밀착부(40)는 플렉시블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손으로 압력조절부(41)를 누름으로써 제1컨테이너(A)에서 제2컨테이너(B)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컨테이너(A)와 제2컨테이너(B) 사이에는 에어노즐(43)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노즐(43)에 의하여 공기는 제1컨테이너(A)에서 제2컨테이너(B) 쪽으로만 흐르며, 제2컨테이너(B)에서 제1컨테이너(A) 쪽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컨테이너(A)는 수축하고 제2컨테이너(B)는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4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가 제2컨테이너(B)에서 제1컨테이너(A) 쪽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도록 에어노즐(43)의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면에 미도시).
이러한 노즐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는 밀폐구(30)의 직경조절부(37)가 형성된 부분(37a)과 밀착부(40)가 분리된 것이며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위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에 있어서 홀딩부(31)의 직경을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플렌지부(36)가 피스(32) 각각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는 사용자가 플렌지부(36)를 붙잡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부(42)를 붙잡으면 삽입부(42) 내부까지 연장된 플렌지부(36)를 함께 붙잡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밀폐구(30)의 직경조절부(37)가 형성된 부분(37a)과 밀착부(40)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은 밀착부(40) 전면 태두리에 형성된 홈에 직경조절부(37)가 형성된 부분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42)를 붙잡고 밀폐구(30)의 직경조절부(37)가 형성된 부분(37a)을 돌림으로써 홀딩부(31)의 직경을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밀폐구(30)에 마개(50)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는 삽입부(42)에 끼워져 상기 밀폐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42)를 시험챔버(10)에 형성된 와이어 홀에 끼우고 시험챔버(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42)에 마개(50)를 끼워서 밀착부(40)의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마개(50)가 끼워진 채로 삽입부(42)가 팽창하면 밀착의 효과가 더욱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개(5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개(5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또는 스폰지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시험장치
10 : 시험챔버
20 : 와이어 하니스
30 : 밀폐구

Claims (15)

  1. 일측 면에 와이어 하니스가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되고, 온도 또는 습도 환경 시험을 위한 시험챔버; 및
    상기 시험챔버의 상기 와이어 홀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 홀을 통하여 상기 시험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 주변을 밀폐하며, 다양한 단면 크기를 갖는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쥘 수 있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직경조절부를 가지는 밀폐구;
    를 포함하는 환경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는 상기 시험챔버의 상기 일측 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밀폐구를 상기 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폐구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압력조절부와 상기 압력조절부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상기 밀폐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를 통하여 상기 삽입부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의 둘레면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밀폐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배열로 배열하는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 각각의 끝단은 상기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쥐면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 각각의 사이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밀폐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 각각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열의 윗면 또는 밑면에 배치되되, 피스들이 상기 제1배열의 상기 복수의 피스와 엇갈려 배치되는 제2배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 각각은 끝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 각각의 상기 와이어 하니스와 접촉하는 끝단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와이어 하니스를 감싸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조절부는 상기 밀폐구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밀폐구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장치.
KR20130063542A 2013-06-03 2013-06-03 환경 시험장치 KR10151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542A KR101510848B1 (ko) 2013-06-03 2013-06-03 환경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542A KR101510848B1 (ko) 2013-06-03 2013-06-03 환경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22A true KR20140142022A (ko) 2014-12-11
KR101510848B1 KR101510848B1 (ko) 2015-04-10

Family

ID=5245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542A KR101510848B1 (ko) 2013-06-03 2013-06-03 환경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0465A (zh) * 2018-12-12 2019-04-05 中国兵器工业第五九研究所 一种强化光热效应的自然环境加速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341321A (zh) * 2021-05-21 2021-09-03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池低温检测变径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86B1 (ko) * 2006-03-27 2007-10-18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KR200426809Y1 (ko) 2006-07-07 2006-09-15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밀봉장치
KR20090062031A (ko) * 2007-12-12 2009-06-1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방수장치 및 그 방법
JP5365568B2 (ja) * 2010-03-31 2013-12-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0465A (zh) * 2018-12-12 2019-04-05 中国兵器工业第五九研究所 一种强化光热效应的自然环境加速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341321A (zh) * 2021-05-21 2021-09-03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池低温检测变径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48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3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ng and seal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5896153B (zh) 电连接器和用于制造网络连接线的方法
US20160198823A1 (en) Systems for Securing a Mobile Device in a Waterproof Case
KR100684550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장치
JP2009502658A (ja) ケーブルの周りへの密封シールの形成
US10863807B1 (en) Waterproof sleeve for electronic device
US10995867B2 (en) Automatic reset flood valve
KR101510848B1 (ko) 환경 시험장치
US20130200768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7532615B (zh) 蓄压器
EP2486635B1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JP2019516943A (ja) ドアシール及び当該ドアシールを備える冷却容器
CN109994269A (zh) 直埋式半铠装电缆
US20210231226A1 (en) Charging valv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WO2016166584A1 (en) A sealing element and a wear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such a sealing element
ES2327230T3 (es) Dispositivo pasamuros estanco.
CN106663930A (zh) 电缆夹持装置
US10277024B2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with cable seal
WO2017046065A1 (en) Longitudinal radial seal
JP2018078739A (ja) 外装通気部材
US11001312B2 (en) Adaptable sealing hole plug
US20080242136A1 (en) Airtight electrical socket
JP2005339836A (ja) 防水コネクタ
RU26114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соединителя и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разъёмной камеры
JP2007311351A (ja) 2つのハーフシェルから形成されたゲルシールを備えたコネク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