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978A -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978A
KR20140140978A KR20130062092A KR20130062092A KR20140140978A KR 20140140978 A KR20140140978 A KR 20140140978A KR 20130062092 A KR20130062092 A KR 20130062092A KR 20130062092 A KR20130062092 A KR 20130062092A KR 20140140978 A KR20140140978 A KR 2014014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talling
transmission line
wireless
fly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772B1 (ko
Inventor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이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열 filed Critical 이수열
Priority to KR102013006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77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탑 사이에 설치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에 감긴 와이어를 풀어 설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System for installing wire for power cable between power towers}
본 발명은 송전선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인류생활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에너지로서, 화력발전소, 수력발전소 등의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공급되고 있다.
특히 수력발전소는 그 속성상, 화력발전소는 유해시설로서 발전소는 주거시설, 산업시설 등과 전기수요처와 원거리에 설치됨에 따라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공급되고 있다.
한편 전기를 송전하기 위한 송전선은, 발전소 및 전력수요처가 원거리에 설치됨에 따라서 최대한 단거리로 설치됨이 바람직한바 산, 강 등을 가로질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송전선의 설치는, 높게 세운 구조물인 송전탑들에 설치되는바 산과 같이 도로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송전탑 간에 송전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헬기 등을 이용한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를 먼저 설치한 후 순차적으로 송전선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설치시 헬기를 사용함에 따라서 송전선 설치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 헬기에 의한 와이어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를 송전탑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전탑 사이에서 송전선 설치 후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를 회수함에 있어서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탑 사이에 설치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에 감긴 와이어를 풀어 설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와이어드럼부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과; 상기 무선비행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풀림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과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드럼부로부터 풀린 와이어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풀림감지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비행체는, 상기 무선비행체의 이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비행체의 전방, 측방, 후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촬영하는 비행상태촬영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비행체는,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풀림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드럼촬영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선 설치 후 회수하는 와이어의 송전탑 간 회수시스템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에 와이어를 감아 회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회수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은,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탑들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무선헬기와 같은 무선비행체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사고의 우려없이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와이어 설치를 위한 무선비행체에 비행상태 및 와이어의 풀림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의 과도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드럼부를 구성하는 보빈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과도한 풀림없이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의 과도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의 풀림길이를 측정하는 풀림감지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과도한 풀림없이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시스템 중 무선비행체 및 와이어드럼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에 관한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1)를 송전탑(2) 사이에 설치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1)의 송전탑(2) 간 설치시스템으로서, 와이어(1)가 감긴 와이어드럼부(10)와; 와이어드럼부(10)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3)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A)에서 제2지점(B)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드럼부(10)에 감긴 와이어(1)를 풀어 설치하는 무선비행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드럼부(10)는, 와이어(1)가 감겨 무선비행체(20)의 이동시 와이어(1)가 풀림으로써 와이어(1)가 제1지점(A)에서 제2지점(B)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1)가 감긴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풀릴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와이어드럼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가 감기는 보빈(11)과; 무선비행체(20)에 고정설치되어 보빈(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11)은, 와이어가 감길 수 있는 구성으로서 와이어(1)가 감기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와이어(1)가 원통부 내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는 플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12)은, 무선비행체(20)에 설치됨과 아울러 보빈(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빈(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드럼부(10)는, 와이어(1)의 풀림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보빈(11)과 결합되어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부(1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13)는,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패드 등에 의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에 저항을 주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드럼부(10)는, 와이어드럼부(10)로부터 풀린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풀림감지부(14)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풀림감지부(14)는, 와이어드럼부(10)로부터 풀린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풀림감지부(14)는,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감지장치로 구성되어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수에 따라서 와이어드럼부(10)로부터 풀린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드럼부(10)의 회전수의 감지는 와이어드럼부(10)의 보빈(11)의 회전 자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풀림감지부(14)는, 와이어드럼부(10)에 롤러(미도시)를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롤러의 회전수에 의하여 와이어드럼부(10)로부터 풀린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풀림감지부(14)는, 와이어드럼부(10)에서 풀리는 와이어(1)가 통과하는 가이드부재(미도시)를 와이어드럼부(10)에 설치하고 가이드부재에서 통과된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함으로써 와이어드럼부(10)로부터 풀린 와이어(1)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통과된 와이어(1)의 길이는, 앞서 설명한 롤러 등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무선비행체(20)는, 무선조종헬기 등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무선비행체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그 동력원은, 내연기관을 이용하거나, 충전지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동력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비행체(20)는, 원격의 위치에서 무선제어단말(3)과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제어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제어부(23)는, 물리적 구성이 아닌 회로적 구성으로서 하나의 물리적 구성 또는 복수개의 물리적 구성도 가능하며, 무선제어단말(3)의 제어신호를 받아 무선비행체(20)의 비행을 제어하는 한편 비행상태촬영부(21), 드럼촬영부(22), 브레이크부(13), 풀림감지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제어부(23)는, 비행상태촬영부(21) 및 드럼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제어단말(3)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제어부(23)는, 무선제어단말(3)의 제어없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제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제어단말(3)은, 무선비행체(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PC는 물론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등 무선비행체(20) 등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무선비행체(20)는, 무선비행체(20)의 이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선비행체(20)의 전방, 측방, 후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촬영하는 비행상태촬영부(2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비행체(20)는, 와이어드럼부(10)의 풀림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드럼촬영부(2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행상태촬영부(21) 및 드럼촬영부(22)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적외선 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은, 송전탑(2) 사이에서 와이어(1)의 설치뿐만 아니라, 송전선(2) 설치 후 와이어를 회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선 설치 후 회수하는 와이어의 송전탑 간 회수시스템으로서,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드럼부와;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드럼부에 와이어를 감아 회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을 개시한다.
여기서 세부구성은 앞서 설명한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와이어드럼부는 와이어가 풀리는 것이 아니라 감기는바 와이어를 감기 위하여 보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와이어 2 : 송전탑
3 : 무선조종단말
10 : 와이어드럼부 20 : 무선비행체

Claims (7)

  1.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탑 사이에 설치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에 감긴 와이어를 풀어 설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과; 상기 무선비행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풀림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과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로부터 풀린 와이어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풀림감지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비행체는, 상기 무선비행체의 이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비행체의 전방, 측방, 후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촬영하는 비행상태촬영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비행체는,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풀림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드럼촬영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7. 송전선 설치를 위한 와이어를 송전선 설치 후 회수하는 와이어의 송전탑 간 회수시스템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결합되며 무선제어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되어 비행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드럼부에 와이어를 감아 회수하는 무선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회수시스템.
KR1020130062092A 2013-05-30 2013-05-30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KR10223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092A KR102232772B1 (ko) 2013-05-30 2013-05-30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092A KR102232772B1 (ko) 2013-05-30 2013-05-30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78A true KR20140140978A (ko) 2014-12-10
KR102232772B1 KR102232772B1 (ko) 2021-03-25

Family

ID=5245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092A KR102232772B1 (ko) 2013-05-30 2013-05-30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7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65B1 (ko) 2016-04-08 2016-12-26 이정숙 드론에 장착되는 선로 가설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선로 가설 방법
KR20200031755A (ko) 2018-09-15 2020-03-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200055996A (ko) 2018-11-14 2020-05-22 제일이엔지(주) 무인비행체를 이용하는 와이어 가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628A (ja) * 1993-11-20 1995-06-02 Sato Kensetsu Kogy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による延線工法及び装置
KR970025472U (ko) * 1995-11-16 1997-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길이 표시장치
JP2007267484A (ja) * 2006-03-28 2007-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無人ヘリコプタによるパイロットロープの延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628A (ja) * 1993-11-20 1995-06-02 Sato Kensetsu Kogy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による延線工法及び装置
KR970025472U (ko) * 1995-11-16 1997-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길이 표시장치
JP2007267484A (ja) * 2006-03-28 2007-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無人ヘリコプタによるパイロットロープの延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65B1 (ko) 2016-04-08 2016-12-26 이정숙 드론에 장착되는 선로 가설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선로 가설 방법
WO2017176004A1 (ko) * 2016-04-08 2017-10-12 주식회사 스카이텍 드론에 장착되는 선로 가설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선로 가설 방법
KR20200031755A (ko) 2018-09-15 2020-03-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200055996A (ko) 2018-11-14 2020-05-22 제일이엔지(주) 무인비행체를 이용하는 와이어 가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772B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466252T3 (da) Spil til tilvejebringelse af en forud bestemt længde af udrullet kabel
JP6466669B2 (ja) 作業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作業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202296593U (zh) 线缆自动调节收放器
JP2017217942A (ja) 無人機システム、無人機、係留装置
CN205076537U (zh) 一种无人机牵引的电缆敷设放线装置
KR20140140978A (ko) 송전선 설치용 와이어의 송전탑 간 설치시스템
RU2017115314A (ru) Воздушная сеть питания для подвижных горных машин
CN108458889B (zh) 一种电力巡检传感设备模拟试验平台
US20160145081A1 (en) Intelligent motor brake for a length/angle sensor of a crane
CN104245558A (zh) 与起重机滑轮相关的设备和方法
CN104743129A (zh) 用于系留无人机的自动锁收放线装置
KR102231048B1 (ko) 유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테더 드론 시스템
KR101285825B1 (ko) 광전력전송장치를 이용한 송전 철탑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광전력전송장치를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13366188A (zh) 用于监测坠落防护安全系统的状况的系统和方法
JP2008236953A (ja) 自律制御飛行体を用いた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CN105000435A (zh) 电力设备自动收放线系统
KR101805527B1 (ko) 비행 중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연결장치,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충전시스템
JP2014137331A (ja) 自立型風検知装置、風検知システム及び車両
WO2016059953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9149880A (ja) パイロットロープの延線及び回収装置
JP2019169065A (ja) 点検システム
EP3294585B1 (en) Tracked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ing the tracked vehicle, and handling system in a work area comprising the tracked vehicle and power supply apparatus
JP2011193545A (ja) ケーブル弛み防止装置およびケーブル弛み防止架線工法
CN213011357U (zh) 一种放缆机构及光电系留缆自动收放装置
CN202876177U (zh) 灭火车投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