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029A -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 - Google Patents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029A
KR20140140029A KR20147025608A KR20147025608A KR20140140029A KR 20140140029 A KR20140140029 A KR 20140140029A KR 20147025608 A KR20147025608 A KR 20147025608A KR 20147025608 A KR20147025608 A KR 20147025608A KR 20140140029 A KR20140140029 A KR 2014014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mol
compound
carbon atoms
cy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니시무라
유코 카토
신노수케 하야시
아이코 야마자키
마사시 야마모토
요시지 아사오카
마사테루 야마다
나오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6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Epox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제공함과 아울러, sEH의 저해 작용에 기초하여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에 대한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대표되는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NIPECOTIC ACID DERIVATIVE AND USE THEREOF FOR MEDICAL PURPOSES}
본 발명은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장병 환자의 증가에 따른 인공 투석 환자가 전 세계에서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고, 그 수는 이 30년 사이에서 10배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 2002년에는 만성 신장병이라고 하는 새로운 질환의 개념이 제창되어, 신부전에는 이르지 않고 있는 신장 기능 저하 상태부터 신부전의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광범위의 신장 질환을 만성 신장병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비특허문헌 1). 신장 기능이 저하한 정도의 증상이라도 그 소견이 지속되고, 이것이 방치되었을 경우에는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eatinine; 이하, sCre)값이나 혈청 시스타틴 C(Cystatin C; 이하, Cys-C)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신부전으로 진행될 리스크가 높은 것이 확인되어 왔기 때문이다.
만성 신장병 환자는 말기의 신부전으로까지 진행하면, 인공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아니고는 생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환자의 퀄러티·오브·라이프는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인공 투석 등이 필요가 되는 신부전의 원질환으로서는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증 등이 있다. 또한, 만성 신장병의 환자는 심혈관 질환을 병발하는 경우도 많고, 이 경우에는 사망 리스크가 한층 더 높아진다. 이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병발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도 큰 의미를 가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만성 신장병의 유효한 치료약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만성 신장병의 환자에게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저해제 등의 안지오텐신계의 강압제가 처방되어, 엄격한 혈압 관리를 행함으로써 만성 신장병의 진전과 심혈관 질환의 병발 및 진전을 저지하는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한편, 폐고혈압증이란 폐동맥압의 상승을 인지한 병태의 총칭이고, 운동 내용능(耐容能)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그 대부분이 진행성이고 예후도 불량한 것이 알려져 있다. 건강인에게 있어서는 폐동맥압은 전신의 혈압보다 낮게 유지되고 있지만, 폐고혈압증 환자에서는 평균 폐동맥압이 안정시에서 25mmHg 이상(운동 시에는 30mmHg 이상)이 되고, 이 상태가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우심실 비대나 우심부전이 유발되어, 최악일 경우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폐고혈압증 발증의 원인의 하나로서, 폐혈관 연축이 관여한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폐고혈압증의 치료에는 프로스타사이클린 유도체, 엔도셀린 리셉터 길항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저해제 등의 단기 폐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최근, 내피 세포 유래의 과분극 인자의 하나인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Epoxyeicosatrienoic acids; 이하, EETs)이 혈압 상승 억제 작용 및 혈관 내피 보호 작용을 갖고 있고, 신장이나 폐의 질환에 있어서 장기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4 및 5). EETs는 가용성 에폭시드 가수 분해 효소(soluble epoxide hydrolase; 이하, sEH)에 의해 디히드록시에이코사트리엔산(dihydroxyeicosatrienoic acids; 이하, DHETs)에 대사되어서 실활되지만, 가용성 에폭시드 가수 분해 효소 저해제 (이하, sEH 저해제)는 EETs의 양을 증가시켜 혈압 상승 억제나 혈관 내피 보호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비특허문헌 6∼8 및 특허문헌 1).
최근에 sEH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보고되어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이 시사가 되어 있는 예도 있지만(비특허문헌 8 및 특허문헌 1 및 2), sEH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어도 자연발증형 고혈압(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모델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예도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9∼11). 또한, 지금까지 보고된 sEH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에는 니페코트산 디아미드 구조를 갖는 것은 없다.
한편, 니페코트산 디아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니페코트산에 헤테로 아릴아민이 축합된 헤테로아릴 아미드 유도체(특허문헌 3), 아미딘 유도체(특허문헌 4) 및 히드록삼산 유도체(특허문헌 5)가 보고되어 있지만, sEH 저해 활성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국제공개 제2007/106525호 일본특허공개 2011-16742호 공보 국제공개 WO2010/096371호 국제공개 WO2000/017158호 국제공개 WO2002/028829호
NKF-K/DOQI,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2001년, 제37권(suppl.1), p.S182-S238 이이노 야스히코 등, 「CKD 진료 가이드 2009」, 일본 신장학회 편찬, 2009년, p. 58-68 사토우, 최신의학, 2010년, 제65권, 제8호, p.1698-1702 Lee 등, The Journal of the Federation of America Societies for Experimantal Biology, 2010년, 제24권, P.3770-3781 Dhanasekaran 등, AJP-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2006년, 제291권, H517-H531 Spector 등, Progress in Lipid Research, 2004년, 제43권, p.55-90 Larsen 등,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 2006년, 28권, 제1호, p.32-38 Imig 등, Pharmaceuticals, 2009년, 제2권, p.217-227 Shen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9년, 19권, p.3398-3404 Shen 등,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9년, 52권, p.5009-5012 Shen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9년, 19권, p.5314-5320
그러나, 만성 신장병의 치료에 있어서, 안지오텐신계 강압제에 의한 혈압 관리만으로는 만성 신장병의 진행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기침 등의 부작용이 수반될 염려가 되고 있다. 또한, 폐고혈압증에 대해서는, 그 치료법 및 예방법이 확립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고, 현재, 폐고혈압증의 치료에 처방되는 약제(프로스타사이클린 유도체, 엔도셀린 리셉터 길항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저해제 등)는 두통, 조홍, 간독성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이 염려되고 있다.
또한,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은 환자의 퀄러티·오브·라이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고, 사망 리스크가 있는 중독한 질환이기 때문에, 발증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약효가 발휘되는 약제의 조기 창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한편,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었다고 하여도, 고혈압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비특허문헌 10∼12), 만성 신부전이나 폐고혈압증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sEH 저해제를 발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었다.
그러나, sEH를 강하게 저해하고 그 작용에 기초하여, 신장 기능 저하나 폐동맥압 상승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발견할 수 있으면, sEH가 발현 증가하지 않는 정상 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염려되고 있는 부작용이 배제된 안정성이 높은 의약을 창작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그래서, 본 발명은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제공함과 아울러, sEH의 저해에 기초하여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에 대한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신규인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강한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 및 그 작용에 기초하여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에 대하여 뛰어난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수산기,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SR6, -S(=O)-R6 또는 -S(=O)2R6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N(R6)C(=O)R7, -N(R6)S(=O)2R7, -C(=O)N(R6)R7 또는 환구성 원자수 5개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상기 알킬기 및 알킬옥시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 또는 -(CH2)m-O-(CH2)n-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옥시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또는 -C(=O)NH2를 나타내지만, 동시에 알킬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또는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고, l은 2∼5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는 R2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4가 벤젠환 상의 2위치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R5가 벤젠환 상의 4위치의 치환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강한 sEH 저해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는 R1이 -N(R6)C(=O)R7 또는 -N(R6)S(=O)2R7을 나타내고, R4는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R5가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R6이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1이 -N(H)C(=O)CH2CH3을 나타내고, R2 및 R3이 하나가 되어 -(CH2)3-을 나타내고, R4가 -OCF3을 나타내고, R5가 시아노기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강한 sEH 저해 활성을 기대할 수 있고, 게다가 약품 동태도 우수하기 때문에,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보다 뛰어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한다.
이 의약은 sEH 저해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만성 신장병 또는 폐고혈압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강한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있고, 그 작용에 기초하여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에 대하여 뛰어난 치료 효과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증상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킨 처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래트 항사구체 기저막 항혈청(항Glomerular Basement Membrane; 이하,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 있어서의 sCre 값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 있어서의 병변면적 스코어의 비율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 있어서의 sCre 값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2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우심실 수축기압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우심실 중량비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폐중량비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우심실 중량비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1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우심실 수축기압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2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우심실 중량비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2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있어서의 폐중량비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2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하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은 수산기,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SR6, -S(=O)-R6 또는 -S(=O)2R6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N(R6)C(=O)R7, -N(R6)S(=O)2R7, -C(=O)N(R6)R7 또는 환구성 원자수 5개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상기 알킬기 및 알킬옥시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 또는 -(CH2)m-O-(CH2)n-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옥시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또는 -C(=O)NH2를 나타내지만, 동시에 알킬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또는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고, l은 2∼5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낸다.]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란 탄소 원자를 1∼6개 갖는 직쇄상 또는 탄소 원자를 3∼6개 갖는 분기쇄상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1-프로필기, 2-프로필기, 1-부틸기, 2-부틸기, 2-메틸-2-프로필기(tert-부틸기), 2-메틸-1-프로필기, 2,2-디메틸-1-프로필기, 1-펜틸기, 2-펜틸기 또는 3-펜틸기가 열거된다.
「탄소수 1∼6개의 알킬옥시기」란 상기의 탄소수 1∼6개의 알킬기가 산소 원자에 결합한 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1-프로필옥시기, 2-프로필옥시기, 1-부틸옥시기 또는 2-부틸옥시기가 열거된다.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란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의미한다.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옥시기」란 시클로프로필옥시기, 시클로부틸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또는 시클로헥실옥시기를 의미한다.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란 탄소 원자를 2∼7개 갖고, 알킬기의 1개의 수소 원자가 알킬옥시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또는 이소프로폭시메틸기가 열거된다.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란 탄소 원자를 4∼7개 갖고, 알킬기의 1개의 수소 원자가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메틸기, 시클로프로필에틸기, 시클로프로필프로필기, 시클로부틸메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또는 시클로헥실메틸기가 열거된다.
「할로겐 원자」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환구성 원자수 5개의 헤테로아릴기」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동일 또는 다른 원자를 환구성 원자로서 1∼4개 포함하고, 환구성 원자수가 5개인 복소 방향족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푸라닐기 또는 티아졸릴기가 열거된다.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는 일반식(I)에 있어서, R1은 -N(R6)C(=O)R7 또는 -N(R6)S(=O)2R7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세틸아미딜, 프로피온아미딜기 또는 메탄술포닐아미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상기 알킬기는 1개의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2- 또는 -(CH2)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2-히드록시-2-프로필기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2- 또는 -(CH2)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가 되는 경우는 없다.
R4는 벤젠환 상의 2위치의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4는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할로겐 원자또는 알킬옥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옥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5는 벤젠환 상의 4위치의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5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옥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6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R7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은 2 또는 3인 것이 바람직하고, m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니페코트산 유도체(이하, 니페코트산 유도체(I))는 적어도 1개의 부제 탄소 원자를 갖고 있고, 광학 이성체나 디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하는 것이지만, 니페코트산 유도체(I)는 단일 이성체뿐만 아니라, 라세미체 및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 이성체가 존재할 경우, 모든 회전이성체를 포함한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부가 염으로서 염산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염, 황산염, 질산염, 브롬화 수소산염, 요오드화 수소산염 또는 메탄술폰산염이 열거되지만, 염산염, 황산염, 브롬화 수소산염, 요오드화 수소산염 또는 메탄술폰산염이 바람직하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의 제조에 사용하는 출발 물질과 시약은 시판품을 그대로 이용해도 좋고,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해도 상관없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a)는 예를 들면, 이하의 스킴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기 및 축합제 존재 하, 아민 유도체(II)와 카르복실산 유도체(III)의 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킴 1)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수산기,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SR6, -S(=O)-R6 또는 -S(=O)2R6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낸다. R2∼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함.]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축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염(BOP 시약),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3-옥시드헥사플루오로포스파이트(HBTU) 또는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파이트(이하, HATU)가 열거되지만, HATU가 바람직하다. 상기 축합제의 당량은 1∼10당량이 바람직하고, 1∼3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 테트라히드로푸란(이하, THF),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또는 디메틸에테르가 열거되지만, DMF 또는 THF가 바람직하고, DMF가 보다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하, DIPEA), 트리에틸아민(이하, TEA), 피리딘 또는 N-메틸모르포린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 칼륨, 탄산 나트륨 또는 탄산 수소 나트륨 등의 유기산염이 열거되지만, DIPEA 또는 TEA가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I)에 대하여 1∼100당량이 바람직하고, 1∼10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III)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I)에 대하여 0.1∼100당량이 바람직하고, 0.1∼10당량이 보다 바람직하고, 0.8∼2당량이 더욱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의 반응 온도는 -50∼100℃가 바람직하고, 0∼50℃가 보다 바람직하고, 0∼3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축합 반응의 반응 시간은 1분간∼48시간이 바람직하고, 1분간∼24시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분간∼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에 있어서의 아민 유도체(II)의 반응 개시시의 농도는 0.01∼100M이 바람직하고, 0.01∼10M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M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1이 -N(H)C(=O)R7인 니페코트산 유도체(I-b)는 예를 들면, 이하의 스킴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기 존재 하, 아민 유도체(IV)와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의 축합 반응 또는 염기 및 축합제 존재 하, 아민 유도체(IV)와 카르복실산 유도체(VI)의 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킴 2)
Figure pct00004
[식 중, R2∼R5 및 R7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와의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DMF, THF,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1,2-디메톡시에탄이 열거되지만,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또는 THF가 바람직하고, 디클로로메탄 또는 1,2-디클로로에탄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와의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산 클로라이드(V)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V)에 대하여 0.1∼10당량이 바람직하고, 1∼3당량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당량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와의 축합 반응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DIPEA, TEA, 피리딘 또는 N-메틸모르포린 등의 유기 염기가 열거되지만, DIPEA 또는 TEA가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V)에 대하여 1∼100당량이 바람직하고, 1∼10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와의 축합 반응의 반응 온도는 -50∼100℃가 바람직하고, -20∼60℃가 보다 바람직하고, 0∼4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산 클로라이드(V)와의 축합 반응의 반응 시간은 30분간∼24시간이 바람직하고, 30분간∼12시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30분간∼8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와의 축합 반응에 있어서의 아민 유도체(IV)의 반응 개시시의 농도는 0.01∼100M이 바람직하고, 0.01∼10M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M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아민 유도체(IV)와 카르복실산 유도체(VI)의 축합 반응은 스킴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R1이 -N(H)S(=O)2R7인 니페코트산 유도체(I-c)는 예를 들면, 이하의 스킴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기 존재 하, 아민 유도체(IV)와 술폰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II)의 술폰아미드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킴 3)
Figure pct00005
[식 중, R2∼R5 및 R7은 상기 정의와 동일함]
술폰아미드화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DMF, THF,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1,2-디메톡시에탄이 열거되지만,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또는 THF가 바람직하고, 디클로로메탄 또는 1,2-디클로로에탄이 보다 바람직하다.
술폰아미드화 반응에 사용하는 술폰산 클로라이드 유도체(VII)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V)에 대하여 0.1∼10당량이 바람직하고, 1∼3당량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당량이 더욱 바람직하다.
술폰아미드화 반응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DIPEA, TEA, 피리딘 또는 N-메틸모르포린 등의 유기 염기가 열거되지만, DIPEA 또는 TEA가 바람직하다.상기 염기의 당량은 아민 유도체(IV)에 대하여 1∼100당량이 바람직하고, 1∼10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술폰아미드화 반응의 반응 온도는 -50∼50℃가 바람직하고, -30∼3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술폰아미드화 반응의 반응 시간은 30분간∼24시간이 바람직하고, 30분간∼12시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30분간∼8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술폰아미드화 반응에 있어서의 아민 유도체(IV)의 반응 개시시의 농도는 0.01∼100M이 바람직하고, 0.01∼10M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M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스킴 2 및 3에 있어서의 출발 물질인 아민 유도체(IV)는 예를 들면, 이하의 스킴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기 존재 하, 아민 유도체(II)와 카르복실산유도체(VIII)의 축합 반응 후, 보호기를 제거하는 탈보호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킴 4)
Figure pct00006
[식 중, R2∼R5는 상기 정의와 같고, R8은 보호기를 나타낸다.]
아민 유도체(II)와 카르복실산 유도체(VIII)의 축합 반응은 스킴 1과 같은 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축합 반응에 이어지는 탈보호 반응은 예를 들면,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 3 판(Green 등 저, 1999년,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tert-부톡시카르보닐기인 경우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강산으로 처리함으로써 보호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의 스킴 4에 있어서의 카르복실산 유도체(VIII)는 시판품을 그대로 이용해도 좋고,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상관없다.
상기의 스킴 1 및 4에 있어서의 출발 물질인 아민 유도체(II)는 예를 들면, 이하의 스킴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기 및 축합제 존재 하, 벤질 아민 유도체(IX)와 니페코트산 유도체(X)의 축합 반응 후, 보호기를 제거하는 탈보호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킴 5)
Figure pct00007
[식 중 R4, R5 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함]
벤질아민 유도체(IX)와 니페코트산 유도체(X)의 축합 반응은 스킴 1과 같은 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탈보호 반응은 스킴 4 기재의 방법과 같은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스킴 5의 축합 반응은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하고, 염기 존재 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하는 시약으로서는 옥사릴클로라이드 또는 염화티오닐이 열거되지만 옥사릴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약의 당량은 니페코트산 유도체(X)에 대하여 1∼10당량이 바람직하고, 1∼1.5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할 때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THF,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또는 DMF가 열거되지만, 디클로로메탄, THF 또는 DMF,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고, 디클로로메탄과 DMF의 혼합 용매 또는 THF와 DMF의 혼합 용매가 보다 바람직하다. 혼합 용매의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과 DMF의 혼합 용매의 경우, 디클로로메탄:DMF=1∼1000:1이 바람직하고, 1∼100:1이 보다 바람직하다.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할 때의 반응 온도는 -50∼100℃가 바람직하고, -30∼30℃가 바람직하고, -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할 때의 반응 시간은 30분간∼24시간이 바람직하고, 30분간∼12시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30분간∼2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니페코트산 유도체(X)를 산 클로라이드로 변환할 때의 반응 개시시의 니페코트산 유도체(X)의 농도는 0.01∼100M이 바람직하고, 0.01∼10M이 보다 바람직하고, 0.1∼3M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지는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I),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I)의 제조에 사용하는 중간체, 원료화합물 또는 시약은 필요에 따라, 추출, 증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 등의 방법으로 단리 정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상기의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의약은 sEH 저해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만성 신장병 또는 폐고혈압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EH」는 가용성 에폭시드 가수 분해 효소(soluble epoxide hydrolase)의 약어이고, 에폭시드의 가수 분해를 촉매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디올로 변환하는 대사 효소이다. sEH의 가장 알려진 기질은 내피 세포 유래의 과분극 인자의 하나인 EETs이고, sEH는 EETs를 DHETs로 대사해서 실활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EETs」는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Epoxyeicosatrienoic acids)의 약어이고, 「DHETs」는디히드록시에이코사트리엔산(Dihydroxyeicosatrienoic acids)의 약어이다. EETs로서, 예를 들면 14,15-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14,15-Epoxyeicosatrienoic acid; 이하, 14,15-EET)가 열거된다. DHETs로서, 예를 들면 14,15-디히드록시에이코사트리엔산(14,15-Dihydroxyeicosatrienoic acid; 이하, 14,15-DHET)이 열거된다.
「sEH 저해 활성」이란 sEH의 작용을 저해하는 활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sEH 저해 활성이란 sEH의 기질의 하나인 EETs의 가수분해를 촉매한다고 하는 sEH의 효소 반응을 저해하는 활성을 포함한다.
「sEH 저해제」란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sEH 저해 활성은 예를 들면, 인간 sEH와, 그 기질인 EETs를 sEH 저해제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생산되는 DHETs의 양을 sEH 저해제 비존재 하에 있어서의 DHETs 생산량과 비교하는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측정 키트(Soluble Epoxide Hydrolase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 Cayman사)를 사용하지만 공지 문헌(Analytical Biochemistry, 2005년, 제343권, p.66-75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sEH 저해제의 sEH 저해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sEH 저해제 존재 하 및 비존재 하에서, sEH의 기질로서 라세미성 4-니트로페닐-트랜스-2,3-에폭시-3-페닐프로필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4-니트로페놀레이트 음이온의 출현을 측정하거나 또는 sEH의 기질로서 시아노(6-메톡시나프탈렌-2-일)메틸2-(3-페닐옥실란-2-일)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6-메톡시-2-나프토알데히드의 출현을 측정함으로써도 sEH 저해제의 sEH 저해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이 EETs로부터 DHETs로의 대사를 억제하는 것 또는 EETs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은 EETs 농도 DHETs 농도 또는 EETs/DHETs 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EETs 농도, DHETs 농도 및 EETs/DHETs 비는 예를 들면, 시판의 측정 키트(14,15-EET/DHET ELISA Kit; Detroit R&D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만성 신장병」이란 미국신장병 재단-신장병 환자의 예후 개선 기구(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Kidney Disease Outcomes Quality Initiative; K/DOQI)에 의해 정의된 질병을 의미한다. 즉, (1) 사구체 여과량(Glomerular filtration rate; 이하, GFR)의 감소의 유무에 상관없이 신장의 구조상 또는 기능상의 이상에 의해 정의되는 신장의 장해를 3개월간 이상에 걸쳐 갖는 질병 또는 (2) 신장의 손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GFR가 3개월간 이상에 걸쳐 60mL/분)/1.73m2 미만인 질병을 의미한다.
신장의 장해는 혈뇨 또는 미량 알부민뇨를 포함하는 단백뇨 등의 요소견의 이상, 편신장 또는 다발성 낭포신 등의 신장의 화상 소견의 이상, 혈액 검사 또는 요검사에서 검출되는 신장 장해 마커의 이상, 신장 생검 등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진단에 의한 이상 소견 등에 의해 확인된다.
GFR은 신장 기능의 지표로서 추장된다. 그러나, GFR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번잡해서 곤란하기 때문에, sCre 값을 바탕으로 연령 및 성별을 가미해서 계산에 의해 구해지는 환산 GFR이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혈청 Cys-C 값도 측정된다. 또한, 신장 기능의 평가에 이눌린 클리어런스 또는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도 사용된다.
「사구체신염」은 만성 신장병의 하나이고, 예를 들면, IgA 신장증, 미소 변화형 네프로제 증후군, 소상(巢狀)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막성신증, 막성 증식성 사구체신염 또는 반월체형성성 신염이 열거된다. 「당뇨병성 신증」도 또한 만성 신장병의 하나이고, 고혈당에 의한 대사 이상에 의해 진행하는 병태이고, 당뇨병성신증에서는 미량 알부민뇨를 포함하는 요단백 등의 요소견의 이상, 고혈압 또는 고혈당이 확인된다.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정상시의 30%를 하회한 상태 또는 증후를 의미한다. 사구체의 기능이 60% 이하까지 저하한 상태를 신부전이라고 부르고, 10% 미만까지 진행하면 투석 치료가 필요한 말기의 신부전이 된다. 신부전에는 급성의 신부전과 만성의 신부전이 있다. 만성의 신부전은 만성 신장병의 하나이고, 만성 신장병의 말기 상태인 말기 신장병이 된다. 사구체신염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이 진행하면, 만성의 신부전에 이른다. 만성의 신부전으로 되면, 그 병태는 원질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되어서 최종 공통 경로(final common pathway)에 의해 진행하고, 말기 신부전에 이른다. 신부전에서는 sCre 값의 증가 또는 혈청 Cys-C 값의 증가가 확인된다.
「폐고혈압증」이란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폐로 보내는 폐동맥압의 상승을 인정하는 병태 중, 안정 와위(臥位)에서의 평균 폐동맥압이 25mmHg 이상인 상태 또는 폐질환,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 및 폐포저환기 증후군에서는, 평균 폐동맥압이 안정시에서 20mmHg 이상(운동 시에서는 30mmHg 이상)인 상태를 의미한다(다이제스트판판 폐고혈압증 치료 가이드 라인(2006년 개정판), P2-P3.). 폐고혈압증에서는 우심실 수축기압 상승, 우심실 비대, 폐비대, 폐동맥 비후, 폐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 또는 심근 비대가 확인된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만성 신장병에 대한 치료 효과는 인위적으로 만성 신장병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동물 모델로서는, 예를 들면 마우스나 래트를 사용한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Kidney Ⅰnternatinal, 2003년, 제64권, p.1241-1252 등), 5/6신장 적출에 의한 신부전 모델(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02년, 제13권, p.2909-2915,등) 또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당뇨병성 신증 모델(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007년, 제19권, p.571-579:Hypertension, 1998년, 32권, p.778-785 등)이 열거된다. 또한, 신장의 기능상의 이상은 sCre 값, 혈청 Cys-C 값 또는 요 중 알부민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혈압은 전신 수축기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혈당은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의 신장의 병변 부위에 있어서의 sEH의 발현은 신장 조직을 항sEH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조직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변화는 신장 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 and eosin; 이하, HE) 및 과요오드산 시프(Periodic acid-Schiff; 이하, PAS)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폐고혈압증에 대한 치료 효과는 인위적으로 폐고혈압증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동물 모델로서는 예를 들면, 래트를 사용한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09년, 제111권, p.235-243)이 열거된다. 또한, 폐동맥압의 상승은 우심실 수축기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폐고혈압증에 따르는 우심실 비대 및 폐 비대의 병태는 각각 우심실 중량비(우심실 중량/(중격 중량+좌심실 중량)) 및 폐 중량비(폐 중량/체중)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폐고혈압증의 폐의 병변 부위에 있어서의 sEH의 발현은 폐조직을 항sEH 항체 를 이용하여 면역 조직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폐고혈압증의 폐동맥 비후는 폐조직을 엘라스티카-반기에슨(Elastica-van Gieson)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폐고혈압증의 폐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은 폐조직을 항증식성 세포핵 항원(Proliferation cell nuclear antigen; 이하, PCNA)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폐고혈압증의 심근 비대는 우심실을 HE 염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전신 혈압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을 확인함으로써, 폐동맥성 폐고혈압증, 폐정맥 폐쇄성 질환, 폐모세혈관종증, 좌심 질환에 의한 폐고혈압증, 폐 질환 및 저산소에 의한 폐고혈압증, 만성 혈전색전증 폐고혈압증 및 원인 불명의 복합식 요인에 의한 폐고혈압증 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또는 적당한 제형의 의약 조성물로서, 포유 동물(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개, 원숭이, 소, 양 또는 인간)에 대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예를 들면 경피 투여, 정맥 투여, 직장내 투여, 흡입 투여, 점비 투여 또는 점안 투여)으로 투여할 수 있다.
포유 동물로의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산약, 환제, 캅셀제, 과립제, 시럽제, 액제, 주사제, 유제, 현탁제 또는 좌제 또는 공지의 지속형 제제가 열거된다. 이들 제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제제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러한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고형 제재에 있어서의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또는 액상 제재에 있어서의 용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또는 무통화제가 열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등장화제, 완충제,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또는 습윤제 등의 첨가물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D-만니톨, 전분, 수크로오스,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또는 경질 무수 규산이 열거된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탤크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열거된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 셀룰로오스, D-만니톨,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수크로오스,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이 열거된다.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또는 L-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열거된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매크로골, 참깨유 또는 옥수수유가 열거된다.
용해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 벤질, 에탄올,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또는 시트르산 나트륨이 열거된다.
현탁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또는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등의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고분자가 열거된다.
무통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알코올이 열거된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포도당, 염화나트륨, D-소르비톨 또는 D-만니톨이 열거된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또는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이 열거된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 벤조산 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또는 소르브산이 열거된다.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황산염 또는 아스코르브산이 열거된다.
상기의 의약은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0.001∼99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99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투여 형태, 환자의 연령, 체중 또는 치료해야 할 증상의 성질 또는 중독도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통상, 성인 1일당 1∼1000mg을, 바람직하게는 1∼300mg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의약은 단독으로 투여해도 되지만, 질환의 예방 효과 또는 치료 효과의 보완 또는 증강, 또는 투여량의 저감을 위해서, 다른 약제와 배합하거나 다른 약제와 병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배합 또는 병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이하, 병용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당뇨병 치료약,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약, 고지혈증 치료약, 강압약, 항비만약, 이뇨약, 화학 요법약, 면역 요법약, 항혈전약 또는 악액질 개선약이 열거된다.
상기의 의약을 병용 약제와 병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의약 및 병용 약제의 투여 시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투여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투여해도 되고, 시간차를 두고 투여해도 상관없다. 또한, 병용 약제는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되고, 단백질, 폴리펩티드 또는 항체 등의 고분자 또는 백신 등이어도 상관없다. 병용 약제의 투여량은 임상상 사용되고 있는 투여량을 기준으로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의약과 병용 약제의 배합비는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대상 질환, 증상 또는 상기의 의약과 병용 약제의 조합 등에 의해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여 대상이 인간인 경우에는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대하여 병용 약제를 0.01∼99.99의 배합비로 사용하면 된다.
당뇨병 치료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 또는 돼지의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동물 인슐린 제제, 대장균 또는 효모를 이용하여 유전자 공학적으로 합성한 인간 인슐린 제제, 인슐린 아연, 프로타민 인슐린 아연, 인슐린의 프래그먼트 또는 유도체등의 인슐린 제제, 염산 피오글리타존, 트로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또는 그 말레인산염 등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보글리보스, 아칼보스, 미글리톨 또는 에미글리테이트 등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펜포르민, 메토포르민 또는 부포르민 등의 비구아나이드제, 톨부타미드,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클로로프로파미드, 톨라자미드, 아세토헥사미드, 글리크로피라미드, 글리메피리드, 글리피자이드, 글리부졸,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미티글리니드 또는 그 칼슘염 수화물 등의 인슐린 분비 촉진제, 프람린티드 등의 아밀린 아고니스트, 바나딘산 등의 포스포티로신 포스파타아제 저해제,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알로글립틴 등의 DPP-IV 저해제, 엑세나티드, 리라글루티드 등의 GLP-1 유사 작용 물질, 글리코겐 포스포리라제 저해제, 글루코오스-6-포스파타제 저해제, 글루카곤 길항제 또는 SGLUT 저해제가 열거된다.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톨레스타트, 에팔레스타트, 제나레스타트, 조폴레스타트, 미날레스타트 또는 피다레스타트 등의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제, NGF, NT-3 또는 BDNF 등의 신경 영양 인자, 신경 영양 인자 산생·분비 촉진제, AGE 저해제, 티옥트산 등의 활성 산소 소거제 또는 티아프리드 또는 멕실레틴 등의 뇌혈관 확장제가 열거된다.
고지혈증 치료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리판틸, 세리바스타틴 또는 이타바스타틴 등의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 베자피브레이트, 베클로브레이트, 비니피브레이트, 시프로피브레이트, 클리노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클로피브린, 에토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겜피브로질, 니코피브레이트, 피리피브레이트, 로니피브레이트, 심피브레이트 또는 테오피브레이트 등의 피브레이트계 화합물, 스쿠알렌 합성 효소저해제, 아바시미브 또는 에플루시미브 등의 ACAT 저해제, 콜레스티라민 등의 음이온 교환 수지, 프로부콜, 니코몰 또는 니세리트롤 등의 니코트산계 약제 또는 이코사펜트산 에틸, 소이스테롤 또는 감마 오리자놀 등의 식물 스테롤이 열거된다.
강압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캡토프릴, 에날라프릴 또는 델라프릴 등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저해제, 칸데사르탄실렉세틸, 로살탄, 에프로살탄, 발살탄, 텔미살탄, 일베살탄 또는 타소살탄 등의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마니디핀, 니페디핀, 니칼디핀, 암로디핀 또는 에포니디핀 등의 칼슘 길항제, 레브크로마칼림 등의 칼륨채널 개구제, 클로니딘 또는 알리스키렌이 열거된다.
항비만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데스펜플루라민, 펜프루라민, 펜터민, 시부트라민, 암페프라몬, 덱산펜타민, 마진돌, 페닐프로판올아민 또는 클로벤조렉스 등의 중추성 항비만제, 올리스타트 등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제, 렙틴 또는 CNTF(모양체신경 영양 인자) 등의 펩티드성 식욕억제제 또는 린티트립트 등의 콜레시스토키닌 아고니스트가 열거된다.
이뇨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나트륨 테오브로민 또는 살리실산 칼슘 테오브로민 등의 크산틴 유도체, 에티아지드, 시클로펜티아지드, 트리클로로메티아지드,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벤틸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펜플루티지드, 폴리티아지드 또는 메티클로티아지드 등의 티아지드계 제제, 스피로노락톤 또는 트리암테렌 등의 항알도스테론 제제, 아세타졸라미드 등의 탄산 탈수소 효소 저해제, 클로르탈리돈, 메플루시드 또는 인다파미드 등의 클로로벤젠술폰아미드계 제제, 아조세미드, 이소소르비드, 에타크린산, 피레타니드, 부메타니드 또는 플로세미드가 열거된다.
화학 요법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또는 이포스파미드 등의 알킬화제,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등의 대사 길항제, 마이토마이신 또는 아드리아마이신 등의 항암성 항생 물질, 빈크리스틴, 빈데신 또는 탁솔 등의 식물 유래 항암제, 시스프라틴, 옥살로프라틴, 카르보프라틴 또는 에토포시드 등이 열거된다.
면역 요법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라밀디펩티드 유도체, 피시바닐, 렌티난, 시조피란, 클레스틴, 인터로이킨(IL),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또는 에리스로포이에틴 등이 열거된다.
항혈전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헤파린 나트륨, 헤파린 칼슘 또는 달테파린 나트륨 등의 헤파린, 와르파린 칼륨 등의 와르파린, 아르가트로반 등의 항트론빈제, 우로키나제, 티소키나제, 알테플라제, 나테플라제, 몬테플라제 또는 팔미테플라제 등의 혈전용해제, 염산 티클로피딘, 시로스타졸, 이코사펜토산 에틸 또는 염산 사포그릴레이트 등의 혈소판 응집 억제제가 열거된다.
악액질 개선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게스테롤아세테이트 등의 프로게스테론 유도체, 덱사메타존 등의 당질 스테로이드, 메토클로프라미드계 약제,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계 약제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 등의 지방 대사 개선제, 성장 홀몬, IGF-1 또는 악액질을 유도하는 인자인 TNF-α, LIF, IL-6 또는 온코스타틴 M에 대한 항체가 열거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는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경우, 「HI-FLASH」칼럼(YAMAZEN CORPORATION) 및 Purif-α2(Shoko Scientific 사)를 사용하여 행했다.
(실시예 1)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프로피온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의 합성:
-78℃ 하, 4-브로모-1-요오드-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25g, 68mmol)의 THF(0.40L)용액에 n-부틸리튬헥산 용액(1.6규정, 86mL, 0.14mol)을 1.5시간 걸쳐서 적하했다. -78℃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DMF(11mL, 0.14mmol)을 10분간 걸쳐서 적하했다. -78℃ 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시트라산 수용액(0.25M, 0.25L, 63mmol)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1)을 16g(87%) 얻었다.
[스텝 2]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메탄올의 합성:
-10℃ 하에서, 참고예 화합물 1(16g, 59mmol)의 메탄올(0.23L) 용액에 수소화 붕소 나트륨(2.4g, 63mmol)을 가했다. -10℃ 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아세톤(10mL), 1규정 염산(10mL)을 가했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50:1→1:1)로 정제하고,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메탄올(이하, 참고예 화합물 2)을 15g(91%) 얻었다.
[스텝 3]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메탄술포네이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2(2.0g, 7.4mmol), TEA(1.2mL, 8.9mmol)의 디클로로메탄(20mL) 용액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0.93g, 8.1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메탄술포네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3)를 2.6g (정량적)얻었다.
[스텝 4]
2-(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이소인돌린-1,3-디온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2.6g, 7.4mmol)의 DMF(20mL) 용액에 프탈이미드칼륨(2.1g, 11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고, 건조하여 2-(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이소인돌린-1,3-디온(이하, 참고예 화합물 4)을 2.7g(91%) 얻었다.
[스텝 5]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메탄아민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4(2.6g, 6.5mmol)의 메탄올(40mL) 용액에 히드라진 1수화물 (0.98g, 19mmol)을 가했다. 60℃ 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실온 하에서 석출한 고체를 여과 선별했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아세트산 에틸에 용해시켜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메탄아민(이하, 참고예 화합물 5)을 1.5g(85%) 얻었다.
[스텝 6]
(R)-tert-부틸3-((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5(0.50g, 1.9mmol), (R)-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산(0.43g, 1.9mmol), DIPEA(0.53g, 4.1mmol)의 DMF(3.0mL) 용액에 HATU(0.77g, 2.0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 에틸을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1:1)로 정제하고, (R)-tert-부틸3-((4-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6)를 0.89g (정량적) 얻었다.
[스텝 7]
(R)-tert-부틸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6(0.050g, 0.10mmol), 시안화 아연(0.012g, 0.10mmol)의 DMF(2.0mL)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030g, 0.026mmol)을 가했다. 150℃ 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실온 하에서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여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20:1→1:2)로 정제하고, (R)-tert-부틸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7)를 0.017g(39%) 얻었다.
[스텝 8]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7(6.9g, 16mmol)의 디클로로메탄(0.16L)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하, TFA)(35mL, 0.45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8)를 5.2g(98%) 얻었다.
[스텝 9]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부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8(0.20g, 0.67mmol),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0.15g, 0.67mmol), DIPEA(0.24mL, 1.3mmol)의 DMF(0.70mL) 용액에 HATU(0.28g, 0.73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86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1규정 염산을 가하여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 제품, 아민실리카 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7:3→4:6)로 정제하고,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부틸)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9)를 0.25g(78%) 얻었다.
[스텝 10]
(R)-1-(1-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9(0.25g, 0.47mmol)의 디클로로메탄(1.4mL) 용액에 TFA(0.70mL, 9.1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1-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10)를 0.18g(90%) 얻었다.
[스텝 11]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프로피온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0(7.6g, 18mmol), TEA (5.5mL, 40mmol)의 디클로로메탄(54mL) 용액에 프로피오닐 염화물(1.8g, 20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프로피온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를 6.2g(71%) 얻었다.
(실시예 2)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메틸-1-옥소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8(3.5g, 11mmol),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 프로판산(2.6g, 13mmol), DIPEA(4.1mL, 24mmol)의 DMF(40mL) 용액에, HATU(4.9g, 13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 제품, 아민실리카 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4:6)로 정제하고,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메틸-1-옥소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11)를 5.2g(95%) 얻었다.
[스텝 2]
(R)-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1(5.2g, 10mmol)의 디클로로메탄(0.10L) 용액에 TFA(25mL, 0.32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12)를 3.4g(82%) 얻었다.
[스텝 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2(2.3g, 5.6mmol), TEA(1.6mL, 11mmol)의 디클로로메탄(15mL) 용액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0.97g, 8.5mmol)를 가했다. 빙냉 하에서 5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를 2.4g(87%) 얻었다.
(실시예 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8(0.67g, 2.0mmol),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0.49g, 2.4mmol), DIPEA(1.1mL, 6.1mmol)의 DMF(5.0mL) 용액에 HATU(1.1g, 2.5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 제품, 아민실리카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4:6)로 정제하고,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13)를 0.92g(88%) 얻었다.
[스텝 2]
(R)-1-(1-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3(0.92g, 1.8mmol)의 디클로로메탄(20mL) 용액에 TFA(4.7mL, 61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1-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14)를 0.63g(87%) 얻었다.
[스텝 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4(0.63g, 1.5mmol), TEA(1.1mL, 7.7mmol)의 디클로로메탄(5.0mL) 용액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0.27g, 2.3mmol)를 가했다. 빙냉 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를 0.56g(74%) 얻었다.
(실시예 4)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0.054g, 0.1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를 0.044g(58%) 얻었다.
(실시예 5)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0(0.020g, 0.04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5)를 0.017g(71%) 얻었다.
(실시예 6)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이소부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이소부티릴클로라이드(0.0055g, 0.052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이소부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6)를 0.022g(95%) 얻었다.
(실시예 7)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피발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피발로일 클로라이드(0.0063g, 0.052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피발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7)를 0.017g(72%) 얻었다.
(실시예 8) (R)-1-(1-아세트아미드시클로펜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의 합성: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펜탄카르복실산(0.078g, 0.34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tert-부틸(1-(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15)를 0.13g(77%) 얻었다.
[스텝 2]
(R)-1-(1-아미노시클로펜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5(0.13g, 0.24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0]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1-아미노시클로펜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16)를 0.051g(49%) 얻었다.
[스텝 3]
(R)-1-(1-아세트아미드시클로펜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6(0.020g, 0.046mmol), TEA(0.019mL, 0.14mmol)의 디클로로메탄(0.20mL)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0.0070g, 0.068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1-(1-아세트아미드시클로펜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8)를 0.014g(62%) 얻었다.
(실시예 9) (R)-1-(1-아세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0(0.020g, 0.04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8[스텝 3]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1-아세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9)를 0.013g(60%) 얻었다.
(실시예 10) (R)-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조니트릴의 합성:
빙냉 하,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1.5g, 15mmol)의 THF(50mL) 용액에 수소화 나트륨(55중량%, 0.67g, 15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실온 하에서 30분간 교반했다. 빙냉 하, 반응 용액에 4-클로로-2-플루오로벤조니트릴(2.0g, 13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 하, 반응 용액에 0.1규정 염산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10:0→3:1)로 정제하고, 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조니트릴(이하, 참고예 화합물 17)을 2.6g(86%) 얻었다.
[스텝 2]
(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메탄아민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7(2.5g, 11mmol)의 디에틸에테르(30mL) 용액에 수소화 알루미늄리튬(1.0g, 27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4시간 교반한 후, 빙냉 하, 반응 용액에 THF(20mL), 물(1.0mL), 1규정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0mL), 물(3.0mL)을 가했다. 반응 용액을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메탄아민(이하, 참고예 화합물 18)을 2.4g(94%) 얻었다.
[스텝 3]
(R)-tert-부틸3-((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8(2.4g, 1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6]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tert-부틸 3-((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19)을 4.5g (정량적) 얻었다.
[스텝 4]
(R)-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9(2.0g, 4.4mmol)에 농염산(10mL, 0.12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0m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20)을 1.4g(87%) 얻었다.
[스텝 5]
(R)-tert-부틸(1-3-((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메틸-1-옥소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0(0.60g, 1.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1]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tert-부틸(1-3-((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메틸-1-옥소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21)을 0.77g(84%) 얻었다.
[스텝 6]
(R)-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21(0.83g, 1.5mmol)에 TFA(10m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0m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22)를 0.65g(96%) 얻었다.
[스텝 7]
(R)-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22(0.080g, 0.18mmol), 피리딘 (0.030mL, 0.37mmol)의 디클로로메탄(2.0mL) 용액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0.023g, 0.20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0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0.1규정 염산,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100:1→10:1)로 정제하고, (R)-N-(4-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0)를 0.030g(32%) 얻었다.
(실시예 11) (R)-1-((R)-2-아세트아미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1-((R)-2-아미노-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8(0.21g, 0.65mmol), (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산(0.24g, 0.72mmol), DIPEA(0.14mL, 0.78mmol)의 DMF(3.5mL) 용액에 HATU(0.30g, 0.78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1:9)로 정제하여 조생성물을 0.30g 얻었다. 빙냉 하, 얻어진 조생성물(0.30g)의 DMF(2.0mL) 용액에 모르포린(0.20mL, 2.3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2.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0:10)로 정제하고, (R)-1-((R)-2-아미노-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23)를 0.18g(2단계 수율 65%) 얻었다.
[스텝 2]
(R)-1-((R)-2-아세트아미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3(0.020g, 0.04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8[스텝 3]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R)-2-아세트아미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1)를 0.018g(83%) 얻었다.
(실시예 12)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3(0.020g, 0.04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2)를 0.020g(83%) 얻었다.
(실시예 1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에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14(0.050g, 0.12mmol), DIPEA(0.043mL, 0.24mmol)의 디클로로메탄(3.0mL) 용액에 에탄술포닐클로라이드(0.017g, 0.13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피리딘(0.30mL, 3.7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0.1규정 염산,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100:1→10:1)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에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3)를 0.0080g(13%) 얻었다.
(실시예 14) (R)-N-(4-카르바모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실시예 화합물 2(0.020g, 0.041mmol), 탄산칼륨(0.0028g, 0.020mmol)의 DMF(0.38mL) 용액에, 과산화 수소수(30중량%, 0.021m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티오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85:15)로 정제하고, (R)-N-(4-카르바모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4)를 0.013g(63%) 얻었다.
(실시예 15) (R)-N-(4-카르바모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실시예 화합물 3(0.025g, 0.051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4와 같은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카르바모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5)를 0.020g(77%) 얻었다.
(실시예 16)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히드록시-2-메틸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2-히드록시-2-메틸프로판산(0.15g, 0.46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히드록시-2-메틸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6)을 0.12g(62%) 얻었다.
(실시예 17)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피발로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8(0.15g, 0.46mmol), 피발로일클로라이드(0.066g, 0.55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피발로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7)를 0.19g (정량적) 얻었다.
(실시예 18)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의 합성:
빙냉 하, 1-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염산염(2.0g, 12mmol), DIPEA(6.3mL, 36mmol)의 디클로로메탄(35mL) 용액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1.4g, 12mmol)를 가했다. 빙냉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1규정 염산을 가하고, 산성으로 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10:1→1:2)로 정제하고, 1-(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이하, 참고예 화합물 24)을 2.3g(60%) 얻었다.
[스텝 2]
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24(2.0g, 9.7mmol)의 DMF(10mL) 용액에 수소화 나트륨(55중량%, 0.51g, 12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실온 하에서 30분간 교반했다. 빙냉 하, 반응 용액에 요오드화 메틸(0.78mL, 13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빙냉 하, 반응 용액에 0.1규정 염산을 가하고, 헥산:아세트산 에틸 혼합 용매(헥산:아세트산 에틸=1:2)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10:1→1:1)로 정제하고, 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이하, 참고예 화합물 25)을 1.8g(84%) 얻었다.
[스텝 3]
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의 합성:
실온 하에서, 참고예 화합물 25(1.8g, 7.9mmol)의 메탄올(20mL) 용액에 1규정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2mL, 12mmol)을 가했다. 50℃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실온 하, 반응 용액에 1규정 염산을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이하, 참고예 화합물 26)을 0.88g(58%) 얻었다.
[스텝 4]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6(0.13g, 0.6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N-메틸메틸술폰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8)를 0.17g(60%) 얻었다.
(실시예 19)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3-히드록시-2,2-디메틸 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실온 하,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판산 메틸(1.0g, 7.6mmol)의 메탄올(7.5mL) 용액에 1규정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9.1m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4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에 1규정 염산을 가하고, 감압 농축했다. 빙냉 하, 얻어진 조생성물(0.10g), DIPEA(0.30mL, 1.7mmol)의 DMF(1.6mL) 용액에 HATU(0.35g, 0.93mmol)를 가했다. 빙냉 하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참고예 화합물 8(0.28g, 0.85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하룻밤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8:2→아세트산 에틸만)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19)를 0.24g(2단계 수율 65%) 얻었다.
(실시예 20)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시클로헥사논(3.0g, 31mmol), 시안화칼륨(2.2g, 34mmol)의 수(5.6mL)용액에 황산 수용액(40중량%, 5.6m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에 농염산(60mL)을 가했다. 80℃ 하에서 16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조생성물을 4.0g 얻었다. 빙냉 하, 얻어진 조생성물(0.16g), 참고예 화합물 8(0.15g, 0.46mmol), DIPEA(0.24mL, 1.4mmol)의 DMF(1.0mL) 용액에 HATU(0.45g, 0.60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제품, 아민실리카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7:3→4:6)로 정제하고,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0)를 0.061g(2단계 수율 29%) 얻었다.
(실시예 21) (R)-1-((R)-2-아세트아미드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의 합성:
빙냉 하, (R)-2-아미노부탄산(2.0g, 19mmol), 탄산수소나트륨(1.6g, 19mmol)의 1,4-디옥산:물(1,4-디옥산:물=3:10, 26mL) 혼합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4.7g, 21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20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1규정 염산을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이하, 참고예 화합물 27)을 2.0g (정량적) 얻었다.
[스텝 2]
tert-부틸((R)-1-((R)-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7(0.20g, 1.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tert-부틸((R)-1-((R)-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28)를 0.47g (정량적) 얻었다.
[스텝 3]
(R)-1-((R)-2-아미노 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8(0.47g, 0.91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0]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R)-2-아미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29)를 0.38g (정량적) 얻었다.
[스텝 4]
(R)-1-((R)-2-아세트아미드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9(0.091g, 0.22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8[스텝 3]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R)-2-아세트아미드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1)를 0.085g(85%) 얻었다.
(실시예 22)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29(0.096g, 0.23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2)를 0.090g(79%) 얻었다.
(실시예 2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시아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1-시아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산(0.034g, 0.31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 [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시아노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3)를 0.081g(63%) 얻었다.
(실시예 24) (R)-1-((R)-2-아세트아미드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1-((R)-2-아미노 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8(0.35g, 1.1mmol), (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산(0.37g, 1.2mmol), DIPEA(0.56mL, 3.2mmol)의 DMF(2.0mL) 용액에 HATU(0.53g, 1.4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제품, 아민실리카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1:9)로 정제하고, 조생성물을 0.53g 얻었다. 실온 하, 얻어진 조생성물(0.53g)의 DMF(4.0mL) 용액에 모르포린(0.36mL, 4.1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6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제품, 아민실리카겔 DM1020, 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1-((R)-2-아미노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30)를 0.29g(2단계 수율 67%) 얻었다.
[스텝 2]
(R)-1-((R)-2-아세트아미드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0(0.10g, 0.25mmol), TEA(0.11mL, 0.14mmol)의 디클로로메탄(1.0mL)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0.032g, 0.32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5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0:10)로 정제하고, (R)-1-((R)-2-아세트아미드프로파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4)를 0.11g (정량적) 얻었다.
(실시예 25)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30(0.10g, 0.2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메틸술폰아미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5)를 0.099g(83%) 얻었다.
(실시예 26)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이소부틸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4(0.020g, 0.049mmol), 이소부티릴클로라이드(0.0062g, 0.058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이소부틸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6)를 0.017g(71%) 얻었다.
(실시예 27)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피발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4(0.020g, 0.049mmol), 피발로일 클로라이드(0.0064g, 0.058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피발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7)를 0.018g(73%) 얻었다.
(실시예 28)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4-(메틸술폰아미드)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8-옥사-1,3-디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의 합성:
실온 하, 디히드로-2H-피란4(3H)-온(2.0g, 20mmol), 탄산암모늄(9.6g, 0.10mol), TEA(2.8mL, 20mmol)의 물:메탄올(물:메탄올=1:1, 60mL) 혼합 용액에 시안화칼륨(3.9g, 60mmol)을 가했다. 가열 환류 하에서 48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반분 정도 증류 제거하고, 석출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 후, 건조하여 8-옥사-1,3-디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이하, 참고예 화합물 31)을 1.4g(41%) 얻었다. 또한 여과액에 산성이 될 때까지 농염산을 가하여 석출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물로 세정 후, 건조하여 참고예 화합물 31을 0.80g(24%) 얻었다.
[스텝 2]
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실산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31(2.2g, 13mmol)의 물(30mL) 용액에 수산화칼슘(3.0g, 41mmol)을 가했다. 가열 환류 하에서 48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세라이트 여과하고, 여과물을 열탕으로 세정했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물:1,4-디옥산:메탄올(물:1,4-디옥산:메탄올=10:10:3, 23mL) 혼합 용액에 용해시켰다. 실온 하, 반응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3.4g, 16mmol), 수산화 나트륨(0.50g, 13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에 희염산(15mL)을 가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클로로포름:메탄올=10:1) 혼합 용액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여 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실산(이하, 참고예 화합물 32)을 2.6g(82%) 얻었다.
[스텝 3]
(R)-tert-부틸(4-(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32(0.082g, 0.34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tert-부틸(4-(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보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33)를 0.10g(62%) 얻었다.
[스텝 4]
(R)-1-(4-아미노 테트라히드로-2H-피란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33(0.10g, 0.19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0]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4-아미노테트라히드로-2H-피란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34)을 0.050g(58%) 얻었다.
[스텝 5]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4-(메틸술폰아미드)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4(0.040g, 0.088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4-(메틸술폰아미드)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8)를 0.024g(5.1%) 얻었다.
(실시예 29)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시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클로라이드(0.0059g, 0.057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1 [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시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29)를 0.012g(52%) 얻었다.
(실시예 30)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프로판산 메틸의 합성:
빙냉 하, (R)-2-아미노-3-히드록시프로판산 메틸(3.0g, 19mmol), TEA (8.1mL, 58mmol)의 메탄올(50mL)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4.6g, 21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희염산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환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20:1→2:1)로 정제하고,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프로판산 메틸(이하, 참고예 화합물 35)을 4.1g(97%) 얻었다.
[스텝 2]
(S)-tert-부틸(1,3-디히드록시-3-메틸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78℃ 하, 참고예 화합물 35(4.0g, 18mmol)의 디에틸에테르(0.12L) 용액에 메틸마그네슘브로미드디에틸에테르 용액(3규정, 30mL, 91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빙냉 하,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0.1규정 희염산,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10:1→3:1)로 정제하고, (S)-tert-부틸(1,3-디히드록시-3-메틸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36)를 2.8g(84%) 얻었다.
[스텝 3]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탄산의 합성:
35℃ 하, 참고예 화합물 36(2.8g, 13mmol),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0.40g, 2.6mmol), 표준 중성 인산 완충액(45mL)의 아세토니트릴(50mL) 용액에 차아염소산 나트륨 (0.8g, 0.64mmol)의 수(5.0mL)용액, 아염소산(2.4g, 27mmol)의 수(10mL) 용액을 동시에 각각 서서히 가했다. 35℃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1.0mL)을 가했다. 35℃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켜, 아세트산 에틸로 세정했다. 수층에 3규정 염산을 가하고, 산성으로 하여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탄산(이하, 참고예 화합물 37)을 2.5g(84%) 얻었다.
[스텝 4]
tert-부틸((R)-1-((R)-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3-히드록시-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8(0.30g, 0.92mmol), 참고예 화합물 37(0.24g, 1.0mmol), DIPEA(0.35mL, 2.0mmol)의 DMF(2.0mL) 용액에 HATU(0.42g, 1.1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제품, 아민실리카 겔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7:3→4:6)로 정제하고, tert-부틸((R)-1-((R)-3-((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3-히드록시-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38)를 0.44g(89%) 얻었다.
[스텝 5]
(R)-1-((R)-2-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8(0.44g, 0.82mmol)의 디클로로메탄(8.0mL) 용액에, TFA(1.8mL, 23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R)-2-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39)를 0.20g(58%) 얻었다.
[스텝 6]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9(0.040g, 0.090mmol), DIPEA(0.035mL, 0.20mmol)의 디클로로메탄(0.30mL)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0.010g, 0.10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0)을 0.029g(66%) 얻었다.
(실시예 31)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프로피온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39(0.0083g, 0.019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프로피온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1)를 0.0065g(70%) 얻었다.
(실시예 32)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39(0.040g, 0.090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2)를 0.038g(81%) 얻었다.
(실시예 33) (R)-1-(1-부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부티릴클로라이드(0.0060g, 0.05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1-(1-부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3)를 0.018g(79%) 얻었다.
(실시예 34)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2-시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0(0.021g, 0.049mmol), 2-시클로프로필 아세트산(0.0059g, 0.058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2-시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시클로부탄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4)를 0.0065g(26%) 얻었다.
(실시예 35)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2-시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14(0.020g, 0.049mmol), 2-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0.0059g, 0.058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1-(2-시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5)를 0.0083g(35%) 얻었다.
(실시예 36)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에틸의 합성:
실온 하, 2-브로모-2-메틸프로판산 에틸(1.0g, 5.1mmol)의 DMF(25mL) 용액에 탄산세슘(5.0g, 15mmol), 1,2,4-트리아졸-1-일 나트륨(0.58g, 6.2mmol)을 가했다. 50℃ 하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에 물을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7:3→4:6)로 정제하고, 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에틸(이하, 참고예 화합물 40)을 0.84g(89%) 얻었다.
[스텝 2]
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나트륨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40(0.65g, 3.6mmol)의 에탄올(18mL) 용액에 1규정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3.9mL, 3.9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나트륨(이하, 참고예 화합물 41)을 0.67g (정량적) 얻었다.
[스텝 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1(0.090g, 0.51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6]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1,2,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이하, 실시예 화합물 36)을 0.12g(54%) 얻었다.
(실시예 37)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판산 에틸의 합성:
1H-피라졸(0.42g, 6.2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스텝 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판산 에틸(이하, 참고예 화합물 42)을 0.81g(87%) 얻었다.
[스텝 2]
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판산 나트륨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2(0.81g, 4.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스텝 2]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판산 나트륨(이하, 참고예 화합물 43)을 0.80g 얻었다.
[스텝 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3(0.090g, 0.51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2-메틸-2-(1H-피라졸-1-일)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7)을 0.16g(68%) 얻었다.
(실시예 38) (R)-N-(2,4-디클로로벤질)-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tert-부틸 3-((2,4-디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2,4-디클로로벤질아민(1.5g, 8.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6]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tert-부틸 3-((2,4-디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44)를 2.6g (정량적) 얻었다.
[스텝 2]
(R)-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4(2.6g, 6.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8]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45)을 1.8g(95%) 얻었다.
[스텝 3]
(R)-N-(2,4-디클로로벤질)-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5(0.10g, 0.3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2,4-디클로로벤질)-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8)를 0.030g(24%) 얻었다.
(실시예 39)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tert-부틸((R)-1-((R)-3-(2,4-디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3-히드록시-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37(0.089g, 0.38mmol), 참고예 화합물 45(0.10g, 0.35mmol), DIPEA(0.20mL, 1.1mmol)의 DMF(0.70mL) 용액에 HATU(0.16g, 0.42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7:3→4:6)로 정제하고, tert-부틸((R)-1-((R)-3-(2,4-디클로로벤질)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3-히드록시-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46)를 0.15g(82%) 얻었다.
[스텝 2]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46(0.70g, 1.7mmol)의 디클로로메탄(2.0mL) 용액에 TFA(1.0mL, 13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2.5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TFA(1.0mL, 13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1-((R)-2-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47)를 0.47g(84%) 얻었다.
[스텝 3]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47(0.020g, 0.050mmol), TEA(0.014mL, 0.099mmol)의 디클로로메탄(0.15mL)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0.0056g, 0.055mmol)을 가했다. 빙냉 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클로로포름:메탄올=99:1→95:5)로 정제하고, ((R)-1-((R)-2-아세트아미드-3-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N-(2,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39)를 0.021g(96%) 얻었다.
(실시예 40) (R)-N-(2,4-디클로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프로피온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7(0.020g, 0.05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11]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2,4-디클로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프로피온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0)를 0.018g(77%) 얻었다.
(실시예 41) (R)-N-(2,4-디클로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참고예 화합물 47(0.020g, 0.050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2[스텝 3]와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2,4-디클로로벤질)-1-((R)-3-히드록시-3-메틸-2-(메틸술폰아미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1)를 0.020g(85%) 얻었다.
(실시예 42)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R)-2-히드록시프로판산 나트륨(0.019g, 0.1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프로파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2)를 0.045g(74%) 얻었다.
(실시예 43)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R)-2-히드록시부탄산 (0.017g, 0.17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 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3)를 0.056g(89%) 얻었다.
(실시예 44)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R)-2-히드록시-3-메틸부탄산(0.018g, 0.15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1[스텝 9]과 동일한 반응을 행함으로써 (R)-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R)-2-히드록시-3-메틸부타노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실시예 화합물 44)를 0.042g(64%) 얻었다.
(비교예 1) (R)-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스텝 1]
(R)-tert-부틸 3-((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빙냉 하, (R)-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산(20g, 87mmol)의 THF(1.0L) 용액에, DMF(0.68mL, 8.7mmol), 옥살릴클로라이드(8.0mL, 92mmol)를 내부 온도가 5℃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했다. 빙냉 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25℃ 하, 반응 용액에 2-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15g, 92mmol), 피리딘(15mL, 0.18mmol)의 THF(0.10L) 용액을 내부 온도가 -20℃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했다. 빙냉 하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내부온도가 5℃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에 헥산을 첨가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했다. 동일한 정제 조작을 2회 반복했다. 얻어진 고체를 합쳐서 (R)-tert-부틸 3-((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이하, 참고예 화합물 48)를 26g(80%) 얻었다.
[스텝 2]
(R)-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48(1.5g, 4.0mmol)의 디클로로메탄(10mL) 용액에, TFA(2.2mL, 28mmol)를 가하고, 실온 하 교반했다. 2시간 후, 반응 용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R)-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참고예 화합물 49)를 0.95g(87%) 얻었다.
[스텝 3]
(R)-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빙냉 하, 참고예 화합물 49(0.13g, 0.46mmol), 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0.079g, 0.55mmol), DIPEA(0.24mL, 1.4mmol)의 DMF(1.0mL) 용액에 HATU(0.23g, 0.60mmol)를 가했다. 실온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에 물, 1규정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uji Silysia Chemical Ltd.제품, 아민실리카 겔 DM1020, 용리액; 헥산:아세트산 에틸=9:1→3:7)로 정제하고, (R)-1-(1-히드록시시클로헥산카르보닐)-N-(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비교예 화합물 1)를 0.058g(32%) 얻었다.
(비교예 2) (R)-1-(2-아세트아미드아세틸)-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실온 하, 참고예 화합물 8(0.10g, 0.31mmol), N-아세틸글리신(0.036g, 0.31mmol), DIPEA(0.16mL, 0.92mmol)의 DMF(5mL) 용액에 HATU(0.14g, 0.37mmol)를 첨가했다. 실온 하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빙냉 하, 반응 용액에 1규정 희염산을 가하고, 헥산:아세트산 에틸(헥산:아세트산 에틸=1:2) 혼합 용매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에틸에테르(1.0mL)에 용해시켜, 헥산(4.0mL)을 가했다. 석출한 겔상 물질을 여과 수집하고, (R)-1-(2-아세트아미드아세틸)-N-(4-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리딘-3-카르복사미드(이하, 비교예 화합물 2)를 0.040g(31%) 얻었다.
표 1-1∼표 1-6에는 실시예 화합물 1∼44의 물성 데이터를 나타내고, 표 2에는 비교예 화합물 1∼2의 물성 데이터를 나타내고, 표 3-1∼표 3-5에는 참고예 화합물 1∼49의 물성 데이터를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N.D.는 「데이터 없음」을 나타낸다.
1H-NMR 데이터에 있어서, 프로톤 적분값이 정수가 아닌 것은 회전 이성체의 존재 등에 의한 것이다.
1H-NMR 데이터 중의 용매명은 측정에 사용한 용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400MHz NMR 스펙트럼은 JNM-AL400형 핵자기 공명 장치(JEOL Ltd.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케미컬 시프트는 테트라메틸실란을 기준으로 하여 δ(단위:ppm)로 표현하고, 시그널은 각각 s(1중선), d(2중선), t(3중선), q(4중선), m(다중선), brs(폭광), dd(2중 2중선), dt(2중 3중선), ddd(2중 2중 2중선), dq(2중 4중선), td(3중 2중선) 또는 tt(3중 3중선)로 나타냈다. 용매는 모두 시판하는 것을 사용했다. ESI-MS 스펙트럼은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G6130A(Agilent Technology사)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표 1-1)
Figure pct00008
(표 1-2)
Figure pct00009
(표 1-3)
Figure pct00010
(표 1-4)
Figure pct00011
(표 1-5)
Figure pct00012
(쵸 1-6)
Figure pct00013
(표 2)
Figure pct00014
(표 3-1)
Figure pct00015
(표 3-2)
Figure pct00016
(표 3-3)
Figure pct00017
(표 3-4)
Figure pct00018
(표 3-5)
Figure pct00019
(실시예 45)In vitro에 있어서의 sEH 저해 활성의 평가 시험:
공지 문헌(Analytical Biochemistry, 2005년, 제343권, p.66-75) 기재의 방법에 기초하여 인간 sEH를 이용하여,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sEH 저해 활성을 평가했다.
재조합·인간 sEH(최종 농도 0.026μg/mL; Cayman사)를 피험화합물과 아울러 0.1mg/mL BSA를 포함하는 25mM Bis-Tris-HCl 완충액(pH 7.0) 중에서 실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팅했다. 그 후, 형광 기질로서 시아노(6-메톡시나프탈렌-2-일)메틸 2-(3-페닐옥실란-2-일)아세테이트(최종 농도 6.25μmol/L;Cayman사)를 첨가하고, 또한 실온에서 20분간 인큐베이팅하고, ZnSO4(최종 농도 0.2mol/L)를 가해 반응을 정지시키고, 형광강도(Fusion α(Packard 사); Excitation:330nm, Emission:485nm)를 측정했다.
sEH 비첨가 또한 피험화합물 비첨가의 형광 강도를 0% sEH 효소 반응률이라 하고, sEH 첨가 또한 피험화합물 비첨가의 형광 강도를 100% sEH 효소 반응률로 하여, 얻어진 형광 강도로부터, 각 피험화합물의 각 sEH 효소 반응률을 산출하고, IC50을 구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20
그 결과, 실시예 화합물 1∼44은 비교예 화합물 1 및 2와 비교하고, 인간 sEH의 효소 반응에 대하여 대단히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인간 sEH의 효소 반응에 대하여 대단히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다고 되었다.
(실시예 46)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서의 sEH 발현 검토 시험: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5년, 제102권, p.7736-7741;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2년, 제449권, p.167-176)의 신장을 사용하고, sEH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에 있어서의 발현을 검토했다.
래트(Wistar-Kyoto계, 웅성, 9주령;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꼬리 정맥내에, 문헌 기재의 방법(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5년, 제102권, p.7736-7741;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2년, 제449권, p.167-176)으로 작성한 토끼의 래트 항GBM 항혈청을 투여하고, 사구체신염을 유발시킨 래트를 「신장염 유발 래트」로 했다. 한편, 항GBM 항혈청을 투여하지 않는 래트를 「정상 래트」로 했다.
항GBM 항혈청 투여의 7주일 후에 정상 래트 및 신장염 유발 래트를 마취 하에서 안락사시킨 후, 신장을 적출해 포르말린액에 침지하여 보존했다.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한 신장을 파라핀으로 포매 후, 절편을 제작하고, 항sEH 항체(토끼 유래, Cayman사)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sEH 발현을 검토했다.
신장염 유발 래트의 신장에서는 병변 부위에서 sEH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한편, 정상 래트의 신장에서는 sEH의 발현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sEH의 발현은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의 신장의 병변 부위에서 항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7)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 시험: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5년, 제102권, p.7736-7741;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2년, 제449권, p.167-176)에 실시예 화합물 1 또는 2를 투여하고,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1) 실시예 화합물 1의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 대한 효과:
래트(Wistar-Kyoto계, 웅성, 8주령;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꼬리 정맥내에, 문헌 기재의 방법(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5년, 제102권, p.7736-7741;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2년, 제449권, p.167-176)으로 작성한 토끼의 항GBM 항혈청을 투여하고, 신장염을 유발시킨 군을 「신장염 유발군」으로 했다. 한편, 항GBM 항혈청을 투여하지 않는 군을 「정상군」으로 했다.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 래트의 꼬리 정맥 또는 경정맥으로부터 채혈하고, sCre 값을 측정했다. sCre 값은 효소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 일부의 래트를 마취 하에서 안락사시킨 후, 신장을 적출하여 포르말린액에 침지하여 보존했다.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한 신장을 파라핀으로 포매 후, 절편을 제작하고, 병리 조직 표본(HE 및 PAS염색)을 제작하여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했다.
신장염 유발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의 sCre 값(평균값 ± 표준 오차, n=12)은 0.47±0.01mg/dL이었다. 정상군에 있어서의 sCre 값(0.27± 0.01mg/dL(평균값±표준 오차, n=3))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고 있었다(t검정, p<0.05). 또한, 신장염 유발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경도∼중등도의 사구체 경화, 경도한 골수질외층의 단백원주, 경도한 요세관 확장, 경도한 호염기성 요세관 및 경도한 간질의 단핵 세포 침윤이 보였다(표 5). 즉, 신장염 유발군에서는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5)
Figure pct00021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인 신장염 유발군의 래트에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서부터 실험 종료시까지, 실시예 화합물 1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하고, 3m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 경구투여 했다. 이 군을「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이라 했다. 또한, 비교 대조로서, 신장염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신장염 대조군」으로 했다. 또한, 정상군에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2 및 3주간 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sCre 값을 측정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에 혈청 Cys-C값을 측정했다. 혈청 Cys-C값은 항원 항체 반응 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에 래트를 마취 하에서 안락사시킨 후, 신장을 적출해서 포르말린액에 침지하여 보존했다.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한 신장을 파라핀으로 포매 후, 절편을 제작하고, 병리 조직 표본(HE 및 PAS 염색)을 제작하고,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했다.
항GBM 항혈청 투여의 2 및 3주간 후의 sCre 값의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면의 횡축은 항GBM 항혈청 투여 후의 주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sCre 값(평균값±표준 오차, n=6)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표시는 신장염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t검정, p<0.05).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행하고, 각 개체 30∼40개의 사구체의 상해 영역을 병변 면적의 비율(%)에 의해 4단계로 스코어화(병변 면적 스코어; 1+:25% 미만, 2+:25% 이상 50% 미만, 3+:50% 이상 75% 미만, 4+:75% 이상)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각 개체에 대해서, 한 개의 막대 그래프로 병변 면적 스코어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의 종축은 각 개체의 병변 면적 스코어의 비율을 나타낸다.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2 및 3주간 후의 sCre 값은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신장염 대조군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3주간 후의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에 있어서의 sCre 값은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sCre 값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도 1).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은 sCre 값 증가를 인지한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혈청 Cys-C값(평균값 ±표준 오차, n=5)은 0.94±0.14mg/L이고, 정상군에 있어서의 혈청 Cys-C값 (0.25±0.02mg/L(평균값 ±표준 오차, n=3))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고 있었다(t검정, p<0.05). 한편,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에 있어서의 혈청 Cys-C값(평균값 ±표준 오차, n=6)은 0.63± 0.08mg/L이고,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혈청 Cys-C값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은 혈청 Cys-C값 증가를 인지한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중등도∼중도의 사구체 경화, 중등도∼중도의 골수질 외층의 단백원주, 중등도의 요세관 확장, 경도∼중등도의 호염기성 요세관 및 경도한 간질의 단핵 세포 침윤이 보였다. 한편,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에 있어서의 신장의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이들의 상해성 변화의 정도 및 빈도의 감소가 보였다(표 5). 또한, 각 개체의 사구체의 상해 영역을 스코어화한 결과,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에서는 사구체 상해의 억제가 확인되었다(도 2).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2) 실시예 화합물 2의 래트 항GBM 항혈청 투여 신장염 모델에 대한 효과:
래트(Wistar-Kyoto계, 웅성, 10주령;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꼬리 정맥내에, 항GBM 항혈청을 투여하고, 사구체신염을 유발시킨 군을 「신장염 유발군」으로 했다.
항GBM 항혈청 투여의 2 및 5주간 후에 실시예 47의 1)과 같은 방법으로 sCre 값을 측정했다.
신장염 유발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의 sCre 값(평균값 ±표준 오차, n=6)는 0.46±0.01mg/dL이었다. 본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행한 경우, 정상 래트의 sCre 값은 0.25∼0.28mg/dL(실시예 47의 1)을 참조)이다. 따라서, 신장염 유발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의 sCre 값은 정상 래트의 sCre 값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상승하고 있었다. 즉, 신장염 유발군에서는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인 신장염 유발군의 래트에 항GBM 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서부터 실험 종료시까지, 실시예 화합물 2를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하고, 10m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 경구 투여 한 것을 「실시예 화합물 2(10mg/kg) 투여군」으로 했다. 또한, 비교 대조로서, 신장염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동일하게 투여한 군을 「신장염 대조군」으로 했다.
항GBM 항혈청 투여의 2 및 5주간 후의 sCre 값의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면의 횡축은 항GBM 항혈청 투여 후의 주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sCre 값(평균값 ±표준 오차, n=3)을 나타낸다.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간 후의 sCre 값은 항GBM항혈청 투여의 2주간 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신장염 대조군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항GBM 항혈청 투여의 5주일 후의 실시예 화합물 2(10mg/kg) 투여군에 있어서의 sCre 값은 신장염 대조군에 있어서의 sCre 값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도 3).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2은 만성의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2은 sCre 값 증가를 인지한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48) 래트 당뇨병성 신증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 시험:
래트 당뇨병성 신증 모델(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007년, 제19권, p.571-579:Hypertension, 1998년, 32권, p.778-785)에 실시예 화합물 1을 투여하고,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당뇨병성 신증인 만성 신장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래트(Spontaneously Hypertensive 래트, 웅성, 12 및 13주령: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꼬리 정맥내에 스트렙토조토신(Enzolifesciences사) 수용액(40mg/kg)을 투여하고, 당뇨병성 신증을 유발시킨 군을 「당뇨병성 신증 유발군」으로 했다. 한편, 주사용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비처치군」이라 했다.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6일 후에 대사 케이지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요를 회수했다. 회수한 요의 요 중 알부민 농도를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요 중 알부민 농도 및 요 중량으로부터 요 중 알부민 배설량을 산출했다.
당뇨병성 신증 유발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의 6일 후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평균값±표준 오차, n=30)은 1.39±0.05mg/day이고, 비처치군에 있어서의 주사용수 투여의 6일 후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0.83± 0.10mg/day(평균값±표준 오차, n=6))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고 있었다(t검정, p<0.05). 즉, 당뇨병성 신증 유발군에서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의 6일 후에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를 보인 당뇨병성 신증 유발군의 래트에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의 8일 후에서부터 20일간, 실시예 화합물 1(10mg/kg)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 이미다푸릴(2mg/kg)을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실시예 화합물 1 및 이미다푸릴은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해서 사용했다. 실시예 화합물 1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실시예 화합물 1투여군」으로 했다. 또한, 이미다푸릴을 2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이미다푸릴 투여군」으로 했다. 한편, 비교 대조로서, 당뇨병성 신증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으로 했다. 또한, 비처치군에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했다.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7일 후의 피험물질 최종 투여 후에 대사 케이지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요를 회수했다. 회수한 요의 요 중 알부민 농도를 ELISA법 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요 중 알부민 농도 및 요 중량으로부터 요 중 알부민 배설량을 산출했다. 또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18일 후에 tail-cuff법을 이용하여 전신 수축기압을 측정했다. 또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9일 후에, 래트의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했다.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는 Glu-DHUV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7일 후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평균값±표준 오차, n=6)은 8.17±2.66mg/day이고, 비처치군에 있어서의 주사용수 투여의 27일 후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1.91±0.29mg/day(평균값±표준 오차, n=6))에 비하여 현저하게 상승하고 있었다.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7일 후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은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의 6일 후로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은 만성의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7일 후의 실시예 화합물 1 투여군 및 이미다푸릴 투여군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평균값±표준 오차, n=6)은 각각 5.41±1.13 및 5.66±0.91mg/day이고,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요 중 알부민 배설량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만성의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은 요 중 알부민 배설량의 증가를 인지한 당뇨병성 신증인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18일 후의 전신 수축기압(평균값±표준 오차, n=6)은 223±3mmHg이고, 비처치군에 있어서의 주사용수 투여의 18일 후의 전신 수축기압(179±7mmHg(평균값±표준 오차, n=4))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t검정, p<0.05). 따라서,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은 고혈압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 투여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18일 후의 전신 수축기압(평균값±표준 오차, n=6)은 199±6mmHg이고,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전신수축기압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났다(t검정, p<0.05).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이 고혈압을 인지하는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9일 후의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평균값±표준 오차, n=6)는 690±35mg/dL이고, 비처치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의 29일 후의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210±5mg/dL(평균값±표준 오차, n=6))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t검정, p<0.05). 따라서,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은 고혈당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 투여군에 있어서의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29일 후의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평균값±표준 오차, n=6)는 7004±35mg/dL이고, 당뇨병성 신증 대조군에 있어서의 혈장 중 글루코오스 농도와 비교하여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당뇨병성 신증의 고혈당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6, 실시예 47의 1) 및 2) 및 실시예 48의 결과로부터,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사구체신염 및 신부전인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당뇨병성 신증인 만성 신장병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9)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 시험: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09년, 제111권, p.235-243)에 실시예 화합물 1 또는 2를 투여하고,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폐고혈압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1) 실시예 화합물 1의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의 심폐 기능 및 우심실 비대, 폐 비대, 폐동맥 비후, 폐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 및 심근 비대에 대한 효과:
래트(Wistar계, 웅성, 5주령; Japan SLC, Inc.)의 등부분 피하에 모노크로탈린(sigma사) 수용액(60mg/kg)을 투여하고, 폐고혈압증을 유발시킨 군을 「폐고혈압증 유발군」으로 했다. 한편, 주사용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정상군」이라 했다.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모노크로탈린 투여일로부터 24일간, 실시예 화합물 1(3, 10 및 30mg/kg)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 타다라필(10mg/kg)을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실시예 화합물 1 및 타다라필은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해서 사용했다. 실시예 화합물 1을 3, 10 및 3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각각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 및 「실시예 화합물 1(30mg/kg) 투여군」으로 했다. 또한, 타다라필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타다라필 투여군」으로 했다. 한편, 비교 대조로서,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폐고혈압증 대조군」으로 했다. 또한, 정상군에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했다.
피험화합물 최종 투여의 익일에 우심실 수축기압, 전신 수축기 혈압 및 심박수를 측정했다. 우심실 수축기압 및 전신 수축기 혈압은 혈압 측정용 앰프(Nihon Kohden Corpor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심박수는 순간 심박계 유닛(Nihon Kohden Corporation)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동일하게, 체중, 폐 습중량, 및 우심실, 좌심실 및 중격의 습중량을 측정하고, 우심실 중량비(우심실 중량/ (중격 중량+좌심실 중량)) 및 폐 중량비(폐 중량/체중)을 구했다.
또한, 폐는 습중량 측정 후에 포르말린액에 침지하여 보존했다.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한 폐를 파라핀으로 포매 후, 절편을 제작하고, 항sEH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sEH 발현을 검토했다. 또한, 엘라스티카 반기손(Elastica van Gieson) 염색에 의한 병리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폐동맥 비후를 검토했다. 또한, 항PCNA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염색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세포 증식을 검토했다. 또한, 우심실은 습중량 측정 후에 포르말린액에 침지하여 보존했다. 포르말린액으로 고정한 우심실을 파라핀으로 포매 후, 절편을 제작하고, HE 염색에 의한 병리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심근 비대를 검토했다.
또한, 적출한 폐를 완충액 중에서 파쇄 후, 14,15-EET 및 14,15-DHET를 추출했다. 추출한 14,15-EET를 가수 분해하고, 14,15-DHET로 변환하고, ELISA법을 이용하여 14,15-DHET 농도를 측정했다. 가수 분해 반응의 전후에서 증가한 14,15-DHET 농도를 14,15-EET 농도로 하고 14,15-EET/14,15-DHET 비를 구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sEH 발현을 검토한 결과,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폐에서는 정상군의 폐에 비해서 병변 부위에서 sEH의 발현이 인지되었다. 따라서, sEH의 발현은 폐고혈압증의 폐의 병변 부위에서 항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험화합물 최종 투여의 다음날의 우심실 수축기압, 우심실 중량비 및 폐중량비에 대해서, 결과를 도 4∼6에 나타낸다. 도면의 횡축은 각 군을 나타내고, 종축은 각 측정값(평균값±표준 오차, n=10)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표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Dunnett's검정, p<0.05).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수축기압은 정상군의 우심실 수축기압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폐고혈압증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 및 실시예 화합물 1(30mg/kg) 투여군의 우심실 수축기압은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수축기압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Dunnett's 검정, p<0.05)(도 4).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동맥압 상승을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정상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우심실 비대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 및 실시예 화합물 1(30mg/kg) 투여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Dunnett's 검정, p<0.05)(도 5).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우심실 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중량비는 정상군의 폐중량비와 비교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폐비대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의 폐중량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Dunnett's검정, p<0.05)(도 6).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 및 실시예 화합물 1(30mg/kg) 투여군의 심박수 및 전신 수축기 혈압에 대해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심박수 및 전신 수축기 혈압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한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Dunnett's검정, p<0.05).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고혈압증에 있어서 심박수 및 전신 혈압에 작용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폐동맥 비후를 검토한 결과,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서는 정상군의 폐에 비하여 폐동맥 비후가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의 폐에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 비하여 폐동맥 비후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동맥 비후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을 검토한 결과,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서는 정상군의 폐에 비하여 세포 증식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의 폐에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 비하여 세포 증식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을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심근 비대를 검토한 결과,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에서는 정상군의 우심실에 비하여 심근 비대가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의 우심실에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에 비하여 심근 비대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심근 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를 검토한 결과,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는 정상군의 폐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폐고혈압증의 폐에서는 14,15-EET/14,15-DHET 비가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의 폐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고혈압증의 폐에 있어서의 14,15-EET/14,15-DHET 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2) 실시예 화합물 1의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의 병태 진행 기로부터의 투여에 의한 우심실 비대에 대한 효과:
래트(Wistar계, 웅성, 5주령; Japan SLC, Inc.)의 등부분 피하에 모노크로탈린(sigma사) 수용액(60mg/kg)을 투여하고, 폐고혈압증을 유발시킨 군을 「폐고혈압증 유발군」으로 했다. 한편, 주사용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정상군」으로 했다.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실시예 화합물 1(3 및 10mg/kg)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 타다라필(10mg/kg)을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실시예 화합물 1(3 및 10mg/kg)은 모노크로탈린 투여일의 10일 후에서부터 18 또는 19일간 투여했다. 타다라필(10mg/kg)은 모노크로탈린 투여일로부터 28 또는 29일간 투여했다. 실시예 화합물 1 및 타다라필은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해서 사용했다. 실시예 화합물 1을 3 및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각각 「실시예 화합물 1(3mg/kg) 투여군」 및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으로 했다. 또한, 타다라필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타다라필 투여군」으로 했다. 한편, 비교 대조로서,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폐고혈압증 대조군」이라 했다. 또한, 정상군에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했다.
피험화합물 최종 투여일에 래트를 마취 하에서 복부 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고, 이어서 안락사시킨 후, 심장을 적출하고, 우심실, 좌심실 및 중격의 습중량을 측정하고, 우심실 중량비(우심실 중량/(중격 중량+좌심실 중량))를 구했다. 또한, 채취한 혈액 중의 14,15-DHET 농도를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채취한 혈액에 일정량의 14,15-EET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산생된 14,15-DHET 양을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혈액 중의 sEH 활성을 구했다.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혈액 중의 14,15-DHET 농도 및 sEH 활성은 정상군의 혈액 중의 14,15-DHET 농도 및 sEH 활성에 비해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폐고혈압증에서는 14,15-DHET 농도가 상승하는 것 및 sEH 활성이 항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험화합물 최종 투여일의 우심실 중량비에 대해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면의 횡축은 각 군을 나타내고, 종축은 우심실 중량비(평균값±표준 오차, n=10)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표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t검정, p<0.05).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정상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t검정, p<0.05). 따라서, 폐고혈압증 대조군은 우심실 비대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1(10mg/kg) 투여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t검정, p<0.05)(도 7).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은 폐고혈압증의 병태 진행기로부터 투여해도, 우심실 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실시예 화합물 1의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의 전신 혈압 에 대한 작용: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 래트에 실시예 화합물 1을 단회 투여하고,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투여 직후로부터의 전신 혈압에 대한 작용을 평가했다.
래트(SD계, 웅성, 11주령;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등부분 피하에 모노크로탈린(sigma사) 수용액(60mg/kg)을 투여하고, 폐고혈압증을 유발시켰다.
모노크로탈린 투여 7일 후에, 폐고혈압증을 유발시킨 래트를 마취하고, 대퇴부 및 등경부를 제모하고, 이소신액을 이용하여 술야(術野)를 소독했다. 대퇴부 및 등경부 피부를 절개 후, 핀셋을 이용하여 둔성으로 대퇴부의 근층을 절개하고, 대퇴 동맥을 박리 노출시킨 후, 소절개하여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입 유치했다. 모노크로탈린 투여 9일 후에, 대퇴 동맥에 삽입한 튜브에 혈압 트랜스듀서를 접속하고, 혈압은 Blood Pressure Amplifier로 증폭시키고, 심박수는 맥파형을 트리거로 하여 Heart Rate Counter를 통하여 모두 Power Lab시스템으로 파형을 얻었다. 전신 혈압 및 심박수가 안정한 것을 확인했다. 전신 혈압이 안정한 것을 확인한 후, 실시예 화합물 1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1은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해서 사용했다. 실시예 화합물 1을 투여한 군을 「실시예 화합물 1 투여군」으로 했다. 한편, 비교 대조로서, 폐고혈압증을 유발시킨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폐고혈압증 대조군」으로 했다. 실시예 화합물 1 또는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의 투여 직후로부터 투여 1, 2, 3, 4, 5 및 6시간 후까지의 전신 평균 혈압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화합물 1 투여군의 전신 평균 혈압은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전신 평균 혈압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1이 폐고혈압증에 있어서 투여 직후로부터 전신 혈압에 작용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4) 실시예 화합물 2의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의 심폐 기능 및 우심실 비대에 대한 효과:
피험화합물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1)과 같은 방법으로 래트 모노크로탈린 투여 폐고혈압증 모델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 2의 효과를 평가했다.
실시예 49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모노크로탈린 투여일부터 24일간, 실시예 화합물 2(10mg/kg)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 타다라필(10mg/kg)을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실시예 화합물 2 및 타다라필은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해서 사용했다. 실시예 화합물 2를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실시예 화합물 2 투여군」으로 하고, 타다라필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군을 「타다라필 투여군」으로 했다. 한편, 비교 대조로서, 폐고혈압증 유발군의 래트에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한 군을 「폐고혈압증 대조군」으로 했다. 또한, 모노크로탈린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에도 0.5% Tween 80 함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마찬가지로 투여했다.
실시예 49의 1)과 마찬가지로, 피험화합물 최종 투여의 익일에 우심실 수축기압, 전신 수축기 혈압 및 심박수를 측정했다. 또한, 동일하게 체중, 폐 습중량, 및, 우심실, 좌심실 및 중격의 습중량을 측정하고, 우심실 중량비(우심실 중량/(중 격 중량+좌심실 중량)) 및 폐 중량비(폐 중량/체중)를 구했다.
그 결과를 도 8∼10에 나타낸다. 도면의 횡축은 각 군을 나타내고, 종축은 각 측정값(평균값±표준 오차, n=10)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표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Dunnett's검정, p<0.05).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수축기압은 정상군의 우심실 수축기압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폐고혈압증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2 투여군의 우심실 수축기압은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수축기압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Dunnett's검정, p<0.05)(도 8).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2가 폐동맥압 상승을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정상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우심실 비대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2 투여군의 우심실 중량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우심실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Dunnett's검정, p<0.05)(도 9).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2가 우심실 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 중량비는 정상군의 폐 중량비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Aspin-Welch의 t검정, p<0.05), 폐 비대의 병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화합물 2 투여군의 폐 중량비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폐 중량비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다(도 10).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2가 폐 비대를 인지한 폐고혈압증의 병태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화합물 2 투여군의 심박수 및 전신 수축기 혈압에 대해서는 폐고혈압증 대조군의 심박수 및 전신 수축기 혈압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한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Dunnett's검정, p<0.05). 따라서, 실시예 화합물 2이 폐고혈압증에 있어서 심박수 및 전신 혈압에 작용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9의 1), 2), 3) 및 4)의 결과로부터, 니페코트산 유도체(I)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폐고혈압증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강력한 sEH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의약의 분야에 있어서 만성 신장병 및 폐고혈압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이하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22

    [식 중 R1은 수산기,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SR6, -S(=O)-R6 또는 -S(=O)2R6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N(R6)C(=O)R7, -N(R6)S(=O)2R7, -C(=O)N(R6)R7 또는 환구성 원자수 5개의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상기 알킬기 및 알킬옥시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 또는 -(CH2)m-O-(CH2)n-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옥시기(상기 알킬기, 알킬옥시기, 시클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옥시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또는 -C(=O)NH2를 나타내지만, 동시에 알킬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탄소수 3∼6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7개의 알킬옥시알킬기 또는 탄소수 4∼7개의 시클로알킬알킬기(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옥시알킬기 및 시클로알킬알킬기는 1∼3개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수산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나타내고,
    l은 2∼5의 정수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가 되어 -(CH2)l-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는 없고,
    R4는 벤젠환 상의 2위치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R5는 벤젠환 상의 4위치의 치환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은 -N(R6)C(=O)R7 또는 -N(R6)S(=O)2R7을 나타내고,
    R4는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R5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 또는 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에폭시드 가수 분해 효소 저해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페코트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신장병 또는 폐고혈압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KR20147025608A 2012-03-29 2013-03-29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 KR20140140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7333 2012-03-29
JPJP-P-2012-077333 2012-03-29
PCT/JP2013/059534 WO2013147161A1 (ja) 2012-03-29 2013-03-29 ニペコチン酸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029A true KR20140140029A (ko) 2014-12-08

Family

ID=4926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5608A KR20140140029A (ko) 2012-03-29 2013-03-29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50065717A1 (ko)
EP (1) EP2832724A4 (ko)
JP (1) JPWO2013147161A1 (ko)
KR (1) KR20140140029A (ko)
CN (1) CN104185626A (ko)
AU (1) AU2013241028A1 (ko)
BR (1) BR112014024052A8 (ko)
CA (1) CA2868253A1 (ko)
MX (1) MX2014011648A (ko)
TW (1) TW201400457A (ko)
WO (1) WO2013147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405A1 (ja) * 2013-09-26 2015-04-02 東レ株式会社 鎮痛剤
TW201601724A (zh) * 2013-09-26 2016-01-16 Toray Industries 肺性高血壓之治療劑或預防劑
CN109682909B (zh) * 2017-10-18 2020-11-1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用于评价2型糖尿病的格列齐特适用性的血清组合标志物及其检测试剂盒
CN109394748A (zh) * 2018-11-14 2019-03-01 上海市第十人民医院 Tppu在治疗制备肥胖所致肾损伤药物中的应用
CN111909067B (zh) * 2020-08-28 2022-03-15 浙江凯普化工有限公司 一种d-青霉胺的有机全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806475D1 (de) 1998-09-18 2003-01-09 Pentapharm Ag Basel Urokinase-inhibitoren
US6797820B2 (en) * 1999-12-17 2004-09-28 Vicuron Pharmaceuticals Inc. Succinate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nd preparation
WO2002028829A2 (en) * 2000-09-25 2002-04-11 Questcor Pharmaceuticals, Inc. Peptide deformylase inhibitors
CH695999A5 (de) * 2002-02-28 2006-11-15 Wilex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 Amidinophenylalanin-Derivaten.
BRPI0708567A2 (pt) * 2006-03-08 2011-05-31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compreende e seu uso
TW200808723A (en) * 2006-03-13 2008-02-16 Univ California Conformationally restricted urea inhibitors of soluble epoxide hydrolase
CN101535259A (zh) * 2006-10-20 2009-09-16 亚瑞特医疗公司 作为可溶性环氧化物水解酶抑制剂的苯基脲化合物
US20080275085A1 (en) * 2007-04-24 2008-11-06 Junya Shirai Piper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AU2008253519A1 (en) * 2007-05-24 2008-11-27 Merck Frosst Canada Ltd Novel case of renin inhibitors
WO2010080183A1 (en) * 2009-01-08 2010-07-1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Potent non-urea inhibitors of soluble epoxide hydrolase
WO2010096371A2 (en) 2009-02-18 2010-08-2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terocyclic compounds which modulate the cb2 receptor
JP2011016742A (ja) * 2009-07-07 2011-01-27 Astellas Pharma Inc 環状アミノ化合物又はその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41028A1 (en) 2014-10-16
WO2013147161A1 (ja) 2013-10-03
US20150065717A1 (en) 2015-03-05
JPWO2013147161A1 (ja) 2015-12-14
MX2014011648A (es) 2014-10-24
TW201400457A (zh) 2014-01-01
EP2832724A4 (en) 2015-09-23
BR112014024052A2 (ko) 2017-06-20
CA2868253A1 (en) 2013-10-03
CN104185626A (zh) 2014-12-03
BR112014024052A8 (pt) 2017-07-25
EP2832724A1 (en)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327B1 (ko) 오피오이드 수용체 리간드와 그 용도 및 제조방법
EP2588459B1 (en) Compounds act at multiple prostaglandin receptors giving a general anti-inflammatory response
JP5833000B2 (ja) 二重に作用するピラゾール抗高血圧症薬
US20120035131A1 (en) Pyrazoline compounds
KR20140140029A (ko) 니페코트산 유도체 및 그 의약 용도
EA021025B1 (ru) Соединения, эффективны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сантиноксидаз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содержащая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05095350A1 (en) Pyrazole compounds and uses related thereto
EA020921B1 (ru) Производные циклогексиламид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антагонистов рецептора crf-1
JP2010043004A (ja) 新規2環性複素環化合物
CA2806634A1 (en) Substituted cyclic carboxamide and urea derivatives as ligands of the vanilloid receptor
JP2015108002A (ja) 肝細胞増殖因子(分散因子)活性の低分子モジュレーター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3517295A (ja) 二重に作用するチオフェン、ピロール、チアゾールおよびフラン抗高血圧症薬
US20080242722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yclooxygenase-2 Mediated Diseases or Conditions in Patients at Risk of Thrombotic Cardiovascular Events
US20090325947A1 (en) Nitrate esters of piperidines
US9522890B2 (en) Compounds acting at multiple prostaglandin receptors giving a general anti-inflammatory response
JP2012503005A (ja) イミダゾール誘導体およびトリアゾール誘導体を含む、化合物、組成物ならびに方法。
EP2797893B1 (en) Compounds acting at multiple prostaglandin receptors giving a general anti-inflammatory response
EP2794574B1 (en) Compounds acting at multiple prostaglandin receptors giving a general anti-inflammatory response
WO2013161980A1 (ja) シクロヘキサンジアミド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JP2022516969A (ja) 金属酵素阻害剤化合物
JP2009184925A (ja) 5−(1h−1,2,3−トリアゾール−4−イル)−1h−ピラゾール誘導体
EP2945932B1 (en) Compounds act at multiple prostaglandin receptors giving a general anti-inflammatory response
TW201601724A (zh) 肺性高血壓之治療劑或預防劑
US20100222365A1 (en) Substituted triazole deriviatives as oxytocin antagonists
KR20120018185A (ko)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피페리딘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