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557A -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557A
KR20140137557A KR20130058143A KR20130058143A KR20140137557A KR 20140137557 A KR20140137557 A KR 20140137557A KR 20130058143 A KR20130058143 A KR 20130058143A KR 20130058143 A KR20130058143 A KR 20130058143A KR 20140137557 A KR20140137557 A KR 2014013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nflammatory
extracts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길
정지상
최단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롬
Priority to KR2013005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557A/ko
Publication of KR2014013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애엽 또는 전호 각각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염증 및 진통에 대한 효과가 뛰어난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퇴행성 골관절염, 염증성 피부 질환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Anti-inflammation composition including artemisia extract and anthriscus sylvestris extract}
본 발명은 애엽과 전호를 주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증성 매개체들과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소염 효과와 부종 억제 효과를 갖는 애엽 및 전호를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병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병변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
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 등이 있다.
한편, 인체 내에서 관절조직은 움직이는 두 뼈가 만나는 곳으로서, 관절에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부드러운 연골구조로 되어 있다. 관절염은 관절에서 발생하는 모든 염증을 말한다. 이는 관절에서의 부종과 통증이 유발되고 관절이 뻣뻣해지며 심한 경우에는 신체장애가 될 수 있는 만성질환이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은 진행성
으로서 변형 및 관절불굴과 같은 관절장애를 발생시켜 종종 효과적인 치료 결핍과 계속된 악화로 인해 심각한육체적 장애를 일으킨다.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와 관절염재단(AF)에 의하면 2020년에 전체 인구 3명당 1명꼴에 해당하는 7,000만명에 달하며 97년 5명당 1명의 4,300만명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서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향후 관절염 환자수가 지속적인 증가를 거듭할 전망이라고 한다. 국내도 2005년 관절염 환자수가 1천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절에서의 염증증상은 유사하지만 각각 다른 원인에 의해 매우 다양한 관절염들이 존재하며, 가장 흔한 관절염으로는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고 통풍, 강직성 척수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관절염 치료제는 통증완화만 기대할 수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이하 '소염진통제'),항염증작용과 치료효능이 있는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제 기능을 가지는 항류마티스제 등이 있다. 대표적인 항류마티스제로는 면역조절제인 페니실라민(penicillamine), 코러스부시라민(bucillamine)과 면역억제제 사이크로스포린(cyclosporine), 아자티오피린(azathioprine)과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금 주사(goldsalts),항말라리아제(hydroxychloroquine) 등이 있으며, 대부분 2가지 이상의 약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관절염치료제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TNF를 억제하거나 COX-2 저해제 등 통증을 관리하고 많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약물들이 개발되었다. 염증에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지질성분이 다량으로 합성된다. 이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서 세포내에 있는 아라키돈산으로 부터 합성되며, 합성과정에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라는 효소가 관여한다. NSAIDs는 COX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하므로 염증이 억제되어 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절염 치료제를 천연물 소재로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는 대부분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품화하고 있어 정확한 약리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부분 경구제로서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복용을 할 수 있어 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소재로는 관절액과 성분이 유사한 히알우론산을 주사하거나 건강보조식품으로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을 함께 복용하기도 하며, 생약등의 소재로 동의보감 등의 기성 한약서에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염증 또는 관절염에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 특히 골관절염 유발 인자들 발현에 관여하는 메커니즘 인자들을 조절하고, 활성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의 추출 혼합물이 관절염을 포함한 염증성 질환의 개선에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엽 (Artemisia argyi) 추출물 및 전호(anthriscus sylvest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건조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2:1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애엽 (Artemisia argyi) 추출물 및 전호(anthriscus sylvest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애엽 및 전호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건조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3:1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 혼합물의 산화질소 합성 효소 및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추출 혼합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의 처리 농도 절반 수준에서 억제 효과가 유사하거나 우수하게 나타나며, 특히 경구 투여 후 동물에게서 나타나는 진통 및 부종 억제 활성에서 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각 추출물이 나타내는 효능을 서로 간섭하거나 방해하지 않고 상호 보완적인 기전을 가진 우수한 복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애엽 및 전호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 용매에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관련 인자로 알려진 유도형 산화질소 합성 효소(iNOS), IL-6 또는 IL-1β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산화질소 및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6 또는 IL-1β의 분비 억제를 통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낙석등 및 목단피 추출 혼합물의 산화질소 합성 효소 및 사이토카인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동물 시험을 통해 경구 투여시 진통 반응, 염증 반응의 억제에서도 우수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애엽 및 전호 추출 혼합물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낙석등 및 목단피 추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10 내지 1000 mg 정도를 투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50 내지 500 mg 정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낙석등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의 혼합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낙석등 및 목단피 각각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염증, 통증 및 부종 억제 효과가 뛰어난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퇴행성 골관절염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Raw264.7 세포열 및 토끼 연골 초대 배양 세포(rabbit chondrocyte)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Raw264.7 세포열에서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혼합물이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aw264.7 세포열에서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혼합물이 시클로옥시기나아제(COX-2)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Raw264.7 세포열에서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혼합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시험동물의 내이 염증 모델(ear-edema)에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시험동물의 통증 측정 모델에서 진통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애엽 추출물과 전호 추출물의 혼합 비율별 진통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애엽 및 전호 추출물의 제조
대한 약전 규격에 적합한 애엽 및 전호를 취하여 절단 한 약재를 칭량한 후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72시간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여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 한 후 건조 하여 애엽 및 전호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 추출 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애엽 및 전호 추출물을 1: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 혼합물을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애엽 및 전호의 2:1, 1:2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 : 애엽 및 전호 추출물의 산화질소, 산화 질소 합성 효소, COX-2 및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통한 유효성 평가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물에 대한 세포내 산화 질소(nitric oxide), 산화 질소 합성 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기나아제-2 (cyclooxygenase-2, COX-2) 및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약물을 처리하지 않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LPS 등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때 대조 약물은 기존의 관절염 개선 효과로 인정 된 차조기등 복합 추출물 또는 리프리놀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호의 경우 RAW264.7 세포에서 NO 생성 억제 활성이 50ug/mL의 농도에서 약 32%, 애엽의 경우 37%정도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애엽과 전호를 각 50ug/mL로 혼합하였을 때 약 54%의 NO 생성 억제 활성이 나타나 두 천연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 효과가 있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 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또한, 토끼 연골세포에서에서도 애엽/전호의 복합물의 경우 35%정도의 억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애엽과 전호의 복합물이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염증성 질환 개선 기능성이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도 2에는 애엽 추출물고 전호 추출물 혼합물이 산화 질소 생성 효소의 발현 억제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애엽/전호 추출물 혼합물의 iNOS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염증 매개 물질인 NO의 생성 억제 효과가 NO의 포집에 의한 것이 아닌 cell signalling의 조절을 통해서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에서는 염증 매개 효소인 COX-2 발현에 미치는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 혼합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전호 및 애엽 추출 복하물을 이용하여 COX-2 mRNA 및 단백질 발현양을 검측한 결과에서는 천연물 각각에 대한 COX-2 mRNA 및 단백질 발현 억제량에 비하여 발현 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천연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4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대한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 혼합물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전호 및 애엽 추출 혼합물을 이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양을 검측한 결과에서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차조기 복합 추출물에 비교 할 때 IL-1β 및 IL-6의 발현 억제 활성은 유사하였으나, 차조기 복합 추출물이 TNF-α에 대한 발현 억제 기능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애엽/전호 추출 복합물에서는 TNF-α 억제 기능이 확인 되어 두 천연물 추출물의 혼합이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애엽 및 전호 추출물 혼합물이 효과적으로 염증성 반응의 매개물들을 억제하고 있음을 동물 시험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in vivo 시험은 항염증 활성 측정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ear-edema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애엽, 전호 및 복합 추출물을 100mg/kg의 농도로 2주간 실험 동물에게 경구 투여한 후 Arachidonicacid를 시험 동물에 내이(內耳)에 도포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한 후 염증으로 인하여 증가되는 귀의 피부 두께를 측정하여 염증 억제 활성(%)를 검측 하였다. 2주간 경구 투여 후 염증 억제 활성을 검측한 결과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리프리놀은 약 35%정도의 염증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애엽 및 전호 단독 투여군은 애엽의 경우 약33%, 전호는 약 18%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애엽과 전호의 추출물을 각 1:1로 복합하여 경구투여 한 군에서는 염증 억제율이 약 43%로 나타나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리프리놀에 비하여 더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각 천연물을 단독 투여하였을 때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두 천연물간에 복합을 통한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통증은 감염이 없는 염증 반응이라고 말할 정도로 염증 반응과 유사한 경로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통증은 골관절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서 중요 개선 사항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의 혼합물의 진통 효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동물에게 2주간 애엽 추출물, 전호 추출물, 애엽/전호 추출 복합물(1:1)을 150mg/kg의 비율로 경구 투여 한 뒤 1.5% acetic acid를 복강으로 투여한 후 발생하는 근육통에 대해서 보이는 행동(Writhing)에 대한 숫자의 억제 효과를 통해 진통 효과를 시행하였고, 대조 물질로는 NSAIDs인 인도메타신과 개별인정형 건강 기능식품 원료인 리프리놀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진통 모델에서 진통 효과 측정 결과에서 전통적인 NSAIDs인 인도메타신은 약 55%의 억제 효능을 나타냈으며,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리프리놀은 37%정도의 진통 효과를 나타내었다. 애엽과 전호 추출물의 진통 효과는 애엽의 경우 5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시 약 17%, 100mg/kg 투여 시 약 33%정도의 진통 효과를 보여주었던 반면에 전호의 경우 50mg/kg 농도에서는 6%, 100mg/kg의 투여에서는 16%정도의 진통 효과를 보여 애엽의 경우 진통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전호는 진통 효과가 그렇게 높지 않았다. 반면에, 애엽과 전호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시켰을 경우 100mg/kg로 투여 하였을 경우 45%, 200mg/kg의 농도로 투여시 약 49%의 진통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 유추할 때 애엽과 전호를 혼합으로 투여 하였을 경우 각각 추출물의 100mg/kg 투여시보다 더 우수한 진통 효능을 보이고 있어서 두 천연물의 혼합물의 투여가 상승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애엽 및 전호 추출물의 상승 효과에 대해서 비율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애엽과 전호 각 추출물을 중량비로 2:1, 1:1, 1:2의 비율로 3가지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 한 후 진통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7은 혼합 비율에 따른 진통 효과를 도시하였다. 천연물의 복합 비율에 따른 진통 활성 측정에서 2:1 비율(애엽 66.7mg / 전호 33.3mg)이 약 53%의 진통 활성을 보여 가장 우수하였으며, 1:1 (애엽 50mg / 전호 50mg)의 비율은 48%, 1:2 (애엽 33.3mg/전호 66.7mg)은 29%의 진통 효과를 보였다. 즉, 애엽과 전호의 추출 복합물의 투여는 모든 비율에서 상승 효과가 관찰되고 있으나 애엽 2, 전호 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진통 활성을 보였으나 1:1 비율로 혼합시와는 통게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애엽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진통 활성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3:1 ~ 1:1 의 간격 에서의 혼합이 적절g라것으로 판단된다.
-

Claims (5)

  1.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건조 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3:!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물, 탄소수 1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5. 애엽 추출물 및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30058143A 2013-05-23 2013-05-23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KR2014013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143A KR20140137557A (ko) 2013-05-23 2013-05-23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143A KR20140137557A (ko) 2013-05-23 2013-05-23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57A true KR20140137557A (ko) 2014-12-03

Family

ID=5245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8143A KR20140137557A (ko) 2013-05-23 2013-05-23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458A (ko) * 2016-12-08 2018-06-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호 잎 추출물(we-l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4622A (ko) * 2018-06-07 2018-07-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호 잎 추출물(we-l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458A (ko) * 2016-12-08 2018-06-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호 잎 추출물(we-l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4622A (ko) * 2018-06-07 2018-07-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호 잎 추출물(we-l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rucea javanica oil emulsion by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JP5588351B2 (ja) ローズヒップ抽出物含有調剤
Ojewole Anticonvulsant property of Sutherlandia frutescens R. BR.(variety Incana E. MEY.)[Fabaceae] shoot aqueous extract
JP5478486B2 (ja) 植物抽出物及びその治療的使用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Hwang et al. Oxyresveratrol-containing Ramulus mori ethanol extract attenuates acute colitis by suppressing inflammation and increasing mucin secretion
JP2010530841A (ja) 選択的セロトニン再取り込み阻害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JP6539780B2 (ja) ウスバノコギリモク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関節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2008069143A (ja) 関節リウマチ治療用植物抽出物
Gupta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racaena cinnabari Balf. f. resin
KR20140137557A (ko) 애엽과 전호의 추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료용 천연물 조성물
BR112014030570B1 (pt) extratos de tomilho selvagem e uso destes
KR101620153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93558B1 (ko)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im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o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JPWO2005082391A1 (ja) ヒト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アゴニスト剤
KR102356654B1 (ko) 염증과 통증을 억제하는, 프로폴리스와 구기자 배합물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8104383A (ja) Trpv4活性阻害剤
Fatima Determination of Pharmacological Screening for Anti-arthritic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in Rats Challenged with Formalin
KR20230040326A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230138973A (ko) 통증을 억제하는, 핑거루트와 밀크씨슬 배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