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554A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554A
KR20140137554A KR1020130058134A KR20130058134A KR20140137554A KR 20140137554 A KR20140137554 A KR 20140137554A KR 1020130058134 A KR1020130058134 A KR 1020130058134A KR 20130058134 A KR20130058134 A KR 20130058134A KR 20140137554 A KR20140137554 A KR 2014013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arts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영
유민근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554A/ko
Publication of KR2014013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되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분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공학(electronics) 분야의 진전에 따라, 전기기구의 크기 및 두께가 감소되고 있어 이러한 전기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점착제에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내열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전기기구의 소형화 및 초박형화에 의해 상당한 양의 열 축적(heat buildup)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발생한 열을 방출하는 각종 연구도 검토되고 있지만, 각종 점착제에 대한 내열성 개선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는 내열성이 우수하나, 대단히 고가이고 범용의 분야에는 적절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환식 아크릴계 단량체를 도입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33408호). 이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비극성 기재에 대한 점착성은 우수하나, 내열성 향상 효과는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공중합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308548호). 이는 리워크성은 우수하나, 최고 약 120 ℃의 내열온도를 가져 전자공학 분야에서는 다소 부족한 내열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를 도입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한국 공개특허 제2011-0089832호). 이는 내열성 향상 효과는 있으나, 250℃이상의 고온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전자공학 분야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250℃이상의 고온처리 공정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카본나노입자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그래핀 및 플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표면 처리된 카본나노입자에 의해 분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카본나노입자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공유결합으로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분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표면이 개질된 카본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분산성이 증가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폭시기와 카본나노입자의 카르복실기가 공유결합을 형성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바인더 역할을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내열성 입자 역할을 하는 카본나노입자의 상호 결합력이 증가되어 점착제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각 성분의 함량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성 개선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이외의 기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이외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화학 결합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 또는 점착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과 절단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및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높은 겔분율에 의해 점착력이 떨어지고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총량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5만 내지 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만 내지 200만인 것이 좋다.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 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200만 초과인 경우 도공 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카본나노입자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질산과 황산을 이용한 산화법 또는 상전이촉매를 이용한 방법으로 그 표면을 카르복실기로 개질할 수 있다.
상기 카본나노입자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그래핀 및 플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탄소나노튜브는 멀티, 싱글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300 내지 500℃ 이상에서 소결하여 유기물과 무기물을 제거한 후 강산(바람직하게는 질산과 황산의 혼합용액) 용액을 이용하여 20 내지 26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증류수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카르복실기로 개질된 탄소나노튜브는 용매 중에 분산시켜 사용한다.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증류수,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메탄올, 부틸알콜,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헥산, 시클로헥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시클로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메틸에틸케톤 등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는 산화반응의 조건에 따라 상기 카본나노입자 표면에 도입되는 카르복실기의 도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의 도입량이 소량인 경우에도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아미노기와의 이온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본나노입자 표면에 도입되는 카르복실기의 도입량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과도하게 도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도입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나노입자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40㎚인 것이 좋다. 입경이 1㎚미만이면 점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이 나빠져서 헤이즈가 증가하고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성 개선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이외의 기타 점착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과산화물계, 금속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에폭시계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몰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 중 2몰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레졸신디글리시딜에테르, 2,2-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핀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글리시독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1,3-비스(N,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는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유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05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 이외에,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특히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표면보호필름용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뿐만 아니라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 패치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제조예 1-1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4중량부, (화학식 1) 5.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1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아세톤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70℃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만인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Figure pat00010
(화학식 1) 대신에
Figure pat00011
(화학식 2)을 사용하여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Figure pat00012
(화학식 1) 대신에
Figure pat00013
(화학식 3)을 사용하여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Figure pat00014
(화학식 1) 대신에
Figure pat00015
(화학식 4)을 사용하여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9중량부,
Figure pat00016
(화학식 1) 10.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1.0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로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6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n-부틸아크릴레이트(BA) 79중량부,
Figure pat00017
(화학식 1) 20.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1.0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로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7중량부, 아크릴산(AA) 2중량부,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이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약110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
제조예 2-1
아크 방전법으로 합성한 탄소나노튜브 혼합물(상품명SA100, ㈜나노솔루션)을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평균입자직경이 2 내지 5㎜가 되도록 과립화한 후, 회전성 반응기로서 경사각도가 3°인 로터리 킬른이 구비된 정제장치를 이용하여 과립화된 탄소나노튜브 혼합물을 열처리하였다. 이때, 회전성 반응기를 5 내지 2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면서 420℃의 온도로 100분 동안 열처리 하였으며, 산화성 가스는 과립화된 탄소나노튜브 혼합물 1g에 대하여 250㏄/분의 속도로 공급하였다. 상기의 열처리에 의해 정제된 탄소나노튜브를 질산:황산=7:3(v/v)의 혼합산 용액이 담긴 소니케이터에서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용액을 0.2㎛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로 여과한 후, 그 여과물을 다시 질산에 담가 90℃에서 45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12,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0.1㎛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로 여과하고 그 여과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탄소나노튜브를 고형분 함량 1중량%가 되도록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분산시킨 후, 다시 0.1㎛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로 여과하여 선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제조예 1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 가교제 및 실란커플링제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 유기용매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카본나노입자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개질 비개질 A-1 A-2 A-3 A-4
실시예1 제조예1-1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2 제조예1-2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3 제조예1-3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4 제조예1-4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5 제조예1-5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6 제조예1-6 제조예2-1(1) - 0.5 - - - 0.5
실시예7 제조예1-1 제조예2-1(0.5) - 0.5 - - - 0.5
실시예8 제조예1-1 제조예2-1(2) - 0.5 - - - 0.5
실시예9 제조예1-1 제조예2-1(4) - 0.5 - - - 0.5
실시예10 제조예1-1 제조예2-1(8) - 0.5 - - - 0.5
실시예11 제조예1-1 제조예2-1(1) - - 0.5 - - 0.5
실시예12 제조예1-1 제조예2-1(1) - - - 0.5 - 0.5
실시예13 제조예1-1 제조예2-1(1) - - - - 0.5 0.5
비교예1 비교제조예1 제조예2-1(1) - 0.5 - - - 0.5
비교예2 제조예1-1 - - 0.5 - - - 0.5
비교예3 제조예1-1 - 1 0.5 - - - 0.5
카본나노입자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함
A-1: 코로네이트-L (TDI의 TMP어덕트, 일본우레탄사)
A-2: 코로네이트-HXR (HDI의 이소아누레이트, 일본우레탄사)
A-3: D110N (HDI-TMP 어덕트, 미쯔이화학)
A-4: D140N (IPDI-TMP 어덕트, 미쯔이화학)
실란커플링제: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사, KBM403)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두께 185㎛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상기 제조된 점착층을 점착 가공으로 적층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을 23℃, 60%RH의 조건 하에서 양생 기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분산성
상기의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중량부(아세톤용매에 20% 희석용액 500중량부)에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가 1중량% 함유된 용액 100중량부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입자 뭉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기준>
×: 입자 뭉침이 육안으로 확인됨
△: 입자 뭉침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용액의 불균한 흐름이 시인됨.
○: 입자 뭉침이 육안으로 확인 안됨
2. 내열성 평가
1)상기의 제조된 점착제 부착편광판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코닝글라스에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한뒤, 90℃에서 300시간 방치 후 기포와 박리현상을 관찰하였다.
<평가기준>
×: 기포가 3개 이상 확인되거나 또는 박리 1mm 이상 발생함
△: 기포가 발생하나 3개 미만이고, 박리가 확인되나 1mm 이하로 발생함
○: 기포 또는 박리가 육안으로 확인 안됨
2)TA instruments사의 Q1000장비를 이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중량이 5% 감소되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감소온도가 높을수록 내열조건에서 안정하여 내열성이 우수하며, 일반적으로 360℃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구분 분산성 내열성 5%중량 감소 온도(℃)
실시예1 370
실시예2 370
실시예3 369
실시예4 372
실시예5 372
실시예6 375
실시예7 367
실시예8 372
실시예9 375
실시예10 378
실시예11 369
실시예12 369
실시예13 369
비교예1 × 365
비교예2 × 362
비교예3 × × 365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13의 점착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고온에서의 기포발생 및 박리현상은 낮고, 중량이 5% 감소되는 온도가 높아 내열성이 우수하고 분산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8

    [화학식 2]
    Figure pat00019

    [화학식 3]
    Figure pat00020

    [화학식 4]
    Figure pat0002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입자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그래핀 및 플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본나노입자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KR1020130058134A 2013-05-23 2013-05-23 점착제 조성물 KR20140137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34A KR20140137554A (ko) 2013-05-23 2013-05-23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34A KR20140137554A (ko) 2013-05-23 2013-05-23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54A true KR20140137554A (ko) 2014-12-03

Family

ID=5245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134A KR20140137554A (ko) 2013-05-23 2013-05-23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052A (ko) * 2014-12-04 2016-06-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전성 점착제 제조방법
KR102312206B1 (ko) 2020-11-20 2021-10-13 강다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두피교정 모발교정 방법, 그리고 그 두피 및 헤어케어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052A (ko) * 2014-12-04 2016-06-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전성 점착제 제조방법
KR102312206B1 (ko) 2020-11-20 2021-10-13 강다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두피교정 모발교정 방법, 그리고 그 두피 및 헤어케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552B1 (ko) 재박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372669B2 (ja) 保護フィルム
TWI504716B (zh) Water-dispers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KR101850551B1 (ko) 재박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TW201704422A (zh) 黏著劑組合物及表面保護膜
JP5923231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362879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KR101944142B1 (ko) 재박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WO2014020867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光学用表面保護シート及び表面保護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
JP6708158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の組成物を用いてなるフィルム
JP5990847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5803870B2 (ja) 多官能エポキシ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891534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742975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
WO2017138609A1 (ja)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紫外線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140137554A (ko) 점착제 조성물
KR20200063759A (ko)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페인트 보호용 필름
KR20140121091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001272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KR20140137553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1094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1092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20091854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20056862A (ko) 도전성 고분자 및 수지 조성물
KR100947970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