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359A - 탭 절환기 - Google Patents

탭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359A
KR20140137359A KR1020147025529A KR20147025529A KR20140137359A KR 20140137359 A KR20140137359 A KR 20140137359A KR 1020147025529 A KR1020147025529 A KR 1020147025529A KR 20147025529 A KR20147025529 A KR 20147025529A KR 20140137359 A KR20140137359 A KR 2014013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emiconductor switching
voltage
modules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레이취
보케르 카레르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11Voltage selec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5/25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02M1/348Passive dissipative sn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Ac-Ac Conversion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 권선을 갖는 조정 변압기 상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으로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탭 절환기는 모듈식으로 설계되며, 각각의 모듈은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통해 접속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조정 권선의 하나의 부분 권선을 각각 포함한다.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고전압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바리스터 및 커패시터가 추가로 통합된다.

Description

탭 절환기{TAP SWITCH}
본 발명은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이용한 전압 조정을 위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갖는 조정 가능한 변압기(regulatable transformer)는 이미 독일 특허 DE 22 48 166A에 개시되어 있다. 이 변압기에서의 2차 권선은 특정한 개수의 조정 권선부를 포함하며, 그 권선부의 임의의 개수의 권선부가 권선의 직렬 접속 그룹으로 어셈블되고, 각각의 권선 그룹이 병렬로 연결되는 2개 또는 3개의 조정 권선부를 갖는다. 그 경우, 각각의 권선부는 비접촉식 스위칭 부품이 제공된다. 또한, 이 특허 명세서는, 변압기의 2차 권선이 직렬 접속 조정 권선부의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권선부가 4개의 비접촉식 스위칭 부품을 포함하는, 또 다른 변형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조정 권선부의 단자 전압 극성이 반대로 될 수 있고, 전체 조정 권선부가 필요한 경우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된다.
변압기의 2차 전압의 단계적 스위칭을 위한 추가의 디바이스가 독일 특허 DE 25 08 013A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2차 권선이 그 경우에도 부분 권선으로 그룹화되고, 반도체 스위칭 부품 또한 제공될 수 있다.
DE 197 47 712 C2는 단권 변압기(autotransformer)로서 구성되는 탭형 변압기(tapped transformer) 상에 배치된 유사한 타입의 탭 절환기를 개시하고 있다. 서로 개별적으로 및 독립적으로 연결 가능한 개별 권선부가 이 경우에도 제공된다. 조정 권선의 고정된 탭 외에, 이 구성은 별도의 스위칭 가능하거나 연결 가능한 권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WO 95/27931로부터 인터럽트되지 않은 부하 전달(uninterrupted load transfer)을 위한 또 다른 탭 절환기의 여러 실시예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 실시예에서는 사이리스터 또한 스위치 부품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나서, 탭 권선의 상이한 권선부가 역병렬 접속 사이리스터 쌍(anti-parallel connected thyristor pair)을 통해 각각의 탭형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일부로서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 국제 출원의 명세서는 또한 제한된 개수의 권선 탭이 제공되는 경우 전압 조정을 가능한 한 미세-단계로 실현하기 위한 "불연속적 원형 변조(discrete circle modulation)"로 지칭되는 방법을 추가로 제안하며, 이 방법에서는 2차 전압의 중간값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사이리스터가 작동된다.
모듈식으로 구성된 반도체 탭 절환기 시스템이 "A new approach to solid-state on load tap changing transformers"라는 명칭의 공개 문헌(Osman, Demirci; David, A., Torrey; Rober, C., Degeneff;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3, Issue: 3, July 1998)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서는 조정 권선이 복수의 모듈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모듈은 반도체 스위칭 부품 및 상이한 권회수의 부분 권선을 포함한다. 반도체 스위칭 부품의 목표 작동(tageted actuation)은 부분 권선이 조정 권선과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상이한 권회수에 의해, 심지어는 부분 권선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메인 권선에 대해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공개 문헌은 청구항 1의 전제부를 구성한다.
종래 기술로 알려진 해법에서, 반도체 스위칭 부품은 사실상 고전적인 기계식 탭 절환기에서의 기계식 셀렉터 암(mechanical selector arm)의 기능을 담당한다. 조정 권선의 개별 권선 탭은 특히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통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조정 권선을 별도로 연결할 수 있는 부분 권선으로 세부적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탭 절환기는 IEC 60060과 함께 상이한 IEC 표준 60214-1의 요건을 따라야 한다. 다른 것들 중에서,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separate source AC withstand voltage test) 및 충격파 내전압 시험(lightning impulse voltage test)이 수행되어야 한다.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에서, 50 또는 60 ㎐ 주파수의 단상 교류 전압이 60초 동안 인가된다. 승인된 중간 작동 전압에 따라, 이들 값은 20 kV 내지 325 kV 범위로 될 수 있다. 충격파 내전압 시험은 표준 1.2/50 ㎲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교류 전압은 이 프로세스에서는 1.8 V의 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들 교류 전압이 탭 절환기에,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스위칭 부품에, 즉각적으로 인가되므로, 그리고 이러한 높은 교류 전압에 대하여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커다란 노력으로만 가능하므로, 반도체 스위칭 부품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부품이 표준을 준수하여 수행되는 시험에서 비롯되는 높은 교류 전압으로부터 보호되는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갖는 탭 절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탭 절환기에 의해 달성된다. 하위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이로운 구성에 관련된다.
전반적인 진보적 개념은 커패시터와 직렬 접속되는 전압 의존성 저항기(voltage-dependent resistor)를 각각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과 병렬로 접속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저전압 권선, 고전압 권선 및 탭 절환기를 포함하는 변압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통해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저전압 권선(1) 및 고전압 권선 조정 권선(고전압 권선)(2)과, 본 발명에 따른 탭 절환기(3)가 스위칭되는 3개의 분리된 부분 권선(W1, W2, W3)을 포함하는 조정 대상이 되는 변압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점선은 3개의 개별 모듈(M1, M2, M3)을 포함하는 탭 절환기(3)의 범위를 표시한다. 그러나, 모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제1 모듈(M1)은 제1 부분 권선(W1) 및 그 양측의 2개의 바이패스 경로를 포함하며, 이 바이패스 경로는 예컨대 S1.1과 S1.2 또는 S1.3과 S1.4와 같은 2개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의 각자의 직렬 접속을 포함한다. 각자의 2개의 직렬 접속 스위칭 부품들 사이에는 중앙 탭(M1.1, M1.2)이 제공된다. 커패시터(C1.1∼C1.4) 및 직렬 접속된 전압 의존성 저항기(R1.1∼R1.4)가 각각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S1.1∼S1.4)과 병렬로 배치된다.
개별 반도체 스위칭 부품은 간략한 스위치로서 단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실제로, 이들 반도체 스위칭 부품은 병렬 접속된 사이리스터들, IGBT들 또는 기타 반도체 스위칭 부품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각각 복수의 이러한 개별 반도체 스위칭 부품의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의존성 저항기는 소위 바리스터(varistor) 또는 과도 전압 억제 다이오드(transient-voltage-suppression diode)이다.
제1 모듈(M1)의 중앙 탭(M1.1)은 고전압 권선(2)의 일단에 전기 접속된다. 모듈 M1과 M2는 중앙 탭 M1.2와 M2.2를 통해 전기 접속된다. 이 제2 모듈(M2)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부분 권선(W2)과, 각각 2개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S2.1과 S2.2 또는 S2.3과 S2.4)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직렬 접속과, 이와 병렬을 이루는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C2.1∼C2.4) 및 저항기(R2.1∼R2.4)를 포함한다. 역시, 각자의 직렬 접속 사이에는 중압 탭(M2.1, M2.2)이 제공된다. 제1 모듈(M1)과 하나의 중앙 탭(M2.2)의 접속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제2 중앙 탭(M2.1)은 그 자체가 동일한 타입의 제3 모듈(M3)의 중앙 탭(M3.1)과 접속된다. 이 제3 모듈은 또한 중앙 탭(M3.1, M3.2)이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스위칭 부품(S3.1∼S3.4)과, 커패시터(C3.1∼C3.4)와, 저항기(R3.1∼R3.4)와, 부분 권선(W3)을 포함한다. 제3 모듈은 중앙 탭 M3.2를 통해 전력 소산부(load dissipation)(스타 포인트)(4)와 접속된다.
전술한 3개의 모듈(M1, M2, M3)은 각자의 부분 권선(W1, W2, W3)의 규모가 상이할 수 있다.
개별 모듈(M1∼M3)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Sn.1∼Sn.4)의 목표 작동은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의 개별 부분 권선(W1∼W3)을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부분 권선이 상이한 규모를 가지면, 부분 권선을 서로에 대해 스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EC 표준에 따른 시험을 수행하는 것은, 반도체 스위칭 부품(Sn.n)에 매우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충격파 내전압 시험 동안 및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 동안 반도체 스위칭 부품(Sn.n)을 보호하기 위해,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예컨대, 바리스터 또는 가스 충전된 서지 프로텍터 등)가 추가로 병렬로 접속된다.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는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의 경우에는 전도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시간 기간 동안의 그 결과의 전력 소비(power dissipation)가 부품을 파괴하는 것을 초래하지 않을 이러한 낮은 전류를 전도하도록 정밀하게 설계된다. 충격파 내전압 시험의 상태 하에서는,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가 도전하게 되고, 반도체 스위칭 부품(Sn.n) 양단에서의 전압 상승을 제한한다. 따라서, 반도체 스위칭 부품(Sn.n)을 파괴되지 않고 인가 전압을 견뎌내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별소 소스 AC 내전압 시험에 비하여, 충격파 내전압 시험의 전압 펄스 상승은 몇배 더 빠르며, 그러므로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의 범위(최대 60 ㎐)보다 높은 주파수(60 ㎐보다 큰)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는 용량성으로 링크된다. 이것은 커패시터(Cn.n)와의 직렬 접속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링크는 고역 통과(high pass)를 생성한다. 낮은 주파수의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 동안,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에 의해 스트레스가 회피된다.
이 구성의 특히 이로운 특징은 커패시터(Cn.n)와의 접속에서의 전압 의존성 저항기(Rn.n)(바리스터)가 단지 충격파 내전압 시험의 조건에 대해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조건은 더 적은 에너지가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 소스 AC 내전압 시험의 조건보다 훨씬 낮으며, 이것은 비용 및 요구되는 설치 공간에 반영된다. 반도체 스위칭 부품(Sn.n)이 더 작은 치수로 설계될 수 있다는 추가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것 또한 비용 이점을 발생한다.

Claims (5)

  1. 조정 권선을 갖는 조정 변압기 상의 반도체 스위칭 부품으로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탭 절환기로서,
    상기 탭 절환기(3)가 하나 이상의 모듈(M1, M2, M3)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모듈(M1, M2, M3)이 상기 조정 권선의 각자의 부분 권선(W1, W2, W3) 및 그 양측의 2개의 바이패스 경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바이패스 경로가 2개의 상기 반도체 스위칭 부품의 하나의 직렬 접속(S1.1, S1.2; S1.3, S1.4; S2.1, S2.2; S2.3, S2.4; S3.1, S3.2; S3.3, S3.4; S4.1, S4.2; S4.3, S4.4)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바이패스 경로의 각각의 2개의 직렬 접속된 상기 반도체 스위칭 부품(S1.1, S1.2; S1.3, S1.4; S2.1, S2.2; S2.3, S2.4; S3.1, S3.2; S3.3, S3.4; S4.1, S4.2; S4.3, S4.4) 사이에 하나의 중앙 탭(M1.1, M1.2; M2.1, M2.2; M3.1, M3.2)이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모듈(M1, M2, M3)의 2개의 상기 중앙 탭(M1.2; M2.1, M2.2; M3.1) 중의 하나가 각각 인접한 상기 모듈의 중앙 탭과 접속되며,
    상기 모듈의 제3 모듈(M3)의 나머지 하나의 중앙 탭(M3.2)이 부하 소산부(load dissipation)(4)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모듈의 제1 모듈(M1)의 나머지 다른 하나의 중앙 탭(M1.1)이 상기 조정 변압기의 상기 조정 권선(2)과 접속 가능한 탭 절환기에 있어서,
    커패시터(C1.1, C1.2; C1.3, C1.4; C2.1, C2.2; C2.3, C2.4; C3.1, C3.2; C3.3, C3.4; C4.1, C4.2; C4.3, C4.4)와 직렬로 접속된 전압 의존성 저항기(voltage-dependent resistor)(R1.1, R1.2; R1.3, R1.4; R2.1, R2.2; R2.3, R2.4; R3.1, R3.2; R3.3, R3.4; R4.1, R4.2; R4.3, R4.4)가 각각의 상기 반도체 스위칭 부품(S1.1, S1.2; S1.3, S1.4; S2.1, S2.2; S2.3, S2.4; S3.1, S3.2; S3.3, S3.4; S4.1, S4.2; S4.3, S4.4)에 대해 각각 병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절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절환기(3)는 정확하게 3개의 상기 모듈(M1, M2, M3)을 포함하는, 탭 절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모듈(M1...M3)의 부분 권선(W1...W3)은 1:3:6 또는 1:3:9의 비율로 분할되는, 탭 절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 부품(S1.1, S1.2; S1.3, S1.4; S2.1, S2.2; S2.3, S2.4; S3.1, S3.2; S3.3, S3.4; S4.1, S4.2; S4.3, S4.4)은 각각 역병렬 접속 사이리스터 쌍(anti-parallel connected thyristor pair) 또는 역직렬 접속 IGBT 쌍(anti-serially connected IGBT pair)을 포함하는, 탭 절환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반도체 스위칭 부품(Sn1...Sn4)이 2개 이상의 개별 반도체 스위칭 부품(Sn1...Sn4)의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을 포함하는, 탭 절환기.
KR1020147025529A 2012-03-08 2013-01-15 탭 절환기 KR20140137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1951.7 2012-03-08
DE102012101951A DE102012101951A1 (de) 2012-03-08 2012-03-08 Stufenschalter
PCT/EP2013/050614 WO2013131664A1 (de) 2012-03-08 2013-01-15 Stufenscha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359A true KR20140137359A (ko) 2014-12-02

Family

ID=4756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29A KR20140137359A (ko) 2012-03-08 2013-01-15 탭 절환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269508B2 (ko)
EP (1) EP2823369B1 (ko)
JP (1) JP2015511034A (ko)
KR (1) KR20140137359A (ko)
CN (1) CN104160351B (ko)
AU (1) AU2013230252B2 (ko)
BR (1) BR112014019456B1 (ko)
CA (1) CA2864605A1 (ko)
DE (1) DE102012101951A1 (ko)
ES (1) ES2564680T3 (ko)
HK (1) HK1203094A1 (ko)
NZ (1) NZ629180A (ko)
RU (1) RU2617676C2 (ko)
UA (1) UA115050C2 (ko)
WO (1) WO2013131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0652B4 (de) * 2013-09-26 2018-02-2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anordnung mit Vorwähler
EP3086343B1 (en) * 2015-04-21 2018-11-14 Ormazabal Corporate Technology, A.I.E. On-load tap changer device
US10233385B2 (en) * 2015-06-29 2019-03-19 Bj Services, Llc Well treatment methods and fluids with GLDA salt
US20170344039A1 (en) * 2016-05-27 2017-11-3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rcless Tap Changer Using Gated Semiconductor Devices
CN105826063B (zh) * 2016-05-30 2017-08-11 东北农业大学 三相配电变压器无触点有载自动正反调压分接开关装置
US11355925B2 (en) * 2018-01-30 2022-06-07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System design solution for DC grid cost reduction and risk minimization
JP7312723B2 (ja) * 2020-04-24 2023-07-21 株式会社ダイヘン 負荷時タップ切換器及び電圧調整装置
GB2597801A (en) * 2020-08-07 2022-02-09 Bristol Bluegreen Ltd A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voltage delivered to a loa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17499A (ko) * 1967-01-21 1968-07-22
DE1638462B2 (de) * 1967-03-03 1971-11-2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üder Scheubeck KG, 8400 Regensburg Anordnung zur lastumschaltung bei regeltransformatoren mit steuerbaren halbleiterventilen
FR2155839B1 (ko) 1971-10-08 1975-04-18 Alsthom Cgee
DE2331388C3 (de) * 1973-06-20 1978-05-11 Transformatoren Union Ag, 7000 Stuttgart Anordnung zur kontinuierlichen Lastumschaltung bei Stufentransformatoren
IT1010601B (it) 1974-03-11 1977-01-20 Legnaioli L Macchina elettrica per variare il rapporto di trasformazione di una tensione con l ausilio di commuta tori
US4723187A (en) 1986-11-10 1988-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commutation circuit
CN87207534U (zh) * 1987-04-29 1988-07-06 贝树人 交流开关式全电子自动稳压器
JPH03253012A (ja) * 1990-03-02 1991-11-12 Hitachi Ltd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JPH05276653A (ja) * 1992-03-23 1993-10-22 Ngk Insulators Ltd 半導体式避雷装置
JPH0645320U (ja) * 1992-11-24 1994-06-14 株式会社明電舎 変圧器内蔵式電圧調整装置
GB9319470D0 (en) * 1993-09-21 1993-11-03 Nat Grid Comp Plc Electrical changeover switching
WO1995027931A1 (en) * 1994-04-06 1995-10-19 Utility Systems Technologies, Inc. Load tap changer
JPH08124768A (ja) 1994-10-27 1996-05-17 Shiiku Densetsu:Kk 負荷時タップ切替型交流定電圧装置
US5990667A (en) * 1997-10-24 1999-11-23 Utility Systems Technologies, Inc. Regulator with asymmetrical voltage increase/decrease capability for utility system
DE19747712C2 (de) 1997-10-29 2000-09-07 Reinhausen Maschf Scheubeck Anordnung eines Stufenschalters an einem Stufentransformator
DE19848428C2 (de) * 1998-10-21 2001-09-13 Thomas Klein Gestufter Spannungskonstanthalter
JP2001078443A (ja) * 1999-09-07 2001-03-23 Ohira Denshi Kk 異常電力保護回路を有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497116B1 (ko) * 1999-11-11 2005-06-28 레이던 컴퍼니 중요 장치용 내고장성 고장-안전 스위칭 시스템
EP1413038B1 (en) * 2001-07-05 2008-10-08 Power-One, Inc. Inductor current sensing in isolated switching regulators and related methods
CN1554993A (zh) * 2003-12-29 2004-12-15 邓警玲 稳压式降压节电器
JP2006158039A (ja) * 2004-11-26 2006-06-15 Sankosha Corp 系統連系システム
ES2318961B1 (es) * 2006-05-19 2010-02-04 Universidad De Sevilla Cambiador de tomas estatico optimizado para transformadores de alta/media tension (at/mt) y media/baja tension (mt/bt).
RU2377630C1 (ru) * 2008-09-16 2009-12-27 Лев Залманович Фейгин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с элементами защиты и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GB0916190D0 (en) 2009-09-15 2009-10-28 Imp Innovation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n-load mechanical switching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4130A1 (en) 2015-01-15
BR112014019456A2 (ko) 2017-06-20
WO2013131664A1 (de) 2013-09-12
ES2564680T3 (es) 2016-03-28
BR112014019456B1 (pt) 2021-01-19
HK1203094A1 (zh) 2015-10-16
EP2823369B1 (de) 2015-12-09
CA2864605A1 (en) 2013-09-12
JP2015511034A (ja) 2015-04-13
NZ629180A (en) 2016-01-29
CN104160351A (zh) 2014-11-19
EP2823369A1 (de) 2015-01-14
RU2014140339A (ru) 2016-04-27
US9269508B2 (en) 2016-02-23
DE102012101951A1 (de) 2013-09-12
BR112014019456A8 (pt) 2017-07-11
AU2013230252B2 (en) 2016-10-06
AU2013230252A1 (en) 2014-10-16
CN104160351B (zh) 2016-03-23
RU2617676C2 (ru) 2017-04-26
UA115050C2 (uk) 201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7359A (ko) 탭 절환기
RU26545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мутации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US9099891B2 (en) Submodule for a multi-stage power converter having additional energy storage device
EP2701254B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EP1864305B1 (en) On-load tap changer
US9331476B2 (en) Solid state fault current limiter
US11108228B2 (en) Electrical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
KR102227376B1 (ko) 전류 경로를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KR20140022374A (ko) 고전압 dc 라인 상의 고장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고전압 dc 라인을 통해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컨버터
US8462530B2 (en) Converter with short-circuit current limiting
KR102014225B1 (ko) 온-부하 탭-절환 장치가 있는 변압기
KR20210059744A (ko) 전류 경로를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EP2849306A1 (en) Voltage source converter
US7245031B2 (en) Generator with integrated powerswitch
RU26958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в полюсе се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EP285201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wer modules for use in power transmission networks
JP4488693B2 (ja) 半導体交流スイッチ装置
EP3531523A1 (en) Fault handling
US10141732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in a DC voltage grid
US20210313799A1 (en) Star point grounding with overvoltage limitation for a polyphase transformer
JP2018064028A (ja) タップ切換器及び保護方法
CN115104230A (zh) 电路中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