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81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7281A KR20140137281A KR1020130155481A KR20130155481A KR20140137281A KR 20140137281 A KR20140137281 A KR 20140137281A KR 1020130155481 A KR1020130155481 A KR 1020130155481A KR 20130155481 A KR20130155481 A KR 20130155481A KR 20140137281 A KR20140137281 A KR 20140137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plate
- insulating member
- short
- plat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와 단자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절연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 간에 개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극성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극성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이물질의 개입에 따른 이차전지의 서로 다른 극성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와 단자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절연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 간에 개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 방지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락 방지부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된 절연 부재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의 돌기는, 적어도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의 경사진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부재의 상면은, 상기 단자 플레이트 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부재의 상면은, 이물질의 흐름을 단자 플레이트 내로 제한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의 단차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부재의 측면은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상부가 측면 하부보다 단자 플레이트의 반대 방향 돌출된 오버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상기 절연 부재의 경사진 상면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제2 단락 방지부와,
상기 절연 부재의 단차진 측면을 포함하는 제3 단락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단자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단자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와 인접한 단자 플레이트의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는,
단자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와,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연 부재 상에 형성된 제2 단락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락 방지부는, 절연 부재의 경사진 상면, 절연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또는 절연 부재의 단차진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수와 같은 이물질의 개입으로 인한, 이차전지의 서로 다른 극성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 상에 염수를 분무하는 염수 분무 테스트에서, 단자 플레이트 상으로 낙하된 염수가 캡 플레이트 상으로 흘러내리면서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캡 플레이트 상으로 이온 전도에 다른 단락 패스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단락 방지부가 단락 패스의 형성을 차단함으로써, 서로 다른 극성끼리의 단락 및 이로 인한 이차전지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에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전극 단자(110,120), 즉, 제1, 제2 전극 단자(110,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110,120)는 이차전지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제1, 제2 전극 단자(110,120)는, 전극 조립체(150)의 제1,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차전지에 축적된 방전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충전 전력을 입력받기 위한 양극 및 음극 단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110,120)는 이차전지의 양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차전지의 캡 플레이트(100)가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110,120) 중에서 어느 한 전극 단자(110,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150)와, 전극 단자(110,120)와, 상기 전극 조립체(150)와 전극 단자(110,1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집전 부재(117,1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하는 케이스(180)와, 전극 조립체(150)가 수용된 케이스(18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00)는 전극 조립체(150)가 수용된 케이스(180)의 상단에 결합되며, 케이스(180)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케이스(180)는 캡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00)에는 케이스(180) 내부의 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포인트를 초과하는 이상동작시 파단을 일으키며 내압을 해소하기 위한 벤트부(108)와,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50)는, 이차전지의 케이스(1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극성의 제1, 제2 전극판(151,152)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50)는, 제1, 제2 전극판(151,152) 및 세퍼레이터(153)가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형으로 형성되거나, 제1, 제2 전극판(151,152) 및 세퍼레이터(153)가 교번되게 적층된 적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한 케이스(180)의 상단 개방부에는 캡 플레이트(100)가 조립되어 전극 조립체(150)를 밀봉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조립체(150)와 외부 회로(미도시) 또는 상기 전극 조립체(150)와 이웃한 이차전지 간의 전기 접속을 위하여, 캡 플레이트(100) 외부로는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단자(110,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110,12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단자(110) 및 제2 전극 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전극 조립체(150)의 제1 전극판(151) 및 제2 전극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단자(110)는, 제1 집전 단자(115), 제1 집전 단자(115)와 결합된 제1 단자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전극 단자(120)는, 제2 집전 단자(125), 제2 집전 단자(125)와 결합된 제2 단자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집전 단자(115,125)란, 제1, 제2 집전 단자(115,125)를 통칭하거나, 선택적으로 제1 집전 단자(115) 또는 제2 집전 단자(125)의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111,121)란, 제1, 제2 단자 플레이트(111,121)를 통칭하거나, 선택적으로, 제1 단자 플레이트(111) 또는 제2 단자 플레이트(121)의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집전 단자(115,125)는 각각 제1, 제2 집전 부재(117,127)와 결합되는데, 집전 부재(117,127)란, 제1, 제2 집전 부재(117,127)를 통칭하거나, 선택적으로 제1 집전 부재(117) 또는 제2 집전 부재(127)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캡 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캡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집전 단자(115,125)가 끼워 조립되는 단자 홀(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캡 플레이트(10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끼워지며, 캡 플레이트(100)의 단자 홀(100`)을 관통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집전 단자(115,125)는, 집전 단자(115,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와, 집전 단자 플랜지부(115b,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캡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캡 플레이트(100)의 상방으로 노출된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와, 캡 플레이트(100)의 하방에 배치된 집전 단자 플랜지부(115b,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는, 상기 집전 단자(115,125)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단자 플레이트(111,121)의 상면에 대해 리벳팅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는 집전 단자(115,125)의 본체로부터 측 방향으로 넓게 확장된 플랜지 형상을 형성하며, 단자 플레이트(111,1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의 상단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가공 툴(미도시)의 가압에 따라 오목하게 인입된 요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공 툴(미도시)의 가압에 따라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의 상단이 측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단자 플레이트(111,121)의 상면에 대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 플랜지부(115b,125b)는, 상기 집전 단자(115,125)가 캡 플레이트(100)의 단자 홀(100`)을 통하여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자 홀(100`) 보다 넓은 외경으로 확장된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캡 플레이트(100)의 하방으로부터 단자 홀(100`)에 끼워지도록 조립되며, 집전 단자 플랜지부(115b,125b)를 통하여 캡 플레이트(100) 하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캡 플레이트(100)의 상방으로 노출된 집전 단자 고정부(115a,125a)를 리벳팅 가공함으로써 집전 단자(115,125)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캡 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캡 플레이트(100)의 단자 홀(10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 홀(100`)에는 실 가스켓(113,123)이 끼워질 수 있으며, 실 가스켓(113,123)을 개재하여 집전 단자(115,125)가 끼워짐으로써, 집전 단자(115,125)가 캡 플레이트(1000)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실 가스켓(113,123)은 단자 홀(100`) 주변을 실링하여, 케이스(180)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고, 외부 불순물의 침투를 저지하기 위한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전 단자(115,125)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하부 절연 부재(114,124)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절연 부재(114,124)는 집전 단자(115,125)를 캡 플레이트(10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이렇게, 집전 단자(115,125)가 관통하는 단자 홀(100`) 주변으로 실 가스켓(113,123)을 배치하고, 집전 단자(115,125)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 하부 절연 부재(114,124)를 개재함으로써, 집전 단자(115,125)와 캡 플레이트(100)를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절연 부재(114,124)는, 실 가스켓(113,123)과 함께, 단자 홀(100`) 주변을 실링함으로써, 전해액의 누액을 막고, 외부 불순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 부재(114,124)는 집전 부재(117,127)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도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전 단자(115,125)는 집전 부재(117,127)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집전 부재(117,127)는, 집전 부재(117,127)의 하부를 형성하며 전극 조립체(150)에 대해 결합되는 집전판(117b,127b)과, 집전 부재(117,127)의 상부를 형성하며 집전 단자(115,125)에 대해 결합되는 리드부(117a,12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판(117b,127b)은 전극 조립체(15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1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무지부, 그러니까, 제1, 제2 전극판(151,152) 중에서 전극 활물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에 대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집전판(117b)은 제1 전극판(151)의 무지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집전판(127b)은 제2 전극판(152)의 무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부(117a,127a)는 상기 집전판(117b,127b)에 대해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집전 단자(115,125)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집전 단자(115,125)와의 결합을 위해 단자 홀(117`,127`)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집전 단자(115,125)의 하단부가 리드부(117a,127a)의 단자 홀(117`,127`)에 끼워지고, 집전 단자(115,125)와 리드부(117a,127a)가 서로 마주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집전 단자(115,125)와 리드부(117a,127a)가 서로 맞닿는 단자 홀(117`,127`)의 주변을 따라 용접을 수행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111,121)는 캡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111,121)는 집전 단자(115,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집전 단자(115,125)보다 넓은 단자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111,121)는 리벳팅을 통하여 집전 단자(115,125 보다 구체적으로, 집전 단자 고정부 115a,125a)와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접,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하여 집전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절연 부재(11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112)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를 캡 플레이트(10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들(111,121) 중에서, 어느 일 단자 플레이트, 예를 들어,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는 서로 같은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 플레이트(100)는 이차전지의 양극성이나 음극성을 띠지 않고 양극성이나 음극성으로부터 절연화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을 띨 수 있다. 이때, 상기 캡 플레이트(100)로부터 제1, 제2 단자 플레이트(111,121)를 각각 절연시키기 위하여, 제1, 제2 단자 플레이트(111,121)를 둘러싸는 한 쌍의 절연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연 부재(112) 및/또는 단자 플레이트(111)에 단락 방지부(S1)가 형성된다. 청구범위의 기재에서,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절연 부재의 플랜지부, 단자 플레이트와 절연 부재 사이의 그루브, 절연 부재의 경사진 상면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마련된 단락 방지부에 해당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절연 부재(112) 및/또는 단자 플레이트(111)에 단락 방지부(S1)가 형성된다는 것은, 단락 방지부(S1)가 절연 부재(112) 또는 단자 플레이트(11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절연 부재(112)와 단자 플레이트(111) 양편에 모두 단락 방지부(S1)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 개재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야기되는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캡 플레이트(100)로 이어지는 단락 패스의 형성을 차단하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서 염분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단락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단락 방지부(S1)를 통하여 전기적인 단락을 차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 상에 염수를 분무하는 염수 분무 테스트에서, 단자 플레이트(111) 상에 낙하된 염수가 캡 플레이트(100) 상으로 흘러내리면서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캡 플레이트(100) 상으로 이온 전도에 따른 단락 패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이차전지의 서로 다른 극성끼리 통전에 따른 오작동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단자 플레이트(111) 또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외연을 둘러싸는 절연 부재(112) 상에 형성되어,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캡 플레이트(100)로 이어지는 단락 패스의 형성을 차단하며, 염수와 같이 전기 전도를 갖는 이물질에 의해 전기적인 단락 패스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의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흘러내리면서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사이에 단락 패스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락 패스의 형성을 막기 위해, 단자 플레이트(111) 상에, 또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외연을 둘러싸는 절연 부재(112) 상에,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을 끊어주기 위한 단차 형상의 단락 방지부(S1), 돌출된 형태의 단락 방지부(S1), 또는 이물질 흐름을 수용하여 흐름을 저지하기 위한 홈부 형태의 단락 방지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락 방지부(S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I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1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 부재(112)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절연 부재(112)의 측면에는 단차 형상의 단락 방지부(S1, 청구범위에서 단차진 외주 주변, stepped outer periphery에 해당됨)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112)의 측면(112c)이란, 단자 플레이트(111)의 측면(111c)을 덮는 부분으로, 외부로 노출된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과, 캡 플레이트(100)와 마주하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하면(111b)을 이어주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측면(111c)을 덮는 절연 부재(112)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절연 부재(112)의 측면 중에서 단자 플레이트(111)와 반대되는 외측 측면(112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절연 부재(112)의 외측 측면(112c)을 타고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을 끊어서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절연 부재(112)의 측면 상부(112a)와 측면 하부(112b) 간의 단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부재(112)는 측면 상부(112a)가 측면 하부(112b) 보다 외부로 돌출된 오버행(overha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상부(112a)가 측면 하부(112b) 보다 단자 플레이트(11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단차 형상의 단락 방지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상부(112a)를 타고 흐르던 액상의 이물질은, 내측 방향으로 단차진 측면 하부(112b)를 타고 흐르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액상의 흐름이 끊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1)는, 절연 부재(112)의 전체 측면(112c)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1)가 단자 플레이트(111)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여하의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락 방지부(S1)는 이차전지의 다른 어떤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자유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단락 방지부(S1)가 자유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캡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이물질이 흘러내릴 때 그 흐름을 끊어줄 수 있다.
한편, 절연 부재(112)의 상면은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거나 오목하게 인입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의 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연 부재(2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 부재(212)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단자 플레이트(111)의 외측에 형성된 절연 부재(212)의 상면(212a)에는 단락 방지부(S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212)의 상면(212a)이란, 외부로 노출된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과 같은 측에 형성되어 있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절연 부재(212)의 상면(212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 부재(212) 상에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212)의 상면(212a)은 단자 플레이트(111)가 위치한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단자 플레이트(111) 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절연 부재(212)의 상면(212a)에 위치한 이물질의 흐름은 단자 플레이트(111) 쪽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외측의 캡 플레이트(100) 쪽으로는 흘러내리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흐름을 단자 플레이트(111) 내로 제한할 수 있고, 단자 플레이트(111) 외측의 캡 플레이트(100)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자 플레이트(1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b에서, 단락 방지부(S2)를 형성하는 경사면은 빗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라운드진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절연 부재(212)의 테두리를 따라 림(ri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2)는, 절연 부재(212)의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단자 플레이트(111)를 둘러쌈으로써,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으로부터 여하의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도 차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S3)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VI-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단락 방지부(S3)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3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 부재(312)는 단자 플레이트(111)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단자 플레이트(111)의 외측에 형성된 절연 부재(312)의 상면(312a)에는 돌기 형상의 단락 방지부(S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312)의 상면이란, 외부로 노출된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과 같은 측에 형성되어 있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3)는, 절연 부재(312)의 테두리를 따라 림(ri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3)는, 절연 부재(312)의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단자 플레이트(111)를 둘러쌈으로써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으로부터 여하의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3)는, 절연 부재(312)의 상면(312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이물질의 흐름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3)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하는 댐의 기능을 하거나, 또는 이물질의 흐름이 단락 방지부(S3)를 넘어 흘러 넘친다고 하더라도, 돌기 형태의 단락 방지부(S3)가 연속적인 흐름을 끊어줌으로써, 염수와 같은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을 통한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락 방지부(S3)의 돌기 높이(H2)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높이(H1)와 같거나 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111)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 단락 방지부(S3)는, 염수와 같은 액상의 이물질이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락 방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도 7a의 VII-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단자 플레이트(211)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절연 부재(412)와 인접한 단자 플레이트(211)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단자 플레이트(211)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이물질의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 형태로 형성되며, 단자 플레이트(211)로부터 절연 부재(412)로 흐르려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플레이트(211)로부터 캡 플레이트(100) 상으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에 의한 전기적인 단락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단자 플레이트(211)의 노출된 상면(211a)으로부터, 캡 플레이트(100)와 마주하는 하면(211b)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211)의 측면(211c)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단자 플레이트(211)를 관통하는 깊이, 그러니까, 단자 플레이트의 하면(211b)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락 방지부(S4)는, 단자 플레이트(211)의 테두리를 따라 일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자 플레이트(211)의 전체 테두리에 걸쳐서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플레이트(211)는 한 쌍의 단변부와, 한 쌍의 장변부를 갖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락 방지부(211)는 한 쌍의 단변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단락 방지부(S4)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 플레이트(211)의 사각형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도 5a 및 도 6a에 각각 도시된 서로 다른 형태의 단락 방지부(S1,S2,S3)는, 둘 이상이 조합되어 하나의 절연 부재(112,212,312)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1b에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512,612,712,812)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단락 방지부(S21,S22,S31,S32,S41,S42,S51,S52,S53)가 하나의 절연 부재(512,612,712,812) 상에 조합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5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단락 방지부(S21,S22)는, 절연 부재(512)의 경사진 상면(512a)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S21)와, 절연 부재(512)의 상면(51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 단락 방지부(S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흐름은, 제1 단락 방지부(S21)의 경사면과, 제2 단락 방지부(S22)의 돌기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311)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6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단락 방지부(S31,S32)는, 절연 부재(612)의 경사진 상면(612a)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S31)와, 절연 부재(612)의 단차진 측면(612c)을 포함하는 제2 단락 방지부(S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흐름은, 제1 단락 방지부(S31)의 경사면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311)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절연 부재(612)의 측면(612c)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제2 단락 방지부(612)의 단차에 의해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 부재(7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단락 방지부(S41,S42)는, 절연 부재(712)의 상면(71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1 단락 방지부(S41)와, 절연 부재(712)의 단차진 측면(712c)을 포함하는 제2 단락 방지부(S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흐름은, 제1 단락 방지부(S41)의 돌기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311)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절연 부재(712)의 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제2 단락 방지부(S42)의 단차에 의해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한 절연부재(8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단락 방지부(S51,S52,S53)는, 절연 부재(812)의 경사진 상면(812a)으로 이루어진 제1 단락 방지부(S51)와, 절연 부재(812)의 상면(81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 단락 방지부(S52)와, 절연 부재(812)의 단차진 측면(812c)을 포함하는 제3 단락 방지부(S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흐름은, 제1 단락 방지부(S51)의 경사면과 제2 단락 방지부(S52)의 돌기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311)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절연 부재(812)의 측면(812c)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제3 단락 방지부(S53)의 단차에 의해 이물질의 연속적인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단자 플레이트(311)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512,612,712,812)의 단락 방지부(S21,S22,S31,S32,S41,S42,S51,S52,S53)와 함께, 단자 플레이트(311)의 단락 방지부(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각 실시형태에서, 단락 방지부(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는,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단락 방지부(S11)와, 상기 단자 플레이트(311)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512,612,712,812) 상에 형성된 단락 방지부(S21,S22,S31,S32,S41,S42,S51,S52,S5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부 형태의 단락 방지부(S11)는, 단자 플레이트(311) 상에서 이물질의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로부터 절연 부재(512,612,712,812)로 향하는 이물질의 흐름을 수용함으로써, 절연 부재(512,612,712,812)를 통하여 캡 플레이트(100)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를 통하여 단자 플레이트(512,612,712,812)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단자 플레이트(311)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절연 부재(512,612,712,812)에 단락 방지부(S21,S22,S31,S32,S41,S42,S51,S52,S53)가 추가 형성됨으로써, 절연 부재(512,612,712,812)를 타고 흐르는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단자 플레이트(3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의 실시형태에서, 단락 방지부(S11,S21,S22)는, 절연 부재(512)의 경사진 상면(512a)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S21)와, 절연 부재(5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 단락 방지부(S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부 형태의 제3 단락 방지부(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락 방지부(S11)는, 단자 플레이트(311)의 상면(311a)으로부터 하면(311b)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형태에서, 단락 방지부(S11,S31,S32)는, 절연 부재(612)의 경사진 상면(612a)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S31)와, 절연 부재(612)의 단차진 측면(612c)을 포함하는 제2 단락 방지부(S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부 형태의 제3 단락 방지부(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실시형태에서, 단락 방지부(S11,S41,S42)는, 절연 부재(712)의 상면(71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1 단락 방지부(S41)와, 절연 부재(712)의 단차진 측면(712c)을 포함하는 제2 단락 방지부(S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부 형태의 제3 단락 방지부(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형태에서, 단락 방지부(S11,S51,S52,S53)는, 절연 부재(812)의 경사진 상면(812a)을 포함하는 제1 단락 방지부(S51)와, 절연 부재(812)의 상면(812a)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 단락 방지부(S52)와, 절연 부재(812)의 단차진 측면(812c)으로 이루어진 제3 단락 방지부(S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부 형태의 제4 단락 방지부(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4a,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절연 부재(112,212,312)의 단락 방지부(S1,S2,S3)와, 도 7a에 도시된 단자 플레이트(211)의 단락 방지부(S4)가 조합되어 하나의 이차전지에 함께 적용됨으로써 또 다른 실시형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와 캡 플레이트(10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반면에,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는 서로 같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락 방지부(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 및/또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를 둘러싸는 절연 부재(112,212,312,412,512,612,712,812) 상에 형성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는 서로 같은 극성을 갖기 때문에, 제2 단자 플레이트(121)에는 단락 방지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와 제2 단자 플레이트(121)가 모두 캡 플레이트(100)와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락 방지부(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는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단자 플레이트(111,211,31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 다른 단락 방지부(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가 제2 단자 플레이트(121)와 캡 플레이트(100) 간의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단자 플레이트(12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단자 플레이트(111,211,311,212) 측에 한 쌍의 단락 방지부(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제1, 제2 단자 플레이트(111,211,311,212)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락 방지부(S1,S2,S3,S4,S21,S22,S31,S32,S41,S42,S51,S52,S5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단락 방지부(S1,S2,S3,S4,S21,S22,S31,S32,S41,S42,S51,S52,S53)는 서로 같은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캡 플레이트 110: 제1 전극 단자
111,211,311: 제1 단자 플레이트 121: 제2 단자 플레이트
112,212,312,412,512,612,712,812: 절연 부재
113,123: 실 가스켓
114,124: 하부 절연 부재 115,125: 집전 단자
115a,125a: 집전 단자 고정부 115b,125b: 집전 단자 플랜지부
117,127: 집전 부재 117a,127a: 리드부
117b,127b: 집전판 150: 전극 조립체
151: 제1 전극판 152: 제2 전극판
153: 세퍼레이터 120: 제2 전극 단자
H1: 단자 플레이트의 높이 H2: 단락 방지부의 높이
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 : 단락 방지부
111,211,311: 제1 단자 플레이트 121: 제2 단자 플레이트
112,212,312,412,512,612,712,812: 절연 부재
113,123: 실 가스켓
114,124: 하부 절연 부재 115,125: 집전 단자
115a,125a: 집전 단자 고정부 115b,125b: 집전 단자 플랜지부
117,127: 집전 부재 117a,127a: 리드부
117b,127b: 집전판 150: 전극 조립체
151: 제1 전극판 152: 제2 전극판
153: 세퍼레이터 120: 제2 전극 단자
H1: 단자 플레이트의 높이 H2: 단락 방지부의 높이
S1,S2,S3,S4,S11,S21,S22,S31,S32,S41,S42,S51,S52,S53 : 단락 방지부
Claims (20)
- 전극 조립체(150);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하는 케이스(180);
상기 케이스(180) 내에 전극 조립체(150)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100);
상기 캡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된 것으로,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111); 및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단자 플레이트(111) 사이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단자 플레이트(111)에 접촉된 절연 부재(112,312)로서, 상기 절연 부재(112,312)는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플랜지부(112a,3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2a,312a)는 단자 플레이트(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차진 외부 주변(stepped outer periphery)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2a,312a)는 절연 부재(112)의 전체 주변(entire periphery)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12a)는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을 지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112)의 상면(512a,812a)은 단자 플레이트(111)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311)의 일부는 절연 부재(512)로부터 이격되어 단자 플레이트(311)와 절연 부재(512) 사이의 그루브(S11)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2a,312a)는 이차전지의 다른 어떤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112)의 상면은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면(111a)과 평행을 이루거나 오목하게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S52,S53)는 상기 절연 부재(812)의 측면 및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311)의 일부는 절연 부재(512)로부터 이격되어 단자 플레이트(311)와 절연 부재(512) 사이에 그루부(S11)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전극 조립체(150);
상기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하는 케이스(180);
상기 케이스(180) 내에 전극 조립체(150)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100);
상기 캡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111); 및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단자 플레이트(111) 사이의 절연 부재(412)로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111)의 일부가 절연 부재(412)로부터 이격되어 단자 플레이트(111)와 절연 부재(412) 사이에 그루브(S4)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S4)는 상기 절연 부재(412)와 단자 플레이트(211) 사이에서 오직 부분적으로만(only partially)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512)는 단자 플레이트(311)를 향하여 경사진 내부 주변 면(inner peripheral surface 51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주변 면(inner peripheral surface 612a)은 그루브(S11)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512)의 상면(S22)은 단자 플레이트(311)의 상면(311a)을 지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812)는 단자 플레이트(3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812c)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812)의 단차진 외부 주변(stepped outer periphery)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전극 조립체(150);
상기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하는 케이스(180);
상기 케이스(180) 내에 전극 조립체(150)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100);
상기 캡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극 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111); 및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단자 플레이트(111) 사이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100)와 단자 플레이트(111)에 접촉되는 절연 부재(212)로서, 상기 절연 부재(212)는 경사진 상면(21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12)의 경사진 상면(212a)은 단자 플레이트(111)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512)의 상면(512a)은 단자 플레이트(311)의 상면(311a)을 지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812)는 단자 플레이트(3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812c)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812)의 단차진 외부 주변(stepped outer periphery)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361826444P | 2013-05-22 | 2013-05-22 | |
US61/826,444 | 2013-05-22 | ||
US14/102,437 | 2013-12-10 | ||
US14/102,437 US9570719B2 (en) | 2013-05-22 | 2013-12-10 |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7281A true KR20140137281A (ko) | 2014-12-02 |
KR101720612B1 KR101720612B1 (ko) | 2017-03-28 |
Family
ID=5019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5481A KR101720612B1 (ko) | 2013-05-22 | 2013-12-13 | 전기적인 단락이 방지되는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570719B2 (ko) |
EP (1) | EP2806477B1 (ko) |
JP (1) | JP2014229606A (ko) |
KR (1) | KR101720612B1 (ko) |
CN (1) | CN104183815B (ko) |
IN (1) | IN2014DE0057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1366B1 (ko) * | 2013-10-30 | 2021-02-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2316343B1 (ko) | 2015-02-24 | 2021-10-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
DE102015212212A1 (de) | 2015-06-30 | 2017-01-05 | Robert Bosch Gmbh | Niederhalter zur Fixierung von Batteriezellen in einem Batteriesubmodul und Batteriesubmodul |
CN105633309A (zh) * | 2016-02-03 | 2016-06-01 | 深圳市三讯电子有限公司 | 电极端子、动力电池盖板组件和动力电池 |
EP3491684B1 (en) | 2016-08-01 | 2020-09-30 | CPS Technology Holdings LLC | Weldable aluminum terminal pads of an electrochemical cell |
EP3491688B1 (en) | 2016-08-01 | 2021-09-29 | CPS Technology Holdings LLC | Overcharge protection assembly for a battery cell |
CN115020790A (zh) | 2016-08-01 | 2022-09-06 | Cps 科技控股有限公司 | 具有偏压封装的棱柱形锂离子电池单元的过充电保护系统 |
CN108428821B (zh) | 2017-08-30 | 2024-05-10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
JP6972834B2 (ja) * | 2017-09-22 | 2021-11-24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 |
JP2020149899A (ja) * | 2019-03-14 | 2020-09-17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
JP7333299B2 (ja) * | 2020-10-26 | 2023-08-24 |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池、組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JP7399922B2 (ja) * | 2021-10-18 | 2023-12-18 |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4826A (ko) * | 1998-08-25 | 2000-03-15 | 장용균 | 리튬전지의 전극단자 실링장치 |
KR100795679B1 (ko) * | 2006-02-27 | 2008-01-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20110134259A (ko) * | 2010-06-07 | 2011-1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캡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
KR101116492B1 (ko) * | 2010-02-12 | 2012-02-2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9045A (ja) * | 1993-09-29 | 1995-04-11 | Hitachi Maxell Ltd | 角形密閉式蓄電池 |
JPH07105919A (ja) * | 1993-10-06 | 1995-04-21 | Hitachi Maxell Ltd | 角形密閉式蓄電池 |
JPH10340709A (ja) * | 1997-06-06 | 1998-12-22 | N Ii C Mori Energ Kk | 角型電池 |
JP2003173767A (ja) * | 2001-12-04 | 2003-06-20 | Nec Tokin Tochigi Ltd | 密閉型電池 |
DE10300008B4 (de) * | 2002-01-09 | 2006-04-27 | Nec Tokin Tochigi Ltd., Utsunomiya | Verschlossene 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schlossenen Batterie |
JP4785759B2 (ja) | 2006-02-27 | 2011-10-05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二次電池 |
KR100995417B1 (ko) * | 2008-08-14 | 2010-11-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US8263255B2 (en) * | 2009-10-01 | 2012-09-11 | Sb Limotive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US9293756B2 (en) * | 2010-09-17 | 2016-03-22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KR101222267B1 (ko) * | 2010-12-09 | 2013-01-15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이차 전지 |
KR101222376B1 (ko) * | 2011-01-14 | 2013-01-15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이차전지 |
KR101265214B1 (ko) * | 2011-06-22 | 2013-05-2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274909B1 (ko) * | 2011-07-29 | 2013-06-1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이차 전지 |
US9455422B2 (en) * | 2011-08-31 | 2016-09-27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Rectangular battery |
-
2013
- 2013-12-10 US US14/102,437 patent/US9570719B2/en active Active
- 2013-12-13 KR KR1020130155481A patent/KR101720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2-04 JP JP2014019350A patent/JP2014229606A/ja active Pending
- 2014-02-28 IN IN570DE2014 patent/IN2014DE00570A/en unknown
- 2014-03-06 EP EP14158194.2A patent/EP2806477B1/en active Active
- 2014-03-13 CN CN201410092554.9A patent/CN10418381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4826A (ko) * | 1998-08-25 | 2000-03-15 | 장용균 | 리튬전지의 전극단자 실링장치 |
KR100795679B1 (ko) * | 2006-02-27 | 2008-01-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1116492B1 (ko) * | 2010-02-12 | 2012-02-2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10134259A (ko) * | 2010-06-07 | 2011-1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캡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06477A1 (en) | 2014-11-26 |
US9570719B2 (en) | 2017-02-14 |
IN2014DE00570A (ko) | 2015-06-19 |
US20140349152A1 (en) | 2014-11-27 |
EP2806477B1 (en) | 2016-02-24 |
JP2014229606A (ja) | 2014-12-08 |
CN104183815B (zh) | 2018-06-19 |
CN104183815A (zh) | 2014-12-03 |
KR101720612B1 (ko) | 2017-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0612B1 (ko) | 전기적인 단락이 방지되는 이차전지 | |
EP2506334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715963B1 (ko) | 이차 전지 | |
KR101689215B1 (ko) | 이차전지 | |
KR101243546B1 (ko) | 이차 전지 및 이를 갖는 배터리 팩 | |
KR101222309B1 (ko) | 이차전지 | |
KR101666257B1 (ko) | 아크 발생 억제를 위한 이차 전지 | |
US9190636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10367186B2 (en)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 |
KR20190024292A (ko) | 이차 전지 | |
KR102450146B1 (ko) | 이차 전지 | |
EP351830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10087566A (ko) | 이차 전지 | |
KR20120082590A (ko) | 이차전지 | |
US8999539B2 (en)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hort circuit member comprising duct part and deformable part | |
KR20140135082A (ko) | 캡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
EP2482366B1 (en) | Secondary Battery | |
EP2477257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715955B1 (ko) | 이차 전지 | |
KR101285950B1 (ko) | 이차 전지 | |
KR101689216B1 (ko) |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