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171A - 가변 커패시터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커패시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171A
KR20140137171A KR20130057757A KR20130057757A KR20140137171A KR 20140137171 A KR20140137171 A KR 20140137171A KR 20130057757 A KR20130057757 A KR 20130057757A KR 20130057757 A KR20130057757 A KR 20130057757A KR 20140137171 A KR20140137171 A KR 2014013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xing plate
module
variable capacitor
capaci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837B1 (ko
Inventor
최도경
Original Assignee
최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도경 filed Critical 최도경
Priority to KR2013005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1Details
    • H01G5/011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1Details
    • H01G5/014Housing; 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는 복수 개의 전극봉을 구비한 제1 전극 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극홀이 형성된 다공전극몸체를 구비한 제2 전극 모듈 및 상기 제1 전극 모듈 또는 상기 제2 전극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상기 복수개의 전극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봉과 상기 다공전극몸체 간에 대향되는 면적을 가변 시킴으로 정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용량 가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는 전극봉과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홀을 이용하여 전극봉과 전극홀 간의 대향 면적을 가변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전극봉과 전극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봉 또는 전극홀에 절연부재를 더 장착하여 아크 방지 및 정전 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커패시터 장치{VARIABLE CAPACITOR DEVICE}
본 발명은 가변 커패시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패시터는 전기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전자 부품으로 전기를 축적하는 능력 외에도 직류 전류를 차단하고 교류 전류를 통과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커패시터의 구조는 간격이 좁은 두 개의 전극과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전체로 구성됩니다. 각 전극에 전압을 가하면 한쪽의 전극에는 음전하, 다른 한쪽의 전극에는 양전하가 축적된다. 커패시터는 다양한 전기회로에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는 고정 커패시터와 가변 커패시터로 크게 구분된다. 이중에서 가변 커패시터는 필요에 따라 정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방식으로 필터 회로 및 전원 공급 장치 등에 주로 이용되었다. 가변 커패시터는 일반적으로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으로 구성되고, 이동 전극이 고정 전극을 향해 이동하면서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 간의 대향 면적을 변하시켜 정전 용량을 가변한다.
이러한 가변 커패시터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만큼 가변 커패시터의 제조 비용이 높아질수록 완제품의 제조비용 또한 높아진다. 그러므로 가변 커패시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는 복수 개의 전극봉을 구비한 제1 전극 모듈;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극홀이 형성된 다공전극몸체를 구비한 제2 전극 모듈; 및 상기 제1 전극 모듈 또는 상기 제2 전극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상기 복수개의 전극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봉과 상기 다공전극몸체 간에 대향되는 면적을 가변 시킴으로 정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용량 가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장착되는 제1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모듈은 상기 다공전극몸체가 장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량 가변 메커니즘은 실린더형 홀을 구비한 조절 몸체;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크류 홈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 홀에 장착된 이동축; 일단이 상기 이동축의 스크류 홈에 연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 연결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 노브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전진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후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조절 몸체 사이에 연결되는 급전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전극봉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절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절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에 설치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몸체에 설치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모듈과 상기 제2 전극 모듈을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는 전극봉과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홀을 이용하여 전극봉과 전극홀 간의 대향 면적을 가변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전극봉과 전극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봉 또는 전극홀에 절연부재를 더 장착하여 아크 방지 및 정전 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제1 및 제2 전극 모듈의 전극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용량 가변 메커니즘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절 몸체와 제1 고정판 사이에 연결된 급전 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전극 모듈을 용량 가변 메커니즘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변형예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는 전극봉에 절연관을 장착한 경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다공 전극에 절연관을 장착한 경우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9은 및 도 10은 다공전극몸체의 평면 구조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전극홀의 단면 구조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10)는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제1 전극 모듈(20)과 제2 전극 모듈(30) 그리고 정전 용량을 가변하기 위한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으로 구성된다. 제1 전극 모듈(20)은 복수 개의 전극봉(21)을 구비한다. 제2 전극 모듈(30)은 복수 개의 전극봉(21)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극홀(32)이 형성된 다공전극몸체(31)를 구비한다.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은 제1 전극 모듈(20)을 이동시켜 복수개의 전극봉(21)이 복수개의 전극홀(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전극봉(21)과 다공전극몸체(31)간에 대향되는 면적을 가변 시킴으로 정전 용량을 가변시킨다. 가변 커패시터 장치(10)는 제1 전극 모듈(20)과 제2 전극 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40)가 구성된다. 가변 커패시터 장치(10)는 커버 부재(40)의 내부 환경을 대기압 또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0)의 내부에 불활성 가스 등과 같이 공정 가스를 주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에 의해 제1 전극 모듈(20)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은 제2 전극 모듈(30)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제1, 2 전극 모듈(20, 30)을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정전 용량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제1 및 제2 전극 모듈의 전극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전극 모듈(20)은 복수 개의 전극봉(21)과 제1 고정판(22)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판(22)은 원판형 구조를 가지며 일면으로 복수개의 전극봉(21)이 균일한 간격으로 장착된다. 제2 전극 모듈(30)은 복수 개의 전극홀(32)이 형성된 다공전극몸체(31)와 제2 고정판(33)으로 구성된다. 다공전극몸체(31)는 제1 고정판(22)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다공전극몸체(31)는 복수 개의 전극봉(21)과 대향되는 면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전극홀(32)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전극홀(32)은 하나의 전극봉(21)에 대향되어 정렬되어 있다. 전극홀(32)의 내경은 전극봉(21)의 지름 보다는 크게 설계되어서 전극봉(21)이 전극홀(32)에 삽입 되는 과정에서 밀착되지 않고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복수 개의 전극봉(21)은 구리나 기타 전도성 금속을 구성된다. 제1 고정판(22)은 전극봉(21)과 같은 재질의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극봉(21)과 제1 고정판(22)을 별개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또는 성형 틀에 의해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공전극몸체(31)과 제2 고정판(33)도 전극봉(32)과 같은 재질의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된다. 다공전극몸체(31)와 제2 고정판(33)의 경우에도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10)는 전극봉(21)이 직경이 작은 원통형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직경 방향에 대하여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전극홀(32)의 경우에도 내경이 작은 원통형 홀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경 방향에 대하여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그럼으로 가변 커패시터 장치(10)가 사용되는 동안 열팽창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커패시터 장치(10)가 사용되는 장비에서 유지 보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3은 용량 가변 메커니즘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10)의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은 실린더(56)를 구비한 조절 몸체(51)와 실린더(56)에 장착된 이동축(57)과 이동축(57)에 장착되는 스크류(53) 그리고 스크류(53)에 연결된 조절노브(52)로 구성된다. 조절 몸체(51)에는 이동축(57)이 장착될 수 있도록 실린더(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축(57)은 일단이 제1 고정판(22)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스크류 홈(55)이 형성되어 실린더(56)에 장착된다. 스크류(53)는 타단에 조절 노브(52)가 연결되고, 일단이 이동축(57)의 스크류 홈(55)에 장착된다. 가변 커패시터 장치(10)는 제2 전극 모듈(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전극 모듈(20)을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을 이용하여 제2 전극 모듈(30)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정전 용량을 가변한다.
조절 노브(5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 홈(55)에 삽입된 스크류(5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축(57)이 전진한다. 이동축(57)은 제1 고정판(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축(57)의 전진에 의해 제1 고정판(22)에 장착된 전극봉(21)은 제2 전극 모듈(30)의 전극홀(32)에 삽입된다. 다시 조절 노브(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5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축(57)이 후진하며 전극홀(32)에 삽입되었던 전극봉(21)이 전극홀(32) 외부로 노출된다. 조절 노브(52)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전극홀(32)에 삽입되는 전극봉(21)의 삽입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극홀(32)과 전극봉(21) 간의 대향 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정전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조절 몸체(51)의 내부에는 제1 냉각 채널(54)이 구비되고, 제2 고정판(33)의 내부에는 제2 냉각 채널(34)이 구비된다. 제1, 2 냉각 채널(54, 34)을 통해 냉각수와 같은 냉각 물질이 공급되어 가열된 조절 몸체(51)와 제2 고정판(33)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고정판(22)의 내부에도 냉각 채널을 구비하여 제1 고정판(2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5는 조절 몸체와 제1 고정판 사이에 연결된 급전 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절 몸체(51)와 제1 고정판(22) 사이에는 전극봉(21)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부재(58)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제1 고정판(22)과 제2 고정판(33)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조절 몸체(51)와 제2 고정판(33)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조절 몸체(51)에 전원 공급원이 연결된 경우, 조절 몸체(51)에 공급된 전력은 전도성 부재의 급전 부재(58)를 통해 제1 고정판(22)과 전극봉(21)으로 전달된다.
급전 부재(58)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전 부재(58)는 조절 몸체(51)와 제1 고정판(22) 사이 간격의 변화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동축(57)이 전진 이동되면 제1 고정판(22)과 조절 몸체(5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급전 부재(58)의 절첩 구조가 펴지게 된다. 다시 이동축(57)이 후진 이동되면 제1 고정판(22)과 조절 몸체(51)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므로 급전 부재(58)의 절첩 구조가 접혀진다. 급전 부재(58)의 형상은 절첩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급전 부재(58)는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에 의해 이동되는 제1 고정판(22) 또는 제2 고정판(33) 중 어느 하나와 조절 몸체(51) 사이에 연결된다.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에 의해 제2 고정판(33)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급전 부재(58)는 제2 고정판(33)과 조절 몸체(51) 사이에 구비된다.
도 6은 제2 전극 모듈을 용량 가변 메커니즘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변형예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변 커패시터 장치(10a)는 제2 전극 모듈(30a)에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이 연결되어 제2 전극 모듈(30a)을 이동시킬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 장치(10a)는 제1 전극 모듈(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전극 모듈(30)을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을 이용하여 제1 전극 모듈(20)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정전 용량을 가변한다.
용량 가변 메커니즘(50)의 이동축(57)은 제2 전극 모듈(30a)의 제2 고정판(33)에 연결된다. 조절 노브(5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 홈(55)에 삽입된 스크류(5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축(57)이 전진한다. 이동축(57)은 제2 고정판(3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축(57)의 전진에 의해 제2 고정판(33)에 형성된 전극홀(32)에 제1 전극 모듈(20a)의 전극봉이 각각 삽입된다. 다시 조절 노브(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5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축(57)이 후진하며 전극홀(32)에 삽입되었던 전극봉(21)이 전극홀(32) 외부로 노출된다.
도 7는 전극봉에 절연관을 장착한 경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전극봉(21)에 각각 제1 절연관(23)을 장착할 수 있다. 제1 절연관(23)은 내부에 전극봉(21)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전극봉(22)과 전극홀(32) 사이에 제1 절연관(23)이 위치함으로써, 전극봉(22)과 전극홀(32)이 직접 대면되어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관(23)의 유전율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제1 절연관(23)의 내경은 전극봉(2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절연관(23)은 내부 공간으로 전극봉(21)이 삽입되고, 단부가 제1 고정판(22)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절연관(23)은 외주면에 돌기(24)가 형성되어 제1 절연관(23)의 삽입 정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1 절연관(23)의 단부에는 갭(26)이 구비된다. 갭(26)은 전극홀(32)에 삽입되는 전극봉(21)의 길이보다 길게 제1 절연관(23)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극봉(21)이 전극홀(32)에 삽입될 때, 갭(26)으로 인해 전극봉(21)과 전극홀(32)이 직접적으로 대면되지 않기 때문에 전극봉(21)과 전극홀(32)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공전극몸체에 절연관을 장착한 경우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다공전극몸체(32)의 전극홀(32) 내부에 제2 절연관(35)을 장착할 수 있다. 제2 절연관(35)의 내경은 전극봉(21)의 지름보다 크게 설계되어 전극봉(21)이 제2 절연관(3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밀착되지 않고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도 9은 및 도 10은 다공전극몸체의 평면 구조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공전극몸체(31a, 31b)는 사각판 또는 팔각판 등과 같이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22)은 다공전극몸체(31a)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다공전극몸체(31, 31a, 31b)와 제1 고정판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다공 홀의 단면 구조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전극홀(32a, 32b, 32c)의 홀 구조는 단면 구조가 삼각형 , 육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홀(32a, 32b, 32c)에 대향되어 형성되는 전극봉(21)의 형상 역시 전극홀(32a, 32b, 32c)의 홀 구조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삼각통형, 육각통형, 사각통형으로 형성된다. 전극홀(32, 32a, 32b, 32c)과 전극봉(21)의 형상에 따라 전극홀(32, 32a, 32b, 32c)과 전극봉(21) 간에 대향되는 면적이 다르므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 용량도 달라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10a: 가변 커패시터 장치 20: 제1 전극 모듈
21: 전극봉 22: 제1 고정판
23: 제1 절연관 24: 돌기
25: 삽입홈 26: 갭
30: 제2 전극 모듈 31: 다공전극몸체
32: 전극 홀 33: 제2 고정판
34: 제2 냉각 채널 35: 제2 절연관
40: 커버 부재 50: 용량 가변 메커니즘
51: 조절 몸체 52: 조절 노브
53: 스크류 54: 제1 냉각 채널
55: 스크류 홈 56: 실린더
57: 이동축 58: 급전 부재

Claims (9)

  1. 복수 개의 전극봉을 구비한 제1 전극 모듈;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극홀이 형성된 다공전극몸체를 구비한 제2 전극 모듈; 및
    상기 제1 전극 모듈 또는 상기 제2 전극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상기 복수개의 전극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극봉과 상기 다공전극몸체 간에 대향되는 면적을 가변 시킴으로 정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용량 가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봉이 장착되는 제1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모듈은 상기 다공전극몸체가 장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가변 메커니즘은
    실린더형 홀을 구비한 조절 몸체;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크류 홈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 홀에 장착된 이동축;
    일단이 상기 이동축의 스크류 홈에 연결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 연결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 노브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전진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축이 후진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조절 몸체 사이에 연결되는 급전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성 전극봉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절연관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절연관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또는 상기 제2 고정판에 설치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몸체에 설치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모듈과 상기 제2 전극 모듈을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 장치.
KR20130057757A 2013-05-22 2013-05-22 가변 커패시터 장치 KR10149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757A KR101496837B1 (ko) 2013-05-22 2013-05-22 가변 커패시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757A KR101496837B1 (ko) 2013-05-22 2013-05-22 가변 커패시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71A true KR20140137171A (ko) 2014-12-02
KR101496837B1 KR101496837B1 (ko) 2015-02-27

Family

ID=5245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757A KR101496837B1 (ko) 2013-05-22 2013-05-22 가변 커패시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97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균일 진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8496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균일 진공 커패시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085Y1 (ko) * 2004-07-27 2004-10-15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하는 변위측정장치
JP2008021799A (ja) 2006-07-12 2008-01-31 Ngk Insulators Ltd 可変キャパシタ
JP2009016652A (ja) * 2007-07-06 2009-01-22 Meidensha Corp 電力用電気機器
JP5133814B2 (ja) 2008-08-13 2013-01-3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可変容量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97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균일 진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8496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균일 진공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837B1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347B2 (en) Variable vacuum capacitor
JP7161863B2 (ja) 直流電圧接続素子を備えた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装置
KR101448972B1 (ko) Vhf 임피던스 매치 튜닝을 위한 장치
US9362849B2 (en) Electrostatic induction power generator
CN102844827B (zh) 真空电容器
KR101496837B1 (ko) 가변 커패시터 장치
CN104518184A (zh) 蓄电装置
KR20100025004A (ko) 전력용 전기 기기
CN102024652B (zh) 电子调谐磁控管
RU2670607C2 (ru) Система конденсаторов
US8755166B2 (en) Vacuum capacitor
CN209133359U (zh) 用于磁共振断层摄影装置的天线及用于该天线的微调电容器
US4002957A (en) Trimmable fixed hermetically sealed capacitor
KR101448428B1 (ko) 고주파 대전류 공진용 커패시터
CN102239534B (zh) 真空电容器
KR10118219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JP3264075B2 (ja) 真空コンデンサ
US20150302993A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ing poling process for reduction of vibration
US20170004925A1 (en) Power delivery systems and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ing a variable vacuum capacitor
JP2005174989A (ja) 真空コンデンサ
KR102360909B1 (ko) 고균일 진공 커패시터
JP2005175027A (ja) 真空コンデンサ
KR101364580B1 (ko) 다중 축전 전극을 갖는 가변 콘덴서 장치
US1626391A (en) Variable air condenser
WO2015185795A1 (en) A capacitor module for a mobile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