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068A -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068A
KR20140136068A KR1020130046836A KR20130046836A KR20140136068A KR 20140136068 A KR20140136068 A KR 20140136068A KR 1020130046836 A KR1020130046836 A KR 1020130046836A KR 20130046836 A KR20130046836 A KR 20130046836A KR 20140136068 A KR20140136068 A KR 2014013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ule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wireless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083B1 (ko
Inventor
문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4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0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기간(M2M: Machine to Machine) 통신 환경을 구축 및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용앱은 제어부에서 백그라운드로서 동작하며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local area network in a vehicle}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기간(M2M: Machine to Machine) 통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M2M 허브 없이 기존의 이동 단말 및 기기들을 이용하여 M2M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기기 간 통신 환경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기기 간 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이란, 그 표현 그대로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광의로는 전자 장치 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이나, 사람이 제어하는 장치와 기계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람의 관여 없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M2M은 기기간 통신 연결을 통해 센서나 각종 디바이스에서 추출된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을 전달하는 이동통신 분야를 말한다.
M2M 통신의 개념이 처음 도입된 1990년대 초반에는 원격 조정이나 텔레매틱스 정도의 개념으로 인식되었고, 파생되는 시장 자체도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지난 몇 년간 M2M 통신은 고속 성장을 거듭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판매 관리 시스템(POS: Point Of Sales)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Fleet Management),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 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 등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앞으로의 M2M 통신은 기존 이동 통신 및 무선 초고속 인터넷이나 Wi-Fi 및 Zigbee 등 소출력 통신 솔루션과 연계하여 더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더 이상 B2B(Business to Business)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B2C(Business to Consumer)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M2M 통신시대에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장착한 모든 기계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 원격 관리 및 통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트럭, 기차, 컨테이너, 자동판매기, 가스탱크 등 수없이 많은 기기와 장비에 M2M 통신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 등 적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근래 들어 통신료와 디바이스, 센서 가격 인하 등으로 폭발적인 확장이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추가적인 통신료 비용 부담으로 인해 도입 비용에 장벽이 존재한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서도 M2M 도입이 활발해 지고 있으며 이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라는 별도의 분야로 불리며 다음과 같은 기능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실시간 교통 정보: 차량의 위치, 속도 정보를 서버에 올리고, 서버에서 종합하고 교통량과 흐름을 판별하여 네비게이션 등 차량용 기기에 다시 내려 준다.
- 차량 관제: 법인 등이 차량의 위치 상태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현재 이동통신사에서 모두 렌터카, 물류, 운수사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이다.
- 운행기록계(DTG: Driving TachoGraph), 통합단말기: 차량 운행 상태, 연료량 측정 등의 정보를 서버에 올려 주는 기능을 한다. 현재 이동통신사에서 물류, 운수사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이다.
- 컨시어지(Concierge) 서비스: 음성 통화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각종 문의를 하거나 사고 접수를 하는 등 서비스 회사와의 연결을 한다. 예를 들어, 현대차의 블루링크, 기아차의 UVO 등이 이동통신사의 망을 활용해 서비스 중이다.
- 블랙박스 부가 서비스: 최근 블랙박스와 휴대폰을 와이파이(WIFI)로 연결하여, 차량 충돌 감지 시 보험사로 자동으로 연락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부르거나 사고 접수를 하는 서비스이다. 블랙박스 부가 서비스는 블랙박스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는 등 차량에서 수집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M2M 기술을 활용한 방식들은 별도의 이동통신 모뎀을 탑재함으로써 통신료가 추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로서 휴대폰을 활용한 모델의 경우 사용자가 차량 내 기기들에 접속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으로 통칭함)을 각 기기에 따라 매번 직접 구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블랙박스 부가 서비스의 경우 정보 수집의 주체가 휴대폰이 아닌 블랙박스 같은 차량 내 기기이면서 통신 주체는 휴대폰이므로 휴대폰 앱을 구동시켜서 차량 내 기기와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는 사용자가 차에 탑승 시마다 매번 앱을 구동시켜 차량 내 기기와 휴대폰 간 연결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써 해당 서비스의 실효성을 극단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는 차량 내 특정 기기와 휴대폰에 탑재된 특정 앱 간에 1:1 연결만을 지원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차량 내에 여러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별 앱들을 각각 따로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M2M 모뎀 없이 휴대폰의 근거리 통신 모듈들을 이용하여 M2M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앱으로 차량 내 여러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앱으로 차량 내 기기들과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앱으로 차량 내 기기들과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 접속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기간(M2M: Machine to Machine) 통신 환경을 구축 및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용앱은 제어부에서 백그라운드로서 동작하며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인터넷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일 수 있다. 이때, 전용앱은 소정의 조건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켤 수 있다.
또한, 전용앱은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단말이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하는 단계와 이동단말이 전용앱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인터넷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과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인터넷 방식은 와이파이 기술이고,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기술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전용앱은 소정의 조건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켤 수 있다. 또한, 전용앱은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을 검색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이동단말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켤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인터넷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을 검색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이동단말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인터넷 방식은 와이파이 방식이고,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일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조건 하에서 장치는 이동단말을 검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켤 수 있다.
이때, 장치는 이후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이동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별도의 M2M 모뎀 없이 휴대폰의 근거리 통신 모듈들을 이용하여 M2M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전용앱으로 차량 내 여러 기기들과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이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차량 내 기기들과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 접속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이동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중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내 기기들과 이동단말의 연결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에서 전용앱을 이용하여 차량 내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에서 전용앱을 이용하여 차량 내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이동단말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mobile terminal)로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가능한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1. 이동단말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단말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이동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중 하나이다.
이동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동단말의 사용 양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동단말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100)과 다른 기기들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3GPP LTE(Long Term Evolution), 3GPP LTE-A(LTE 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의 방위, 이동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햅틱 모듈(154)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에는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IM: User Identify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2. 기기 간 통신 환경
M2M 기기 간의 통신은 기지국을 경유한 단말들 사이, 사람의 개입 없이 기지국과 단말들 사이에서 수행하는 통신 형태, 또는 M2M 기기 간의 통신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M2M 기기(Device)는 상기와 같은 M2M 기기의 통신의 지원이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M2M 서비스를 위한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는 M2M ASN(M2M Access Service Network)으로 정의하고, M2M 기기들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엔터티를 M2M 서버라 한다. M2M 서버는 M2M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하나 이상의 M2M 기기를 위한 M2M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M2M 피쳐(feature)는 M2M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이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 하나 이상의 특징이 필요할 수 있다. M2M 기기 그룹은 공통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공유하는 M2M 기기의 그룹을 의미한다.
M2M 방식으로 통신하는 기기(즉, M2M 기기, M2M 통신 기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 등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다)들은 그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Machine Application Type)에 따라 그 용도가 변경될 수 있다.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는 (1) 보안(security), (2) 치안(public safety), (3) 트래킹 및 트레이싱(tracking and tracing), (4) 지불(payment), (5) 건강관리(healthcare), (6) 원격 유지 및 제어(remote maintenance and control), (7)검침(metering), (8) 소비자 장치(consumer device), (9) 판매 관리 시스템(POS, Point Of Sales)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Fleet Management), (10)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의 기기간 통신, (11)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 (12) 감시 카메라의 감시 영상(Surveillance Video) 통신 등이 있다. 다만,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은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 다양한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기기간 통신 환경은 완전한 M2M 기기 간의 통신 형태는 아니며, 차량 내 기기들과 사용자의 이동단말 간의 통신 형태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은 차량 내 기기들과 이동단말 간의 M2M 통신을 위해 별도의 M2M 모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차량 내 기기들과 이동단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M2M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별다른 제어 없이도 차량 내 기기들과 이동단말 간에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을 함으로써, 이동단말을 M2M 기기 또는 M2M 모뎀으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차량 내 기기들이라는 용어는 온보드 기기(OBD: On-Board Device)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3. 시스템 구성
본 발명은 차량 내 기기와 이동단말(100)에 설치되는 앱의 동작 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내 설치 또는 구비되는 기기들 이외에도 소정의 공간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환경 구축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내 기기들과 이동단말의 연결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차량 내 기기로는 허브 디바이스(hub device)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로 구분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는 이동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다른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M2M 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이동단말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한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피쳐폰과 다르게 사용자가 인터넷 또는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앱)을 다운받아 앱의 기능을 이동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도 2에서 차량 내 기기들간의 통신은 WiFi, 블루투스(BT: BuleTooth), RS-232 유선 연결, USB 연결, 기타 전용 프로토콜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허브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간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BT,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예를 들어, WIFI)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은 허브 디바이스와 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지만,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직접 연결하여 개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스마트폰의 일례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이동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내 기기들은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을 담당할 통신기기를 보유한 지정된 운전자가 탑승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시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서치한다. 허브 디바이스의 서칭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허브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음으로 인해 전원이 들어온 이후 바로 스마트폰을 서칭할 수 있다. 즉, 허브 디바이스에 전원이 들어오면, 허브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의 교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연결 시도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듣고 연결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되고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용앱)은 스마트폰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백그라운드 실행"이란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전용앱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동작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전용앱이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특정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전용앱은 자신에 미리 입력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용앱은 항상 프로그램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점이 기존 차량용 통신 어플리케이션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용앱은 스마트폰의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동작하면서 허브 디바이스와 연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전용앱은 백그라운드에서 최소의 작업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용앱이 수행하는 일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이동단말과 허브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허브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재빨리 다시 최소의 작업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때, 허브 디바이스와의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BT), 와이파이(WiFi), NFC 등 이동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용앱의 역할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허브 디바이스와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마다 또는 특정 조건 하에서 통신 모듈(예를 들어, 도 1의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또는 위치정보 모듈(115), 중 하나 이상, 이하 '통신 모듈'로 통칭함)을 켜서 허브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만약, 검색된 허브 디바이스가 없으면 전용앱은 통신 모듈을 바로 끔으로써 전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용앱은 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자체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출력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전용앱은 허브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한 여러 개일 수 있고, 전용앱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직접 연결되어 커뮤니케이션 하는 등 기능의 제약은 받지 않는다.
도 2에서 차량 내 허브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다른 차량 내 디바이스들(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은 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탑승자의 이동단말을 자신들의 M2M 모뎀으로 간주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동단말의 전용앱의 관점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용앱에서 수행하는 동작은 허브 디바이스에서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면, 허브 디바이스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따라 허브 디바이스는 이동단말을 검색할 수 있으며, 허브 디바이스 역시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시간의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 및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디바이스 역시 시동이 걸리는 패턴에서 주기적으로, 소정의 시간에서, 특정 이벤트에 따라 이동단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에서 이동단말과 허브 디바이스간 연결 시도시 이동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블루투스의 경우 전력 소모가 낮으므로, 이동단말 또는 허브 디바이스는 1차적으로 블루투스를 활용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와이파이를 이용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해당 통신 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에서 전용앱을 이용하여 차량 내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용앱은 이동단말에 설치되어 백그라운드로 동작한다(S310). 즉, 사용자는 전용앱을 이동단말에 설치하면, 전용앱은 사용자의 별다른 제어 없이도 자신에 프로그램된 동작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S320).
전용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을 켜서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 기기로서 도 2에서 설명한 허브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검색 방법으로서 전용앱은 주기성을 갖고 소정의 시간에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거나, 차량 내 기기들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받는 경우에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S330).
만약, 전용앱이 차량 내 기기들의 검색에 성공하면, 전용앱은 통신 모듈(도 1 참조) 중 차량 내 기기들이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S340).
본 발명에서 설명한 전용앱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동작한다. 따라서, 전용앱은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시간대 및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S350).
이하에서는 S350 단계에서 전용앱이 차량 내 기기들과 연결되는 시간에 대한 패턴을 학습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용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차량 내 기기들(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을 검색하는 것은 이동단말의 전력을 많이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앱은 차량 내 기기들과 적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허브 디바이스와 이동단말이 근접했을 때 양자가 곧바로 연결되어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전용앱이 탑재되어 있는 이동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가 계속 켜져 있어야 한다. 또한, 전용앱은 이동단말의 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차량 내 허브 디바이스를 찾는 행위(브로드캐스팅)를 계속 해야 한다. 그러나, 와이파이 기술 또는 와이파이 기술 기반의 테더링 방식과 같은 경우, 이동단말의 전력 소모가 매우 크므로 통신 모듈을 계속 켜 놓고 있는 것은 현실적으로 이동단말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의 전용앱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서 소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에서 각 통신 인터페이스에 맞는 통신 모듈을 켜고 상대방을 찾은 후, 상대방이 없으면 다시 통신 모듈을 끄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때, 이동단말의 전용앱은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를 키고 끄는 시점에 패턴 인식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앱은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처음에 X일 동안은 T분에 한번 씩 검색을 하다가 X일 동안 차량 내 기기들과 연결되는 시간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어 있다면 특정 시간대에는 T보다 작은 T’의 주기로 검색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만약 사용자가 출근 시간대인 오전 7시 내지 9시 사이에 차량을 이용하고 퇴근 시간대인 오후 5시 내지 8시 사이에 차량에 탑승하는 행위를 대략 일주일 간 수행을 한다면, 전용앱은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및 오후 5시부터 8시까지는 5~10분 간격으로 차량 내 기기를 검색하기 위해 통신 모듈(110)을 켜고, 그 이외의 시간에서는 10~20분 간격으로 통신 모듈(110)을 켜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용앱은 일주일 간의 패턴을 분석하여 주말 등에는 오전 7시~9시 및 오후 5시~8시에도 10~20분 간격으로 통신 모듈을 켜서 상대방을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용앱은 S350 단계에서 사용자의 차량 이용 패턴을 분석 및 학습하고, 이동단말의 메모리에 해당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해당 시간대 또는 조건에 따라 전용앱은 통신 모듈을 켜서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만약, S330 단계에서 기기 검색에 실패하는 경우, 전용앱은 바로 통신 모듈을 끔으로써 연결 시도를 종료할 수 있다(S36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에서 전용앱을 이용하여 차량 내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차량 내 기기들이 OBD(On-Board Device)인 경우를 가정한다. OBD는 차량에 부착된 기기(device)들로서 M2M 기기로 동작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물론, 도 2에서 설명한 허브 디바이스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도 OBD일 수 있다.
이동단말에 구비된 전용앱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S410). 전용앱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방식을 이용하여 M2M 통신을 수행할 상대방 기기를 검색한다. 이때, 기기 검색 과정을 위해 이동단말은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S420).
S420 단계에서, 상대방 기기를 검색하는 방법은 이동단말이 먼저 상대방 기기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방 기기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상대방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는 상대방 기기로 OBD 1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OBD 1은 도 2의 허브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은 OBD 1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430).
다만, 도 1의 무선 통신부(110)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또는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OBD 1 역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동단말이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모두 탑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하고 있으므로, OBD1은 전용앱과의 통신을 위해서 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양 기기간 어떠한 인터페이스(즉, 어떤 통신 모듈)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한지 문제될 수 있다. 왜냐하면, OBD나 이동단말은 소모할 수 있는 전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최적의 상태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단말에 구비된 전용앱은 OBD와 이동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타입이나 크기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적합하게 선정 및 변경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연결 시간이 길고 전송할 데이터 양이 적은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편이 적합하고, 연결 시간은 짧지만 전송할 데이터 양이 많을 경우에는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편이 적합하다. 따라서, 이동단말의 전용앱은 데이터의 타입이나 크기에 따라서 적합한 인터페이스에 맞는 통신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허브 디바이스로서 블랙박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종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차들이 향후 추가적으로 탑재하게 될 디바이스이며, 블랙박스의 저장된 영상을 가장 편리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이 블랙박스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보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설명한 전용앱을 설치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블랙박스가 허브 디바이스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블랙박스와 통신하도록 구성한 후 블랙박스 사용자로 하여금 연동되는 전용앱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한다면 별도의 M2M 모뎀 없이 상당부분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20)

  1.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상기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전용앱은 상기 제어부에서 백그라운드로서 동작하며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하나인, 이동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인, 이동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상기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6.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상기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앱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전용앱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과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방식은 와이파이 기술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기술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중 하나인,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인,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상기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11.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상기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하나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들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상기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차량 내 기기간 통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내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하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인터넷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간 동안 검색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접속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방식은 와이파이 방식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중 하나인,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특정 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인,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이동단말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산출한 접속 패턴에 따라 상기 소정의 조건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기기간 통신 지원 방법.
KR1020130046836A 2013-04-26 2013-04-26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KR10146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836A KR101469083B1 (ko) 2013-04-26 2013-04-26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836A KR101469083B1 (ko) 2013-04-26 2013-04-26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068A true KR20140136068A (ko) 2014-11-28
KR101469083B1 KR101469083B1 (ko) 2014-12-10

Family

ID=5245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836A KR101469083B1 (ko) 2013-04-26 2013-04-26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22A (ko) * 2015-07-27 2017-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에 구비된 전자장치, 그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113175A (ko) * 2016-03-24 2017-10-1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위치 측정을 통한 기기들의 그룹 형성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0B1 (ko) * 2004-11-09 200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뉴럴넷 알고리즘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30531A (ja) * 2008-11-28 2010-06-10 Nissan Motor Co Ltd 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装置と携帯端末との無線接続方法。
JP2010130669A (ja) * 2008-12-01 2010-06-10 Fujitsu Ten Ltd 車載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152010B2 (ja) * 2009-01-26 2013-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用携帯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22A (ko) * 2015-07-27 2017-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에 구비된 전자장치, 그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320910B2 (en) 2015-07-27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device in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13175A (ko) * 2016-03-24 2017-10-1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위치 측정을 통한 기기들의 그룹 형성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080101B2 (en) 2016-03-24 2018-09-18 Volkswagen A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rouping devices by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083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4546A (zh) 移动终端、被安装到车辆上的图像显示装置及其数据处理方法
CN107452221B (zh) 到站提醒方法及装置
CN105101366A (zh) 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201295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0715B1 (ko)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05120093B (zh) 行车提示方法及装置
KR101808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5246023A (zh) 驾驶助手的启动装置及方法
CN106231650A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CN105939517B (zh) 一种防止移动终端接入伪基站的方法和装置
CN105530601A (zh) 位置显示方法及其移动通信装置
KR1022017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EP4187934A1 (en) C-v2x low-power consump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hip system
KR101469083B1 (ko) 차량내 근거리 통신을 통한 기기간 통신 환경 구축 방법 및 장치
CN106658470A (zh) 一种主卡设置装置和方法
CN106412878A (zh) 一种用户识别卡的激活装置和方法
KR20140087080A (ko)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379305B1 (ja) ワイヤレス信号特性に基づく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たユーザコンテキストの検出
US9342318B2 (en) Communication device to be used as a digital sign and a method of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used as a digital sign
US20230189360A1 (en)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CN104967727B (zh) 一种移动终端及其配对通信的方法和云端服务器
CN115038053B (zh) 出行提醒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00300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
KR20130120298A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REEX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