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438A -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438A
KR20140135438A KR20130055683A KR20130055683A KR20140135438A KR 20140135438 A KR20140135438 A KR 20140135438A KR 20130055683 A KR20130055683 A KR 20130055683A KR 20130055683 A KR20130055683 A KR 20130055683A KR 20140135438 A KR20140135438 A KR 2014013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tration layer
layer nonwoven
powders
low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560B1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신우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우피앤씨 filed Critical (주) 신우피앤씨
Priority to KR102013005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6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8The layers being joined by heat or melt-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캐빈 에어필터, 공조용 또는 공기청정용 필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탈취분말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터여제의 제조방법은, (S1)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권출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 권출단계; (S2)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스파이크들이 구비된 스파이크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권출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을 표면처리하는 스파이크 표면처리단계; (S3)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1차 핫멜트 분사단계; (S4)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을 산포하는 탈취분말 산포단계; (S5) 상기 탈취분말들이 산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2차 핫멜트 분사단계; 및 (S6)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공급하고 압착하여,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합지하는 부직포 합지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탈취분말들이 부직포에 균일하게 안착되어 있으며 통기도가 개선된 필터여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filter containing deodorrizing powder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캐빈 에어필터, 공조용 또는 공기청정용 필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취 기능을 갖는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기저귀, 생리대, 담배, 신발장, 옷장 등의 생활용품을 사용할 때나, 침실, 화장실, 자동차 실내 등 일상 생활공간에는 김치, 생선, 담배연기, 배설물, 쓰레기 등으로부터 다양한 악취가 발생한다.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암모니아(ammonia),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메틸메르캅탄(Methanthiol) 등의 주요 악취원 외에, 황화메틸(methyl sulfide), 이황화메틸(dimethyl disulfide),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산화질소(nitric oxide), 이산화질소(nitrous oxide), 스티렌(styren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거나 반감시킬 목적으로 자동차나 실내에서는 활성탄 또는 제오라이트, 이산화티탄 광촉매 등의 탈취분말들을 이용한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탈취분말들을 필터여재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권취기에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권출(unwinding)한 다음,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분사한 후 탈취분말들을 산포하여 탈취분말들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잘 알려진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와 같은 핫멜트 수지의 용융액을 다시 분사한 다음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그 위에 공급하고 압착합으로서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합지한다.
즉, 공기의 여과기능이 있는 부직포(하부여과층 및 상부여과층) 사이에 탈취분말들을 개재시킨 다음,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여 탈취분말들을 부직포에 고정시키면서 양 부직포를 서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탈취분말 함유 필터 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취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탈취분말을 부직포에 균일하게 잘 안착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권취기에 권취된 부직포는 권취시 압력을 받아서 벌키(bulky)성이 저하되어 있어 통기성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취분말들이 부직포에 균일하게 안착되어 있으며, 통기도가 개선된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은,
(S1)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권출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 권출단계;
(S2)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스파이크들이 구비된 스파이크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권출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을 표면처리하는 스파이크 표면처리단계;
(S3)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1차 핫멜트 분사단계;
(S4)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을 산포하는 탈취분말 산포단계;
(S5) 상기 탈취분말들이 산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2차 핫멜트 분사단계; 및
(S6)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공급하고 압착하여,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합지하는 부직포 합지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탈취분말 산포장치는 내부에 탈취분말이 충전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호퍼와,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면에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침들이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간격으로 배치된 산포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탈취분말들이 상기 산포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침들 사이에 충전되고, 산포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이 낙하되어 산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포롤러에 구비된 침들의 높이 및 간격은 각각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2 내지 4배인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하부에 상기 탈취분말 산포장치와 대향하도록 마련된 흡입장치를 통해 산포된 탈취분말들을 상기 부직포 지지체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장치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흡입판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와 2차 핫멜트 분사단계 사이에, 대향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통과시켜 상기 탈취분말들을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2차 핫멜트 분사단계 후에, 탈취분말 산포단계 및 2차 핫멜트 분사단계를 다시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로부터 권출된 부직포를 스파이크를 이용하여 그 표면을 전처리한다. 즉, 스파이크 롤러에 구비된 스파이크들이 권출된 부직포의 표면부의 벌키성을 회복시키고 뭉친 부분을 풀어준다. 이에 따라,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통기성이 개선되며, 추후 산포되는 탈취분말들이 하부여과층 부직포에 균일하게 잘 안착되며, 핫멜트 수지에 의해 잘 고정된다.
명세서 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필터여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및 스파이크 표면처리의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탈취분말 산포단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탈취분말 산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탈취분말 산포단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탈취분말 산포롤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탈취분말 산포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흡입장치에 구비되는 흡입판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흡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탈취분말들을 산포한 후의 바람직한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권출한다(하부여과층 부직포 권출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여재를 제조하기 위한 원자재인 하부여과층 부직포는 권취기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권출하여 후공정에 투입된다. 하부여과층 부직포는 먼지 등의 여과기능이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필터여재에 사용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합성섬유, 마, 면 등의 천연섬유 또는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 등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섬유로 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 모든 형태의 부직포가 사용 가능하다.
이어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스파이크들이 구비된 스파이크롤러를 회전지켜 상기 권출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을 표면처리한다(스파이크 표면처리단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및 스파이크 표면처리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권출기로부터 권출된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면에는 회전하능하게 마련된 스파이크롤러(20)이 위치한다. 스파이크롤러(20)의 외면에는 다수의 스파이크(21)이 구비되어 있다. 스파이크(21)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 형태는 물론 침 형태를 포함한다. 하부여과층 부직포(10)가 이송됨에 따라, 회전하는 스파이크롤러(20)에 구비된 스파이크(21)에 의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면이 처리된다. 스파이크롤러(20)와 대향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하부에는 롤러(22)가 구비되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표면처리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섬유들이 개섬되어 벌키성이 회복되며, 뭉친 부분이 풀어진다. 더불어, 압축됨에 따라 표면이 불균일하였던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표면 균일성이 개선된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에 의해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통기성이 개선되며, 추후 산포되는 탈취분말들이 하부여과층 부직포에 균일하게 잘 안착될 수 있고, 핫멜트 수지에 의해 잘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한다(1차 핫멜트 분사단계).
핫멜트 수지로는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탈취분말들을 하부여과층 부직포에 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핫멜트 수지의 용융액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을 산포한다(탈취분말 산포단계).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한 후 탈취분말들을 산포함에 따라, 탈취분말들은 용융된 핫멜트 수지에 접촉되고, 용융된 핫멜트 수지가 고화됨에 따라 탈취분말들은 상부여과층 부직포에 고정된다.
탈취분말들로는 공기 중의 VOC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활성탄, 소취물질이 첨착된 활성탄 분말(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80808호 참조), 구형의 중공 코어부와 메조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나노 카본볼에 전이금속 등의 소취물질이 첨착된 나노 카본볼(국제출원 PCT/KR2003/1149호 참조), 제올라이트, 이온종이 NH4+형이고 SiO2/Al2O3의 몰비가 소정 범위에 있으며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78018호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탈취분말들 외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 예를 들어 캡슐화된 고상의 향, 음이온 방출물질, 광촉매 등을 탈취분말들과 함께 또는 이들과 별도로 더 산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탈취분말들의 산포장치 및 산포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탈취분말들을 산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156611에 개시된 격자형 형상의 도포롤러를 이용하여 탈취분말들을 산포할 수 있다.
탈취분말들을 균일하게 산포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탈취분말 산포장치를 이용하여 탈취분말을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탈취분말 산포단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탈취분말 산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탈취분말 산포단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탈취분말 산포롤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부에는 탈취분말 산포장치(30)가 위치한다. 탈취분말 산포장치(30)는 내부에 탈취분말(50)이 충전되며 하부에 배출구(32)가 마련된 호퍼(31)와, 상기 배출구(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면에 탈취분말들(50)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침(46)들이 탈취분말들(50)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간격으로 배치된 산포롤러(34)를 구비한다, 산포롤러(34)에 구비된 침들(46)의 높이 및 간격은 각각 탈취분말들(50)의 평균입경 대비 2 내지 4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호퍼(31)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된 탈취분말들(50)은 산포롤러(34)에 구비된 다수의 침들(46) 사이에 충전되며, 산포롤러(34)의 회전에 의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면으로 탈취분말들(50)이 낙하되어 산포된다. 즉, 탈취분말들(50)은 다수의 침들(46) 사이에 충전된 후, 산포롤러(34)의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침들(46) 사이로 이동하면서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면으로 낙하되므로, 탈취분말들(50)이 보다 균일하게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면에 산포된다.
반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156611에 개시된 격자형 형상의 도포롤러는 도포롤러의 충전흠에 탈취분말들이 충진된 후, 한꺼번에 하부여과층 부직포(10)에 낙하되므로, 탈취분말들의 산포 균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필터여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와 대향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하부에는 흡입장치를 마련하여 산포된 탈취분말들을 부직포 지지체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40)을 통해 탈취분말들(50)이 산포된다. 탈취분말 산포장치(40)와 대향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하부에 흡입장치(60)을 마련하여 소정 압력으로 흡입하면, 산포된 탈취분말들(50)을 부직포 지지체(10)의 상면에 잘 안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도 흡입되며, 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안정적인 이송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60)는하부여과층 부직포(10)의 하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들(62)을 구비한 흡입판(61)을 구비하여 전 부분에서 흡입압력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입판(61)을 구비한 흡입장치(60)는 통공들(6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된다(도 6b 참조).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분말들이 산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한다(2차 핫멜트 분사단계).
분사된 핫멜트 수지는 후술하는 상부여과층 부직포와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고정시키면서, 탈취분말들을 부직포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필터여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탈취분말 산포단계와 2차 핫멜트 분사단계 사이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롤러들(70) 사이에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통과시켜 상기 탈취분말들을 안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러들(70)을 통과하면서 탈취분말들은 보다 균일한 층을 이루어 하부여과층 부직포에 잘 안착된다.
2차 핫멜트 분사단계 후에는 전술한 탈취분말 산포단계 및 2차 핫멜트 분사단계를 다시 반복하여 탈취분말들을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2차 핫멜트 분사단계에 따라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공급하고 압착하여,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합지한다(부직포 합지단계).
공급된 상부여과층 부직포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 등의 압착수단을 통과함으로서, 핫멜트 수지에 의해 잘 접착된다.
상부여과층 부직포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같이 먼지 등의 여과기능이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필터여재에 사용되는 상부여과층 부직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요구되는 필터 성능에 따라 상부여과층의 부직포의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으는데, 멜트블로운 부직포, 단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필터여재는 필요에 따라 소정 형상으로 절곡하거나, 다른 소재와 적층하거나, 후가공 처리함으로서, 자동차, 건물공조, 공기청정기, 크린룸 등의 공기정화용 필터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S1) 권취된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권출하는 하부여과층 부직포 권출단계;
    (S2)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스파이크들이 구비된 스파이크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권출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을 표면처리하는 스파이크 표면처리단계;
    (S3)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1차 핫멜트 분사단계;
    (S4)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을 산포하는 탈취분말 산포단계;
    (S5) 상기 탈취분말들이 산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분사하는 2차 핫멜트 분사단계; 및
    (S6)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분사된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공급하고 압착하여,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와 상부여과층 부직포를 합지하는 부직포 합지단계를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탈취분말 산포장치는 내부에 탈취분말이 충전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호퍼와,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외면에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침들이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1 내지 6배의 간격으로 배치된 산포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탈취분말들이 상기 산포롤러에 구비된 다수의 침들 사이에 충전되고, 산포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면에 탈취분말들이 낙하되어 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롤러에 구비된 침들의 높이 및 간격은 각각 탈취분말들의 평균입경 대비 2 내지 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는,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한 탈취분말 산포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의 하부에 상기 탈취분말 산포장치와 대향하도록 마련된 흡입장치를 통해 산포된 탈취분말들을 상기 부직포 지지체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흡입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분말 산포단계와 2차 핫멜트 분사단계 사이에, 대향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상기 하부여과층 부직포를 통과시켜 상기 탈취분말들을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핫멜트 분사단계 후에, 탈취분말 산포단계 및 2차 핫멜트 분사단계를 다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20130055683A 2013-05-16 2013-05-16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47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683A KR101472560B1 (ko) 2013-05-16 2013-05-16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683A KR101472560B1 (ko) 2013-05-16 2013-05-16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38A true KR20140135438A (ko) 2014-11-26
KR101472560B1 KR101472560B1 (ko) 2014-12-16

Family

ID=5245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683A KR101472560B1 (ko) 2013-05-16 2013-05-16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7896A (zh) * 2022-12-30 2023-07-11 无锡风正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柔性除味滤网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1691A1 (en) * 2009-10-21 2012-09-13 Peyras-Carratte Jeremie Porous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KR101194196B1 (ko) * 2012-05-25 2012-10-25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7896A (zh) * 2022-12-30 2023-07-11 无锡风正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柔性除味滤网及其制备方法
CN116407896B (zh) * 2022-12-30 2023-12-05 无锡风正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柔性除味滤网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60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2187B2 (en) Non-woven electret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1473070B1 (en) Fluid cleaning filter and filter device
CN103781956B (zh) 非织造驻极体纤维网及其制备方法
CN102859060B (zh) 含有化学活性颗粒的非织造纳米纤维幅材以及制造和使用非织造纳米纤维幅材的方法
CN103736467B (zh) 一种空气净化器活性炭滤网的制备方法
KR101296615B1 (ko) 탈취-방진 복합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2561B1 (ko)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JP2009006298A (ja) 吸着用エアレイ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88276B1 (ko) 다기능 복합필터의 제조방법
JP2007191808A (ja) 繊維構造物及びガス吸着材
KR20060057632A (ko)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72560B1 (ko)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595878B1 (ko)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0742699B1 (ko)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63243B1 (ko) 고성능 복합필터의 제조방법
JP3953717B2 (ja) 平面状封入脱臭シートからなるプリーツ折り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JP6154316B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
JP6257547B2 (ja) 脱臭剤封入濾材
KR101954414B1 (ko) 공기필터 여재의 제조방법
JP2002317399A (ja) 壁 紙
JP3657438B2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100742706B1 (ko)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80110929A (ko) 카본 필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H0928776A (ja) 有害物質除去材
JP2000210511A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