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886A -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886A
KR20140134886A KR1020130054843A KR20130054843A KR20140134886A KR 20140134886 A KR20140134886 A KR 20140134886A KR 1020130054843 A KR1020130054843 A KR 1020130054843A KR 20130054843 A KR20130054843 A KR 20130054843A KR 20140134886 A KR20140134886 A KR 20140134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ack
cabinet
battery modu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222B1 (ko
Inventor
남긍현
노진우
장상민
장민호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05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 방지 가능한 모듈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다수개의 전지모듈과, 각 전지모듈의 전원을 제어 및 감지하는 다 수개의 슬레이브간의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with connector easy connecting wire}
본 발명은 서지 방지 가능한 모듈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다수개의 전지모듈과, 각 전지모듈의 전원을 제어 및 감지하는 다 수개의 슬레이브간의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태양 전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및 전력 계통과 연계되며 부하(load)의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부하의 전력 수요가 클 때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 노트북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가 대량으로 포함된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상기 이차 전지는 다수의 트레이에 수납되며, 다수의 트레이는 래크에 수납되고, 다수의 래크가 캐비넷에 수납된다.
상기의 다수의 래크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전지모듈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에 접촉저항에 의하여 서지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서지는 전장부품의 소손을 유발하고, 작업자의 감전 도는 화상의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아울러, 종래의 에너지저장시스템은 하나의 캐비넷에 다 수개의 래크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식으로 체결되는 다 수개의 래크를 구비하였다. 여기서 각각의 래크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탑재하고, 각 전지모듈간을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었다. 아울러 각각의 래크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서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서 캐비넷 후면에서 래크와 래크간을 연결시키는 배선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캐비넷에서 상기 래크내에 구성된 전지모듈그룹과 타 래크의 전지모듈 그룹을 직접 연결시키는 방식을 채용함에 따라서 캐비넷후면의 배선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캐비넷에 슬라이딩식으로 체결되는 다 수개의 래크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해당 래크의 전지모듈그룹에 연결되는 배선을 빼고 타 래크에 수납되는 전지모듈그룹과 상호 연결시켜야되기 때문에 래크 및/또는 전지모듈의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의 전기적으로 서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착탈식 모듈커넥터를 구비하여 서지에 의한 화재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 수개의 래크와 래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다 수개의 래크가 구비되는 캐비넷의 후면 배선이 단순하여 배선의 정리 및 연결작업이 용이한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측에서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넷;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캐비넷의 수납공간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래크; 상기 래크의 후면에서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래크커넥터; 및 상기 캐비넷에서 상기 래크의 후면이 밀착되는 수납공간별 후면에서 전기적으로 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캐비넷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래크커넥터와 캐비넷커넥터는 상기 래크가 상기 캐비넷의 수납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암수결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연결되어 그룹화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그룹;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그룹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상호간에 단선되는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모듈커넥터; 및 상기 모듈커넥터에 삽입되면서 각각 서로 다른 전지모듈그룹이 연결되는 상기 모듈커넥터의 전원단자 사이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모듈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면에서 개구 형성되는 착탈구; 및 상기 전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착탈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면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및 하향 연장되는 벽면으로서 기호, 숫자, 문양중 어느 하나로서 장식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끝단에서 외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상향 되는 단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커넥터는 상기 래크의 후면에서 밀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서 양각형성되는 양각부; 및 상기 양각부에서 돌출되는 수 형상을 갖고 돌출되며, 후면에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전원단자의 외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향된 단자인출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커넥터는 상기 캐비넷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음각 형성되어 상기 래크커넥터에서 돌출형성되는 양각부가 삽입되는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에서 타 캐비넷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전원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래크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단자는 상기 제1전원단자가 삽입되면 상호 간에 전기적 통전이 가능하도록 내면이 도전체로 이루어진 단자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상기 래크내에서 전지모듈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를 제어하는 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래크커넥터는 후면에서 상기 슬레이브에서 연장되는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커넥터는 후면에서 상기 마스터 또는 타 래크의 슬레이브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제2신호라인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와 제2신호라인커넥터는 암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바닥면에서 직립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 사이를 절연 및 구획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의 탑재되는 다 수개의 래크가 구비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전지모듈과 전지모듈, 래크와 래크 사이의 배선이 착탈식 커넥터에 의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서지에 의한 화재나 감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넷의 후면과 래크의 후면에서 각각 암수결합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구비함에 따라서 다 수개의 래크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 또는 마스터와 각 래크의 전원입출력을 감시 및 제어하는 다 수개의 슬레이브에 연장되는 신호라인의 연결작업 및 정리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와 캐비넷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모듈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커넥터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캐비넷커넥터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캐비넷과 래크 커넥터가 결합된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와 캐비넷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래크(2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래크(200)가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도록 지지하는 캐비넷(10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다 수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각각의 분할된 수납공간에서 상기 래크(200)가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식 레일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식 레일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은 각각의 래크(200)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그룹의 전원 입출력 및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슬레이브(320)와, 상기 슬레이브(320)를 제어하는 마스터(310)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터(310)는 상기 캐비넷(100)에서, 예를 들면, 최상측에 위치된 하나의 래크(200)에 설치되며, 그외 다 수개의 슬레이브(320)는 각 래크(200)에서 하나이상이 설치되어 각 전지모듈그룹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은 각 수납공간의 후면에서 상기 래크(200)의 내측에 탑재되는 전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암 또는 수 형상의 캐비넷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커넥터(120)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래크(200)는 상기 캐비넷(100)에서 다 수개로 분할되는 공간으로 각각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래크(200)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200)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200)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모듈커넥터(22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래크(200)는 내측에서 별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로서 조립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과, 전지모듈과 전지모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모듈커넥터(220)와,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양측의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도록 모듈플러그(250)와,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와 암수결합되는 래크커넥터(26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는 바닥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에서 전후좌우측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벽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상기 바닥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전지모듈그룹간을 절연 및 구획시키는 구획벽(2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벽면은 하나 이상이 절개되어 내측에서 발열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절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구(217)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다양한 문양 및/또는 형상으로서 심미감을 위하여 장식되는 전면프레임(212)과, 상기 전면프레임(212)의 하측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하측에서 개구형성되는 착탈구(211)와, 후면에서 개구 형성되는 후면개구(219)와, 상기 착탈구(211)를 밀폐시키도록 회전되는 도어(214)와, 상기 도어(214)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스위치(216)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212)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벽면에서 다양한 형상과 기호 및/또는 로고가 형성되어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전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전면의 하측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되었다. 특히 상기 전면프레임(212)의 끝단면은 '∩' 형으로서 형성되어 스위치(21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212)의 끝단면은 상향되는 홈 또는 반구형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216)가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면(213)은 상기 전면프레임(212)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214)의 회전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도어(214)는 상기 전면(213)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단이 상기 전면(213)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도어(214)는 스위치(216)가 온 되면 회전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214)는 상단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214)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213)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돌기(214)가 삽입되는 삽입구(213a)가 형성되며, 내측에서 상기 스위치(216)가 온되면 걸림이 해제되는 잠금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삽입돌기(214) 및 잠금수단(도시되지 않음)은 공지된 장치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삽입돌기(214)는 양측면에서 양 측면에서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수단(도시되지 않음)은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삽입돌기(214)의 양측면 홈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걸림쇠(도시되지 않음)로서 구비함도 가능하다.
즉, 상기 걸림쇠(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삽입돌기(214)가 삽입되면서 가압되어 외측으로 회전되다가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삽입돌기(214)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에 끝단이 안착되어 상기 삽입돌기(214)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쇠는 상기 스위치(216)가 가압되면 외측으로 강제 회전되어 상기 삽입돌기(214)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스위치(216)가 가압되면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삽입돌기(214)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14)는 상기 걸림쇠로부터 삽입돌기(214)에 가압되는 힘이 사라지면 회전되어 상기 착탈구(211)를 노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동업종에 종사하는 종사자라면, 위와 같은 설명만으로도 상기 스위치(216)와 잠금수단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기에 도면을 생략하였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착탈구(211)는 전면의 하단에서 개구 형성되어 내측에 고정되는 모듈커넥터(220)의 삽입단(221)을 노출시킨다.
상기 후면개구(219)는 후술되는 래크커넥터(260)가 외측에서 본체(210)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된다.
상기 전지모듈그룹(240, 240')은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241~24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전지모듈(241~244)은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층되어 전지모듈(241~244)을 형성한다. 상기 전지모듈(241~244)은 상기 구획벽(218)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전지모듈그룹(240, 240')은 상기 래크(200)의 일측에서 제1전지모듈(241)과 제2전지모듈(2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래크(200)의 타측에서 제3전지모듈(243)과 제4전지모듈(244)이 직렬 또는 병렬로서 연결되어 전기 통전이 가능한 제2전지모듈그룹(2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의 제1전지모듈(241)과 제2전지모듈(242)이 연결되는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타측의 제3전지모듈(243)과 제4전지모듈(24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지모듈그룹(240')은 상기 모듈커넥터(220)의 서로 다른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모듈커넥터(220)는 상기 착탈구측에서 상기 모듈플러그가 체결되는 삽입단(221)과, 상기 일측의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타측의 제2전지모듈그룹(240')에서 최외각에 위치된 전지모듈(242, 244)의 전지탭에서 연결되는 전선이 극성에 따라서 각각 연결되는 서로 다른 전원단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커넥터(220)의 제1전지모듈그룹(240)에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상기 제2전지모듈그룹(240')이 연결되는 전원단자는 상호 단선 되었다.
도 4에서 상기 모듈커넥터(220)의 단선된 전원단자는 상기 모듈플러그(25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상기 모듈플러그(250)는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일측과 타측의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에 연결되나, 상호 단선된 상태인 모듈커넥터(220)의 전원단자 사이를 연결시켜 양측의 전지모듈그룹(240, 240')을 통전 시킨다. 즉, 상기 모듈플러그(250)는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체결되면서 양측 전지모듈그룹(240, 240')의 전선이 연결되는 각각의 전원단자 사이를 연결시키고, 상기 모듈커넥터(220)에서 이탈되면서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의 연결 계통을 차단한다.
이는 종래에서 래크(200) 내의 다 수개의 전지모듈(241~24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그 숫자가 증가 됨에 따라서 누적되는 접촉저항에 의한 서지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업자는 일측의 제1전지모듈(241)과 제2전지모듈(2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타측의 제3전지모듈(243)과 제4전지모듈(244)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서 전지모듈그룹(240, 240')을 형성하는 전지모듈(241~244)의 숫자가 늘어갈수록 접촉저항이 상승 되어 전지모듈그룹(240, 240')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지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양측의 전지모듈그룹(240, 240')을 각각 연결한다 하더라도 상기 모듈플러그(250)가 체결되기 이전에는 단선된 상태이기 때문에 서지가 발생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양측 전지모듈그룹(240, 240')을 연결하고, 상기 모듈플러그(250)를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삽입하여 양측의 전지모듈그룹(240, 240')을 전기적으로 통전 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착탈이 용이한 모듈플러그(250)와 모듈커넥터(220)를 구비함에 따라서 양측의 전지모듈 그룹(240, 240') 중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모듈플러그(250)를 이탈시켜 양측 전지모듈그룹을 단선시킨 이후에 전지모듈의 교체 또는 해당 전지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전지모듈만으로 전원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다 수개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래크(200)는 전지모듈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보호회로와 마스터(310)와의 통신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는 슬레이브(320)를 구비한다. 각각의 슬레이브(320)는 각 전지모듈(241~244)의 전원입출력 및 이상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마스터(310)와의 통신으로 제어 및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마스터(310)는 상기 캐비넷(100)의 다 수개의 래크(200)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각 래크(200)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320)를 통하여 각 전지모듈(241~244)의 이상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터(310)와 슬레이브(320)의 구성 및 동작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적용함에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슬레이브(32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슬레이브(320)는 전지모듈그룹(240, 240')별로 연결되어 후술되는 래크커넥터(260)와 캐비넷커넥터(120)를 통하여 마스터(31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래크(200)는 상기 슬레이브(320)와 상기 마스터(310)간의 통신을 위하여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절연 및 가이드하기 위한 신호라인가이드수단(2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신호라인가이드수단(230)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전지모듈그룹 사이로 연장되어 양측의 전지모듈그룹 사이를 절연 및 구획하는 구획벽(218)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신호라인가이드수단(230)은 상기 래크(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래크커넥터(260)에 출력측이 형성되며, 내측에서 상기 슬레이브(320)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상기 후면개구(219)에 고정되는 상기 래크커넥터(260)로 안내한다.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상기 캐비넷커넥터(120)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래크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래크커넥터(260)의 전면, 도 8b는 래크커넥터(260)의 후면이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래크커넥터(260)는 상기 래크(200)의 후면개구(219) 외측에서 밀착되어 나사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261)와, 상기 제1플레이트(261)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양각부(264)와, 상기 양각부(264)에서 양측의 전지모듈그룹(240, 24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262)와, 상기 양각부(264)에서 상기 슬레이브(320)로부터 연장되는 신호라인(271)의 끝단이 체결되는 제1신호라인커넥터(2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261)는 상기 래크(200)의 후면에서 밀착되어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261)는 나사가 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나사공(261a)이 형성되며,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양각형성되는 양각부(264)가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61)의 후면은 상기 제1전원단자(262)의 끝단에서 상기 전지모듈의 그룹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의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양각부(264)는 상기 제1플레이트(261)의 정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플레이트(121)의 음각형성되는 음각부(124)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양각부(264)는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전원단자(122)가 상기 제1전원단자(262)와 체결되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되는 단자인출홈(264a)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인출홈(264a)은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돌출되고 그 사이에 빈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양각부(264)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전원단자(122)의 내측으로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삽입되어 체결되면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가 상기 단자인출홈(264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262)는 상기 래크(200)의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241~244)에서 인가되는 양과 음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단자로서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전원단자(122)에 체결되도록 암 또는 수형상을 갖는다. 도 8a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제1전원단자(262)는 상기 단자인출홈(264a)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삽입되는 암형상의 단자공(262a)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는 상기 신호라인가이드수단(230)을 통하여 연장되는 슬레이브(320)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의 끝단(271)이 후면에서 체결되고, 전면에서 하기의 제2신호라인커넥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는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에 구성되는 제2신호라인커넥터(123)와 암수체결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상기 래크커넥터(260)의 제1플레이트(261)의 후면에서 제1전원단자(262)에 상기 전지모듈그룹(240, 240')의 전원 케이블을 볼트와 같은 기구를 통하여 고정 및 연결하고, 상기 신호라인가이드수단(230)을 통하여 연결되는 신호라인의 끝단(271)을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에 삽입함으로서 상기 래크(200)내의 전지모듈그룹(240, 240')과 슬레이브(32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및 신호라인(271)을 래크커넥터(26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캐비넷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9a는 상기 캐비넷커넥터의 전면, 도 9b는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넷커넥터(120)는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암수형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261)의 양각부(264)가 삽입되도록 음각형성된 음각부(124)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121)와, 상기 음각부(124)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삽입되도록 단자공(122a)을 구비하는 제2전원단자(122)와, 상기 음각부(124)에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에 삽입되는 제2신호라인커넥터(123)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121)는 상기 양각부(264)가 인입되도록 음각형성되는 음각부(124)가 구비되며, 상기 음각부(124)의 외측으로 상기 캐비넷(100)의 후면(110)에 밀착되어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121)는 하나 이상의 제2나사공(121a)을 구비한다.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상기 음각부(124)에서 돌출되어 중심부에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삽입되는 단자공(122a)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수형상을 갖는다면,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상기 제1전원단자(2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암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신호라인커넥터(123)는 후면에서 마스터 또는 타 래크의 슬레이브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체결되어 전면의 상기 음각부(124)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암수결합구조를 갖는 캐비넷커넥터(120)와 래크커넥터(260)는 상기 래크(200)가 상기 캐비넷에서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다 수개의 수납공간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래크(200)를 캐비넷(100)의 수납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래크커넥터(260)가 캐비넷후면(110)에 장착되는 캐비넷커넥터(12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하다. 이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캐비넷커넥터(120)와 래크커넥터(26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래크커넥터(260)의 제1플레이트(26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양각부(264)는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전면에서 음각형성되는 음각부(12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단자(262)는 상기 제2전원단자(122)의 단자공(122a)에 삽입되고, 상기 제2신호라인커넥터(123)는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외면이 상기 양각부(264)의 단자인출홈(264a)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제1전원단자(262)와 제2전원단자(122),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와 제2신호라인커넥터(123)의 내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커넥터 및 단자간의 체결구조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전면에서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체결되고, 후면에서 타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전원단자(122)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150)이 고정된다. 상기 전원 케이블(150)은 서로 다른 래크커넥터(260)의 전원단자에 체결되는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의 제2전원단자(122)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래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는 후면에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에 전원 케이블(150)의 연결단자가 안착되고, 상기 단자공(122a)에 볼트(140)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2전원단자(122)에 전원 케이블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2신호라인커넥터(123)는 상기 마스터(310)에서 연결되는 신호라인(132)이 연결되는 단자(131)가 후면에서 삽입되어 전면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신호라인커넥터(123)는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캐비넷커넥터(120)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26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200)의 슬레이브(320)는 상기 마스터(310)와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캐비넷(100)에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래크(200)내에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벽(218)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241~244)을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 내의 각각의 전지모듈(241~244)의 전원의 입출력 및 이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로 슬레이브(320)에 신호라인을 연결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에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지모듈(242, 244)의 전지탭에서 상기 모듈커넥터(220)의 서로 다른 전원단자에 연결시킨다. 상기 모듈커넥터(220)의 전원단자는 상기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의 전원선이 서로 다른 단자에 연결되며, 상호 단선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1전지모듈그룹(240)과 제2전지모듈그룹(240')은 상기 모듈커넥터(220)에 연결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모듈플러그(250)가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선된 상태이다.
아울러 작업자는 상기 캐비넷(100)의 후면(110)에서 수납공간별로 고정되는 캐비넷커넥터(120)의 후면에서 전원케이블(150)을 제2전원단자(122)에 연결하고, 상기 마스터(310)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제2신호라인커넥터(123)에 각각 연결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래크(200)를 상기 캐비넷(100)의 수납공간으로 인입시키도록 가압하면, 상기 래크(200)는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래크(200)의 후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후면(110)에 밀착되어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캐비넷커넥터(120)가 상호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200)는 상기 캐비넷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됨에 따라서 타 래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래크(200)는 상기 전지모듈의 이상을 감지하는 슬레이브(320)에서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체결되는 제1신호라인커넥터(263)가 상기 제2신호라인커넥터(123)에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캐비넷(100)의 마스터(31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모듈커넥터(220)와 모듈플러그(250)에 의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연결되는 전지모듈그룹간의 연결시에 접촉저항에 의한 서지에 의한 화재 및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캐비넷커넥터(120)를 암수결합구조로 구성하였기에 단순히 래크(200)를 캐비넷 내측에 수납시키는 과정만으로 래크(200)와 캐비넷(100)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래크커넥터(260)와 캐비넷커넥터(120)의 결합구조는 서로 다른 래크(200)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위한 케이블의 연결과정과, 마스터(310)와 슬레이브(32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라인의 배선과정이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캐비넷 110 : 캐비넷후면
120 : 캐비넷커넥터 121 : 제2플레이트
121a : 제2나사공 122 : 제2전원단자
123 : 제2신호라인커넥터 124 : 음각부
131 : 신호라인끝단 132 : 신호라인
140 : 볼트 150 : 전원케이블
200 : 래크 210 : 본체
211 : 착탈구 212 : 전면프레임
213 : 전면 213a : 삽입구
214 : 도어 214a : 삽입돌기
216 : 스위치 217 : 방열구
218 : 구획벽 219 : 후면개구
220 : 모듈커넥터 221 : 삽입단
230 : 신호라인가이드수단 240, 240' : 전지모듈그룹
250 : 모듈플러그 260 : 래크커넥터
261 : 제1플레이트 262 : 제1전원단자
263 : 제1신호라인커넥터 264 : 양각부
310 : 마스터 320 : 슬레이브

Claims (11)

  1. 내측에서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넷;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캐비넷의 수납공간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래크;
    상기 래크의 후면에서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래크커넥터; 및
    상기 캐비넷에서 상기 래크의 후면이 밀착되는 수납공간별 후면에서 전기적으로 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캐비넷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래크커넥터와 캐비넷커넥터는 상기 래크가 상기 캐비넷의 수납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암수결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연결되어 그룹화된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그룹;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그룹에서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고, 접속된 전원 케이블이 상호 단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모듈 커넥터; 및
    상기 모듈커넥터에 삽입되면서 각각 서로 다른 전지모듈그룹이 연결되는 상기 모듈커넥터의 전원단자 사이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모듈플러그를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면에서 개구 형성되는 착탈구; 및
    상기 전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착탈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면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및 하향 연장되는 벽면으로서 기호, 숫자, 문양중 어느 하나로서 장식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끝단에서 외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상향 되는 단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커넥터는
    상기 래크의 후면에서 밀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서 양각형성되는 양각부; 및
    상기 양각부에서 돌출되는 수 형상을 갖고 돌출되며, 후면에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전원단자의 외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향된 단자인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커넥터는
    상기 캐비넷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음각 형성되어 상기 래크커넥터에서 돌출형성되는 양각부가 삽입되는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에서 타 캐비넷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 저장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래크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단자는 상기 제1전원단자가 삽입되면 상호 간에 전기적 통전이 가능하도록 내면이 도전체로 이루어진 단자공을 더 포함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상기 래크 내에서 전지모듈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를 제어하는 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래크커넥터는 후면에서 상기 슬레이브에서 연장되는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커넥터는 후면에서 상기 마스터 또는 타 래크의 슬레이브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제2신호라인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신호라인커넥터와 제2신호라인커넥터는 암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바닥면에서 직립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 사이를 절연 및 구획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이 용이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0130054843A 2013-05-15 2013-05-15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150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843A KR101507222B1 (ko) 2013-05-15 2013-05-15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843A KR101507222B1 (ko) 2013-05-15 2013-05-15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886A true KR20140134886A (ko) 2014-11-25
KR101507222B1 KR101507222B1 (ko) 2015-03-30

Family

ID=5245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843A KR101507222B1 (ko) 2013-05-15 2013-05-15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2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9267A1 (zh) 2016-09-30 2018-04-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柜
KR101978321B1 (ko) * 2018-09-19 2019-05-1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스키드 스티어로더용 착탈식 배터리 랙 시스템
KR20200101094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제조 방법
KR20200101089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KR20200101090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KR20200101092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WO2022124539A1 (ko) * 2020-12-07 2022-06-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드 타입의 ess 배터리 팩
EP4037117A4 (en) * 2019-09-27 2024-02-21 Byd Co Ltd POWER SUPPLY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317B2 (ja) * 2003-01-30 2007-02-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バッテリー箱
JP5618356B2 (ja) * 2010-05-19 2014-11-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および電源装置
JP5373757B2 (ja) * 2010-12-22 2013-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255243B1 (ko) *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9267A1 (zh) 2016-09-30 2018-04-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柜
KR20190043589A (ko) * 2016-09-30 2019-04-26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파워 캐비닛
KR101978321B1 (ko) * 2018-09-19 2019-05-14 이텍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스키드 스티어로더용 착탈식 배터리 랙 시스템
KR20200101094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제조 방법
KR20200101089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KR20200101090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KR20200101092A (ko) * 2019-02-19 2020-08-27 현진이앤에스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
EP4037117A4 (en) * 2019-09-27 2024-02-21 Byd Co Ltd POWER SUPPLY CABINET
WO2022124539A1 (ko) * 2020-12-07 2022-06-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드 타입의 ess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222B1 (ko) 201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222B1 (ko)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CN104901080B (zh) 用于电动交通工具的壁式插头系统
US9112319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5191276A (en) Versatile battery/charger module and system
CN101553959A (zh) 电源板条系统
US20170187155A1 (en) Wiring device with connector integrated into pcb substrate
US20180316215A1 (en) Modula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2015521343A (ja) 電力貯蔵アセンブリ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CN214099751U (zh) 可层叠式放置的电池箱体和具有该电池箱体的电池系统
WO2021093629A1 (zh) 一种可堆叠的充电柜单元
CN109155378B (zh) 蓄电模块和控制设备的连接结构
JP3925089B2 (ja) 電源装置ならびに電源ユニットの連結構造
WO2021093827A1 (zh) 一种移动电源租借设备
KR102045782B1 (ko)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
CN212462272U (zh) 一种扩展式电插座
CN115313110A (zh) 插头
CN209823019U (zh) 一种组合型电源分配器插座
CN220155883U (zh) 一种储能箱的锁定装置及储能箱
CN109788699B (zh) 开放运算服务器机柜及其扩充电源模块
CN214378695U (zh) 一种储能柜以及用电设备
CN215933863U (zh) 扩展模块及控制柜
CN217544968U (zh) 一种电连接器、充电设备、连接设备和电子设备
CN220042380U (zh) 一种德意式转换器
CN219321780U (zh) 排插
JP3922297B1 (ja) 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