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972A - 이중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이중 기능성 의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972A
KR20140131972A KR20147026344A KR20147026344A KR20140131972A KR 20140131972 A KR20140131972 A KR 20140131972A KR 20147026344 A KR20147026344 A KR 20147026344A KR 20147026344 A KR20147026344 A KR 20147026344A KR 20140131972 A KR20140131972 A KR 2014013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rm
seat
tooth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082B1 (ko
Inventor
안드르제즈 키에릴로
마테우스 키에릴로
Original Assignee
휴먼 플러스 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 플러스 에스.씨. filed Critical 휴먼 플러스 에스.씨.
Publication of KR2014013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좌석에 앉거나 무릎꿇고 앉을 수 있는 분할 가능한 좌석을 가지는 이중 기능성 의자로, 무릎받침대로 전환할 수 있고, 환형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또는 환형으로 좌석의 베이스의 움직이는 프론트암과 연결되며 회전장치(3)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좌석의 앞부분(1)과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좌석의 뒷부분(4)이 회전장치(5)를 통해 좌석의 베이스의 리어암(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기능성 의자{A DUAL FUNCTIONAL CHAIR}
본 발명의 목적은 좌석에 앉거나 무릎꿇고 앉을 수 있도록 분할 가능한 좌석을 가지는 이중 기능성 의자로, 자세를 바꿀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척추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유형의 의자는 폴란드 실용신안 제640081호에 개시되어 있다. ‘X’자 형태로 내장된 등받이가 없고 무릎을 꿇고 앉기 위해 개발된 재활의자가 공지되어 있다.
유사한 목적의 다른 방법 또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좌석에 앉거나 무릎꿇고 앉기 위하여 제작된 가구의 전환 가능한 부분이 폴란드 특허출원번호 P.39073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무릎받침대의 두 부품으로 이루어진 세트가 가로대의 걸쇠에 기댈 수 있도록 환형으로 된 기둥에 설치된다.
유사한 목적의 또 다른 방법도 알려져 있는데, 그 예로서 유럽특허출원번호 EP0570550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고, 좌석과 무릎 받침대와 등받이가 바퀴 달린 베이스 위의 지지기둥 위에 설치된 적절한 기구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필요에 따라 위자의 사용할 수 있는 부품 공간에 움직임을 고려한 레버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자는 좌석에 앉는 것과 무릎꿇고 앉는 것과 이와 유사한 구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좌석과 무릎 받침대와 등받이의 위치 고정은 잠금 장치와 후방정지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게다가 폴란드 특허출원번호 P.387898호도 비슷한 형태의 가구 부품들을 개시하고 있다. 의자는 좌석과 두 개의 무릎 받침대, 등받이, 팔걸이로 이루어져 있다. 무릎 받침대 세트는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그것들 각각은 무릎 받침대를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고 뒤로 밀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의자의 좌석이 분할가능하고, 상기 좌석의 앞부분은 무릎 받침대로 전환되며, 의자는 2개의 좌석지지 암을 가지고, 상기 암중 첫 번째 움직이는 암은 무릎 받침대로 전환되는 좌석의 앞부분을 지지하고, 두 번째 암은 좌석의 뒷부분과 등받이를 지지하며 의자는 3개의 특별히 형성된 암으로 된 베이스를 가지고, 두 개의 리어암 각각은 두 개의 바퀴로 지지되며, 한 개의 프론트암은 한 개의 바퀴로 지지되어 베이스는 사용자가 무릎꿇고 있는 자세에서 좌석 아래에 발을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의자의 구조체에서 베벨 기어 장치의 활용 또는 톱니바퀴 벨트나 체인 또는 다른 타이 로드 시스템을 이용한 전송은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 스프링에 의해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 무릎 꿇고 앉는 구성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반면, 의자가 좌석에 앉는 구성으로 돌아올 때에는 좌석을 누르는 사용자의 체중에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의자의 반자동 형태이다. 전송장치를 제어하는 전동기구와 전기 모터 형태의 전동기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두 구성으로의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완전 자동 형태이다.
의자의 구조체에 포함되어 변환 도중 각도를 자동으로 수정하는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로 인해 수직에 대한 등받이의 경사각은 변환 도중에 변하지 않고 보정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의자의 기본 형태에 포함된 걸쇠 봉쇄대로 된 잠금장치로 인해 좌석이 들어올려진 후 걸쇠에 의해 무릎 꿇고 앉는 구성으로 잠기고, 좌석을 반복해서 들어올리면 좌석의 잠금 해제가 되고 자동으로 좌석이 하락하여 의자에 앉는 구성으로 된다. 무릎 받침대 또한 기둥 회전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가볍게 한번 들어올리면 잠기지 않는다. 초기 위치로 되돌리면 자동으로 다시 잠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능성 의자는 좌석 베이스는 무릎받침대로 전환될 수 있는 좌석의 앞부분(1)과 움직일 수 있는 프론트암(2)에 환형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연결된 좌석과 회전 장치(3)의 축을 따라 암이 회전하는 좌석 베이스와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장치(5)에 의해 좌석 베이스의 리어암(6)에 연결된 좌석의 뒷부분(4)을 포함하는 분할가능한 좌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기둥(14)의 슬리브(16)가 의자 베이스의 약 72 간격으로 떨어져 원형으로 배열된 다섯 개의 바퀴들(15)로 지지되는 세 개의 암들(17, 19, 20)로 지지되고, 바닥의 프론트암(17)은 한 개의 바퀴로 지지되며, 두 개의 리어암(19, 20)은 각각 두 개의 바퀴(15)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석의 앞부분(1)의 회전 움직임은 베벨기어(21)에 의하여 롤러(22)를 통해 암(2)을 회전시키는 베벨기어(23)에 전달되고, 기어(23)의 움직임은 상기 기어(23)과 공통축을 가지고 위치한 기어(24)를 통해 롤러(25)를 움직이며, 상기 롤러(25)의 움직임은 좌석의 앞부분(1)이 무릎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위치를 변경하는 기어(26)의 회전 움직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석의 앞부분(1)의 움직임은 톱니바퀴벨트휠(27)에 전달되는데, 상기 과정은, 상기 톱니바퀴벨트휠(27)은 톱니바퀴벨트(28)을 통해 톱니바퀴(29)에 회전 움직임을 전달하고, 이중톱니바퀴기어(30)의 두 개의 톱니바퀴(30a, 30b)는 톱니바퀴(29)와 동축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두 개의 톱니바퀴 중 첫 번째 것은 휠(29)와 함께 돌고, 두 번째 것(30b)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축으로 가로막히며, 회전하면서 톱니바퀴(30a)는 상기 톱니바퀴(30a)와 동축상에 있고 암(2)와 연결된 톱니바퀴(30c)를 돌리고, 톱니바퀴(30c)가 암(2)를 회전시키며, 톱니바퀴(30d)를 가로막는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축과 연결된 톱니바퀴(30b)는 암(2)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암(2)에 대하여 톱니바퀴(30d)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톱니바퀴(30d)와 연결된 톱니바퀴벨트휠(31)도 함께 동축상에서 회전하여 움직임을 톱니바퀴벨트(32)를 통해 무릎받침대(1)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벨트휠(33)에 전달하고, 암(43)은 휠(29)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상기 휠(29)와 연결되고 스프링(42)는 암(43)과 상호작용하며, 잠금장치(41)를 해제하면 좌석은 수평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며, 연속적인 기어를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며, 동시에, 스프링(42)이 다시 신장상태가 되고, 회전 잠금장치는 이 구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석의 뒷부분(4)의 움직임은 체인(35)을 통해 톱니바퀴(36)에 회전 움직임을 전달하는 톱니바퀴(34)에 전달되고, 이중 톱니바퀴기어(37)의 두 개의 톱니바퀴들(37a, 37b)은 톱니바퀴(36)의 공통축에 정렬되고 두 톱니바퀴들 중 첫 번째 것은 톱니바퀴(36)과 함께 회전화고, 두 번째 것(37b)은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축에 막히며, 회전 도중에, 톱니바퀴(37a)는 상기 톱니바퀴(37a)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암(2)와 연결된 휠(37c)를 회전시키며, 톱니바퀴(37c)는 상기 톱니바퀴(37c)와 연결된 암(2)를 회전시키고, 회전하지 않는 축에 연결되어 톱니바퀴(37d)가 막혀을때 암(2)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톱니바퀴(37b)는 암(2)에 대하여 톱니바퀴(37d)를 회전시키며, 톱니바퀴(37d)와 연결된 톱니바퀴벨트휠(38)은 톱니바퀴(37d)과 동축으로 회전하고, 체인(39)을 통해 무릎 받침대(1)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40)에 움직임을 전달하고, 암(43)은 휠(29)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연결되고 스프링(42)은 암(43)과 상호작용하며, 잠금장치(41)를 해제하면 좌석의 뒷부분(4)이 수평 위치로 회전하여 연속적인 기어의 움직임을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동시에, 암(43)은 스프링(42)이 다시 신장 상태가 되도록 하고 회전 잠금 장치는 이 구성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자가 펴지도록 하는 장치의 요소, 특히 기어(21 또는 23) 또는 롤러(22)에 부착되는 저속 전기 엔진에 의해 의자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잠금장치(41)가 해제되면 좌석의 뒷부분(4)의 회전 움직임은 타이로드(63)와 축(64)를 통해 암(2)에 전달되어 상기 암(2)이 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좌석 뒷부분(4)의 회전 움직임은 타이로드(63)의 움직임을 통해 크랭크(64)에 전달되며, 그 후에 상기 회전움직임은 크랭크(64)와 동축으로 연결된 무릎받침대(1)가 회전하도록 하는 크랭크(66)을 축(64)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타이로드(65)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자가 무릎꿇고 앉는 구성으로 변환되는 도중에 각도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등받이 경사각조절장치가 장착되는데, 상기 경사각조절장치는 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등받이(10)의 지지봉(7)의 위치가 상기 등받이지지봉에 환형으로 장착된 타이로드(45)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타이로드(45)는 슬라이드잠금장치(47)가 있는 슬라이더(46)에 환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46)는 스프링(49)과 슬리브(48)안으로 영구적으로 미끄러지는 장착요소(50)로 구성되며, 롤러(51)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정렬된 등받이 경사 세트는, 타이로드(52)에 의해 장착요소(50)로 전달되는 좌석의 뒷부분(4)의 경사 움직임은 슬리브(48)에 장착된 등받이(10)의 경사를 변경하고, 타이로드(45)를 통해 등받이(10)의 지지봉(7)의 경사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잠금장치(5, 53)가 있는 회전 장치는, 캠(57)이 톱니가 있는 암(54)과 동축으로 정렬되고 볼트(56)를 통해 상기 암(54)와 연결되고, 상기 암(54)의 움직임은 걸쇠(55)에 의해 봉쇄되며, 캠은 걸쇠(55)를 들어올려 지지함으로써, 상기 걸쇠(55)가 일시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며, 걸쇠는 스프링(58)에 의해 암(54)쪽으로 눌려지고, 휠(54)은 영구적으로 상기 휠(54)에 연결된 볼트(56)를 통해 캠(57)을 회전시키고, 캠(57)의 회전은 회전되는 볼트(56)가 홈(59)의 끝에 다다를 때 회전하는 휠(54)에 의해 야기되며,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휠(54)는 볼트(56)가 홈(59)의 끝점에 다다를 때 캠(57)을 당기는데 캠(57)의 회전으로 인해 걸쇠(55)가 들어올려지고, 휠(54)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순간부터, 상기 휠(54)의 톱니는 볼트(56)가 홈(59)의 반대쪽 끝에 다다를때까지 들어올려져 있는 걸쇠(55) 아래로 자나가서 캠(57)을 걸쇠 밑에서 제거되도록 상기 캠(57)을 회전시키며, 암의 반복된 반시계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스프링(58)에 의해 암쪽으로 밀리는 걸쇠가 지지되지 않게 하고 걸쇠가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좌석과 무릎 받침대를 통합한 것으로, 따라서 보통의 의자와 유사하게 만들어 이중 기능성 의자가가 보편적으로 된다. 이러한 방법은 가구의 재활용 특성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량을 부여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이 사무실이나 공공장소에 널리 사용되도록 한다. 베이스의 특별한 구조는 좌석 아래에 발을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안락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전동기구 또는 타이로드의 개별 변형들의 활용의 유리한 효과는 반자동과 엔진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완전 자동으로 의자가 변환되는 가능성인데, 이것은 특히 척추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중요하다.
자동으로 경사각을 보정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 장치의 활용의 유리한 효과는 의자를 변환한 후 수동으로 보정할 필요 없이 등받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이다.
기본형 또는 이코노믹 모델에서 의자의 걸쇠 봉쇄대가 적용된 화전 잠금 장치의 활용의 유리한 효과는 레버나 잠금장치를 추가로 사용할 필요 없이 가볍게 들어올림으로써 좌석과 무릎 받침대를 의자에 앉는 자세에서 무릎 꿇고 앉는 자세로 잠금을 해제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좌석에 앉는 구성일 때의 의자이다.
도 2는 변환의 첫 번째 단계이다.
도 3은 무릎 꿇고 앉는 구성일 때의 의자이다.
도 4는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좌석에 앉는 구성일 때의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무릎 꿇고 앉는 구성일 때의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 베벨기어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8은 무릎 꿇고 앉는 구성에서 베벨기어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9는 톱니바퀴 벨트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와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의 톱니바퀴 벨트이다.
도 10은 톱니바퀴 벨트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와 무릎 꿇고 앉는 구성에서의 톱니바퀴 벨트이다.
도 11은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 톱니바퀴와 체인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2는 무릎 꿇고 앉는 구성에서 톱니바퀴와 체인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3은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 타이로드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4는 무릎 꿇고 앉는 구성에서 타이로드에 기반한 변환장치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5는 좌석에 앉는 구성에서 회전 잠금 장치와 걸쇠 봉쇄대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6은 무릎 꿇고 앉는 구성에서 회전 잠금 장치와 걸쇠 봉쇄대를 구비한 의자이다.
도 17은 변환 도중에 경사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등받이 경사각 조절 장치이다.
도 18은 연속된 동작 단계에서의 회전 잠금과 걸쇠 봉쇄대를 가지는 회전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 및 도 6은 무릎 받침대로 변환되는 좌석의 앞부분(1)과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좌석의 뒷부분(4)로 구성된 분할 가능한 좌석을 가지는 의자이다. 좌석 베이스의 리어암(6)은 환형으로 지지기둥(14)에 장착되는데, 리어암은 좌석의 뒷부분(4)을 지탱하는 판(8)과 회전 잠금 장치가 있는 회전장치(5)를 통해 연결된다. 좌석 베이스의 프론트 암(2)은 리어암의 하층부에 회전 잠금장치가 있는 회전 장치(3)를 통해 연결된다. 좌석의 앞부분(1)은 프론트 암(2)의 윗부분에 회전이 제한되고 수평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회전 및 미끄럼 장치(미도시) 또는 화전 잠금장치만 있는 회전장치(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등받이 지지봉(7)은 등받이(10)와 팔걸이 세트들(9)을 지지한다. 머리받침대(12)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 지지봉(11)는 등받이에 장착된다. 지지기둥(14)은 약 72도씩 떨어져 원형으로 배열된 5개의 바퀴(15)로 지지되는 세 암베이스(도 4)의 슬리브(16)안으로 미끄러지는데, 프론트암(17)은 한 개의 바퀴로 지지되고, 각각의 리어암(19, 20)은 두 개의 바퀴로 지지된다. 레버(13)에 의해 풀리는 의자 높이 조절 장치(18)은 슬리브(16)에 위치한다.
베벨 기어를 장착한 반자동 의자(도 7 및 도 8)에서 의자를 펼치는 움직임은 좌석의 뒷부분(4)으로부터 무릎 받침대로 변환되는 좌석의 앞부분(1)으로 베벨 기어에 의하여 전송된다. 베벨기어(21)의 더 큰 톱니바퀴는 좌석의 뒷부분(4)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기어(21)의 더 작은 톱니바퀴는 롤러(22)에 장착된다. 베벨기어(23)는 롤러(22)의 반대쪽 끝에 장착된다. 기어의 두 번째 톱니바퀴(23)는 프론트암(2)과 동축으로 연결된다. 기어의 톱니바퀴(24)는 기어의 더 큰 톱니바퀴(23)와 공통의 축으로 연결된다. 기어의 톱니바퀴(23)와 암(2)은 축에 환형으로 장착되고 기어의 톱니바퀴(24)는 케이스에 비환형으로 연결된다. 기어의 두 번째 톱니바퀴(24)는 롤러(25)에 장착되는데, 기어의 톱니바퀴(26)의 반대쪽 끝에 위치한다. 기어의 더 큰 톱니바퀴(26)는 무릎 받침대(1)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암(2)과 상기 암(2)이 연결된 축상에 암(43) 또한 위치하는데, 상기 암(43)은 상기 축에 연결된 스프링(42)과 상호작용한다. 전체 장치의 회전은 회전 잠금장치(41)에 의해 막힌다.
암(43)을 통해 스프링(42)의 잠금장치(41)를 해제하는 것이 기어(23)의 회전을 야기한 후, 전체 장치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의자는 무릎 꿇고 앉는 구성으로 전환된다. 잠금장치(41)은 장치를 두 가지의 형태로 유지한다.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좌석을 누르는 사용자의 손은 수평 위치로 좌석의 회전을 야기하고, 연이은 기어들의 움직임을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전달되며, 동시에 암(43)은 스프링(42)이 다시 신장상태로 되게 한다.
톱니바퀴 벨트 기어와 톱니바퀴벨트를 가지는 반자동 형태의 의자에서(도 9 및 도 10) 좌석의 뒷부분(4)는 톱니바퀴벨트휠(27)과 동축으로 장착되는데, 톱니바퀴벨트휠(27)은 톱니바퀴(29)와 톱니바퀴벨트(28)를 통해 연결된다. 톱니바퀴(29)의 공통축상에 이중톱니바퀴기어(30)의 두 개의 톱니바퀴(30a, 30b)가 장착되고, 두 톱니바퀴 중 첫 번째것은 톱니바퀴(29)와 함께 회전하는 반면, 두 번째 것(30b)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축에 고정된다. 회전하는 동안 톱니바퀴(30a)는 동축으로 암(2)과 연결된 톱니바퀴(30c)를 돌린다. 회전하는 동안 톱니바퀴(30c)는 거기에 연결된 암(2)을 회전시킨다. 톱니바퀴(30b)는 회전하지 않는 축과 연결된다. 톱니바퀴(30d)를 차단함으로써, 암(2)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암(2)을 중심으로 하는 톱니바퀴(30d)의 회전을 야기한다.
톱니바퀴(30d)의 공통축상에 연결되고, 톱니바퀴벨트(32)에 의하여 톱니바퀴벨트휠(33)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무릎 받침대(1)와 연결된 톱니바퀴벨트휠(31)이 있다. 톱니바퀴(29)에 연결되고 스프링(42)과 상호작용하는 암(43)이 톱니바퀴(29)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스프링은 암(43)의 회전을 야기하고, 암의 회전은 톱니바퀴(29, 30a)들의 회전을 야기한다. 결국, 상기 톱니바퀴들의 회전은 추가적인 톱니바퀴 장치들의 회전을 야기하는데, 이로 인해 좌석의 뒷부분(4)과 무릎 받침대(1)의 위치를 무릎 꿇고 앉는 구성으로 변경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좌석의 뒷부분(4)을 누르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좌석 뒷부분이 수평위치로 회전하고 연속된 기어의 움직임을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전달되고, 동시에 암(43)은 스프링(42)을 다시 신장상태가 되게 한다. 회전잠금장치(41)는 장치를 이 구성으로 유지되게 한다.
톱니바퀴휠과 체인을 가지는 반자동 의자에서(도 11 및 도 12), 좌석의 뒷부분(4)은 톱니바퀴(34)와 동축으로 장착되는데, 상기 톱니바퀴는 체인(35)을 통해 톱니바퀴(36)와 연결된다. 톱니바퀴(36)의 공통축에 이중톱니바퀴기어(37)의 두 톱니바퀴(37a, 37b)가 정렬되고, 상기 두 톱니바퀴 중 첫 번째것은 톱니바퀴(36)를 따라 도는 반면, 두 번째 것(37b)은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축에 잠겨있다. 도는 도중에 톱니바퀴(37a)는 암(2)과 동축으로 연결된 톱니바퀴(37c)와 상호작용한다. 도는 도중에 톱니바퀴(37c)는 상기 톱니바퀴에 연결된 암(2)의 회전을 야기한다. 톱니바퀴(37b)는 화전하지 않는 축에 연결된다. 톱니바퀴(37d)를 차단함으로써, 암(2)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톱니바퀴(37d)의 암(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야기된다.
톱니바퀴(37d)의 공통축 상에서 체인(39)을 통해 톱니바퀴(40) 및 무릎 받침대(1)와 연결된 톱니바퀴(38)가 있다. 톱니바퀴(36)와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스프링(42)과 상호작용하는 암(43)이 있다.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스프링(42)은 암(43)의 회전을 야기하고, 암의 회전은 톱니바퀴들(36, 37a)의 회전을 야기한다. 다음에는, 상기 톱니바퀴들의 회전은 좌석의 뒷부분(4)과 무릎 받침대(1)의 위치를 무릎 꿇고 앉는 구성으로 전환시키는 톱니바퀴들을 더욱 더 회전시킨다.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좌석의 뒷부분(4)을 누르는 사용자의 손은 수평 위치로 뒷부분(4)을 회전시키고 연속되는 기어의 움직임을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가 초기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전달되고, 동시에 암(43)은 스프링(42)을 다시 신장상태가 되도록 한다. 회전잠금장치(41)는 이 구성으로 장치를 유지시킨다.
타이로드가 있는 반자동의자에서(도 13 및 도 14), 잠금장치(41)를 해제한 후 좌석의 뒷부분(4)의 회전은 타이로드(60) 및 암(2)에 연결된 축(61)을 통해 전달되는데, 이는 축(62)을 중심으로 무릎꿇고 앉는 구성이 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좌석의 뒷부분(4)의 회전 움직임은 타이로드(63)의 움직임을 야기하는데, 이것은 크랭크(64)에 전달된다. 축 주변으로의 크랭크의 회전 움직임은 계속해서 타이로드(65)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크랭크(66)의 회전을 야기하는 이 타이로드는 연이어서 축(67)과 동축으로 연결된 무릎 받침대(1)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 실시 예에서, 펴지도록 하는 스프링(42)은 축(62)에 감겨있는 스프링으로 대체된다.
회전잠금장치(5, 53)가 쓰인 회전 장치가 있는 기본형 의자에서(도 15 및 도 16), 그 장치는 캠(57)이 암(54)의 톱니바퀴와 동축으로 위치하고 암에 볼트(56)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암(54)의 회전움직임은 스프링(58)으로 암(54)을 누르는 걸쇠(55)로 일시적으로 봉쇄되고, 캠(57)은 일시적으로 걸쇠(55)를 들어올려 지탱함으로써 걸쇠(55)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암(54)의 움직임은 볼트(56)에 의하여 캠(57)을 회전시키는데, 이것은 영구적으로 암(54)과 연결되고 캠(57)안의 링의 부채꼴 모양의 홈(59) 안으로 이동한다. 캠의 회전은 암(54)을 회전시키는데, 이때 볼트의 회전은 홈(59)의 끝점에 이른다. 볼트(56)가 홈(59)의 끝점에 이르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암(54)은 캠(57)을 당기고, 움직이는 캠(57)은 걸쇠(55)를 들어올린다. 이때부터 시작해서 암(54)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일 때 암(54)의 톱니바퀴는 들어올려진 걸쇠(54) 밑으로 지나가는데 볼트가 홈(59)의 반대쪽 끝에 다다를때까지 들어올려지는게 지속되고, 캠을 회전시켜서 걸쇠밑으로부터 그것을 제거한다. 반복해서 암을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지지되지 않는 걸쇠는 스프링에 의해 암쪽으로 밀리고 걸쇠가 작동한다.
의자는 변환도중에 각도를 자동으로 보정하면서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데(도 17), 이 장치는 타이로드(45)가 축(44)으로 회전하는 등받이 지지봉(7)과 환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로드는 슬라이더 잠금장치(47)을 가지는 슬라이더(46)에 환형으로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슬리브(48)에 장착된다. 스프링(49) 및 슬리브(48)가 영구적으로 안으로 슬라이드되는 요소(50)가 함께 등받이 경사 세트를 구성한다. 상기 세트는 타이로드(52)에 의하여 전달되는 좌석의 뒷부분(4)의 경사 움직임이 롤러(51)의 슬리브(48)에 장착된 전체 등받이 경사 세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타이로드(45)가 등받이 지지봉(7)의 경사각을 정정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롤러(51)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드 잠금장치(47)를 해제하여 등받이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더(46)은 슬리브(48)을 따라 등받이 지지봉(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장치(47)을 반복해서 잠그면 등받이의 움직임이 선택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1 : 팔걸이로 전환되는 좌석의 앞부분
2 : 좌석의 베이스의 프론트암
3 : 회전 잠금장치가 있는 회전 장치
4 : 좌석의 뒷부분
5 : 회전 잠금장치가 있는 회전 장치
6 : 좌석의 베이스의 리어암
7 : 등받이 지지봉
8 : 좌석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판
9 : 팔걸이 세트
10 : 등받이
11 : 머리받침대 지지봉
12 : 머리받침대
13 : 높이 조절 장치의 레버
14 : 기둥
15 : 의자 베이스의 바퀴들
16 : 베이스의 슬리브
17 : 의자의 베이스의 프론트암
18 : 높이 조절 장치
19 : 의자의 베이스의 리어암
20 : 의자의 베이스의 리어암
21 : 베벨 기어
22 : 롤러
23 : 베벨 기어
24 : 베벨 기어
25 : 롤러
26 : 기어박스
27 : 톱니바퀴 벨트 휠
28 : 톱니바퀴 벨트
29 : 톱니바퀴
30 : 이중 톱니바퀴 기어
30a ? 30d : 이중 톱니바퀴 기어(30)의 톱니바퀴들
31 : 톱니바퀴 벨트 휠
32 : 톱니바퀴 벨트
33 : 톱니바퀴 벨트 휠
34 : 톱니바퀴
35 : 체인
36 : 톱니바퀴
37 : 이중 톱니바퀴 기어
37a ? 37d : 이중 톱니바퀴 기어(37)의 톱니바퀴들
38 : 톱니바퀴
39 : 체인
40 : 톱니바퀴
41 : 잠금장치
42 : 스프링
43 : 암
44 : 회전축
45 : 타이로드
46 : 슬라이더
47 : 슬라이더 잠금장치
48 : 슬리브
49 : 스프링
50 : 슬리브 장착 요소
51 : 롤러
52 : 타이로드
53 : 회전 잠금장치
54 : 톱니바퀴가 있는 암
55 : 걸쇠
56 : 볼트
57 : 캠
58 : 스프링
59 : 링의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 홈
60 : 타이로드
61 : 축
62 : 회전축
63 : 타이로드
64 : 크랭크
65 : 타이로드
66 : 크랭크
67 : 회전축

Claims (10)

  1. 무릎 받침대로 전환될 수 있는 좌석의 앞부분(1);
    움직일 수 있는 좌석베이스의 프론트암(2)에 환형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연결된 좌석;
    회전 장치(3)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이 회전하는 좌석 베이스; 및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고 회전장치(5)에 의해 좌석 베이스의 리어암(6)에 연결된 좌석의 뒷부분(4);을 포함하는 분할가능한 좌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기둥(14)의 슬리브(16)가 의자 베이스의 약 72도 간격으로 떨어져 원형으로 배열된 다섯 개의 바퀴들(15)로 지지되는 세 개의 암들(17, 19, 20)로 지지되고,
    바닥의 프론트암(17)은 한 개의 바퀴로 지지되며,
    두 개의 리어암(19, 20)은 각각 두 개의 바퀴(15)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이 회전으로만 제한될 때 무릎받침대(1)와 암(2)을 연결하는 회전 및 슬라이딩 장치의 기술은 어떠한 회전장치로도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4.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좌석의 앞부분(1)의 회전 움직임은 베벨기어(21)에 의하여 롤러(22)를 통해 암(2)을 회전시키는 베벨기어(23)에 전달되는 단계;
    기어(23)의 움직임은 상기 기어(23)과 공통축을 가지고 위치한 기어(24)를 통해 롤러(25)를 움직이는 단계; 및
    상기 롤러(25)의 움직임은 좌석의 앞부분(1)이 무릎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위치를 변경하는 기어(26)의 회전 움직임을 야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5.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좌석의 앞부분(1)의 움직임은 톱니바퀴벨트휠(27)에 전달되고,
    상기 과정은,
    상기 톱니바퀴벨트휠(27)은 톱니바퀴벨트(28)을 통해 톱니바퀴(29)에 회전 움직임을 전달하는 단계;
    이중톱니바퀴기어(30)의 두 개의 톱니바퀴(30a, 30b)는 톱니바퀴(29)와 동축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두 개의 톱니바퀴 중 첫 번째 것은 휠(29)와 함께 돌고, 두 번째 것(30b)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축으로 가로막히는 단계;
    회전하면서 톱니바퀴(30a)는 상기 톱니바퀴(30a)와 동축상에 있고 암(2)와 연결된 톱니바퀴(30c)를 돌리는 단계;
    톱니바퀴(30c)가 암(2)를 회전시키는 단계;
    톱니바퀴(30d)를 가로막는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축과 연결된 톱니바퀴(30b)는 암(2)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암(2)에 대하여 톱니바퀴(30d)를 회전시키는 단계;
    동시에, 톱니바퀴(30d)와 연결된 톱니바퀴벨트휠(31)도 함께 동축상에서 회전하여 움직임을 톱니바퀴벨트(32)를 통해 무릎받침대(1)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벨트휠(33)에 전달하는 단계;
    암(43)은 휠(29)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상기 휠(29)와 연결되고 스프링(42)는 암(43)과 상호작용하는 단계;
    잠금장치(41)를 해제하면 좌석은 수평 위치가 되도록 회전하며, 연속적인 기어를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 및
    동시에, 스프링(42)이 다시 신장상태가 되고, 회전 잠금장치는 이 구성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6.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좌석의 뒷부분(4)의 움직임은 체인(35)을 통해 톱니바퀴(36)에 회전 움직임을 전달하는 톱니바퀴(34)에 전달되는 단계;
    이중 톱니바퀴기어(37)의 두 개의 톱니바퀴들(37a, 37b)은 톱니바퀴(36)의 공통축에 정렬되고 두 톱니바퀴들 중 첫 번째 것은 톱니바퀴(36)과 함께 회전하고, 두 번째 것(37b)은 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축에 막히는 단계;
    회전 도중에, 톱니바퀴(37a)는 상기 톱니바퀴(37a)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암(2)와 연결된 휠(37c)를 회전시키는 단계;
    톱니바퀴(37c)는 상기 톱니바퀴(37c)와 연결된 암(2)를 회전시키는 단계;
    회전하지 않는 축에 연결되어 톱니바퀴(37d)가 막혀을때 암(2)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톱니바퀴(37b)는 암(2)에 대하여 톱니바퀴(37d)를 회전시키는 단계;
    톱니바퀴(37d)와 연결된 톱니바퀴벨트휠(38)은 톱니바퀴(37d)과 동축으로 회전하고, 체인(39)을 통해 무릎 받침대(1)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40)에 움직임을 전달하는 단계;
    암(43)은 휠(29)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연결되고 스프링(42)은 암(43)과 상호작용하며,
    잠금장치(41)를 해제하면 좌석의 뒷부분(4)이 수평 위치로 회전하여 연속적인 기어의 움직임을 통해 암(2)과 무릎 받침대(1)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단계; 및
    동시에, 암(43)은 스프링(42)이 다시 신장 상태가 되도록 하고 회전 잠금 장치는 이 구성으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있어서,
    의자가 펴지도록 하는 장치의 요소, 특히 기어(21 또는 23) 또는 롤러(22)에 부착되는 저속 전기 엔진에 의해 의자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8.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잠금장치(41)가 해제되면 좌석의 뒷부분(4)의 회전 움직임은 타이로드(63)와 축(64)를 통해 암(2)에 전달되어 상기 암(2)이 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동시에, 좌석 뒷부분(4)의 회전 움직임은 타이로드(63)의 움직임을 통해 크랭크(64)에 전달되며, 그 후에 상기 회전움직임은 크랭크(64)와 동축으로 연결된 무릎받침대(1)가 회전하도록 하는 크랭크(66)을 축(64)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타이로드(65)가 움직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의자가 무릎꿇고 앉는 구성으로 변환되는 도중에 각도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등받이 경사각조절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경사각조절장치는,
    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등받이(10)의 지지봉(7)의 위치가 상기 등받이지지봉에 환형으로 장착된 타이로드(45)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타이로드(45)는,
    슬라이드잠금장치(47)가 있는 슬라이더(46)에 환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46)는,
    스프링(49)과 슬리브(48)안으로 영구적으로 미끄러지는 장착요소(50)로 구성되며,
    롤러(51)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정렬된 등받이 경사 세트는,
    타이로드(52)에 의해 장착요소(50)로 전달되는 좌석의 뒷부분(4)의 경사 움직임은 슬리브(48)에 장착된 등받이(10)의 경사를 변경하고,
    타이로드(45)를 통해 등받이(10)의 지지봉(7)의 경사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잠금장치(5, 53)이 있는 회전 장치는,
    캠(57)이 톱니가 있는 암(54)과 동축으로 정렬되고 볼트(56)를 통해 상기 암(54)와 연결되고, 상기 암(54)의 움직임은 걸쇠(55)에 의해 봉쇄되는 단계;
    캠은 걸쇠(55)를 들어올려 지지함으로써, 상기 걸쇠(55)가 일시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걸쇠는 스프링(58)에 의해 암(54)쪽으로 눌려지는 단계;
    휠(54)은 영구적으로 상기 휠(54)에 연결된 볼트(56)를 통해 캠(57)을 회전시키는 단계;
    캠(57)의 회전은 회전되는 볼트(56)가 홈(59)의 끝에 다다를 때 회전하는 휠(54)에 의해 야기되는 단계;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휠(54)는 볼트(56)가 홈(59)의 끝점에 다다를 때 캠(57)을 당기는데 캠(57)의 회전으로 인해 걸쇠(55)가 들어올려지는 단계;
    휠(54)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순간부터, 상기 휠(54)의 톱니는 볼트(56)가 홈(59)의 반대쪽 끝에 다다를때까지 들어올려져 있는 걸쇠(55) 아래로 자나가서 캠(57)을 걸쇠 밑에서 제거되도록 상기 캠(57)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암의 반복된 반시계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스프링(58)에 의해 암쪽으로 밀리는 걸쇠가 지지되지 않게 하고 걸쇠가 작동하게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성 의자.
KR1020147026344A 2012-02-21 2013-01-29 이중 기능성 의자 KR102084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398195A PL398195A1 (pl) 2012-02-21 2012-02-21 Krzeslo dwufunkcyjne z podzielnym siedziskiem
PL398195 2012-02-21
PCT/IB2013/000114 WO2013124718A1 (en) 2012-02-21 2013-01-29 A dual functional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972A true KR20140131972A (ko) 2014-11-14
KR102084082B1 KR102084082B1 (ko) 2020-03-03

Family

ID=4788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344A KR102084082B1 (ko) 2012-02-21 2013-01-29 이중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45332B2 (ko)
EP (1) EP2816932B1 (ko)
JP (2) JP2015506799A (ko)
KR (1) KR102084082B1 (ko)
CN (1) CN104114062B (ko)
BR (1) BR112014020511B1 (ko)
ES (1) ES2587731T3 (ko)
HK (1) HK1201033A1 (ko)
IN (1) IN2014DN06852A (ko)
PL (2) PL398195A1 (ko)
WO (1) WO2013124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6647A1 (en) * 2015-07-13 2018-07-26 Mateusz Kieryllo Bifunctional chair for sitting and kneeling
CA3025252C (en) * 2016-06-20 2022-01-04 Kokuyo Co., Ltd.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US10772432B2 (en) * 2016-07-28 2020-09-15 Bright Company Inc. Foot and leg support device for a chair
JP3226353U (ja) * 2017-04-27 2020-06-18 叶龍華 多機能バランスチェア
CN107149315B (zh) * 2017-04-27 2023-04-07 叶龙华 多功能平衡椅
DE102017110492A1 (de) * 2017-05-15 2018-11-15 Bock 1 Gmbh & Co. Kg Armlehne, insbesondere für einen Bürostuhl
US10405666B1 (en) * 2017-12-22 2019-09-10 Scott A. Reus Reconfigurable chair system
IT201900013056A1 (it) * 2019-07-26 2021-01-26 Piero Giovanni Nicola Maria Bruni Sedile oscillante con snodo ribassato
PL242877B1 (pl) * 2021-05-20 2023-05-08 Kieryllo Andrzej Krzesło dwufunkcyjne do siedzenia i klękosiadu
CN117124942B (zh) * 2023-10-25 2024-01-23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装置、锁定机构及电动旋转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0275A1 (en) * 1983-07-08 1985-01-31 Mengshoel Hans Chr A sitting device and utilization thereof
US4765684A (en) * 1987-03-20 1988-08-23 Kval Marketing Inc. Multi-purpose chair with retractable knee res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330A (en) * 1959-06-19 1962-12-05 Textiel Machines Reading N V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hairs
US3669493A (en) * 1970-11-03 1972-06-13 J Harding Vowles Chair
JPS6031705A (ja) * 1983-08-01 1985-02-18 株式会社ホウトク 椅子のロツキング装置
US4614378A (en) * 1985-04-18 1986-09-30 Ken Picou Portable reversible chair apparatus
SE456885B (sv) * 1987-05-22 1988-11-14 Hoeganaesmoebler Ab Anordning vid en arbetsstol eller liknande som aer avsedd att anvaendas i tvaa skilda sittstaellningar
NO175613C (no) * 1988-12-13 1994-11-09 Peter Opsvik Anordning ved en stol, f.eks. en kombi-stol
US5054857A (en) * 1990-08-27 1991-10-08 Kvalheim Andrew M Convertible chair
WO1993009701A1 (de) 1991-11-11 1993-05-27 Josef Huser Umstellbarer stuhl
US5536067A (en) * 1994-08-10 1996-07-16 Pinto; Shlomo Chair
DE19543818C1 (de) * 1995-11-24 1997-05-07 Desanta Stuhl mit Kniestütze
US5667278A (en) * 1995-12-27 1997-09-16 Li; Chun Hsien Combinational chair, recliner and typing stool
ES2252372T3 (es) * 2002-10-04 2006-05-16 Sedus Stoll Ag Reposabrazos.
JP2004141247A (ja) * 2002-10-22 2004-05-20 Toshiba Tec Corp リクライニング椅子
US6811225B1 (en) * 2003-06-03 2004-11-02 The Boeing Company Ergonomic seat and method
JP2005065786A (ja) * 2003-08-20 2005-03-17 Otics Corp アームレスト装置
EP1577152B1 (de) * 2004-03-15 2010-06-09 Airbus Operations GmbH Klappsitz abwärts
US20070063569A1 (en) * 2005-09-22 2007-03-22 Mays Steven C Two-position desk chair
JP4720416B2 (ja) * 2005-10-07 2011-07-1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P2061358A2 (en) * 2006-08-28 2009-05-27 Gayo Design Ltd. Adjustable chair for accommodating multiple body 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L64081Y1 (pl) 2006-10-02 2008-10-31 Tadeusz Ilnicki Klękosiad
DE102007038829B4 (de) * 2007-08-16 2009-09-03 Stefan Zoell Vorrichtung zur Körperunterstützung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in unterschiedlichen Tätigkeitsbereichen eines Benutzers
US20090140567A1 (en) * 2007-11-03 2009-06-04 Karl Simon Weiss Multi-adjustable swivel chair with back and knee supports
PL216033B1 (pl) 2009-04-27 2014-02-28 Matysiak Miroslaw Przed Prod Uslugowo Handlowe Mikro I Mebel przekształcalny zwłaszcza do siedzenia i klękosiadu
PL224034B1 (pl) 2010-03-16 2016-11-30 Mirosław Matysiak Krzesło wielofunkcyj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0275A1 (en) * 1983-07-08 1985-01-31 Mengshoel Hans Chr A sitting device and utilization thereof
US4765684A (en) * 1987-03-20 1988-08-23 Kval Marketing Inc. Multi-purpose chair with retractable knee 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1033A1 (en) 2015-08-21
KR102084082B1 (ko) 2020-03-03
BR112014020511B1 (pt) 2021-04-06
WO2013124718A1 (en) 2013-08-29
PL398195A1 (pl) 2013-09-02
CN104114062B (zh) 2017-09-22
US20150335159A1 (en) 2015-11-26
EP2816932B1 (en) 2016-05-18
EP2816932A1 (en) 2014-12-31
PL2816932T3 (pl) 2017-01-31
IN2014DN06852A (ko) 2015-05-22
CN104114062A (zh) 2014-10-22
JP2017213398A (ja) 2017-12-07
ES2587731T3 (es) 2016-10-26
JP2015506799A (ja) 2015-03-05
US9345332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1972A (ko) 이중 기능성 의자
CN202536740U (zh) 坐躺二用椅
CN103037738B (zh) 座椅
EP3091873A1 (en) Infinitely vertically adjustable drop down armrest mechanism
CN209136371U (zh) 助力座椅
CN112843602A (zh) 一种座椅
CA2524986A1 (en) A locking device for a rocking chair
CN216496131U (zh) 一种可水平旋转升降开合的坐具
CN109953532A (zh) 一种坐深快速调节的座椅
CN208491349U (zh) 坐深快速调节的座椅
JP2002262953A (ja) 椅 子
US4515407A (en) Latch for a chair's footrest assembly
CN214343123U (zh) 移位机
KR20110025323A (ko) 의자형 윗몸일으키기운동 헬스기구
CN203226527U (zh) 儿童餐椅
CN203662311U (zh) 健身沙滩椅
CN209528558U (zh) 智能化单人沙发
KR101440387B1 (ko) 좌식형 샴푸의자
CN113952130B (zh) 一种方便开合的坐具
JP2005177333A (ja)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CA2828044A1 (en) Mobile chair, method of operation associated thereto, and kit for assembling the same
JP4074793B2 (ja) 多目的チェアのアームレスト
JPH07213358A (ja) 机と椅子との組合わせ
JP2003290293A (ja) 車椅子のアームレスト
CN115003584A (zh) 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