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079A -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079A
KR20140131079A KR1020130049945A KR20130049945A KR20140131079A KR 20140131079 A KR20140131079 A KR 20140131079A KR 1020130049945 A KR1020130049945 A KR 1020130049945A KR 20130049945 A KR20130049945 A KR 20130049945A KR 20140131079 A KR20140131079 A KR 2014013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obe
impedance
terminal piec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112B1 (ko
Inventor
전인태
고준상
장재동
김도헌
이향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4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1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배터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를 각각 클램핑하는 제1 프로브,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상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상기 제2 프로브를 통하여 계측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용 전류와 상기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측정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와 상기 연산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온(ON)되어 상기 측정부와 상기 연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impedanc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뾰족한 침상(needle shape) 검침 단자를 가진 임피던스 측정기를 준비한 후, 두 개의 검침 단자를 배터리의 전극 단자에 각각 접촉시킨 상태에서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을 하였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와 같이 용량이 큰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오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임피던스 값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침상 검침 단자를 배터리의 전극 단자에 접촉시킬 때, 측정자마다 침상 검침 단자와 배터리의 전극 단자 간의 접촉 압력이 다르며, 접촉 위치도 달라지기 때문에, 매번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때마다 매우 편차가 큰 값이 출력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임피던스 측정기는 항상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임피던스 측정기에는 약10mA 내외의 전류가 상시 인가되어 있으며, 이 전류는 임피던스 측정오차를 더욱 크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측정오차가 매우 낮아서 용량이 큰 배터리의 임피던스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상 배터리의 전극 단자 상의 동일한 위치를 동일한 압력으로 파지할 수 있는 프로브(검침 단자)를 갖는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피던스 측정장치에 상시 인가되는 전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배터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를 각각 클램핑하는 제1 프로브,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상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상기 제2 프로브를 통하여 계측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용 전류와 상기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측정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와 상기 연산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온(ON)되어 상기 측정부와 상기 연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릴레이는 주기적으로 온오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는 주기적으로 연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을 갖는 배터리 마운팅 블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는 상기 슬릿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는,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파지하기 위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단자편을 각각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편은 고정 단자편과, 가동 단자편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켰을 때, 상기 가동 단자편을 파지하여 상기 가동 단자편의 원위치 복귀를 방지하는 래치기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래치기구는: 상기 가동 단자편을 파지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를 상기 가동 단자편으로부터 파지해제시키는 스위치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부와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래치기구의 서로 반대편 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래치기구는, 반복적으로 누르거나 반복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원위치 복귀시키는 래치 스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의 폭(W0)은 상기 제1 프로브의 폭(W1)보다 크고, 상기 제2 프로브의 폭(W2)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는,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은: 배터리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상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계측하는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릴레이를 ON하는 단계; 상기 측정용 전류와 상기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연산부가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및 배터리의 임피던스 연산이 완료되면 상기 릴레이를 OFF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은: 배터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가 설치된 배터리 마운팅의 슬릿에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리드를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로 클램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릴레이는 주기적으로 온오프되고,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는 주기적으로 연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정오차가 매우 낮아서 용량이 큰 배터리의 임피던스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항상 배터리의 전극 단자 상의 동일한 위치를 동일한 압력으로 파지할 수 있는 프로브(검침 단자)를 갖는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임피던스 측정장치에 상시 인가되는 전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배터리 마운팅 블록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가동 단자편을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배터리 마운팅 블록의 커버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배터리를 슬릿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배터리가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배터리 마운팅 블록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가동 단자편을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배터리 마운팅 블록의 커버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는, 배터리(6)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2, 4)를 각각 클램핑하는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 제1 프로브(10)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이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제2 프로브(20)를 통하여 계측하는 측정부(30), 측정용 전류와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40), 측정부(30)와 연산부(40)에 전원(1)을 공급하는 릴레이(50)를 구비한다.
측정부(30)가 제1 프로브(10)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면, 배터리(6)를 통과하여 측정 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측정 전압은 제2 프로브(20)를 통하여 측정부(30)에 입력된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와 같이 큰 용량을 갖는 배터리의 경우,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가 배터리에 상시인가되면 상기 측정 전압에 큰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연산부(40)는 측정용 전류와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때문에, 연산부(40)에 의하여 연산된 임피던스도 상시인가된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50)는 측정부(30)가 가동해야 할 경우와 연산부(40)가 가동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온(ON)되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가 배터리(6)에 상시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는 연산부(40)에 의하여 연산된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출력하는 출력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60)로는 연산된 임피던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가 채용되거나, 연산된 임피던스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배터리(6)의 임피던스는 연산부(40)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연산되어 배터리(6)의 임피던스의 시계열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6)의 특성을 실험하거나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6)의 임피던스의 주기적 연산을 위하여 릴레이(50)도 주기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에는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72)이 형성되며,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는 이 슬릿(72)에 장착된다.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는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파지하기 위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단자편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두 개의 단자편 중 하나는 고정 단자편(12, 22), 나머지 하나는 가동 단자편(14, 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에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 단자편(12, 22)은 슬릿(72)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단자편(14, 24)은 고정 단자편(12, 22)과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슬릿(72)의 측벽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릿(72)의 폭(W0)은 제1 프로브(10)의 폭(W1)보다 크고, 제2 프로브(20)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며,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슬릿(72)의 폭(W0)은 넓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간격이 좁은 소형 배터리의 전극 리드(2, 4)뿐만 아니라 간격이 넓은 대형 배터리의 전극 리드(2, 4)도 슬릿(72)에 충분히 삽입되어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다.
가동 단자편(14, 24)의 일단으로부터 로드(16, 26)가 연장되며, 로드(16, 26)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하여 가동 단자편(14, 24)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로드(16, 26)는 가이드(74)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가동 단자편(14, 24)을 고정 단자편(12, 22)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재(19)가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19)로는 가동 단자편(14, 24)과 가이드(74) 사이 구간에 있는 로드(16, 26)에 끼워진 압축형 코일 스프링이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탄성부재(19)의 예시일 뿐이며, 탄성부재(19)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이 아닌 판 스프링이 채택되거나, 압축 스프링 외에 신장 스프링이 채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로드(16, 26)의 양단부 중 가동 단자편(14, 24)이 위치한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는 조작부(18, 28)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8, 28)를 당기면 가동 단자편(14, 24)을 고정 단자편(12, 22)으로부터 이격시켜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가동 단자편(14, 24), 고정 단자편(12, 2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들은 통합배선(8)으로 연합되어 측정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편(14, 24)을 고정 단자편(12, 22)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켰을 때, 가동 단자편(14, 24)을 파지하여 가동 단자편(14, 24)의 원위치 복귀를 방지하는 래치기구(80)가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래치기구(80)에 대해서는 도 6을 추가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래치기구(80)는, 가동 단자편(14, 24)을 파지하는 후크부(82)와, 후크부(82)를 가동 단자편(14, 24)으로부터 파지해제시키는 스위치부(84)를 갖는다. 후크부(82)와 스위치부(84)는 래치기구(80)의 서로 반대편 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후크부(82)와 스위치부(84)의 사이에는 힌지부(88)가 형성되어, 스위치부(84)를 하방으로 누르면 후크부(82)가 상방으로 상승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82)를 후술할 걸림부(17, 27)에 걸릴 수 있는 적절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8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조작부(18, 28)를 손으로 일정거리 이상 당기면, 가동 단자편(14, 24)이 고정 단자편(12, 22)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걸림부(17, 27)가 후크부(82)에 걸리게 되며, 조작부(18, 28)를 놓더라도 가동 단자편(14, 24)이 고정 단자편(12, 2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고정 단자편(12, 22)과 가동 단자편(14, 24) 사이의 공간에 끼워 넣는다.
이후, 스위치부(84)를 누르면 래치기구(80)의 후크부(82)가 걸림부(17, 27)로부터 해제되고 가동 단자편(14, 24)이 고정 단자편(12, 22)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와 접촉하게 되고, 결국,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에 의하여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가 클램핑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래치기구(80)로서 래치 스위치(80)가 채용된 실시예로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래치 스위치는 반복적으로 누르거나 반복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두 가지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스위치를 말하며, 제2 실시예에서는 래치 스위치(80)반복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가동 단자편(14, 24)을 고정 단자편(12, 22)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탄성부재(19)와 래치 스위치(8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래치 스위치(80)에 탄성부재(19)가 내장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가 별개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예컨대, 가동 단자편(14)과 연동되는 래치기구(80)와, 가동 단자편(24)과 연동되는 래치기구(80)가 연결된 구조를 채용하여,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단자편 중 하나는 고정 단자편(12, 22), 나머지 하나는 가동 단자편(14, 24)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으나, 모든 단자편이 가동 단자편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상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배터리(6)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계측하는 측정부(30)와,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40)에 전원(1)을 공급할 수 있도록 릴레이(50)를 ON한다.
이후, 측정용 전류와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연산부(40)가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연산하게 되며, 다음으로, 배터리(6)의 임피던스 연산이 완료되면 릴레이(50)를 OFF한다.
물론, 측정부(30)가 배터리(6)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고,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계측할 수 있도록, 배터리 마운팅 블록(70)에 형성된 슬릿(72)에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먼저 삽입하게 되며, 슬릿(72)에 삽입된 전극 리드(2, 4)를 제1 프로브(10)와 제2 프로브(20)로 클램핑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에 의하면, 릴레이(50)는 측정부(30)가 가동해야 할 경우와 연산부(40)가 가동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온(ON)되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가 배터리(6)에 상시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터리(6)의 임피던스 측정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피던스 측정오차가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인하여 작은 용량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큰 용량의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슬릿(72)은 충분히 넓은 폭을 갖고 제1 프로브(10) 및 제2 프로브(20)는 슬릿(7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리드(2, 4) 사이의 간격이 좁은 배터리뿐만 아니라 전극 리드(2, 4) 사이의 간격이 넓은 배터리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배터리(6)의 전극 리드(2, 4)를 슬릿(72)에 깊숙하게 끼워 넣고 전극 리드(2, 4)를 제1 프로브(10) 및 제2 프로브(20)로 파지하면, 제1 프로브(10) 및 제2 프로브(20)가 항상 배터리(6) 리드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를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탄성부재(19)가 항상 전극 리드(2, 4)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므로 전극 리드(2, 4)의 파지 압력이 동일하다. 따라서, 동종인 여러 개의 배터리(6)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에도 각 배터리(6)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한 동일 또는 거의 유사한 임피던스가 측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전원 2, 4 : 전극 리드
6 : 배터리 8 : 통합배선
10 : 제1 프로브 12, 22 : 고정 단자편
14, 24 : 가동 단자편 16, 26 : 로드
17, 27 : 걸림부 18, 28 : 조작부
19 : 탄성부재 20 : 제2 프로브
30 : 측정부 40 : 연산부
50 : 릴레이 60 : 출력부
70 : 배터리 마운팅 블록 72 : 슬릿
74 : 가이드 80 : 래치기구, 래치 스위치
82 : 후크부 84 : 스위치부
88 : 힌지부 100 : 임피던스 측정장치

Claims (16)

  1. 배터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를 각각 클램핑하는 제1 프로브, 제2 프로브;
    상기 제1 프로브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상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상기 제2 프로브를 통하여 계측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용 전류와 상기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측정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와 상기 연산부가 가동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온(ON)되어 상기 측정부와 상기 연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주기적으로 온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는 주기적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을 갖는 배터리 마운팅 블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는 상기 슬릿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브와 상기 제2 프로브는,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파지하기 위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단자편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편은 고정 단자편과, 가동 단자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켰을 때, 상기 가동 단자편을 파지하여 상기 가동 단자편의 원위치 복귀를 방지하는 래치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구는, 상기 가동 단자편을 파지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를 상기 가동 단자편으로부터 파지해제시키는 스위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래치기구의 서로 반대편 단부에 각각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구는,
    반복적으로 누르거나 반복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 단자편을 상기 고정 단자편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원위치 복귀시키는 래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W0)은 상기 제1 프로브의 폭(W1)보다 크고, 상기 제2 프로브의 폭(W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연산된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14. 배터리에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흘려주며 상기 측정용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측정 전압을 계측하는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연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릴레이를 ON하는 단계;
    상기 측정용 전류와 상기 측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연산부가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연산하는 단계; 및
    배터리의 임피던스 연산이 완료되면 상기 릴레이를 OFF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배터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리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가 설치된 배터리 마운팅의 슬릿에 배터리의 전극 리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리드를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로 클램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주기적으로 온오프되고, 상기 배터리의 임피던스는 주기적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방법.
KR1020130049945A 2013-05-03 2013-05-03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63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45A KR10163611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45A KR10163611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079A true KR20140131079A (ko) 2014-11-12
KR101636112B1 KR101636112B1 (ko) 2016-07-04

Family

ID=5245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945A KR10163611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1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76A (ko) * 2016-10-07 2018-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로브 장치
DE102018216518A1 (de) * 2018-09-26 2020-03-26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von Batteriezellen
US10969438B2 (en) 2016-10-25 2021-04-0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life prediction apparatus thereof
KR102261447B1 (ko) * 2019-11-29 2021-06-07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KR20230007070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압 지그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임피던스 측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임피던스 측정 장치
TWI799974B (zh) * 2021-07-16 2023-04-21 新煒科技有限公司 阻抗量測系統
WO2023185529A1 (zh) * 2022-04-02 2023-10-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夹及检测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306A (ja) * 2004-08-31 2006-03-16 Hioki Ee Corp 電池特性測定装置
KR20060048331A (ko) * 2004-06-11 2006-05-18 주식회사 파워트론 임피던스 측정기의 제어전원 회로
JP2012068063A (ja) * 2010-09-21 2012-04-05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充放電装置
JP2012237660A (ja) * 2011-05-12 2012-12-0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バッテリテスタ、バッテリおよびバッテリ状態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331A (ko) * 2004-06-11 2006-05-18 주식회사 파워트론 임피던스 측정기의 제어전원 회로
JP2006071306A (ja) * 2004-08-31 2006-03-16 Hioki Ee Corp 電池特性測定装置
JP2012068063A (ja) * 2010-09-21 2012-04-05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充放電装置
JP2012237660A (ja) * 2011-05-12 2012-12-0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バッテリテスタ、バッテリおよびバッテリ状態監視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76A (ko) * 2016-10-07 2018-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로브 장치
US10969438B2 (en) 2016-10-25 2021-04-0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life prediction apparatus thereof
DE102018216518A1 (de) * 2018-09-26 2020-03-26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von Batteriezellen
KR102261447B1 (ko) * 2019-11-29 2021-06-07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KR20230007070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압 지그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임피던스 측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임피던스 측정 장치
TWI799974B (zh) * 2021-07-16 2023-04-21 新煒科技有限公司 阻抗量測系統
WO2023185529A1 (zh) * 2022-04-02 2023-10-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夹及检测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112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12B1 (ko)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4767999B2 (ja) 電気計器用自動結線装置
US9733299B2 (en) Inspection jig
JP2013032938A5 (ko)
CN104076170A (zh) 一种电池固定装置及包含该电池固定装置的电池测量仪器
JP4678034B2 (ja) 検査治具
US20140292343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576668B1 (ko) 블록형 프로브 장치
KR100942188B1 (ko) 고압차단기 자동시험장치
JP3831215B2 (ja) 配線用遮断器形電子式電力量計
US1970232A (en) Testing device
JP2012057958A (ja) 測定用アダプタ
CN201037846Y (zh) 测量治具
JP5335008B2 (ja) トリップロック端子用電圧計
CN114487921A (zh) 一种接线端子电压检测装置及接线端子故障检测方法
JP2014071091A (ja) 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検査装置
JP5003460B2 (ja) 絶縁抵抗測定用端子器具
CN203422442U (zh) 一种线缆检测仪
JP6008493B2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方法
JP2009250660A (ja) 基板検査用治具及び検査用接触子
JP5209072B2 (ja) 電気計器用自動結線装置
JP5207828B2 (ja) 測定装置用アダプター
CN103926520A (zh) 检查工具的检查方法
JP3502558B2 (ja) 温度センサ付き電池ホルダ
EP4092427B1 (en) Sheet electric 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