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783A -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783A
KR20140130783A KR20130049150A KR20130049150A KR20140130783A KR 20140130783 A KR20140130783 A KR 20140130783A KR 20130049150 A KR20130049150 A KR 20130049150A KR 20130049150 A KR20130049150 A KR 20130049150A KR 20140130783 A KR20140130783 A KR 2014013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d tape
double
graphite
tape
graphi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853B1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3004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using carbon pap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이형지(110),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측면 양면 테이프(130), 업소버(160)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적층되어 성형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가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제1 성형 및 합지단계와, 시트(sheet) 상태로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를 적층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와, 합지된 상기 이형지(110) 내지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의 중공부(122)에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업소버(absorber)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제2 성형 및 합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그라파이트 시트를 롤형태로 연결하여 가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연결부분 제품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층을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가인 그라파이트 시트를 대단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 단가 및 양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method for Composite Graphite Film}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하면에 점착제층(111)이 형성된 이형지(11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층(15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 양면에 각각 도전성 점착제층(121)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제층(152)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테이프(151);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적층되며, 양면에 점착제층(154)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53);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의 하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층(161)이 형성되어 있는 업소버(absorber)(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가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제1 성형 및 합지단계;
시트(sheet) 상태로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를 적층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
합지된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의 중공부(122)에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업소버(absorber)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합지하는 제2 성형 및 합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 필름(Graphite Film)은 탄소제질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특유의 도전성/열전도성/차광성 등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 폰 등의 휴대 전자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극 소재(하기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7204호 "전극 재료로서 고전도성, 투명 탄소 필름" 참조), 전자파 차단 부대, 열전달 부재, 광 흡수 소재(하기 특허문헌 2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3250호 "광 흡수 성질을 지니는 LCD 디스플레이를 제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참조)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Graphite Film)은 비교적 전단성이 약하여 부드럽게 휘어지기 어렵다는 물리적 특성에 의해, 롤(roll) 형태보다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시트(sheet)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공급된다.
이러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Graphite Film)은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가전 제품의 디스플레이 또는 회로기판(특히 연성 회로기판)에 있어서 전자기파 차단 또는 도전성 확보를 위하여,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이형지나 점착 테이프 및 업소버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가능한 구성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하면에 점착제층(111)이 형성된 이형지(110)와,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층(15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 양면에 각각 도전성 점착제층(121)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와,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측면 양면 테이프(130)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제층(152)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테이프(151)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적층되며, 양면에 점착제층(154)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53)와,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의 하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층(161)이 형성되어 있는 업소버(absorber)(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 각 구성요소의 형상을 성형한 후 일일히 수작업으로 서로 적층하여 합지하여야 하기에 그 작업 효율이 대단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화된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프레스 타발기나 합지기드의 자동화 필름 가공시설은 대부분 롤(roll)형상으로 공급되는 재질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sheet)형상으로 제조되어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를 가공 대상으로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가공에는 대단히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시트(sheet)형상으로 공급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롤(roll) 형상으로 다시 가공한 후 각 구성요소와 함께 타발하고 합지하여야만 한다는 제약에 의해, 1)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합한 접합부위에 타발되어 성형되는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 내부에 접합부위가 포함되어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폐기하여야만 하며, 2) 다른 재질과 타발 간격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간격을 두고 타발 가공되므로, 비교적 넓은 타발 간격을 가지게 되는데, 타발 간격 사이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적인 다른 재질의 필름에 비하여 그 단가가 대단히 고가인 그라파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제작 단가 및 제작 효율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어왔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720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32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라파이트 시트를 롤형태로 연결하여 가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연결부분 제품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라파이트층을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가인 그라파이트 시트를 대단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 단가 및 양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하면에 점착제층(111)이 형성된 이형지(11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층(15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 양면에 각각 도전성 점착제층(121)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제층(152)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테이프(151);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적층되며, 양면에 점착제층(154)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53);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의 하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층(161)이 형성되어 있는 업소버(absorber)(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가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제1 성형 및 합지단계;
시트(sheet) 상태로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를 적층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
합지된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의 중공부(122)에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업소버(absorber)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합지하는 제2 성형 및 합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은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0.5~2.0㎜ 이격되는 테두리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면 테이프(151)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블랙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형지(11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착제층(111,131,152,154)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110)는,
그 중앙에 중앙 분리 절개선(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 분리 절개선(112)의 하단 양측으로 중앙 분리 파지부(113)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절개선의 형상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형과 유사하게 각도를 바꾸어가면 형성되는 상측 분리 절개선(1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분리 절개선(114)의 외측 연장선이 그 일측을 이루는 상측 분리 파지부(115)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그라파이트 시트를 롤형태로 연결하여 가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연결부분 제품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층을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가인 그라파이트 시트를 대단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 단가 및 양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2: 도 1에서 "A"로 표현한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이형지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도전성 양면 테이프 및 양면 테이프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그라파이트 필름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의 업소버(absorber)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하면에 점착제층(111)이 형성된 이형지(110)와,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층(15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 양면에 각각 도전성 점착제층(121)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와,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측면 양면 테이프(130)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제층(152)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테이프(151)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적층되며, 양면에 점착제층(154)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53)와,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의 하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층(161)이 형성되어 있는 업소버(absorber)(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이형지(110)와 상기 업소버(absorber)(160)는 그 형상의 외곽선이 대부분 일치하므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부재(100)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 1에서 실선으로 표현된 하나의 외곽선에 대하여 상기 이형지(110)와 상기 업소버(absorber)(160)의 도면부호를 동시에 표현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은 크게, 제1 성형 및 합지단계,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 제2 성형 및 합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성형 및 합지단계는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가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도 1 또는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필름이 사용될 부위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2차원적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테두리, 돌출부, 함몰부 또는 필요에 따라 개구부나 통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이형지(11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이형지(119)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에 중앙 분리 절개선(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 분리 절개선(112)의 하단 양측으로 중앙 분리 파지부(113)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절개선의 형상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형과 유사하게 각도를 바꾸어가면 형성되는 상측 분리 절개선(1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분리 절개선(114)의 외측 연장선이 그 일측을 이루는 상측 분리 파지부(115)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는 시트(sheet) 상태로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를 적층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도 1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필름이 사용될 부위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2차원적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테두리, 돌출부, 함몰부 또는 필요에 따라 개구부나 통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형상"은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을 따라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복합부재이 회로기판의 전자파 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은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2차원적 형상의 특징을 고려하여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자면 하나의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에서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 인접한 그라파이트 필름(150)은 180°회전시켜 배치하거나 하면서, 그 타발 간격은 최소화 하도록 하는 등으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성형"의 방법으로는 타발기 또는 프레스기를 이용한 타발 가공은 물론, 가공 재질의 특성을 고려한 레이저 절단 등 다양한 성형 가공 방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접착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상/하에서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취급의 용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테두리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외측으로 약간 이격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0.5~2.0㎜ 이격되는 테두리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면 테이프(151)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블랙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합지된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의 상기 중공부(122)에,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상기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공압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되는 진공 압력 또는 기계적인 흡착 수단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흡착 고정시킨 후, 이송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이송 및 각도 회전시키고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한 정확한 정위치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면서 표면 실장될 수 있도록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다. 상기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정 자동화 장치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기술 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제2 성형 및 합지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성형 및 합지단계는,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업소버(absorber)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합지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이형지(11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착제층(111,131,152,154)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그라파이트 시트를 롤형태로 연결하여 가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연결부분 제품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층을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가인 그라파이트 시트를 대단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 단가 및 양산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110: 이형지 111: 점착제층
112: 중앙 분리 절개선 113: 중알 분리 파지부
114: 상측 분리 절개선 115: 살측 분리 파지부
120: 도전성 양면 테이프 121: 도전성 점착제층
122: 중공부
130: 측면 양면 테이프 131: 점착제층
150: 그라파이트 필름
151: 단면 테이프 152: 하면 점착제층
153: 양면 테이프 154: 점착제층
160: 업소버(absorber) 161: 점착제층

Claims (5)

  1.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포함하며,
    하면에 점착제층(111)이 형성된 이형지(11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층(15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 양면에 각각 도전성 점착제층(121)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이형지(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제층(152)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테이프(151);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적층되며, 양면에 점착제층(154)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53);
    상기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의 하면에 적층되며, 하면에 점착층(161)이 형성되어 있는 업소버(absorber)(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1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가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합지하는 제1 성형 및 합지단계;

    시트(sheet) 상태로 공급되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를 적층한 후,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이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그라파이트 성형 단계;

    합지된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및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의 중공부(122)에 흡착 센싱 표면실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단계;

    롤(roll) 상태로 제공되는 상기 업소버(absorber)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타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상기 이형지(110), 도전성 양면 테이프(12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및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하면에 합지하는 제2 성형 및 합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은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서 손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15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0.5~2.0㎜ 이격되는 테두리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면 테이프(151)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블랙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형지(110), 상기 측면 양면 테이프(130), 상기 단면 테이프(151) 및 상기 양면 테이프(15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착제층(111,131,152,154)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110)는,
    그 중앙에 중앙 분리 절개선(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 분리 절개선(112)의 하단 양측으로 중앙 분리 파지부(113)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절개선의 형상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형과 유사하게 각도를 바꾸어가면 형성되는 상측 분리 절개선(1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분리 절개선(114)의 외측 연장선이 그 일측을 이루는 상측 분리 파지부(115)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KR1020130049150A 2013-05-02 2013-05-02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KR10149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50A KR101496853B1 (ko) 2013-05-02 2013-05-02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50A KR101496853B1 (ko) 2013-05-02 2013-05-02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783A true KR20140130783A (ko) 2014-11-12
KR101496853B1 KR101496853B1 (ko) 2015-03-04

Family

ID=5245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150A KR101496853B1 (ko) 2013-05-02 2013-05-02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8961A (zh) * 2019-03-28 2019-08-16 厦门美塑工贸有限公司 一种多层膜及多层膜制作工艺
CN114539936A (zh) * 2022-03-24 2022-05-27 东莞市钜欣电子有限公司 一种可避免气泡的导光板背胶组件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7116B2 (ja) * 2002-08-30 2009-12-02 大成ラミネーター株式会社 カーボングラファイトシート
KR100699588B1 (ko) * 2004-04-23 2007-03-23 자화전자 주식회사 피디피용 그래파이트 방열시트가 구비된 이형지
KR101161735B1 (ko) * 2012-01-31 2012-07-03 (주)메인일렉콤 잠열을 이용한 지연 방열시트
KR101243647B1 (ko) * 2012-10-05 2013-03-19 (주)메인일렉콤 그라파이트 페이퍼를 이용하여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쿠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8961A (zh) * 2019-03-28 2019-08-16 厦门美塑工贸有限公司 一种多层膜及多层膜制作工艺
CN114539936A (zh) * 2022-03-24 2022-05-27 东莞市钜欣电子有限公司 一种可避免气泡的导光板背胶组件及其生产方法
CN114539936B (zh) * 2022-03-24 2023-12-01 东莞市钜欣电子有限公司 一种可避免气泡的导光板背胶组件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853B1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0425B (zh) 导电性膜、卷绕体、连接结构体和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
KR101321063B1 (ko) 전사식 그라파이트 복합 필름 가공 방법
KR20140143119A (ko) ?지가 봉합된 휴대단말기용 nfc 안테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00493A (ko) 무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CN110873918B (zh) 光学膜
KR101496853B1 (ko) 그라파이트 복합부재 제조 방법
US10879554B2 (en) Thin film battery
JP2017161575A (ja) 治具、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41207A1 (en) Protective film
KR101386191B1 (ko) 그라파이트 복합 필름 제조 방법
KR101606714B1 (ko) 다층식 그라파이트 필름 제조 방법
JP2000339437A (ja) 非接触型icカードの薄形アンテナ
CN109426023B (zh) 电子装置
KR101829696B1 (ko) 4분할 배면테이프가 일체화된 필름 제작방법
CN104118644A (zh) 电路板输送治具
CN217011280U (zh) 单面金手指弯折180°两面接插功能柔性线路板
CN210130004U (zh) 集成电路及揭盖型结合板
US20150346871A1 (en) Electrostatic capacitance operation device fabrication method, operation panel, and electrostatic capacitance operation device
JP2017227959A (ja) 非接触型情報媒体及び非接触型情報媒体の製造方法
JP2007119008A (ja) 緩衝材
WO2013085076A1 (en) Rfid tag, rfid system, and package including rfid tag
CN209937946U (zh) 一种压合轴装置
KR20130112852A (ko) 유리 곤포 구조 및 유리 곤포 방법
JP6065464B2 (ja) Rfidタグ付きタブレットパッケージ
JP2012137807A (ja) Ic付冊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