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852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852A
KR20140129852A KR1020130048689A KR20130048689A KR20140129852A KR 20140129852 A KR20140129852 A KR 20140129852A KR 1020130048689 A KR1020130048689 A KR 1020130048689A KR 20130048689 A KR20130048689 A KR 20130048689A KR 20140129852 A KR20140129852 A KR 2014012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film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999B1 (ko
Inventor
김민우
임재익
최만섭
김원균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99B1/ko
Priority to US14/011,199 priority patent/US9859342B2/en
Priority to CN201410042152.8A priority patent/CN104134678B/zh
Priority to TW103103701A priority patent/TWI631700B/zh
Publication of KR2014012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52A/ko
Priority to US15/825,750 priority patent/US105049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배선, 상기 구동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색필터,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색필터,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필터의 폭은 상기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청색 색필터의 폭을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청색 화소를 지나는 광 경로를 적색 화소 또는 녹색 화소를 지나는 광 경로와 다르게 하여 정면 색상 대비 측면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고, 이러한 발광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 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여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에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하거나, 일부 화소에 색필터를 형성하지 않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구현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백색 유기 발광층을 이용하는 경우 단일층의 백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백색 광원이 각 화소에 형성된 색필터를 통과하여 색상이 구현되므로 각 화소별로 색상을 최적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어느 한 화소에 색상 특성이 맞추어지므로, 정면 대비 측면 특성이 각 화소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정면에서 보는 색상과 측면에서 보는 색상의 차이가 발생하여 표시 품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면 색상 대비 측면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하여 정면 대비 측면 에서의 각 화소의 휘도 분포 특성을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배선, 상기 구동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색필터,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색필터,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필터의 폭은 상기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색필터를 덮고 있는 덮개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형성되어 있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노드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색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색필터는 상기 화소 정의막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녹색 색필터 또는 적색 색필터는 상기 반사 형성막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 배선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배선, 상기 구동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색필터,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색필터,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필터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저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 배선과 상기 색필터 사이에는 광 경로 조절막이 더 형성되어 있을수 있다.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색필터를 덮고 있는 덮개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형성되어 있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노드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색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배선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청색 색필터의 폭을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청색 화소를 지나는 광 경로를 적색 화소 또는 녹색 화소를 지나는 광 경로와 다르게 하여 정면 색상 대비 측면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색 색필터의 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녹색 색필터 또는 적색 색필터의 저면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청색 화소의 측면에서의 광경로와 정면에서의 광경로를 동일하게 하고, 녹색 화소 또는 적색 화소의 측면에서의 광경로는 정면에서의 광경로보다 길게하여 청색의 측면에서의 휘도를 향상시키고, 녹색 또는 적색의 측면에서의 휘도는 유지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청색 화소에서의 측면 휘도 감소에 의한 측면 색틀어짐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CIE 1931 표색계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CIE 1931 표색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1개의 캐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는 2Tr 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거나 기존의 배선이 생략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스캔 신호(또는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스캔선(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스캔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T1),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hin film transistor)(T2),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스캔선(121)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T1, T2), 축전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앞에서 설명한 도 1과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CIE 1931 표색계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CIE 1931 표색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기판(110) 위에는 복수의 신호선, 복수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 배선(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배선(120)은 복수층의 박막으로 덮여 절연될 수 있으며, 구동 배선(120)은 청색 화소(B), 적색 화소(R) 및 녹색 화소(G)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동 배선(120) 위에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색필터(130)가 형성되어 있다. 색필터(130)는 청색 화소(B)에 형성되는 청색 색필터(130B), 적색 화소(R)에 형성되는 적색 색필터(130R) 및 녹색 화소(G)에 형성되는 녹색 색필터(130G)를 포함한다. 청색 색필터(130B)의 폭(dB)은 적색 색필터(130R)의 폭(dR) 또는 녹색 색필터(130G)의 폭(dG)보다 크다.
색필터(130) 위에는 색필터(130)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140) 위에는 구동 배선(12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입력되는 애노드(anode)(210)가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210)는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따위의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막(140) 위에는 애노드(210)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220) 및 반사 형성막(220)과 분리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230)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 형성막(220)과 화소 정의막(230)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소 정의막(230)은 인접하는 색필터(1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청색 색필터(130B)는 화소 정의막(23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녹색 색필터(130G) 또는 적색 색필터(130R)는 반사 형성막(22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애노드(210) 위에는 유기 발광 부재(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부재(250), 반사 형성막(220) 및 화소 정의막(230) 위에 캐소드(cathod)(26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애노드(210), 유기 발광 부재(250) 및 캐소드(260)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300)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부재(250)은 백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부재(250)는 실제 발광이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층 이외에 정공 또는 전자의 캐리어를 발광층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기층들(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유기층들은 애노드(210)와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과, 캐소드(260)와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일 수 있다.
캐소드(260)는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따위의 반사도가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 형성막(220)과 화소 정의막(23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반사 형성막(220)의 측면을 따라 반사 전극인 캐소드(260)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부재(250)에서 발광하여 측면으로 진행하는 광은 반사 형성막(220)의 측면에 형성된 캐소드(260)에 의해 반사되어 정면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300)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 기판(도시하지 않음)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화소 정의막(230) 위에는 스페이서(240)가 형성되어 있다.
청색 색필터(130B)는 화소 정의막(23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녹색 색필터(130G) 또는 적색 색필터(130R)는 반사 형성막(22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청색 화소(B)의 유기 발광 부재(250)에서 발광되어 정면으로 진행하는 백색 광의 광 경로(P2B)과 동일하게 측면으로 진행하는 백색 광의 광 경로(P1B)도 청색 색필터(130B)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녹색 화소(G) 또는 적색 화소(R)의 유기 발광 부재(250)에서 발광되어 정면으로 진행하는 백색 광의 광 경로(P2R)와 달리 측면으로 진행하는 백색 광의 광 경로(P1R)는 녹색 색필터(130G) 또는 적색 색필터(130R)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녹색 화소(G)와 적색 화소(R)의 측면에서는 각각 녹색 색필터(130G) 및 적색 색필터(130R)를 통과하지 않은 백색 광이 첨가되므로 채도가 감소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색계는 각 화소에서 각각 A1, A2, A3로 이동하므로 색상의 변화가 심했으나,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색계는 채도가 감소하므로 각 화소에서 각각 B1, B2, B3로 이동하므로 백색의 좌표로 수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청색 화소(B)를 지나는 광 경로를 적색 화소(R) 또는 녹색 화소(G)를 지나는 광 경로와 다르게 하여 정면 색상 대비 측면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청색 색필터의 폭(dB)은 적색 색필터의 폭(dR)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dG)보다 크게 형성하여 측면에서의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하였으나, 청색 색필터(130B)의 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녹색 색필터 또는 적색 색필터의 저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측면에서의 색상의 틀어짐을 개선하는 제2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청색 색필터의 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녹색 색필터 또는 적색 색필터의 저면에 볼록부를 형성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배선(120) 위에는 광 경로 조절막(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광 경로 조절막(40)은 각 화소마다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광 경로 조절막(40) 위에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색필터(130)가 형성되어 있다. 색필터(130)는 청색 화소(B)에 형성되는 청색 색필터(130B), 적색 화소(R)에 형성되는 적색 색필터(130R) 및 녹색 화소(G)에 형성되는 녹색 색필터(130G)를 포함한다.
청색 색필터(130B)의 저면에는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적색 색필터(130R) 또는 녹색 색필터(130G)의 저면에는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청색 색필터(130B)에 형성된 광 경로 조절막(40)은 청색 색필터(130B)의 오목부(31)에 의해 두께가 작아지며, 적색 색필터(130R) 또는 녹색 색필터(130G)에 형성된 광 경로 조절막(40)은 청색 색필터(130B)의 볼록부(32)에 의해 두께가 커지게 된다.
색필터(130) 위에는 색필터(130)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막(140) 위에는 구동 배선(12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입력되는 애노드(anode)(210)가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210)는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따위의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막(140) 위에는 애노드(210)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220) 및 반사 형성막(220)과 분리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230)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 형성막(220)과 화소 정의막(230)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소 정의막(230)은 인접하는 색필터(1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210) 위에는 유기 발광 부재(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부재(250), 반사 형성막(220) 및 화소 정의막(230) 위에 캐소드(cathod)(2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청색 색필터(130B)의 저면에 오목부(31)를 형성하고, 녹색 색필터(130G) 또는 적색 색필터(130R)의 저면에 볼록부(32)를 형성함으로써, 청색 화소(B)의 측면에서의 광 경로(P1B)와 정면에서의 광 경로(P2B)를 동일하게 하고, 녹색 화소(G) 또는 적색 화소(R)의 측면에서의 광 경로(P1R)는 정면에서의 광 경로(P2R)보다 길게하여 청색의 측면에서의 휘도를 향상시키고, 녹색 또는 적색의 측면에서의 휘도는 유지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청색 화소(B)에서의 측면 휘도 감소에 의한 측면 색틀어짐 불량을 개선할 수 있어 정면 대비 측면에서의 각 화소의 휘도 분포 특성을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30: 색필터 140: 덮개막
210: 애노드 220: 반사 형성막
230: 화소 정의막 240: 스페이서
250: 유기 발광 부재 260: 캐소드

Claims (16)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배선,
    상기 구동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색필터,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색필터,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필터의 폭은 상기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폭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색필터를 덮고 있는 덮개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형성되어 있는 캐소드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노드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색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
    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색필터는 상기 화소 정의막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녹색 색필터 또는 적색 색필터는 상기 반사 형성막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선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배선,
    상기 구동 배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색필터, 적색 색필터 및 녹색 색필터를 포함하는 색필터,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필터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색 색필터 또는 녹색 색필터의 저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선과 상기 색필터 사이에는 광 경로 조절막이 더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색필터를 덮고 있는 덮개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형성되어 있는 캐소드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노드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반사 형성막,
    상기 덮개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색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정의막
    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선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형성막과 상기 화소 정의막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30048689A 2013-04-30 2013-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689A KR102053999B1 (ko) 2013-04-30 2013-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011,199 US9859342B2 (en) 2013-04-30 2013-08-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corresponding color filters
CN201410042152.8A CN104134678B (zh) 2013-04-30 2014-01-28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TW103103701A TWI631700B (zh) 2013-04-30 2014-02-05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15/825,750 US10504970B2 (en) 2013-04-30 2017-11-2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color filters having recess portion or convex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689A KR102053999B1 (ko) 2013-04-30 2013-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52A true KR20140129852A (ko) 2014-11-07
KR102053999B1 KR102053999B1 (ko) 2019-12-10

Family

ID=5178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689A KR102053999B1 (ko) 2013-04-30 2013-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59342B2 (ko)
KR (1) KR102053999B1 (ko)
CN (1) CN104134678B (ko)
TW (1) TWI6317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242A1 (ko) *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루멘스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88B1 (ko) * 2015-01-29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052455A (ko) * 2015-10-30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48516B1 (ko) 2016-01-20 2022-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33564A (ko) * 2016-05-25 2017-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1165073A (zh) * 2017-09-29 2020-05-15 夏普株式会社 显示器件、曝光装置、显示器件的制造方法
WO2019062223A1 (zh) * 2017-09-30 2019-04-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产品
KR102528943B1 (ko) * 2018-09-28 2023-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체 발광소자
CN109979982B (zh) * 2019-03-29 2021-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649084B (zh) * 2019-10-12 2022-04-0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063708A (zh) * 2019-11-15 2020-04-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备方法
KR2021008524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6749A (ko) * 2020-03-1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231A (ja) * 1998-12-24 2000-07-0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579549B1 (ko) * 2003-12-31 2006-05-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 플레이트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158B1 (ko) * 2005-10-24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10287421A (ja) * 2009-06-11 2010-12-24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23B1 (ko) * 2003-03-28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트 펜 및 이를 갖는 광 감지 액정표시장치
KR100490322B1 (ko) * 2003-04-0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05041249A2 (en) * 2003-10-28 2005-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TW200528831A (en) * 2004-01-06 200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trate for a display apparatus
CN1694594A (zh) * 2004-05-08 2005-11-09 悠景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平面发光显示器及其制作方法
JP2006058710A (ja) 2004-08-20 2006-03-02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基板、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294255B (en) 2004-10-29 2008-03-01 Sanyo Electric C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06127985A (ja) 2004-10-29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TWI283549B (en) 2005-09-30 2007-07-01 Univision Technology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lor satura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90005643A (ko) * 2007-07-09 2009-01-14 정현철 Barrier 시리즈를 이용하여 목적 공간상의 장비이동 추이를 파악하는 방법
US7816677B2 (en) * 2008-02-12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9259573A (ja) 2008-04-16 2009-11-05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
KR100965253B1 (ko) * 2008-06-03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574130B1 (ko) * 2008-09-01 2015-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2398B1 (ko) * 2008-12-19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4177B1 (ko) * 2009-11-30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1158288A1 (ja) * 2010-06-16 2011-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表示パネル、el表示パネルを備えたel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および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TWI546952B (zh) 2012-11-09 2016-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激發光顯示面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231A (ja) * 1998-12-24 2000-07-0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579549B1 (ko) * 2003-12-31 2006-05-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 플레이트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158B1 (ko) * 2005-10-24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10287421A (ja) * 2009-06-11 2010-12-24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242A1 (ko) *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루멘스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36349B2 (en) 2017-04-21 2020-04-28 Lumens Co., Ltd. Micro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4678B (zh) 2019-03-29
US20180083071A1 (en) 2018-03-22
TW201442225A (zh) 2014-11-01
CN104134678A (zh) 2014-11-05
US10504970B2 (en) 2019-12-10
US20140319470A1 (en) 2014-10-30
US9859342B2 (en) 2018-01-02
TWI631700B (zh) 2018-08-01
KR102053999B1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4800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9045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4690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0642B1 (ko) 고 휘도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275575B2 (en) Display device
KR102664157B1 (ko) 투명표시장치
US2011027340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6749160B2 (ja) 表示装置
US9362342B2 (en)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KR20120134222A (ko)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KR20180061573A (ko) 초고해상도 투명 평판 표시장치
US20130002127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5740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8005111A (ja) 表示装置
KR201000680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79309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80077834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US9825102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2016013491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35425A (ko) 유기 el 표시 장치
KR201201383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09087B1 (ko) 유기발광소자
KR20160001311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102202797B1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