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73A - 터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873A
KR20140128873A KR20140049792A KR20140049792A KR20140128873A KR 20140128873 A KR20140128873 A KR 20140128873A KR 20140049792 A KR20140049792 A KR 20140049792A KR 20140049792 A KR20140049792 A KR 20140049792A KR 20140128873 A KR20140128873 A KR 2014012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ent
driving device
bent portion
f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122B1 (ko
Inventor
오영진
정익찬
김준윤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4012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검출을 위한 구동장치가 실장되고, 본딩패드를 통해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은, 본딩패드가 마련되고 커버글라스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의 상측에 포개지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필름 시트를 가지며, 필름 시트에는 제1신호 배선이 형성되고, 제1신호 배선은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과 구동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Description

터치 검출 장치{TOUCH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영상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터치 패널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 및 센서 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센서 패드로 입력된 터치 신호가 입력신호로 이용될 수 있도록, 터치 신호를 복수의 신호 배선을 통하여 터치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한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패널(20), 구동장치(30) 그리고, 터치 패널(20)과 구동장치(30)를 연결하는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20)은 기판(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22) 및 센서 패드(2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23)을 포함한다. 기판(21)은 투명한 소재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 신호 배선(23)은 한쪽 끝이 센서 패드(2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기판(21)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센서 패드(22)와 신호 배선(23)은 커버글라스(50)에 직접 패터닝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글라스(50), 센서 패드(22), 신호 배선(23)이 일체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판(21)은 생략될 수 있다.
터치 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는 인쇄 회로 기판이나 가요성 회로 필름과 같은 회로 기판(4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21) 또는 커버글라스(50)의 일부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구동장치(30)는 터치 검출부(31), 터치 정보 처리부(32), 메모리(33) 및 제어부(3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31), 터치 정보 처리부(32), 메모리(33), 제어부(34)는 각각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31)는 센서 패드(22) 및 신호 배선(23)과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와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부(31)는 제어부(34)로부터 신호를 받아 터치 검출을 위한 회로들을 구동하고, 터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검출부(31)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패드(22)의 전압 변화의 차이를 변환, 증폭 또는 디지털화하여 메모리(33)에 기억시킬 수 있다.
터치 정보 처리부(32)는 메모리(33)에 기억된 디지털 전압을 처리하여 터치 여부, 터치 면적 및 터치 좌표 등의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34)는 터치 검출부(31) 및 터치 정보 처리부(32)를 제어한다. 제어부(34)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 웨어를 통해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검출 장치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기 위해서는, 회로 기판(40)과, 회로 기판(40)에 실장된 구동장치(30)가 사용자 단말 내부에 탑재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회로 기판(40) 및 구동장치(30)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의 외곽 공간에 마련된다. 이러한 외곽 공간은 주로 사용자 단말의 상단부의 베젤 영역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베젤 영역의 공간은 좁기 때문에, 터치 패널을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회로 기판(40) 상에서의 신호 배선(23)의 형태 및 구동장치(30)의 실장 위치 등으로 인해 설치 시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기존 사용자 단말의 좁은 설치 영역에도 터치 검출 장치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에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 검출을 위한 구동장치가 실장되고, 본딩패드를 통해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본딩패드가 마련되고 커버글라스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포개지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필름 시트를 가지며, 상기 필름 시트에는 제1신호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 배선은 상기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과 상기 구동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딩패드를 기준으로 절곡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FPCB 시트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및 근접센서 중 하나 이상을 노출시키는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신호 배선은 상기 홀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메인회로기판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절곡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더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FPCB 시트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실장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내부 공간을 최적화하여 터치 검출 장치를 적응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장치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다른 부품들과의 기구적인 형합을 맞출 수 있는 더욱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한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연성회로기판이 부착되는 커버글라스의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1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1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100)는 연성회로기판(110)을 포함하며, 연성회로기판(110)은 본딩패드(Bonding Pad)(130)를 통해 터치 패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110)에는 터치 검출을 위한 구동장치(140)가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110)이 본딩패드(130)를 통해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연성회로기판(110)에 형성된 다수의 제1신호 배선(150)이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미도시)들과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성회로기판(110)에는 다수의 제1신호 배선(150)이 형성되며, 연성회로기판(110)에 형성된 제1신호 배선(150)의 한쪽 끝은 본딩패드(130)를 통해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구동장치(130, 터치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140)는 연성회로기판(1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110)은 필름 시트(12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름 시트(120)는 고정부(121)와 절곡부(122)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121) 및 절곡부(122)는 점선으로 표시된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부(121)에는 본딩패드(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121)는 커버글라스(9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는 커버글라스(90) 상단부의 베젤 영역(91)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글라스는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글라스는 윈도우 글라스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전면 전체를 덮거나, 휴대 단말기의 전면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글라스(90)는 개구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92)는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근접센서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젤 영역은 커버글라스 상의 가장자리 영역뿐만 아니라, 패턴이나 장식기능을 담당하는 비투과 영역, 또는 기능상의 구분을 위해 커버글라스 상의 일부분의 가장자리를 표시한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젤 영역(91)을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근접센서 등을 노출시키는 개구부(92)가 형성된 커버글라스(90) 상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설명한다.
고정부(121)에는 고정부(121)를 커버글라스(90)에 부착하기 위한 본딩패드(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21)는 본딩패드(130)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고정부(121)는, 본딩패드(130)가 커버글라스(90)의 베젤 영역(91)에 부착됨으로써, 커버글라스(90)에 설치될 수 있다. 본딩패드(130)는 고정부(121)의 하단부에 미리 정해진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딩패드(130)의 길이 및 폭은 특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나, 연성회로기판(110)이 커버글라스(90)에 잘 부착될 수 있는 접착력을 제공하고, 제1신호 배선(150)과 제2신호 배선이 전기적으로 잘 연결될 수 있다면 만족된다.
그리고, 고정부(121)는, 하단부가 사용자 단말의 메인회로기판(93)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절곡선(A)은 고정부(121)의 상단부, 더욱 자세하게는 본딩패드(130)의 상단부를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2)는 본딩패드(130)를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절곡부(122)가 절곡되었을 때, 절곡부(122)는 메인회로기판(93)의 상측으로 포개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곡부(122)가 포개진 상태에서, 커넥터(170)는 메인회로기판(93)의 하측으로 최대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곡부(122)에는 구동장치(140)가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21)가 커버글라스(9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절곡부(122)가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절곡되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근접센서 등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9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절곡부(122)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글라스(90)에 형성된 개구부(92)가 연성회로기판(110)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가 있으나, 절곡부(122)가 절곡됨으로써, 커버글라스(90)에 형성된 개구부(92)가 노출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140)는 절곡부(122) 상의 다양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140)의 형태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122)는 후술할 홀(425, 도 6참조)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장치(140)의 형태, 구동장치(140)의 실장 위치, 제1신호배선 설계 및 기타 소자의 실장 등에서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절곡부(122)에는 커넥터(17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170)는, 절곡부(122)가 절곡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메인회로기판(93)에 연결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의 엘씨디(LCD) 연성회로기판(FPCB)(미도시, 이하 “LCD FPCB”라 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2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2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연성회로기판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검출 장치(200)의 연성회로기판(210)은 필름 시트(220) 및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26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름 시트(220)의 절곡부(222)는 고정부(221)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연장부(223)가 절곡부(222)의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장부(223)는 절곡부(222)의 좌측 또는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3)는 절곡부(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장치(240)는 절곡부(222)에 실장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연장부(223)에 실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장부(223)에는 FPCB 시트(260)가 연결될 수 있다. FPCB 시트(260)는, 일단부가 연장부(223)의 일단부에 포개어져 접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FPCB 시트(260)의 일단부와 연장부(223)의 일단부는 본딩패드(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FPCB 시트(260)에는 상기 구동장치 외의 소자 등이 실장될 수 있으며, FPCB 시트(260)에는 메인회로기판(93)에 연결되거나, 또는 LCD FPCB(미도시)에 연결되는 커넥터(27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부(222)가 연장부(223)를 포함하고, 연장부(223)에 FPCB 시트(260)가 연결됨으로써, 절곡부(222)가 절곡되었을 시에, 커넥터(270)는 커버글라스(90)의 하측으로 더욱 연장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메인회로기판(93) 또는 LCD FPCB에서 커넥터(270)와 연결되는 부품의 설치 위치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즉, 메인회로기판(93) 또는 LCD FPCB에서 커넥터(270)와 연결되는 부품의 위치가 좌측, 우측 또는 중앙뿐만 아니라, 상측, 중앙측 또는 하측으로 다양화될 수 있어 메인회로기판(93) 및 LCD FPCB의 설계 제약이 많이 해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 검출 장치를 적응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곡되었을 때의 절곡부(222)의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연장부(223) 및 FPCB 시트(260)의 폭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 내부에서의 공간 활용도도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3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3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구동 장치의 실장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300)에서는 구동장치(340)가 FPCB 시트(36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340)가 FPCB 시트(360)에 실장되는 경우, 제1절곡선(A)을 기준으로 절곡 시에, 구동장치(340)는 커버글라스(90)의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신호 배선(350)은 FPCB 시트(360), 연장부(323) 및 절곡부(312)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구동장치(340)가 FPCB 시트(360)에 실장됨에 따라, 제1신호 배선(350)은 절곡부(322)의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신호 배선(350)의 더욱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FPCB 시트(360)의 일단부와 연장부(323)의 일단부는 본딩패드(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FPCB 시트(360)에 마련된 신호 배선(351)과 필름 시트(320)에 마련된 신호 배선(35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4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4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400)의 연성회로기판(410)은 필름 시트(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름 시트(420)는 고정부(421)와 절곡부(422)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421) 및 절곡부(422)는 점선으로 표시된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421)는 커버글라스(90) 상단부의 전체적인 베젤 영역(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21)에서 커버글라스(90)의 베젤 영역(91)에 부착되는 면에는 양면 테이프 또는 다른 종류의 접착제품이 도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부(421)는 베젤 영역(91)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21)에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및 근접센서 중 하나 이상을 노출시키는 홀(Hole)(425)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홀(425)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근접센서 등을 노출시키도록 커버글라스(90)에 형성되는 개구부(9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달리, 메인회로기판(93)이 커버글라스(90) 상단부의 베젤 영역(91)까지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로기판(93)에는, 커버글라스(90)의 개구부(92)에 대응되도록 관통홀(9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421)가 커버글라스(90) 상단부의 베젤 영역(91) 전체에 부착이 되고, 메인회로기판(93)이 베젤 영역(91)의 상측에 위치되더라도, 고정부(421)에 형성된 홀(425) 및 메인회로기판(93)에 형성된 관통홀(94)에 의해 커버글라스(90)에 형성된 개구부(92)는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개구부(92), 홀(425) 및 관통홀(94)의 크기가 조금씩 다르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개구부(92), 홀(425) 및 관통홀(94)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절곡부(422)는 고정부(421)의 일측에, 고정부(42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422)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의 연장부(323, 도 5 참조) 및 FPCB 시트(340, 도 5 참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곡부(422)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절곡선(B)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메인회로기판(93)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22)는 메인회로기판(93)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422)에는 구동장치(440)가 실장될 수 있으며, 제1신호 배선(450)은 홀(425)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신호 배선(450)은 필름 시트(420) 상에 홀(425)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440)와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422)에는 사용자 단말의 메인회로기판(93) 또는 LCD FPCB(미도시)와 연결되는 커넥터(47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시트(420) 상에는 기타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구동 장치의 실장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500)에서는 구동장치(540)가 필름 시트(520)의 절곡부(5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구동장치(440)는, 구동장치(440)의 어느 한 변이 제2절곡선(B)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구동장치(440)는, 구동장치(440)의 어느 한 변이 절곡부(422)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540)는, 구동장치(540)의 어느 한 변이 절곡부(5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540)는, 구동장치(540)의 어느 한 변이 제2절곡선(B)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540)의 실장 형태에 의하면, 절곡부(522)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다른 부품들과의 기구적인 형합을 맞출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의 (a)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6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6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FPCB 시트가 더 마련되고, 구동장치가 상기 FPCB 시트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검출 장치(600)의 연성회로기판(610)은 필름 시트(620) 및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660)를 가질 수 있다.
FPCB 시트(660)는, 일단부가 필름 시트(620)의 절곡부(622)의 일단부에 포개어져 접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FPCB 시트(660)의 일단부와 절곡부(622)의 일단부는 본딩패드(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600)에서는 구동장치(640)가 FPCB 시트(660)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신호 배선(650)은 FPCB 시트(660) 및 필름 시트(620)의 절곡부(622) 및 고정부(621)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소자는 FPCB 시트(660) 또는 필름 시트(620)에 더 실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의 (a)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710)을 절곡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2절곡선(B)을 기준으로 연성회로기판(710)을 절곡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구동장치가 필름 시트의 고정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700)는 구동장치(740)가 필름 시트(720)의 고정부(721)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신호 배선(750)도 필름 시트(720)의 고정부(721)에 형성될 수 있다.
FPCB 시트(760)에는 기타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740) 및 기타 소자는 커텍터(77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메인회로기판(93) 또는 LCD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90: 커버글라스
91: 베젤 영역
92: 개구부
93: 메인회로기판
94: 관통홀
100,200,300,500,600,700: 터치 검출 장치
110,210,310,410,610,710: 연성회로기판
120,220,320,420,520,620,720: 필름 시트
121,221,421,621,721: 고정부
122,222,322,422,522,622: 절곡부
130: 본딩패드
140,240,340,440,540,640,740: 구동장치
150,350,450,650,750: 제1신호 배선
223,323: 연장부
260,360,660,760: FPCB 시트
425: 홀
A: 제1절곡선
B: 제2절곡선

Claims (9)

  1. 터치 검출을 위한 구동장치가 실장되고, 본딩패드를 통해 터치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본딩패드가 마련되고 커버글라스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포개지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필름 시트를 가지며,
    상기 필름 시트에는 제1신호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 배선은 상기 터치 패널에 형성된 제2신호 배선과 상기 구동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딩패드를 기준으로 절곡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에 실장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연결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FPCB 시트에 실장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엘이디(LED), 카메라, 스피커 및 근접센서 중 하나 이상을 노출시키는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신호 배선은 상기 홀을 회피하여 형성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메인회로기판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절곡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에 실장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더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FPCB 시트에 실장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실장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시트가 더 연결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
KR1020140049792A 2013-04-29 2014-04-25 터치 검출 장치 KR101631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582 2013-04-29
KR1020130047582 2013-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73A true KR20140128873A (ko) 2014-11-06
KR101631122B1 KR101631122B1 (ko) 2016-06-16

Family

ID=5245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792A KR101631122B1 (ko) 2013-04-29 2014-04-25 터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73A (ko) * 2016-02-19 2017-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008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008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73A (ko) * 2016-02-19 2017-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22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7116B (zh) 电子装置
US1120119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KR10166116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장치
KR102568891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216167B2 (ja) 端子接続構造及びタッチセンサ内蔵表示装置
US20110001706A1 (en)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KR102376442B1 (ko) 회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WO2010126072A1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111630445B (zh) 包括弯曲区域中的多个布线层的显示器
JP5933113B2 (ja) 電子装置における回路ボードの取付構造
US9223429B2 (en) Touch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207754A (ja) 電気器具のための操作装置とそのような操作装置を有する電気器具
KR20140122879A (ko) 표시 장치
JP2011076514A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装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02540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7005164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452768B (zh) 連接多模組之單片式軟性電路板及應用其之觸控顯示模組
US2006023851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ouch panel
KR20170080843A (ko) 포스 센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2046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631122B1 (ko) 터치 검출 장치
CN110780481B (zh) 连结基板以及显示装置
KR102489958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구조물
US20170249040A1 (en)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guide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1423217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