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046B1 -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046B1
KR102382046B1 KR1020150154608A KR20150154608A KR102382046B1 KR 102382046 B1 KR102382046 B1 KR 102382046B1 KR 1020150154608 A KR1020150154608 A KR 1020150154608A KR 20150154608 A KR20150154608 A KR 20150154608A KR 102382046 B1 KR102382046 B1 KR 10238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upled
dispose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807A (ko
Inventor
조성헌
손아영
정희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46B1/ko
Priority to US15/241,028 priority patent/US10249835B2/en
Priority to CN201610841669.2A priority patent/CN106935620B/zh
Publication of KR2017005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거나,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분리되고,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 영역이 감소되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변형 가능한 표시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들은 정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표시장치들의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감소될수록 더 넓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 영역이 감소되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변형 가능한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거나,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분리되고,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4 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며,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4 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3 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갖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돌기 형상이 수용되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부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 내부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플랫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플랫하거나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는 제1 상태와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방향과 정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는 제2 상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기부와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배면에 배치되며,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 외부로 노출된 제2 커넥터와 전기적을 연결된 그래픽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는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 각각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상기 제3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3 표시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제2 부분의 비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정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 내부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바디부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 따라 표시 패널과 바디부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으로 구분되고, 제1 부분 및 제3 부분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는 제2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부분 및 제3 부분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일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인 디지털 단말기,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태블릿과 같은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의 3 개의 면을 커버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는 3 개의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로부터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와 둘 이상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가 제1 상태로 결합한 상태일 때의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가 제2 상태로 결합한 상태일 때의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바디부(BD), 및 커버부(CV)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부분(DP1),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DP2)은 제1 부분(DP1)으로부터 연장하며 절곡되고, 제3 부분(DP3)은 제2 부분(DP2)으로부터 연장하며 절곡될 수 있다. 제1 부분(DP1)과 제3 부분(DP3)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바디부(BD)는 제1 면(PL1), 제2 면(PL2), 제3 면(PL3), 및 제4 면(P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PL1)및 제2 면(PL2)은 서로 마주하고, 제3 면(PL3)과 제4 면(PL4)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PL3)은 제1 면(PL1)의 일단으로부터 제2 면(PL2)의 일단으로 연장하며, 제1 면(PL1)과 제2 면(PL2)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면(PL4)은 제1 면(PL1)의 타단으로부터 제2 면(PL2)의 타단으로 연장하며, 제1 면(PL1)과 제2 면(PL2)을 연결할 수 있다.
커버부(CV)는 제3 면(PL3)과 제4 면(PL4) 중 표시 패널(DP)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가 제1 상태로 결합된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의 제1 면(PL1), 제2 면(PL2), 및 제3 면(PL3)을 커버한다. 제1 부분(DP1)은 제1 면(PL1) 위에 배치되고, 제2 부분(DP2)은 제3 면(PL3) 위에 배치되고, 제3 부분(DP3)은 제2 면(PL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CV)는 제4 면(PL4)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가 제2 상태로 결합된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의 제1 면(PL1), 제2 면(PL2), 및 제4 면(PL4)을 커버한다. 제1 부분(DP1)은 제1 면(PL1) 위에 배치되고, 제2 부분(DP2)은 제4 면(PL4) 위에 배치되고, 제3 부분(DP3)은 제2 면(PL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CV)는 제3 면(PL3)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DD)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를 제1 상태(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왼손 잡이인 경우,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를 제2 상태(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PT)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부(PT)가 수용되는 수용홈(AH)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각각에서는 바디부(BD)의 표시 패널(DP)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부(PT)가 제공되고, 표시 패널(DP)의 바디부(BD)와 접촉하는 면에 수용홈(AH)이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바디부(BD)와 표시 패널(DP)이 체결되었을 때, 돌기부(PT)는 수용홈(AH)에 일대일 대응하며 수용홈(AH)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PT)는 표시 패널(DP)에 제공되고, 수용홈(AH)은 바디부(BD)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디부(BD)와 표시 패널(DP) 각각에 돌기부(PT)와 수용홈(AH)이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의 돌기부(PT)와 마주하는 바디부(BD)의 일 영역에는 수용홈(AH)이 제공되고, 표시 패널(DP)의 수용홈(AH)과 마주하는 바디부(BD)의 일 영역에는 돌기부(PT)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와 같이 제1 상태로 결합된 표시 장치(DD)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b와 같이 제2 상태로 결합된 표시 장치(DD)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를 향해 제1 방향(DR1)으로 슬라이딩하여 바디부(BD)와 체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면(PL1), 제2 면(PL2), 제3 면(PL3)을 커버하며 바디부(BD)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CV)는 제4 면(PL4)을 커버하며 바디부(BD)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CV)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는 돌출부(Pt)가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BD)에는 돌출부(Pt)가 수용되는 오목부(Hm)가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Hm)에는 돌출부(Pt)가 수용되어, 커버부(CV)가 바디부(BD)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Pt)와 오목부(Hm)는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BD)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커버부(CV)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여 커버부(CV)가 바디부(BD)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바디부(BD)를 향해 제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하여 바디부(BD)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정반대 방향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면(PL1), 제2 면(PL2), 및 제4 면(PL4)을 커버하며 바디부(BD)와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표시 패널(DP)을 바디부(BD)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된 표시 패널(DP)을 바디부(BD)에 원하는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DP)을 펼친 상태로 도시하였다. 표시 패널(DP)은 도 4에 도시된 두 개의 가상선(IL1, IL2)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도 3a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DP1)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1 비표시 영역(NDA1)을 포함한다. 제2 부분(DP2)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DA2)과 제2 비표시 영역(NDA2)을 포함한다. 제3 부분(DP3)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3 표시 영역(DA3)과 제3 비표시 영역(NDA3)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 표시 영역(DA2)과 제3 표시 영역(DA3) 사이에는 제2 비표시 영역(NDA2)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는 구동부(DU)가 배치된다. 구동부(DU)는 제1 부분(DP1),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3)들 각각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GL)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D) 및 제1 부분(DP1), 제2 부분(DP2), 및 제3 부분(DP3)들 각각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D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DAD)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GAD)는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되어,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을 향해 양방향으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드라이버(GAD)로부터 제1 부분(DP1)을 향하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드라이버(GAD)로부터 제3 부분(DP3)을 향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라인(GL)으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DP1) 및 제3 부분(DP3)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D)가 제2 부분(DP2) 내의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도 1의 DD)를 보면, 표시 패널(DP)의 제1 부분(DP1), 제3 부분(DP3) 각각의 제2 부분(DP2)과 인접한 영역에는 비표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DP1) 및 제3 부분(DP3)의 비표시 영역이 감소되어, 베젤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GAD)가 제3 부분(DP3)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 드라이버(GAD)는 제2 부분(DP2)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DAD)는 제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동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4 개의 구동칩이 제공된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칩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데이터 드라이버(DAD)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DL)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제3 비표시 영역(NDA3)에 배치된 데이터 드라이버(DAD)는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DL)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제1 기판(S1), 메탈층(ML), 유기 발광 소자층(OD), 및 봉지층(S2)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층(ML)은 제1 기판(S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층(ML)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는 메탈층(ML) 내의 데이터 라인(도 4의 DL) 부분이 도시되었으나, 메탈층(ML)에는 데이터 라인(도 4의 DL)과 절연된 게이트 라인(도 4의 GL),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층(ML) 위에는 유기 발광 소자층(OD)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층(OD)은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층(OD)은 발광 물질에 대응하는 컬러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층(OD)에서 생성된 광의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S2)은 유기 발광 소자층(OD)을 커버하며, 봉지층(S2)은 유기 발광 소자층(OD)을 공기 및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S2)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즉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 및 복수 개의 유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S2)은 봉지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층(OD)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S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봉지기판과 제1 기판(S1)는 제1 기판(S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실링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위에는 윈도우 어셈블리(WA)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어셈블리(WA)는 윈도우 부재,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개별로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 및 블랙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및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랙 매트리스는 베이스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 즉 비표시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리스는 유색의 유기층으로써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부재는 베이스 부재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입력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이 봉지층(S2)과 유기 발광 소자층(OD)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터치 패널은 교차하는 2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바디부(BD) 내부(BD_I)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부(도 4의 DU)로 제공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과 구동부(도 4의 DU)는 돌기부(PT) 및 수용홈(AH)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인쇄회로기판(PCB)이 데이터 드라이버(D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수용홈(AH)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되어 비아홀(VIA)을 통해 구동부(도 4의 DU)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돌기부(PT)는 배선(LI)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수용홈(AH)은 표시 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로써 기능하고, 돌기부(PT)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AH)과 돌기부(PT)가 단자로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돌기부(PT)와 수용홈(AH)의 개수는 단자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데이터 드라이버(DAD)가 배치된 일 영역과 윈도우 어셈블리(WA)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S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SM)는 접착성 테이프 또는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접착 부재(SM)는 구동 칩으로 제공된 데이터 드라이버(DAD)를 커버하며 윈도우 어셈블리(WA)와 표시 패널(DP) 사이의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 부재(SM)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는 도 5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DD)와 비교하였을 때, 인쇄회로기판(PCB)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DDa)는 배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PCB)과 구동부(도 2의 DU)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은 제1 단자(TM1)와 제2 단자(T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TM1)는 표시 패널(DP)에 제공된 단자(TM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자(TM2)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제공된 단자(TM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단자(TM1)와 표시 패널(DP)의 단자(TM3), 및 제2 단자(TM2)와 표시 패널(DP)의 단자(TM4)는 이방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방 전도성 필름은 니켈, 탄소 또는 납 알갱이 등과 같은 미세 도전 입자 및 절연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a)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T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TP)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을 커버하여, 표시 패널(DP)이 바디부(BD)로부터 분리 및 결합될 때 인쇄회로기판(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TP)는 블랙의 테이프일 수 있다. 커버 부재(TP)에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제공된 제1 커넥터(CN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BD)의 내부(BD_I)에는 그래픽 제어부(GP)가 배치된다. 그래픽 제어부(GP)는 영상 데이터 및 구동부(도 4의 DU)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제어부(GP)는 제2 커넥터(CN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CN2)는 바디부(BD)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바디부(BD)가 결합되면, 제1 커넥터(CN1)와 제2 커넥터(CN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도 6의 돌기부(PT) 및 수용홈(AH)은 전기적 단자로써의 역할 없이, 바디부(BD)에 결합된 표시 패널(DP)이 바디부(BD)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만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PT)와 수용홈(AH)의 개수와 위치는 전기적 연결에 대한 고려 없이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b)는 표시 패널(DP) 및 바디부(BD)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GRa)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가이드 레일(GRa)이 바디부(BD)에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에는 가이드 레일(GRa)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GRb)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GRb)는 바디부(BD)와 접촉되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GRa)이 바디부(BD)의 제1 면(PL1)에 2 개, 제2 면(PL2)에 2 개가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레일(GRa)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GRb) 역시 가이드 레일(GRa)의 수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c)는 앞서 도 2a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DD)와 비교하였을 때, 바디부(BDa), 및 표시 패널(DPa)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예컨대, 도 2a의 표시 패널(DP)의 제2 부분(DP2)이 플랫한 형상을 가졌다면, 도 9의 표시 패널(DPa)의 제2 부분(DP2a)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a)은 플랫한 제1 부분(DP1a), 제1 부분(DP1a)으로부터 연장되며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2 부분(DP2a), 및 제2 부분(DP2a)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랫한 제3 부분(DP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바디부(BDa)는 플랫한 제1 면(PL1a), 제1 면(PL1a)과 마주하며 플랫한 제2 면(PL2a), 제1 면(PL1a)과 제2 면(PL2a)을 연결하며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3 면(PL3a), 및 제3 면(PL3a)과 마주하며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4 면(PL4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CVa)는 제3 면(PL3a), 및 제4 면(PL4a) 중 표시 패널(DPa)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하나의 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커버부(CVa)는 제3 면(PL3a) 및 제4 면(PL4a)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a)과 커버부(CVa)는 바디부(BDa)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DDc)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표시 패널(DPa)과 커버부(CV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태에서는 표시 패널(DP)의 제2 부분(DP2a)이 바디부(BDa)의 제3 면(PL3a)을 커버하고, 커버부(CVa)가 바디부(BDa)의 제4 면(PL4a)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는 표시 패널(DP)의 제2 부분(DP2a)이 바디부(BDa)의 제4 면(PL4a)을 커버하고, 커버부(CVa)가 바디부(BDa)의 제3 면(PL3a)을 커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AH: 수용홈 BD: 바디부
CV: 커버부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PT: 돌기부

Claims (20)

  1.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거나,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분리되고,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4 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며, 상기 바디부와 결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4 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3 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갖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돌기 형상이 수용되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부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제1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 내부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플랫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플랫하거나 휘어진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3.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는 제1 상태와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방향과 정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는 제2 상태로 결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기부와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배면에 배치되며,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 외부로 노출된 제2 커넥터와 전기적을 연결된 그래픽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는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 각각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들 각각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상기 제3 부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3 표시 영역 사이에는 상기 제2 부분의 비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가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바디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정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 내부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표시 장치.
  20. 삭제
KR1020150154608A 2015-11-04 2015-11-04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38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08A KR102382046B1 (ko) 2015-11-04 2015-11-04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15/241,028 US10249835B2 (en) 2015-11-04 2016-08-18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CN201610841669.2A CN106935620B (zh) 2015-11-04 2016-09-22 显示装置和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08A KR102382046B1 (ko) 2015-11-04 2015-11-04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07A KR20170052807A (ko) 2017-05-15
KR102382046B1 true KR102382046B1 (ko) 2022-04-04

Family

ID=5863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608A KR102382046B1 (ko) 2015-11-04 2015-11-04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49835B2 (ko)
KR (1) KR102382046B1 (ko)
CN (1) CN106935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9117A (zh) * 2015-02-20 2015-05-13 王镇山 电路板和电路板间的磁性组合结构
USD865689S1 (en) * 2015-02-20 2019-11-05 Microduino Inc. Electrical module
KR20220046750A (ko) 2020-10-07 2022-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13688A (ko) * 2021-07-1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654A1 (en) 1999-04-16 2002-10-03 Kim Sang-Soo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20150212549A1 (en) 2014-01-24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20150295614A1 (en) 2012-11-19 2015-10-15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Mobile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964B2 (ja) 1995-03-14 1998-09-21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両面発光el表示装置
KR20050014134A (ko) 2003-07-30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화면 액정 표시 장치
KR100612506B1 (ko) 2004-08-19 2006-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장치
CN1798493A (zh) * 2004-12-28 2006-07-05 三洋爱普生映像元器件有限公司 显示装置及便携式设备
US8014137B2 (en) * 2009-04-24 2011-09-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parts
KR20110038560A (ko) * 2009-10-08 2011-04-14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KR102042149B1 (ko) 2013-07-31 2019-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49339B1 (ko) 2013-09-30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99806B1 (ko) * 2013-12-05 2021-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169459B1 (ko) 2013-12-06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멀티 패널 표시 장치
KR102210047B1 (ko) *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654A1 (en) 1999-04-16 2002-10-03 Kim Sang-Soo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20150295614A1 (en) 2012-11-19 2015-10-15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Mobile terminal device
US20150212549A1 (en) 2014-01-24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35620B (zh) 2021-12-03
US10249835B2 (en) 2019-04-02
US20170124944A1 (en) 2017-05-04
CN106935620A (zh) 2017-07-07
KR20170052807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384B2 (en) Displays with shared flexible substrates
US20190281708A1 (en) Notched Display Layers
EP3295243B1 (en) Flexible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ey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8716932B2 (en)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US10721830B2 (en) Waterproof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99352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1120119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US10091884B2 (en)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KR101055510B1 (ko) 터치패널
US11503749B2 (en) Display including shielding member arranged to cover at least part of display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382046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483379B1 (ko) 표시장치
US7573464B2 (en) Shape adaptable resistive touchpad
KR102305398B1 (ko) 표시장치
KR20160119914A (ko) 표시 장치
CN205068333U (zh) 电子显示模块及电子装置
KR20170083692A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60029503A1 (en) Reducing or eliminating board-to-board connectors
JP6833530B2 (ja) 表示装置
TW201419061A (zh) 觸控面板模組及其觸控裝置
TW201545609A (zh) 觸控顯示面板及觸控顯示裝置
TW201316863A (zh) 平面顯示器
KR20200104012A (ko) 투명 발열체가 실장된 표시장치
CN112639663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