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517A -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517A
KR20140128517A KR20130046529A KR20130046529A KR20140128517A KR 20140128517 A KR20140128517 A KR 20140128517A KR 20130046529 A KR20130046529 A KR 20130046529A KR 20130046529 A KR20130046529 A KR 20130046529A KR 20140128517 A KR20140128517 A KR 2014012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ock
semiconductor device
ccu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3999B1 (en
Inventor
김영균
최석호
김태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젯 filed Critical (주)에이젯
Priority to KR102013004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999B1/en
Publication of KR2014012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a blade for pressing or fixedly adsorbing a test semiconductor device can be conveniently replaced. In the handler device including the blade module for pressing or fixedly adsorbing a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is configured such that a blade block and a blade are assembled by using magnetic force or in a rotational locking and unlocking manner, or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are assembled in a latch manner, whereby a test can be performed quickly by replacing only a blade (module) prepared to have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sizes of test semiconductor devices,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placeable blade,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device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replace a blade to be pressed or adsorbed on a test semiconductor device.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테스트는 양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단기에 많은 수량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자동 핸들러를 사용하여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다.Generally, when a semiconductor device is intended for mass production, an automatic handler is used to test a large number of semiconductor devices in a short period of time.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3014호(공개일자: 2008.04.16)는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푸셔로봇을 이용하여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소켓 내에 반도체 디바이스를 이송하여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속시켜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하고, 다시 푸셔로봇이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디바이스를 언로딩 스택커로 이송하여 트레이에 테스트 결과별로 분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3014 (published on Apr. 16, 2008) discloses a device connection device of a test handler, and a semiconductor device is transferred into a socket provided on a test board using a pusher robot The pusher robot performs a series of tests by transferr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s to the unloading stacker and classify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s into the tray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이러한 핸들러장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이 마련되며, 블레이드모듈은 푸셔의 구동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고정하고 진공 흡착이 가능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를 흡착 고정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를 옮기게 된다.The handler device is provided with a blade module for pressing or adsorb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pushes and holds the semiconductor device by driving the pusher, and vacuum adsorbs the semiconductor device.

다른 예로써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0620호(공개일자: 2010.06.28)는 진공흡착피커를 개시하고 있으며, 블레이드모듈 내에 이젝트핀을 구비하여 진공 흡착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를 고정한 후에 진공흡착이 해지된 경우에 이젝트핀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를 하방으로 밀어주어 반도체 디바이스와 진공패드가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모듈을 갖는 핸들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As anothe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70620 (published on June 28, 2010) discloses a vacuum adsorption picker, which includes an eject pin in a blade module to fix a semiconductor device by vacuum adsorption,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is pushed downward by the eject pin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is released, so that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vacuum pa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모듈은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사이즈의 블레이드로 교체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handler device, the blade module is replaced with a blade of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and work is being performed.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가 조립되는 블레이드블록을 다수의 볼트로 조립하여 블레이드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볼트를 풀어서 블레이드를 분리한 후에 다른 사이즈의 블레이드를 다시 블레이드블록과 볼트 조립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To accomplish this, in the prior art, when a blade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a test semiconductor device and a blade block to which the blade is assembled are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bolts to replace the blade, the bolts are loosened to separate the blades, The blade block and bolt are assembled and tes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레이드블록은 새로운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마다 다수의 볼트 풀어서 블레이드를 교체하고 다시 볼트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blade block requires a plurality of bolts for each new semiconductor device test and requires bolts to be fastened after replacing the blad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long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갖는 핸들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r device having a blade capable of easily and promptly replacing a blade (modu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자력에 의해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comprising: a blade module for pressing or attracting a test semiconductor device; A blade block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 su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 And a blade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permanent magnets being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being fixed by the magnetic force with the blade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사마륨 코발트(SmCo)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manent magnet is a samarium cobalt (SmCo) serie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측벽에는 탄성 지지되는 볼 플런저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플런저와 대응되어 블레이드는 볼 플런저가 삽입 고정이 가능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portion further includes a ball plunger elastically supported, and more preferably,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blade corresponding to the ball plunger so that the ball plunger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reto do.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삽입되는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를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ncludes an assembling bod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a contac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요홈부의 측벽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요홈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handler device comprising a blade module for pressing or attracting a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comprising: A blade block having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recess and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 su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 And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groove for receiving the guide protrus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blade block and the locking / And includes a blade for locking.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한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요홈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리 형상의 몸체로써, 고리 몸체의 내측 측벽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클램프하우징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되, 상기 가이드돌기와 계합되는 가이드요홈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요홈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클램프하우징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de module to which a test semiconductor device is pressed or adsorbed and fixed, wherein the blade module has a cylindrical- A blade block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and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 su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ed portion; An annular body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the clamp housing having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wall of the annular body;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guide groove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blade guided and locked / unlocked with the clamp housing.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은 상기 클램프하우징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고정핀 단부가 상기 블레이드 블록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lamp housing is interposed in the blade block and the clamp housing, and the end of the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blade block.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요홈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를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ncludes: a cylindrical assembling bod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having the guide groove; And a contac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요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요홈과, 이 경사요홈에서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된 고정요홈을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groov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ade,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a plane extending from the inclined groove and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lad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블레이드는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촉면에 각각 서로 계합이 이루어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contact surface so that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한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CCU 플레이트 하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CCU블록과, 각 CCU블록과 조립되어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래치부와; 상기 제1,2래치부와 각각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모듈에 형성된 한 쌍의 제1,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래치부는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힌지 조립되어 상기 제1걸림턱에 고정이 가능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래치부는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되,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2걸림턱에 고정이 가능한 제2걸림돌기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CCU blocks pivot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CCU plate;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 portion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formed on the blade module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ortion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elastically hinged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The second latch portion being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nd being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latch portion can be fixed to the second latching jaw, And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서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라켓이 마련되어 상기 제1래치부는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서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2래치부는 상기 제2브라켓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2브라켓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체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brackets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is provided, the first latch unit is rotatably assembled between the first brackets,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brackets and is vertically movable by the fastening bolts,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brackets And is pressed upwar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부와 상기 제2래치부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인 CCU블록의 측면 대각선 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tch portion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are provided in a side diagonal direction of a CCU block having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과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면에 서로 계합이 이루어지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는 원추 형상의 돌기와, 이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assembly surface so that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More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Shaped protrusion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모듈은 영구자석을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이 블레이드블록과 자력에 조립이 이루어져 탈부착이 가능한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적절한 사이즈로 준비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하여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r device comprising a blade module to press or adsorb and fix a test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blade module comprises a blade block having a permanent magnet, The test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only the blades prepar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detachable blades,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모듈은 블레이드블록과, 이 블레이드블록과 회전 조작에 의해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적절한 사이즈로 준비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하여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r device including a blade module to which a test semiconductor device is pressed or adsorbed and fixed.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block, a locking / Since the test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only the blades prepar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blade for which unlocking is performe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CCU 플레이트 하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CCU블록과, 각 CCU블록과 조립되어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래치(latch) 부재에 의해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이 편리하게 록킹/언록킹이 가능하며, 따라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적절한 사이즈로 준비된 블레이드모듈만을 교체하여 새로운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CU blocks pivot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CCU plate and a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a blade module assembled with each of the CCU blocks, In the handler device for device testing,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can be easily locked / unlocked by a pair of latch members, so that only the blade module prepared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is replaced The test for a new semiconductor device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블레이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블레이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모듈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A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모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상태에서의 제1래치부와 제2래치부를 각각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ade modul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ade modul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A,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in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blade in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example of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enlarged views of the first latch portion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in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15 is a view showing a assembled state of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in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

도 1을 참고하면,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미도시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는 컨택 컨트롤 유닛(Contact Control Unit)(이하, "CCU"라 함) 플레이트(10) 하부에 다수의 CCU블록(20)이 마련되며, 각 CCU블록(20)에는 하나의 블레이드모듈(100)이 볼트 조립되어 각 블레이드모듈(100) 단위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핸들러장치에 의한 반도체 디바이스에 테스트는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블레이드모듈(1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1,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contact contro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CU") plate 10 to which a plurality of CCUs A block 20 is provided and one blade module 100 is bolted to each of the CCU blocks 20 to test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by each blade module 100, Since the test on the devic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blade module 1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모듈(100)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요홈부(111)가 형성되고, 요홈부(111)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112)를 갖는 블레이드블록(110)과; 픽업로드(112)가 관통되어 블레이드블록(110)의 요홈부(111) 내에 조립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 블레이드(120)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블록(110)의 요홈부(111)에는 영구자석(130)이 마련되어 블레이드(120)와 자력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2, the blade module 100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111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pick-up rod 112 capable of picking up the semiconductor device by vacuum suctioning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ed portion 111 A blade block 110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The blade block 110 includes a blade 120 through which the pick-up rod 112 penetrates and which is assembled in the recessed portion 111 of the blade block 1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recessed portion 111 of the blade block 110, A magnet 130 is provided and fixed to the blade 120 by a magnetic force.

블레이드블록(110)은 대략 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평면상에 사각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111)가 마련되며, 요홈부(111) 중앙에 픽업로드(112)가 마련된다. 픽업로드(112) 하단에는 탄성을 갖는 진공컵(113)이 부가될 수 있다.The blade block 11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block and has a recessed recess 11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one side thereof and a pickup rod 11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cessed recess 111. A vacuum cup 113 having elasticity may be added to the bottom of the pick-up rod 112.

특히 블레이드블록(110)의 요홈부(111)는 영구자석(130)이 마련되며, 도면에는 4개의 영구자석(130)이 요홈부(111)의 각 코너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영구자석의 사이즈 또는 숫자나 배치는 블레이드의 재질 등에 따라서 발생되는 자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Particularly, the recessed portion 111 of the blade block 110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130, and four permanent magnets 130 are shown at each corner of the recessed portion 111. However, The siz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lade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due to the material of the blade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블레이드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정 조작력 이상으로 블레이드블록(110)에서 블레이드(120)를 분리하는 경우에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영구자석의 사이즈나 숫자가 결정되어 요홈부(111)에 마련될 것이다.Preferably, the size and number of the permanent magnets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where the blade 120 can be separated when the blade 120 is separated from the blade block 110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operating force when the operator intends to replace the blade, (Not shown).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은 네오디늄(NdFeB) 계열 또는 페라이트, 알리코 등과 같은 다양한 주지의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한 사마륨 코발트(SmCo) 계열의 영구자석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nown permanent magnets such as neodymium (NdFeB) series or ferrite, alico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preferably a samarium cobalt (SmCo) series permanent magnet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s preferable.

반도체 디바이스의 테스트 과정에는 상온 뿐만 아니라 저온 또는 고온의 환경에서의 기능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따라서 충분히 강한 자력을 발생시키면서도 고온 조건에서 우수한 자기 특성을 발휘하는 SmCo 계열의 영구자석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SmCo 계열의 영구자석은 기계적 강도가 낮아서 모서리에서의 벗겨짐이나 깨지기 쉬우므로 영구자석은 요홈부(111) 내에 영구자석 조립용 요홈을 형성하고 요홈 내에 삽입 고정되어 요홈부(111)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test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a function test is performed not only at room temperature but also at a low temperature or a high temperature. Therefore, a SmCo series permanent magnet which exhibits a sufficiently strong magnetic force and exhibits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ould b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mCo series permanent magnets have low mechanical strength and are easily peeled off or fragile at the corners, the permanent magnets ar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11 to form recesses for assembling the permanent magnets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recessed portions,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become a problem.

블레이드블록(110)의 요홈부(111) 측벽에는 탄성 지지되는 볼 플런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볼 플런저(140)는 요홈부(111) 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120)를 측면에서 가압 고정한다. 이러한 볼 플런저(140)는 복수개가 요홈부(111) 측벽에 대칭되게 적절히 배치되어 블레이드(120)를 측면에서 고정하여 요홈부(111) 내에서 블레이드블록(110)과 블레이드(120) 사이의 유격에 의한 블레이드(120)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ll plunger 140 may include a ball plunger 140 elastically supported on a sidewall of the recessed portion 111 of the blade block 110. The ball plunger 140 presses the blade 120 fixed in the recessed portion 111, Fixed.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140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idewalls of the recessed grooves 111 so as to fix the blade 120 on the side surface thereof to form a clearance between the blade block 110 and the blade 120 in the recessed portion 11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ade 120 from flowing.

블레이드(120)는 관통홀(120a)이 형성되어 픽업로드(112)가 관통 위치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블록(110)의 요홈부(111) 내에 삽입되는 조립몸체(121)와; 조립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122)를 포함한다.The blade 120 has a through hole 120a to allow the pick-up rod 112 to pass therethrough and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recess 111 of the blade block 110; And a contact body 122 integrally formed with the assembly body 121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조립몸체(121)는 요홈부(111)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홈부(111)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면서 요홈부(111)의 깊이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블록(110)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요홈부(111) 내에 조립되어 평면상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assembly body 121 may be provided in an appropriat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ess 111. For example, the assembly body 121 may have the same (flat) shape as the recess 111,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minimum clearance so as not to generate a flow on the flat surface in the recessed groove 111 within a range in which the blade block 110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easily.

조립몸체(121)는 볼 플런저(140)와 대응되어 볼 플런저(140)가 삽입 위치할 수 있도록 측면을 따라서 체결홈(1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assembly body 121 may have a coupling groove 121a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ball plunger 140 and allow the ball plunger 140 to be inserted therein.

콘택몸체(122)는 조립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며,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사이즈(면적 등)가 결정될 것이다.The contact body 1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121 to mak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ize (area, etc.)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블록과 영구자석에 의한 자력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몸체(121)만이 부분적으로 자성체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조립몸체(121) 중에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틸 소재인 볼트(121b)가 체결됨으로써 블레이드 또는 조립몸체의 소재에 대한 제한 없이 블레이드블록과 블레이드가 영구자석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assembly body 121 can be partially used for the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blades can b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blade block and the permanent magnet. On the other hand, in the assembly body 121, By fastening the bolt 121b, which is a steel material,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can be fixed by the permanent magnet without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blade or the assembly bod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모듈은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에 따라서 블레이드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120)만을 교체하여 새로운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lad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tested for a new semiconductor device by replacing only the blades 120 when the blade is to be replaced according to a test semiconductor device.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

도 4를 참고하면,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미도시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는 CCU 플레이트(10) 하부에 다수의 CCU블록(20)이 마련되며, 각 CCU블록(20)에는 블레이드모듈(200)이 볼트 조립되어 각 블레이드모듈(200) 단위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것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블레이드모듈(2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a plurality of CCU blocks 20 are provided under a CCU plate 10 to be conveyed by an unillustrated conveying device, and each CCU block 20 is provided with a blade The module 200 is bolted to test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in units of each blade module 200,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blade module 2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모듈(200)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홈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요홈부(211) 중앙에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212)를 갖는 블레이드블록(210)과; 상기 요홈부(2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삽입되는 고리 형상의 몸체(221)로써, 고리 몸체(221)의 내측 측벽에 가이드돌기(222)가 돌출 형성된 클램프하우징(220)과; 클램프하우징(22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되, 가이드돌기(222)와 계합되는 가이드요홈부(232)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요홈부(232)를 따라 안내되어 클램프하우징(220)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230)를 포함한다.5, the blade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recessed groove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ick-up rod 212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sucking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center of the recessed portion 211, A blade block 210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 clamp housing 220 having an annular body 221 elastically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recess 211 so as to protrude from a side wall of the annular body 221 so as to protrude therefrom; The guide protrusion 222 is rotatably assembled inside the clamp housing 22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has a guide recessed portion 232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22, And a blade 230 which is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232 and is locked / unlocked with the clamp housing 220.

블레이드블록(210)은 대략 육면체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평면상에 원통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211)가 마련되며, 요홈부(211) 중앙에 픽업로드(212)가 마련된다. The blade block 21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block and has a recessed groove 21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and a pickup rod 21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cessed groove 211.

픽업로드(212)의 선단에는 탄성을 갖는 진공컵(212a)이 부가될 수 있다.A vacuum cup 212a having elasticity may be added to the tip of the pick-up rod 212. [

클램프하우징(220)은 고리 형상의 몸체(221)로써, 요홈부(2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삽입되며, 고리 몸체(221)의 내측 측벽에 가이드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하우징(220)은 블레이드블록(210)의 요홈부(2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조립된다.The clamp housing 220 is an annular body 221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recess 21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222 is protruded from an inner side wall of the annular body 221. The clamp housing 22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ecess 211 of the blade block 21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모듈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A의 확대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A.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블레이드블록(210)과 클램프하우징(220) 사이에는 클램프하우징(22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23)가 개재되어 고정핀(224) 단부가 블레이드블록(210)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and 7, an elastic body 22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lamp housing 220 is interposed between the blade block 210 and the clamp housing 220 so that the end of the fixing pin 224 is connected to the blade block 220. [ 210 are screwed together.

따라서 클램프하우징(220)은 탄성체(22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d1) 범위 내에서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clamp housing 2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223 and can be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d1 in the vertical direction.

블레이드블록(210)과 클램프하우징(220)은 탄성체가 탄성 지지된 두 개 이상의 고정핀에 의해 조립될 수 있으며, 고정핀들의 배치나 숫자는 클램프하우징(22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blade block 210 and the clamp housing 220 can be assembled by two or more fixing pins elastically supported by elastic members and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fixing pin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lamp housing 220 can be smoothly operated .

이와 같은 구성된 클램프하우징(220)은 블레이드(230)와 록킹상태가 되면, 클램프하우징(220)은 블레이드블록(210)과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탄성체(223)에 의해 블레이드(230)와 블레이드블록(210) 사이의 조립면은 밀착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고온 테스트 과정에서 블레이드블록(210)에서 블레이드(230)로 전달되는 열전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clamp housing 220 is locked with the blade 230, the clamp housing 220 is separated from the blade block 210 and is separated from the blade 230 and the blade block 210 by the elastic body 223, And thus the thermal conduction from the blade block 210 to the blade 230 in the high temperature test process for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블레이드(230)는 관통홀(230a)이 형성되어 픽업로드(212)가 관통하여 클램프하우징(22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반도체 디바이스(미도시)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며, 가이드돌기(222)와 계합되는 가이드요홈부(232)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요홈부(232)를 따라 안내되어 클램프하우징(220)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진다.Referring again to FIG. 5, the blade 230 has a through hole 230a formed therein so that the pick-up rod 212 penetrates and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inside of the clamp housing 220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guide protrusion 222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22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22 is guided along the guide recessed and tapped portion 232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clamp housing 220 and the locking / Locking is done.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in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ront view of a blade in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블레이드(230)는 원형 형상의 조립몸체(231)와, 조립몸체(23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233)를 포함한다.8 and 9, the blade 230 includes a circular shaped assembly body 231 and a contact body 233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231 to mak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조립몸체(231)는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즉, 클램프하우징의 내측) 내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요홈부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원활한 회전 조작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한 사이즈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조립몸체(231)의 높이는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의 깊이와 대략 같다.The assembly body 23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that is, the inside of the clamp housing), and can be determined as an appropriate size within a range in which smooth rot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recessed portion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assembly body 231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조립몸체(23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요홈부(232)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요홈부(232)는 조립몸체(231)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요홈(232a)과, 이 경사요홈(232a)에서 연장 형성되어 조립몸체(232)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고정요홈(232b)을 포함한다.The guide recessed groove portion 232 preferably has an inclined recessed portion 232a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ssembly body 231, And a fixing groove 232b extending from the inclined groove 232a and positione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ssembly body 232. [

따라서 블레이드(230)를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조립하는 경우에, 블레이드(230)의 경사요홈(232a)과 클램프하우징의 가이드돌기(222)를 끼워 맞추어 블레이드(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경사요홈(232a)이 가이드돌기(222)를 따라서 블레이드(2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가이드돌기(222)가 고정요홈(232b)에 위치하여 블레이드(230)와 블레이드블록(즉, 클램프하우징)과 조립(록킹)이 이루어진다. 한편, 블레이드(230)의 역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블레이드(230)와 블레이드블록(클램프하우징)의 분리(언록킹)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lades 230 are assembled into the recessed grooves of the blade block, when the slanted grooves 232a of the blade 230 and the guide protrusions 222 of the clamp housing are fitted to rotate the blade 230, The blade 230 is rotat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222 and the guide protrusion 222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232b so that the blade 230 and the blade block (Locking)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separation (unlocking) of the blade 230 and the blade block (clamp housing)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blade 230 in the reverse direction.

콘택몸체(233)는 조립몸체(23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그 사이즈(면적 등)는 결정될 것이다.The contact body 2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231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size (area, etc.) of the contact body 233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블록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조립몸체(231)의 상부 면에는 돌출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31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블록의 조립 시에 고정돌기(231a)는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형성된 계합요홈(211a)(도 5 참고)에 삽입 고정되어 블레이드블록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y body 2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block,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231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y body 231. When assembling the blade and the blade block, the fixing protrusion 231a (See FIG. 5)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portion of the blade block so that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블레이드블록에 계합요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블레이드에 요홈이 형성되고 블레이드블록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이러한 계합부재에 의해 블레이드블록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lades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blade blocks. However,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blades and the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lade blocks. Assembly may be done in plac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블레이드모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블레이드모듈(200)은 블레이드블록(210)에 블레이드(230)를 끼워 회전시켜 블레이드블록(210)과 블레이드(230)를 편리하게 록킹(조립)할 수 있으며, 언록킹 시에는 블레이드(230)를 약간 바깥으로 잡아당긴 상태(대략, 고정돌기 높이 만큼)에서 역회전 조작에 의해 편리하게 분리(언록킹)할 수 있다.The blade modul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lock the blade block 210 and the blade 230 by rotating the blade block 210 with the blade 230 interposed therebetween. 230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unlocked) by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at a slightly pulled out position (approximately by the fixing projection height).

따라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에 따라서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블레이드만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lade is replac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only the corresponding blade can be conveniently replaced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tested.

한편 블레이드블록(210)과 블레이드(230)를 분리하는 경우에 블레이드(230)를 직접 고정하게 되는 클램프하우징은 블레이드블록(210)에 대해 탄성 지지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가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블레이드(230)의 회전 분리 시에 무리한 조작에 의해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요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 housing, which directly fixes the blade 230 when the blade block 210 and the blade 230 are separated, is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lade block 210 to move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uide protrusion or the guide groove portion from being damaged by unreasonable operation at the time of rotation separa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30 or 23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블록에 클램프하우징이 마련되어 블레이드는 클램프하우징의 가이드돌기에 의해 록킹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클램프하우징이 없이 가이드돌기가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측벽에 마련되어 동일한 작동에 의해 블레이드블록과 블레이드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clamping housing is provided in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is locked by the guide protrusion of the clamp housing,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recess of the blade block without the clamping housing, And the locking / unlocking of the blade may be accomplished.

-제3실시예-- Third Embodiment -

도 11을 참고하면,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는, 미도시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는 CCU 플레이트(10) 하부에 다수의 CCU블록(300)이 마련되며, 각 CCU블록(300)에는 하나의 블레이드모듈(400)이 조립되어 각 블레이드모듈(400) 단위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진다.11,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CU blocks 300 below a CCU plate 10 to be conveyed by an unillustrated conveying device, and each CCU block 300 has one The blade module 400 of each blade module 400 is assembled and tested for each test module.

CCU 플레이트(10)와 CCU블록(30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 실린더(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 실린더(30)는 CCU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미도시된 레귤레이터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져 하단에 조립되는 CCU블록(300)을 정밀하게 상하 조작하여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에 가압력을 조정하게 된다.A diaphragm cylinder 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CU plate 10 and the CCU block 300. The diaphragm cylinder 30 is installed on the CCU plate 10 and is controlled by a regulator The CCU block 300 is precisely operated up and down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to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CCU블록(300)은 두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부 블록에 대해 하부블록은 수평면 상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CCU블록(300) 하부에 조립되는 블레이드모듈(400)이 하강하여 소켓에 안착된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경우에 CCU블록(300)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블레이드모듈과 소켓의 조립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수평위치 상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The CCU block 300 is composed of two blocks, and the lower block can flow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upper block. Therefore, the blade module 400 assembled under the CCU block 300 descends, The CCU block 300 can move back and forth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absorb an error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blade module and the socket are assembled.

한편, 블레이드모듈(400)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시(40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시(401)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가 안착 위치하게 되는 소켓에 마련된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블레이드모듈(400)의 하강 시에 블레이드모듈(400)의 하강위치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시(401)는 블레이드모듈(400)의 하부에 서로 대각선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됨을 보여주고 있다.A plurality of guide bushes 401 may be provided under the blade module 400. The guide bushes 401 may be coupled with guide protrusions provided in the socket in which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is placed, Thereby guiding the lowered position of the blade module 4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bushes 401 are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ade module 400 at a pair of diagonal positions.

특히 본 발명에서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은 한 쌍의 래치부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져 블레이드모듈(40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assembled by a pair of latches, so that the blade module 400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easily.

구체적으로 도 1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CCU블록(300)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래치부(310)(320)와; 제1,2래치부(310)(320)와 각각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모듈(40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2걸림턱(410)(42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 portions 310 and 320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300;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ing protrusions 410 and 420 formed on the blade module 400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ortions 310 and 320, respectively.

제1래치부(310)는 CCU블록(30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힌지 조립되어 제1걸림턱(410)에 고정이 가능한 제1걸림돌기(313)를 포함하며, 제2래치부(320)는 CCU블록(30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제2걸림턱(420)에 고정이 가능한 제2걸림돌기(321)를 포함한다.The first latch unit 310 includes a first latching protrusion 313 elastically hinged to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300 to be fixed to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410, Include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 which is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300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to be fixed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420.

구체적인 예로써, 제1래치부(310)는 힌지돌기(311)가 돌출 형성된 제1래치몸체(312)와, 제1래치몸체(312) 하단에 절곡 형성된 제1걸림돌기(313)와, 제1래치몸체(312) 상단과 CCU블록(300)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314)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latch unit 310 includes a first latch body 312 having a hinge protrusion 311 protruded therefrom, a first latching protrusion 313 bent at a lower end of the first latch body 312, May be provided by a first elastic body 314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ne latch body 312 and the CCU block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CCU블록의 측면에는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라켓(301)이 마련되며, 제1브라켓(301)은 힌지공(301a)이 형성되어 제1래치부(310)의 힌지돌기(311)가 힌지공(301a)에 조립되어 제1래치부(310)는 CCU블록(300)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The first bracket 301 is formed with a hinge hole 301a so that the first bracket 301 and the first bracket 30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ide of the CCU block, The hinge protrusion 311 is assembled to the hinge hole 301a so that the first latch portion 310 is assembled to the CCU block 300 so as to be elastically rotatable.

한편 제2래치부(320)는 제2걸림돌기(321)가 하단에 절곡 형성된 제2래치몸체(322)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의 가이드홈(322a)이 형성되며, 체결볼트(323)가 가이드홈(322a)을 관통하여 CCU블록(300)에 나사 조립되어 제2래치몸체(322)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래치몸체(322)의 상하 가동 범위는 체결볼트(32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2a)의 길이(d2)에 의해 결정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the second latch body 322, in which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321 is bent at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322a having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latch body 32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upper and lower movable range of the second latch body 32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astening bolt 323, Can be determined by the length d2 of the guide groove 312a to be inserted.

제2래치몸체(322) 상단에는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헤드(324)가 마련되며, 헤드(324)는 두 개의 제2탄성체(32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The head 324 is horizont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atch body 322 and the head 32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wo second elastic bodies 325.

도 2에는 체결볼트(323)에 스페이서(326)가 삽입되어 제2래치몸체(322)와 조립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면부호 402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진공컵이다.2 shows that the spacer 326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 323 and assembled with the second latch body 322. Reference numeral 402 denotes a vacuum cup capable of picking up a semiconductor device by vacuum suction.

바람직하게는 CCU블록(300)의 측면에는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브라켓(302)이 마련되며, 두 개의 제2브라켓(302) 사이에 제2래치몸체(322)가 위치하게 되며 제2브라켓(302) 상단에는 제2탄성체(325) 하단에 위치하여 제2래치부(320)는 CCU블록(300)에 대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Preferably, a pair of second brackets 302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CCU block 300 are provided, and a second latch body 322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cond brackets 302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302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325 so that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CU block 300.

다음으로,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은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면에 서로 계합이 이루어지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assembly surface so that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부재로써 CCU블록(300)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303)과, 블레이드모듈(4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요홈(303)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추 형상의 돌기(430)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CCU블록에 돌기가 형성되고 블레이드모듈에 요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며, 이러한 계합부재는 조립면에 다수개로 마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 groove 30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CU block 300 as an engaging member and a conical protrusion 43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module 400 and engaged with the groove 303 are shown as an example However, contrary to this, the CCU block may have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blade module, and the number of these engaging members may be provided on the assembly surface.

본 발명에서 제1래치부(310)와 제2래치부(320)는 CCU블록(300)의 측면에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범위 내에서 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모듈(400)의 가이드부시(401)와 인접하여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a range where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ar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3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guide bushes 401 of the module 400.

앞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가이드부시(401)는 소켓에 마련될 가이드돌기와 삽입되면서 블레이드모듈(400)의 하강 위치를 안내하게 되며, 이때 소켓과 블레이드모듈의 위치(수평방향) 편차에 따라서 가이드부시(401)와 가이드돌기 사이에는 반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력이 발생될 수 있는 가이드부시(401) 위치와 인접하여 래치부를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모듈(400)과 소켓의 조립 과정에서 반력이 발생하더라도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은 견고히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는 블레이드모듈(400)의 대각선 방향의 두 코너에 가이드부시(401)가 마련되며, 제1,2래치부(310)(320) 역시도 서로 같은 대각선 방향에 각각 가이드부시(401)와 인접되어 마련됨을 보여주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ush 401 guide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blade module 4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to be provided in the socket. At this time, the guide bush 401 is moved along the position (horizontal direction) A reaction for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lade module 400 and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a re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lade module 400 and the socket by arranging the latch portion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bush 401, The blade module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can be firmly fixed. For example, in FIG. 12, guide bushes 401 are provided at two diagonal corners of the blade module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arts 310 and 320 are also arranged in the same diagonal direction, 401). ≪ / RTI >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example of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in a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CU블록(300)에 상하 가동이 가능한 제2래치부(320)의 제2걸림돌기(321)에 블레이드모듈(400)의 제2걸림턱(420)을 걸어 고정시킨 후에 블레이드모듈(400)의 반대편을 밀어 회전시키게 되면 제1래치부(310)의 제1걸림돌기(313)이 제1걸림턱(311)에 걸려서 고정되어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의 록킹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블레이드모듈(400)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430)가 CCU블록(300)의 요홈(303) 내에 삽입되면서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이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320 which can move up and down is fixed to the CCU block 300 and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420 of the blade module 400 is fixed to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321 of the blade module 400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313 of the first latching portion 310 is caught and fixed to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311 so that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locked, The protrusions 43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module 400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s 303 of the CCU block 300 so that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can be assembled Assist.

도 14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상태에서의 제1래치부와 제2래치부를 각각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이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제1래치부를 보여주고 있으며, (b)는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이 조립과정에서 제2래치부를 보여주고 있다.14A and 14B are enlarged views of the first latch portion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in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shows a first latch unit in a state in which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are assembled, and FIG. 6B shows a second latch unit in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은 조립 과정에서 CCU블록(300)의 제1래치부(310)와 제2래치부(320)는 각각 블레이드모듈(400)의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과 각각 고정이 이루어지며, 특히 제1래치부(310)의 제1탄성체(314)는 수평방향으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을 밀착 고정하게 되고 제2래치부(320)의 제2탄성체(325)는 수직방향으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을 밀착 고정시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은 견고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assembled such that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of the CCU block 3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atching jaws 410 of the blade module 400 The first elastic body 314 of the first latch part 310 is fixedly fixed to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latch part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can be firmly fixed by closely fixing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조립 과정에서 제1래치부(310)와 제2래치부(320)에 마련된 제1탄성체(314)와 제2탄성체(325)는 압축되며, 압축된 탄성체는 언록킹과정에서 제1래치부(310)와 제2래치부(32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조작력을 제공한다.Meanwhile, in the assembly process, the first elastic body 314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25 provided in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are compressed, and the compressed elastic body is compressed in the unlocking process, So that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can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서 CCU블록과 블레이드모듈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와 같이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이 록킹된 상태에서 언록킹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탄성체(314)에 탄성 지지된 제1래치부(310) 상단을 누르게 되면 제1래치부(310) 하단이 벌어지면서 제1래치부(310)와 블레이드모듈(40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며, 또한 제2래치부(320)와 블레이드모듈(400)과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CCU블록(300)과 블레이드모듈(400)을 언록킹(분리)할 수 있다.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CU block and a blade module are assembled in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tate, when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lock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latch portion 310 is opened and the first latch portion 310 and the blade modul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latch portion 310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314. [ The second latch portion 32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the CCU block 300 and the blade module 400 are unlocked have.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핸들러장치는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의 사이즈 변경에 따라서 설비의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블레이드모듈만을 CCU모듈에서 간단히 교체하여 새로운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equipmen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change of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handl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ested for a new semiconductor device by simply replacing only the blade module with the CCU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20, 300 : CCU블록
100, 200, 400 : 블레이드모듈
110, 210 : 블레이드블록
111, 211 : 요홈부 112, 212 : 픽업로드
120, 230 : 블레이드 121, 231 : 조립몸체
122, 233 : 콘택몸체 130 : 영구자석
140 : 볼 플런저 220 : 클램프하우징
221 : 고리 몸체 222 : 가이드돌기
223 : 탄성체 224 : 고정핀
232 : 가이드요홈부 232a : 경사요홈
232b : 고정요홈 301 : 제1브라켓
302 : 제2브라켓 303 : 요홈
310 : 제1래치부 311 : 힌지돌기
312 : 제1래치몸체 313 : 제1걸림돌기
314 : 제1탄성체 320 : 제2래치부
321 : 제2걸림돌기 322 : 제2래치몸체
322a : 가이드홈 323 : 체결볼트
324 : 헤드 325 : 제2탄성체
410 : 제1걸림턱 420 : 제2걸림턱
430 : 돌기
20, 300: CCU block
100, 200, 400: Blade module
110, 210: a blade block
111, 211: recessed groove 112, 212: pick-up rod
120, 230: blades 121, 231: assembly body
122, 233: contact body 130: permanent magnet
140: Ball plunger 220: Clamp housing
221: Ring body 222: Guide projection
223: elastic body 224: fixing pin
232: guide groove portion 232a: inclined groove
232b: fixing groove 301: first bracket
302: second bracket 303: groove
310: first latch portion 311: hinge projection
312: first latch body 313: first latching protrusion
314: first elastic body 320: second latch portion
321: second latching protrusion 322: second latch body
322a: guide groove 323: fastening bolt
324: head 325: second elastic body
410: first jaw 420: second jaw
430: projection

Claims (16)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A handler device comprising a blade module adapted to pressurize or adsorb and fix a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block having a recess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 su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
Wherein the pick-up rod is penetrated and assembl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fixed by the magnetic force with the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사마륨 코발트(SmCo)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The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manent magnet is a samarium cobalt (SmCo) s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측벽에는 탄성 지지되는 볼 플런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The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ll plunger elastically supported on a side wall of the rec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플런저 대응되어 블레이드는 볼 플런저 삽입 고정이 가능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4. The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all corresponding to the ball plunge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apable of inserting and fixing the ball plu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삽입되는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The blade according to claim 1,
An assembly bod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a contac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wherein the contact body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요홈부의 측벽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요홈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A handler device comprising a blade module adapted to pressurize or adsorb and fix a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block having a cylindrical reces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recess and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picking up the semiconductor device by vacuum suction at the center of the recess;
And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groove for receiving the guide protrus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blade block and the locking /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lade for locking.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중앙에 함몰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요홈부 중앙에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픽업이 가능한 픽업로드를 갖는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요홈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리 형상의 몸체로써, 고리 몸체의 내측 측벽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클램프하우징과;
상기 픽업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되, 상기 가이드돌기와 계합되는 가이드요홈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요홈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클램프하우징과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A handler device comprising a blade module adapted to pressurize or adsorb and fix a test semiconductor device,
The blade module includes:
A blade block having a cylindrical recessed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pick-up rod capable of being picked up by vacuum su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the center of the recessed portion;
An annular body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the clamp housing having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wall of the annular body;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guide groove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blade guided and locked / unlocked with the clamp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은 상기 클램프하우징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고정핀 단부가 상기 블레이드 블록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8. The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lade block and the clamp housing have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lamp housing, and the end of the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blade block.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블록의 요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요홈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도체 디바이스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콘택몸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The blade according to claim 6 or 7,
A cylindrical assembly bod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lade block and having the guide groove;
And a contac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body, wherein the contact body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요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요홈과, 이 경사요홈에서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된 고정요홈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lade so as to extend from the inclined groove. The hand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groov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d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블록과 상기 블레이드는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촉면에 각각 서로 계합이 이루어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8. The handl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or 7,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contact surfaces so that the blade block and the blade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CU 플레이트 하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CCU블록과, 각 CCU블록과 조립되어 테스트 반도체 디바이스를 가압 또는 흡착 고정하게 되는 블레이드모듈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래치부와;
상기 제1,2래치부와 각각 걸려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모듈에 형성된 한 쌍의 제1,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래치부는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힌지 조립되어 상기 제1걸림턱에 고정이 가능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래치부는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되,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2걸림턱에 고정이 가능한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A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CCU blocks pivot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CCU plate; and a blade module assembled with each CCU block to press or attract the test semiconductor device,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 portion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formed on the blade modul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ortion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latch portion includes a first latching protrusion that is elastically hing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nd can be fixed to the first latching jaw,
Wherein the second latch portion includes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that is vertically movable on a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to be fixed to the second latching jaw.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서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라켓이 마련되어 상기 제1래치부는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CCU블록의 측면에서 이격 위치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2래치부는 상기 제2브라켓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2브라켓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체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
13. The CCU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rst brackets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CU block, the first brackets being rotatably assembled between the first brackets,
A pair of second brackets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CU block are formed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brackets and is vertically movable by the fastening bolts, And is urged upward by an elastically supported elastic body.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부와 상기 제2래치부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인 CCU블록의 측면 대각선 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14. The handl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first latch portion and the second latch portion are provided in a side diagonal direction of a CCU block having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CU블록과 상기 블레이드모듈은 정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면에 서로 계합이 이루어지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13. The handler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CU block and the blade module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an assembling surface so as to be assemb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는 원추 형상의 돌기와, 이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장치.16. The handler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a conical protrusion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KR1020130046529A 2013-04-26 2013-04-26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KR101503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529A KR101503999B1 (en) 2013-04-26 2013-04-26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529A KR101503999B1 (en) 2013-04-26 2013-04-26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07A Division KR101504070B1 (en) 2014-08-06 2014-08-06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17A true KR20140128517A (en) 2014-11-06
KR101503999B1 KR101503999B1 (en) 2015-03-18

Family

ID=5245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529A KR101503999B1 (en) 2013-04-26 2013-04-26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999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82A (en) * 2015-07-08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socket and semiconductor det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31425A (en) * 2017-05-31 2018-12-10 파스포드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076946B1 (en) * 2019-10-16 2020-02-12 유정시스템(주)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tester
KR102136689B1 (en) * 2020-03-03 2020-07-22 장용철 Flying probe tester
KR102189260B1 (en)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Probe block for testing panel
KR20210026384A (en)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아이플렉스 Vaccum suction pad for pick-up apparatus
KR102258757B1 (en) * 2020-04-13 2021-06-01 주식회사 씽크윈텍 Substrate carrier using magnetic repulsive force
KR20220001960A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테크 A Debugging Tool for an Electric Element
KR20220020718A (en)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Electrical test apparatus
CN117310419A (en) * 2023-10-31 2023-12-29 深圳胜蓝电气有限公司 Insulation and voltage resistance test fixture for terminal block
WO2024086079A1 (en) * 2022-10-19 2024-04-25 Advantest Corporation Magnetically retained replaceable cylinder component for pick-and-place test head unit
WO2024086080A1 (en) * 2022-10-19 2024-04-25 Advantest Corporation Magnetically retained replaceable chuck assembly for pick-and-hold test head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59B1 (en) 1999-04-29 2001-07-12 정문술 forking and un forking picker of shoting handler for burn-in tester
KR20080002841U (en) * 2007-01-22 2008-07-25 (주)테크윙 Pusher block for match plate of test handl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82A (en) * 2015-07-08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socket and semiconductor det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31425A (en) * 2017-05-31 2018-12-10 파스포드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26384A (en)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아이플렉스 Vaccum suction pad for pick-up apparatus
KR102189260B1 (en)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Probe block for testing panel
KR102076946B1 (en) * 2019-10-16 2020-02-12 유정시스템(주)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tester
KR102136689B1 (en) * 2020-03-03 2020-07-22 장용철 Flying probe tester
KR102258757B1 (en) * 2020-04-13 2021-06-01 주식회사 씽크윈텍 Substrate carrier using magnetic repulsive force
KR20220001960A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테크 A Debugging Tool for an Electric Element
KR20220020718A (en)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Electrical test apparatus
WO2024086079A1 (en) * 2022-10-19 2024-04-25 Advantest Corporation Magnetically retained replaceable cylinder component for pick-and-place test head unit
WO2024086080A1 (en) * 2022-10-19 2024-04-25 Advantest Corporation Magnetically retained replaceable chuck assembly for pick-and-hold test head unit
CN117310419A (en) * 2023-10-31 2023-12-29 深圳胜蓝电气有限公司 Insulation and voltage resistance test fixture for termina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999B1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999B1 (en)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KR101504070B1 (en) Semiconductor test handler having a exchangeable blade
US8322697B2 (en) Clamping device for adjoining board materials
US9561565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placement of gaskets on a housing
KR20140121909A (en)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CN107414452B (en) Battery cover assembl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CN111604658A (en) Clamping mechanism and device for assembly
CN110113929B (en)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fixing device capable of being quick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CN210937720U (en) Positioning jig
CN109510741B (en) Switch test fixture
US7575460B2 (en) IC socket
CN210678423U (en) Universal mobile phone quick-change clamp
CN110228079B (en) Robot module of quick change instrument and quick change instrument
CN111230492A (en) Bluetooth headset box equipment tool that charges
CN215236022U (en) Semiconductor element long-time testing device
CN216412142U (en) Server hard disk backplate test fixture
CN215919745U (en) Fixed tool for machining cylindrical electrode
CN211349007U (en) Disassembling device
US7867005B2 (en) IC socket having improved latch devices
KR20060062244A (en) Carrier module for semiconductor test handler
KR20030062703A (en) Nozzle assembly for device picker in semiconductor test handler
CN216565779U (en) Plug-in components machine and tray thereof
CN211063024U (en) Connector disassembling tool
CN216858673U (en) Assembling device
CN220762392U (en) Clamping jig and tes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